KR102604463B1 -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463B1
KR102604463B1 KR1020230061731A KR20230061731A KR102604463B1 KR 102604463 B1 KR102604463 B1 KR 102604463B1 KR 1020230061731 A KR1020230061731 A KR 1020230061731A KR 20230061731 A KR20230061731 A KR 20230061731A KR 102604463 B1 KR102604463 B1 KR 10260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uide
metatarsal bone
guide pin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택준
안형석
Original Assignee
씨앤에스메디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앤에스메디칼(주) filed Critical 씨앤에스메디칼(주)
Priority to KR102023006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97Guide wires or guide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90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 A61B2017/565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for surgical correction of axial deviation, e.g. hallux valgus or genu valg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 침습을 통한 건막류 절제 및 절골술 이후 분절된 수술 타켓의 정밀한 정렬 및 고정을 수행하고 분절된 중족골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를 보다 정확한 지점으로 안내하여 절골 부위의 골치유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수술 정확도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잘못된 수술로 인한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HALLUX VALGUS SURGERY DEVICE}
본 발명은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 침습을 통한 건막류 절제 및 절골술 이후 분절된 수술 타켓의 정밀한 정렬 및 고정을 수행하고 분절된 중족골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를 보다 정확한 지점으로 안내하여 절골 부위의 골치유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수술 정확도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잘못된 수술로 인한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지외반증은 발의 수평면에서의 변형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엄지 발가락이 내측으로 휘거나 또는 회전된 상태의 변형을 수반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무지외반증의 원인으로는 선천적 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선천적인 요인(내재적인 원인)으로는 원위 중족 관절면 각이 과다한 경우, 평발과 넓적한 발, 원발성 중족골 내전증, 과도하게 유연한 발 등을 들 수 있으며, 후천적인 요인(외재적 원인)으로는 신발코가 좁은 신발 또는 하이힐 등의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전학적인 요인으로 모계유전의 확률이 높으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무지외반증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통상 기능성 신발, 보조기 등을 착용하여 평상시에 소정의 교정력 일정하게 가해 굴곡된 부위의 증상이 점차 개선되도록 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교정의 효과가 미비하고 재발의 가능성이 높아 치료 만족도가 높지 못한 실정으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외과적인 수술을 통한 교정술이 시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무지외반증 수술은 엄지발가락 주위의 침습을 통한 절골술로서 시행되고 있고, 특히, 엄지발가락 원위부 접근법을 통한 절골술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절골술을 시행할 때에 절골부위가 적당한 범위를 넘어 너무 진행되는 경우 수술 과정에서 치료 외적인 불필요한 골절이 일어나거나 근육손상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고, 특히, 최소 침습을 통해 진행되는 만큼 수술 도구들의 조작시 방사선 사진과 시술자의 단순 경험 및 손기술에만 의존하여 진행되는 관계로, 수술 과정이 객관적이지 못하여 경우에 따라 각종 의료사고 또는 수술 트라우마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18-004972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최소 침습을 통한 건막류 절제 및 절골술 이후 분절된 수술 타켓의 정밀한 정렬 및 고정을 수행하고 분절된 중족골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를 보다 정확한 지점으로 안내하여 절골 부위의 골치유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수술 정확도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잘못된 수술로 인한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호 형태로 만곡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가이드홈에 접속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 위치에서 절단에 의해 양분된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을 가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장착홀에 결합되어 양분된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의 식립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로 삽입되며 반경 방향을 향해 제1 고정홀, 제2 고정홀 및 제3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블럭; 상기 제1 고정홀을 통과해 제1 중족골 내로 일정 깊이 식립되는 제1 가이드핀; 상기 제1 고정홀 단부에 체결되어 제1 고정홀을 통과하는 제1 가이드핀을 조여 위치 고정시키는 제1 고정노브; 일단은 상기 제2 고정홀 내로 삽입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을 이격 지지하도록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 사이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아암을 가지며 상기 후크아암의 상부로 드릴부싱이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재; 및 중공형으로서 상기 제1 가이드핀 외측의 동축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드릴부싱에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가이드핀이 식립된 제1 중족골을 가압해 근심 이동시키는 푸쉬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장착홀에 결합되는 중공관 구조의 외부슬리브; 상기 외부슬리브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관 구조의 내부슬리브; 및 상기 내부슬리브 내부를 통과해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의 중첩 위치로 일정 깊이 식립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아암은, 상기 드릴부싱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나사체; 상기 나사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 및 상기 나사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일정 면적의 원판 구조를 이루는 푸쉬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쉬아암은, 상기 푸쉬팁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푸쉬팁 외측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한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드의 내측에는 상기 푸쉬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핀이 통과하도록 중심에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절개홀이 절개 형성되며, 제1 중족골의 원심면 주변과 맞닿는 면은 융기된 제1 중족골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면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최소 침습을 통한 건막류 절제 및 절골술 이후 분절된 수술 타켓의 정밀한 정렬 및 고정을 수행하고 분절된 중족골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를 보다 정확한 지점으로 안내하여 절골 부위의 골치유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수술 정확도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나아가 잘못된 수술로 인한 트라우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고정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고정부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고정나사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몸체부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 기준으로 고정나사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1 가이드핀과 제1 고정노브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가이드블럭의 단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시착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시착부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시착부에 가이드부가 시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거상판이 적용된 시착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 내지 도 24은 무지외반증 수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무지외반증의 수술 과정을 간략하게 개괄하여 설명한다.
먼저, 중족골 근심 부위를 최소 절개하고, 절개부위로 침습을 통하여 이상 변위된 중족골을 절골한다. 이러한 절골 과정에서 분절된 각각의 중족골을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이라 한다.
중족골의 절골이 완료되면 원심 변위된 제1 중족골(1B) 또는 제2 중족골(2B)을 근심 이동시키고, 제1 중족골(1B) 또는 제2 중족골(2B)이 정상 범위 내의 위치로 이동하면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동시에 관통하는 방향에서 고정스크류(SC)를 체내로 식립해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고정한 후 절개부위를 접합 및 드레싱 해 수술을 완료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무지외반증의 외과적인 수술 과정에서 고정스크류(SC)의 식립에 앞서 절골 이후의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고정하고 아울러, 올바른 방향으로의 고정스크류(SC) 식립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10), 고정부(100) 및 가이드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0)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의 주요 골격을 구성하며, 고정부(100) 및 가이드부(20)를 적소에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호 형태로 만곡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11)이 형성되지 아니한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장착홀(12)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홈(11)은 몸체부(10) 내측에 소정의 공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이드홈(11)에는 후술 될 고정부(100)가 접속되어 가이드홈(1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착홀(12)로는 후술 될 가이드부(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돼 몸체부(10)를 관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100)는 절단에 의해 양분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고정 위치에서 가고정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구성으로, 고정스크류(SC)의 식립 전 단계에서 절단에 의해 신체 연조직 내에서 대체로 고정력을 상실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이 임의로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1차적으로 가고정하여 고정스크류(SC)의 식립 단계에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의 틀어짐 없이 고정스크류(SC)가 정위치로 식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100)의 일단은 가이드홈(11)에 결합되고, 타단은 체내로 삽입돼 제1 중족골(1B)에 식립되거나 또는 원심된 중족골로 인한 조직의 융기 부위를 밀어 지지해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가이드홈(11)에 결합된 고정부(100)의 일단을 가이드홈(11)의 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가며 고정부(100)의 식립 방향을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는 크게 가이드블럭(110), 제1 가이드핀(120), 제1 고정노브(130), 제2 고정노브(160), 후크부재(140) 및 푸쉬아암(15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가이드블럭(110)은 가이드홈(11) 내부로 삽입되어 가이드홈(11)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작동하는 구성이며 제1 가이드핀(120), 제1 고정노브(130), 제2 고정노브(160), 후크부재(140) 등을 적소에 지지한다.
가이드블럭(110)의 이동에 따라 제1 가이드핀(120), 제1 고정노브(130), 제2 고정노브(160), 후크부재(140) 등은 가이드블럭(110)의 이동방향을 추종해 가이드홈(11)의 형성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블럭(110)에는 반경 방향을 향해 제1 고정홀(111), 제2 고정홀(112) 및 제3 고정홀(1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1 고정홀(111)로는 제1 가이드핀(120)과 제1 고정노브(130)가, 제2 고정홀(112)로는 후크부재(140)가, 제3 고정홀(113)로는 제2 고정노브(16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핀(120)은 제1 고정홀(111)을 통과해 제1 중족골(1B) 내로 일정 깊이 식립돼 절골에 의해 분절된 제1 중족골(1B)을 가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가이드핀(120)은 소직경 솔리드 타입의 핀형상 구조물로서 타단에 날카로운 첨부를 가지며 몸체부(10)의 호 중심점이 되는 방향으로 뻗어 제1 중족골(1B) 내로 일정 깊이 식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고정노브(130)는 제1 고정홀(111)의 단부에 체결되어 제1 고정홀(111)을 통과하는 제1 가이드핀(120)을 조여 위치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가이드블럭(110)을 완전히 관통해 형성되는 제1 고정홀(111)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개방된 개방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제1 고정노브(130)는 일측 개방 단부(111a)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제1 가이드핀(120)을 조여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홀(111)의 일측 개방 단부(111a) 내주면 일정 구간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의 타측으로는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부위를 쐐기벽면(111c)이라 한다.
제1 고정노브(130)는 내부로 제1 가이드핀(120)이 통과 가능하도록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지되, 제1 고정홀(111)의 일측 개방 단부 내측으로 삽입돼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131)와 상기 나사부재(131)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 변형을 유도하도록 유도홀(133)이 절개 형성되는 관형의 죠부재(132)가 일체로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제1 고정노브(130)를 제1 고정홀(111)의 일측 개방 단부(111a)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죠부재(132)가 쐐기벽면(111c)에 밀착되면서 중심의 제1 가이드핀(120)을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유도되어 제1 가이드핀(120)의 외측을 강하게 파지하여 제1 가이드핀(120)을 위치 구속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고정노브(130)를 제1 고정홀(111)에서 풀게 되면 죠부재(132)가 벌어지면서 제1 가이드핀(120)의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고, 이에 제1 가이드핀(120)을 상황에 맞게 위치 조정할 수 있다.
제3 고정홀(113)은 나사산을 가지는 통상의 탭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에 제2 고정노브(160)가 결합돼 가이드블럭(110) 자체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노브(160)는 제3 고정홀(11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몸체부(10) 외부를 가압하여 줌으로써 가이드홈(11) 내 가이드블럭(110)을 위치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크부재(140)는 중족골의 절골 이후 분절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절골된 제1 중족골(1B)을 근심 이동시킴에 따라 제2 중족골(2B)의 절단면에서 개방된 골수강에 상기 후크부재(140)를 걸어줄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재(140)는 적어도 제2 중족골(2B)의 골수강에 걸려진 다음 제1 중족골(1B)의 원심면을 측방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서로 일정 간격 이격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크부재(140)는 후크부재(140)의 일단을 구성하는 후크핀(141)과 상기 후크핀(141)의 타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후크아암(142)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재(140)의 일단을 구성하는 후크핀(141)은 제2 고정홀(112) 내로 삽입되고 타단을 구성하는 후크아암(142)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이격 지지하도록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중족골(2B)의 개방된 골수강 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후크아암(142)은 '┌'자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추어 개방된 제2 중족골(2B)의 골수강 내로 일정 깊이 삽입이 되면서도 이와 마주하는 제1 중족골(1B)의 원심면을 일정 면적 지지하여 제1 중족골(1B)의 원심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후크아암(142)의 상부로는 드릴부싱(143)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드릴부싱(143)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 될 푸쉬아암(150)이 상기 드릴부싱(14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푸쉬아암(150)은 제1 가이드핀(120)이 식립된 제1 중족골(1B)을 가압해 제1 중족골(1B)을 임의의 위치까지 근심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푸쉬아암(150)을 통해 절골된 제1 중족골(1B)을 정상 위치까지 근심 이동시킬 수 있다.
푸쉬아암(150)은 중공형으로서 제1 가이드핀(120) 외측의 동축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드릴부싱(14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푸쉬아암(150)을 회전 조작하여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1 중족골(1B)의 원심면을 가압해 정상 위치까지 제1 중족골(1B)을 근심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쉬아암(150)은 크게, 나사체(151), 핸들(152), 푸쉬팁(153) 및 지지패드(15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나사체(151), 핸들(152) 및 푸쉬팁(153)은 내부 중공을 가지는 일체형 구성이며 지지패드(154)는 필요에 따라 푸쉬팁(153)에 탈착 가능한 구성이다.
먼저, 나사체(151)는 드릴부싱(143)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통상의 수나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핸들(152)은 나사체(151)의 일단에 형성되어 푸쉬아암(150)의 회전조작시 파지 용이하도록 외면에 널링 가공된 노브를 이용할 수 있다.
푸쉬팁(153)은 나사체(151)의 타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중족골(1B) 주변 조직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는 원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푸쉬팁(153)은 전술한 제1 가이드핀(120)과 다르게 체내 혹은 골 내로 직접 삽입되지 않고 피부 외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별도의 지지패드(15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푸쉬팁(153)이 피부 외측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푸쉬아암(150)에서 핸들(152)을 정역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체인 드릴부싱(143)을 기준으로 푸쉬아암(150) 전체가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제1 중족골(1B)의 원심 변위량을 고려해 회전수를 적절히 제어하면서 제1 가이드핀(120)에 의해 고정된 제1 중족골(1B)을 미세하게 근심 이동시킬 수 있는 한편, 제1 중족골(1B)에는 제1 가이드핀(12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상 푸쉬아암(150)에 의해 밀리는 제1 중족골(1B)은 제1 가이드핀(120)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패드(154)는 푸쉬팁(153)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푸쉬아암(150)의 타단이 중족골 주위의 피부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융기된 피부 주변에 균일하게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해부학적으로 중족골 주위 피부는 불규칙한 구조로 융기되어 있고, 또한, 이러한 융기 부위의 구조는 사람에 따라 편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지패드(154)를 푸쉬팁(153)에 고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면 대체로 사람마다 서로 다른 융기된 피부 형상에 맞춰 지지패드(154)를 피부에 접촉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드(154)의 내측에는 상기 푸쉬팁(153)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54a)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핀(120)이 통과하도록 중심에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절개홀(154b)이 절개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지지패드(154)는 푸쉬아암(150) 내부를 가로지르는 제1 가이드핀(120)과의 간섭 없이 푸쉬팁(153) 외측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푸쉬팁(153)은 원판형 구조이고, 지지패드(154) 내부에는 이러한 원판형 푸쉬팁(153)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어 지지패드(154) 자체를 푸쉬팁(153)에서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패드(154)의 제1 중족골(1B)의 원심면 주변과 맞닿는 면은 융기된 제1 중족골(1B)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면으로 함몰되도록 해 융기된 피부에 보다 넓은 면적으로 균일하게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피수술자의 피부 형상에 맞추어 지지패드(154)를 적절히 회전시켜 융기된 피부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고, 이렇게 지지패드(154)가 피부에 균일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푸쉬아암(150)을 이동시켜 제1 중족골(1B)을 근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이러한 가압력이 제1 중족골(1B)에 균일하게 분산이 되면서 가해지게 되어 제1 중족골(1B)을 일정한 압력과 방향으로 보다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부(20)는 양분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SC)의 식립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지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장착홀(12)에 결합된 상태로 타단 일부가 체내로 일정 깊이 식립될 수 있다.
가이드부(20)는 예컨대, 장착홀(12)에 결합되는 중공관 구조의 외부슬리브(23), 외부슬리브(23)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관 구조의 내부슬리브(22) 및 내부슬리브(22) 내부를 통과해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의 중첩 위치로 일정 깊이 식립되는 제2 가이드핀(21)을 포함하는 3중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핀(21)만 체내로 삽입되고 외부슬리브(23)와 내부슬리브(22)는 체내로 삽입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제2 가이드핀(21) 또는 고정스크류(SC)의 식립 방향을 가이드한다.
제2 가이드핀(21)은 전술한 제1 가이드핀(1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가이드부(20)는 전술한 제1 고정노브(130)와 같이 제2 가이드핀(21)의 고정을 위한 고정노브를 추가로 포함해 제2 가이드핀(21)을 내부슬리브(22) 내측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중심에 제2 가이드핀(21)이 배치되어 있고 그 외부에 내부슬리브(22)가 슬립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부슬리브(22) 외측으로 외부슬리브(23)가 슬립 가능하게 겹겹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상, 여기서 내부슬리브(22)만을 제거하게 되면 외부슬리브(23)와 제2 가이드핀(21) 사이에 소정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이렇게 마련된 공간으로 고정스크류(SC) 식립을 위한 천공작업을 수행하는 드릴을 도입할 수 있다.
고정스크류(SC)는 상기 내부슬리브(22) 및 외부슬리브(23)를 제거한 다음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에 상호 고정된 제2 가이드핀(21)에 안내되어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통시에 관통해 식립될 수 있고, 식립 부위의 골유착을 통한 조직의 치유가 완료되면 절골된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서로 완전히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0)는 상황에 따라 복수 개를 연속 시술하여 복수의 고정스크류(SC)를 서로 평행하게 식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는 몸체부(10)에 착탈 가능한 가이드부(20)를 몸체부(10) 주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부(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나사부(30)는 장착홀(12)을 관통한 복수의 가이드부(20)를 일괄적으로 고정 및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홀(12) 방향의 몸체부(10) 단부에는 상기 장착홀(12)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홀(12)과 연통되게 작동슬릿(13)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장착홀(12)과 작동슬릿(13)은 몸체부(10)를 관통하는 방향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몸체부(10)의 단부에 서로 연통된 하나의 채널을 구성한다.
아울러, 고정나사부(30)는 상기 작동슬릿(13) 내부에 가이드부(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입되며 중심에 가이드부(20)가 통과하는 통과홀(31a)이 관통 형성되고 일면에 제4 고정홀(31c)이 형성되는 고정패드(31) 및 상기 제4 고정홀(31c)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작동슬릿(13) 내에서 고정패드(31)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3 고정노브(3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통과홀(31a)은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가이드부(20)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관통 면적을 가질 수 있고, 특히 벽면에 물결 형상의 지지홈(31b)을 구비하여 통과홀(31a) 내부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부(20) 외주면을 고정 위치로 안내해 통과홀(31a) 내부에서의 편심 이동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4 고정홀(31c)은 나사산을 가지는 통상의 탭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에 제3 고정노브(32)가 결합돼 작동슬릿(13) 내에서 고정패드(31)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20)를 장착홀(12)에 결합하게 되면 가이드부(20)는 고정패드(31)의 통과홀(31a)로 삽입돼 고정패드(31)와 교차 결합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고정패드(31)를 이동시키게 되면 고정패드(31) 자체가 가이드부(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부(20)에 고정력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노브(32)를 돌려 고정패드(31)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장착홀(12)과 통과홀(31a) 주위의 가이드부(20) 일부분에 전단력이 가해지면서 가이드부(20)가 몸체부(10)에 강하게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고정노브(32)를 역방향으로 돌려 고정패드(31)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전술한 전단력이 해소되면서 가이드부(20)의 고정력이 풀려 가이드부(20)를 장착홀(12)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는 가이드부(20)의 본격적인 시술에 앞서 가이드부(20)의 시술 위치를 육안으로 가늠해보기 위하여 가이드부(20)를 장착홀(12)에 결합하기 전 단순 시착(trial)을 위해 몸체부(10) 주변으로 가이드부(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시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0)의 제2 가이드핀(21)이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 내로 한 번 삽입이 되면 그 위치로 반드시 고정스크류(SC)의 식립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보다 신중한 판단을 위하여 가이드부(20)의 시술 전 먼저 발 외부로 가이드부(20)의 시술 위치를 육안으로 가늠 내지 확인작업을 거친 후 가이드부(20)의 본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한편, 이때, 시착부(40)는 가이드부(20)를 몸체부(10) 외부에 안정적으로 올려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착부(40)는 몸체부(10)의 장착홀(12) 주변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몸체부(10)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를 각각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을 가지며 서로 상하로 이격된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43)로 구성되는 'U'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은 각각 장착홀(12)과 일정거리 편심돼 장착홀(12)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마련되며 이에, 시착부(40) 중심에는 소정의 시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시착공간이 존재함에 따라 시착부(40)의 탈거 없이도 가이드부(20)를 장착홀(12)에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에는 가이드부(20), 특히 가이드부(20)의 외부슬리브(23) 거치를 위한 복수의 거치홈(4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되, 경우에 따라 각각의 거치홈(44) 내에는 가이드부(20)의 제2 가이드핀(21)을 거치하기 위하여 기존 거치홈(44)보다 작은 보조거치홈(45)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연결대(43)에는 몸체부(10)를 마주하는 방향으로 결합돌기(46)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몸체부(10)에는 이와 상보적인 결합홈(1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은 서로 상하 대칭하여 존재하므로, 좌측발 또는 우측발의 택일적인 수술시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를 돌려 사용하더라도 특별한 방향성을 가지지 않아 호환 사용이 가능하다.
시착부(40)의 다른 실시예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착부(40)의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의 거치홈(44)이 형성된 지점에는 거치홈(44)에 거치된 가이드부(20)를 일정 높이 부양시키는 거상판(5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발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울 경우 가이드부(20)의 시착시 가이드부(20)가 발등 위로 용이하게 올려지지 못하게 될 경우가 있으며, 이를 고려해 상기 거상판(50)으로 가이드부(20)를 일정 높이 부양시켜 주거나 혹은 가이드부(20)의 타단 부위를 일정 각도로 경사 배치하여 발등 위에 가이드부(20)가 보다 안정적으로 시착이 될 수 있도록 함을 고려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한 거상판(50)은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의 거치홈(44)의 대응지점에는 거치홈(44)에 상보적인 형태로서 물결 구조로 만곡된 거상만곡대(51) 및 상기 거상만곡대(51)의 양 단부에서 수직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편(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아암(41)과 하부아암(42)에는 상기 연장편(52)을 수용하기 위한 거상홈(47)이 함몰 형성되어 상부아암(41) 또는 하부아암(42) 위로 거상판(50)이 안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거치홈(44)에 거치된 가이드부(20)는 상기 거상판(50)의 거상만곡대(51)에 동시에 지지가 되는 구조이다.
특히, 거상홈(47)의 바닥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구배를 형성하여 거상판(50)을 거상홈(47) 내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구배에 대응하여 거상판(50) 자체가 점진적으로 상부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거상판(50)에 지지된 가이드부(20) 자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거나 혹은 가이드부(20) 타단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가이드부(20)의 시착시 발등에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를 이용해 무지외반증의 수술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로 버를 삽입해 중족골을 절골한다.
다음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된 제1 중족골(1B)을 근심 이동시켜 제2 중족골(2B)의 골수강을 개방한 다음 후크부재(140)를 제2 중족골(2B)의 골수강 내로 삽입하여 고정부(100)가 제1 중족골(1B)과 제2 중족골(2B)을 서로 이격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아암(150) 내측으로 제1 가이드핀(120)을 안내해 제1 가이드핀(120) 타단을 제1 중족골(1B) 내로 일정 깊이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아암(150)을 회전 이동시켜 제1 중족골(1B)을 근심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핀(120)과 후크부재(140)의 후크핀(141) 일단으로 고정부(100)의 가이드블럭(110)이 기결합된 몸체부(10)를 결합하고, 제1 고정노브(130)를 조여 제1 가이드핀(120)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 고정노브(160)를 조여 가이드블럭(110)을 고정한 다음 필요에 따라 시착을 수행하여 가이드부(20)의 위치를 결정하고, 위치가 결정되면 가이드부(20)를 장착홀(12) 내로 삽입하는 한편 제2 가이드핀(21) 타단을 제2 중족골(2B)을 통과해 제1 중족골(1B)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핀(21)을 따라 드릴을 삽입하여 제2 가이드핀(21) 주변으로 천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과 내부슬리브(22) 및 외부슬리브(23)를 모두 제거하고, 제2 가이드핀(21)을 따라 고정스크류(SC)를 식립한 다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지회반증 수술 장치를 신체로부터 모두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20: 가이드부
30: 고정나사부
40: 시착부
100: 고정부

Claims (5)

  1. 호 형태로 만곡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지 아니한 단부에는 반경 방향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가이드홈에 접속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고정 위치에서 절단에 의해 양분된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을 가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장착홀에 결합되어 양분된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의 고정을 위한 고정스크류의 식립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로 삽입되며 반경 방향을 향해 제1 고정홀, 제2 고정홀 및 제3 고정홀이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블럭;
    상기 제1 고정홀을 통과해 제1 중족골 내로 일정 깊이 식립되는 제1 가이드핀;
    상기 제1 고정홀 단부에 체결되어 제1 고정홀을 통과하는 제1 가이드핀을 조여 위치 고정시키는 제1 고정노브;
    일단은 상기 제2 고정홀 내로 삽입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을 이격 지지하도록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 사이에 걸림 고정되는 후크아암을 가지며 상기 후크아암의 상부로 드릴부싱이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부재; 및
    중공형으로서 상기 제1 가이드핀 외측의 동축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드릴부싱에 반경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가이드핀이 식립된 제1 중족골을 가압해 근심 이동시키는 푸쉬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장착홀에 결합되는 중공관 구조의 외부슬리브;
    상기 외부슬리브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관 구조의 내부슬리브; 및
    상기 내부슬리브 내부를 통과해 제1 중족골과 제2 중족골의 중첩 위치로 일정 깊이 식립되는 제2 가이드핀;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아암은,
    상기 드릴부싱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나사체;
    상기 나사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핸들; 및
    상기 나사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일정 면적의 원판 구조를 이루는 푸쉬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푸쉬아암은,
    상기 푸쉬팁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푸쉬팁 외측에서 제자리 회전 가능한 지지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패드의 내측에는 상기 푸쉬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 가이드핀이 통과하도록 중심에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절개홀이 절개 형성되며, 제1 중족골의 원심면 주변과 맞닿는 면은 융기된 제1 중족골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면으로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장착홀 주변 일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착부는
    몸체부의 일측 상부와 일측 하부를 각각 서로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상부아암과 하부아암; 및
    서로 상하로 이격된 상부아암과 하부아암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KR1020230061731A 2023-05-12 2023-05-12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KR10260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731A KR102604463B1 (ko) 2023-05-12 2023-05-12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731A KR102604463B1 (ko) 2023-05-12 2023-05-12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463B1 true KR102604463B1 (ko) 2023-11-22

Family

ID=8897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731A KR102604463B1 (ko) 2023-05-12 2023-05-12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4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7772A (zh) * 2023-11-30 2023-12-29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足部拇外翻手术规划的方法及相关产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179A (ko) * 2000-06-27 2002-01-09 박일형 골절치료용 골절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절고정방법
KR20140060850A (ko) * 2012-11-12 2014-05-21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후방십자인대 수술도구 세트
KR20180049726A (ko) 2016-11-03 2018-05-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지외반증 교정술용 수술장치
JP2021528115A (ja) * 2018-08-22 2021-10-21 ライト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外反母趾矯正のための案内システム
JP2023041836A (ja) * 2018-06-20 2023-03-24 アース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経皮ターゲティング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179A (ko) * 2000-06-27 2002-01-09 박일형 골절치료용 골절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절고정방법
KR20140060850A (ko) * 2012-11-12 2014-05-21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후방십자인대 수술도구 세트
KR20180049726A (ko) 2016-11-03 2018-05-1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지외반증 교정술용 수술장치
JP2023041836A (ja) * 2018-06-20 2023-03-24 アース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経皮ターゲティングデバイス
JP2021528115A (ja) * 2018-08-22 2021-10-21 ライト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Wright Medical Technology, Inc. 外反母趾矯正のための案内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7772A (zh) * 2023-11-30 2023-12-29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足部拇外翻手术规划的方法及相关产品
CN117297772B (zh) * 2023-11-30 2024-02-13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足部拇外翻手术规划的方法及相关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7747A1 (en) Bone plating kit for foot and ankle applications
JP6636025B2 (ja) 近位腱膜瘤の切除ガイドおよびプレート、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US6391031B1 (en) Device for the repair of a hallux valgus deformity
JP6985248B2 (ja) 骨位置付けガイド
US11779360B2 (en) Chevron osteotomy tools and methods
JP4823610B2 (ja) 骨プレーティングインプラント器具および方法
EP3720368B1 (en) Bone fixation assembly and implants
US5843085A (en) Device for repair of hallux valgus
EP1952776A1 (en) Implant for fixing two fragments of bone together in osteotomy procedures
US11883038B2 (en) Implants, devices, systems, kits and methods of implanting
KR102604463B1 (ko) 무지외반증 수술 장치
CN114502088A (zh) 拇囊炎矫正系统和方法
EP3646805A2 (en) Device for fixating orthopedic injury
US20230000498A1 (en) Method, Surgical Apparatus, and Surgical Implant for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EP2937050A1 (en) Minimally invasive fixation plate for the correction of bunions
US20220296285A1 (en) Intramedullary implant for transverse osteotomy
US11883075B2 (en) Device and surgical technique for foot surgery
JP2009524473A (ja) 骨折部固定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埋め込みジグ
JP2021151524A (ja) 治療器具
CN108888330B (zh) 一种组合导板及其精准定位方法
CN113180812A (zh) 跟骨骨折复位器
US20220008106A1 (en) Bone fixation implants
US20240122623A1 (en) Device and Surgical Technique for Foot Surgery
JP7159434B1 (ja) 髄内釘補助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骨接合具
US20230104559A1 (en) Bone fusion plate for treating the hallu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