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201B1 -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201B1
KR102604201B1 KR1020210015854A KR20210015854A KR102604201B1 KR 102604201 B1 KR102604201 B1 KR 102604201B1 KR 1020210015854 A KR1020210015854 A KR 1020210015854A KR 20210015854 A KR20210015854 A KR 20210015854A KR 102604201 B1 KR102604201 B1 KR 10260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eatment
laser
booth
las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878A (ko
Inventor
국태용
신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스랩
(주) 레보메드
주식회사 쓰리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스랩, (주) 레보메드, 주식회사 쓰리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스랩
Priority to KR102021001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20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with beam delivery through a hollow tube, e.g. forming an articulated arm ; Hand-pie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904Automatic detection of targe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61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with redirecting based on sensed condition, e.g. tissue analysis or tissu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the beam being directed along or through a flexible conduit, e.g. an optical fibre; Couplings or hand-pieces therefor
    • A61B2018/225Features of hand-pieces
    • A61B2018/2253Features of hand-piece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functions, e.g. surface cooling or detecting pathologic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61N2005/0633Arrangements for lifting or hinging the frame which supports th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i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부스에 구비된 자동문을 제어하는 부스 출입관리부; 상기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저장하고, 치료개시정보 및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치료진행순서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 치료로봇;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 및 상기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Booth-Type Laser Therapy System And Method Therefor}
본 개시는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레이저 치료(laser therapy)는 레이저에너지를 신체 내부에 침투시켜 환자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치료법으로, 디스크치료 및 물리치료 등에 이용된다. 또한, 레이저 치료는 피부 박피 등의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로 수행될 수 있다.
레이저 치료를 위해서는, 의료종사자가 환자의 환부에 정확하게 레이저를 조사하여야 한다. 그런데 반복 치료 및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의료종사자의 피로가 누적된 경우에는 정밀한 레이저 조사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의료종사자가 모든 환자에게 균일한 품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최근 사회환경 등의 요인으로 인해 비대면 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레이저 치료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19682호 (2013.01.02. 등록)
본 개시는, 의료 서비스의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고,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부스에 구비된 자동문을 제어하는 부스 출입관리부; 상기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저장하고, 치료개시정보 및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치료진행순서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 치료로봇;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 및 상기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부스에 구비된 자동문을 제어하는 과정; 상기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저장하고, 치료개시정보 및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치료진행순서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 및 상기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서비스의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고, 비대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인력 부족 및 의료 접근성에 대한 애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의료 기관의 업무시간에 독립적인 상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비용, 고효율 및 환자 맞춤형 치료 시스템을 통해, 고수준의 개인화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a는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의 부스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 출입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a는 및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의 부스 외부 및 내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laser therapy system, 100)은, 부스 출입관리부(booth access management unit, 101), 키오스크(kiosk, 102), 안전관리부(safety management unit, 103), 레이저 치료로봇(laser therapy robot, 104) 및 전동제어 침대(electric-controlled bed, 105)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1의 경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무인 레이저 치료를 위한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의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은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2a에 나타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은 자동문(automatic door, 200)을 구비한 부스(booth, 20)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은 의료 소외지역 등의 병원이 아닌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자동화 시스템 및/또는 병원 내에 위치한 의료종사자의 원격 제어를 통해 비대면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부스(20)의 자동문(200)을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의사의 처방을 받은 이용자 등과 같이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만이 부스(20)에 출입할 수 있도록 부스(20)의 자동문(200)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이용자 단말기(110), 키오스크(102) 및/또는 원격 관리시스템(120)과 연동할 수 있다. 부스 출입관리부(10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키오스크(102)는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의 이용방법 등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2)는 도 2b의 터치 디스플레이(touch display, 210)와 같은 입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2)는 스피커, LED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키오스크(10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안전관리부(103)는 의료종사자가 치료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의료 사고시 증거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부스(20)의 내부를 촬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103)는 치료과정을 촬영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영상 정보를 원격 관리시스템(120)에게 전송한다. 안전관리부(10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환부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핸드피스(laser handpiece)를 구비한 로봇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및/또는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기술을 이용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할 환부를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나듯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리니어모션 베이스(linear motion base, 220), 바디(body, 230), 로봇 팔(robot arm, 240) 및 머리(head, 250)를 전부 또는 일부 구비할 수 있다.
리니어모션 베이스(220)는 부스(20)의 바닥에 설치되어 레이저 치료로봇(104)이 직선 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직선 이동 장치로서, 리니어 가이드(linear guide)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바디(230) 및 머리(250)는 리니어모션 베이스(220) 및 로봇 팔(240)과 연결되고, 레이저 치료로봇(104)의 외형을 사용자에게 친숙한 형태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구체적인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로봇 팔(240)은 하나 이상의 관절부(242 내지 246)를 구비하여 3차원 공간 상에서 이동 가능한 선단을 갖는 장치이다. 로봇 팔(240)의 일측은 바디(230)와 연결되며, 로봇 팔(240)의 타측에는 환부에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 핸드피스(248), 환부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distance sensor), 환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및 환부를 촬영하는 카메라(camera)가 전부 또는 일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거리센서, 온도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할 환부를 인식 및 추적하며, 이용자의 피부 특성에 맞는 치료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팔(240)은 내부에 레이저 전원 공급선이 인입될 수 있다.
레이저 치료로봇(104)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동제어 침대(105)는 레이저 치료를 받고자 하는 이용자가 누울 수 있는 장치로서, 치료를 수행할 환부의 위치에 적합하게 자동 및/또는 수동으로 전동제어 침대(105)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제어 침대(105)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각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내부에 구비된 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킴으로써 전동제어 침대(105)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b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이 전동제어 침대(10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은 전동제어 의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user terminal, 110)는 출입을 위한 인증 및 치료결과 수신 등을 위해 레이저 치료시스템(100)과 연동하는 장치이다.
이용자 단말기(11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등과 같은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 단말기(110)에는 레이저 치료시스템(100)과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예컨대,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기(110)에 탑재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출입 인증을 수행하거나 치료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관리시스템(remote management system, 120)은 원격지에서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을 제어하고, 치료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예컨대, 의료종사자가 병원 내에 구비된 원격 관리시스템(120)을 이용하여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을 원격 제어하고 치료 과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관리시스템(120)은 부스 출입관리부(101), 키오스크(102), 안전관리부(103), 레이저 치료로봇(104) 및/또는 전동제어 침대(105)가 수행하는 각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관리시스템(120)은 부스 출입관리부(101)와 연동하여 자동문(200)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레이저 치료로봇(104)과 연동하여 로봇 팔(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리시스템(120)은 안전관리부(103)와 연동하여, 치료과정을 촬영한 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 출입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출입인증부(access authorization unit, 300), 자동문 개폐제어부(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control unit, 302) 및 자동문 안전관리부(automatic door safety management unit, 30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부스 출입관리부(101)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출입인증부(300)는 부스(20)에 출입하고자 하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부(300)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이용자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인증부(300)는 이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면,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출입인증부(300)는 이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부(300)는 키오스크(102) 및/또는 원격 관리시스템(120)과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출입인증부(300)는 키오스크(102) 또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출입인증부(300)는 키오스크(102) 또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부(300)는 이용자로부터 인증을 위한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이용자의 생년월일, 전화번호(전부 또는 일부) 및 이용자가 별도로 설정한 인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인증부(300)는 이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하거나, 부스(20) 외부에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키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부(300)는 수신한 식별정보와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에 포함된 식별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인증부(300)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자동문 개방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출입인증부(300)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인증완료정보를 자동문 개폐제어부(302) 및/또는 자동문 안전관리부(304)에게 전송한다.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는 출입인증부(300)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하거나 치료과정이 종료된 경우, 이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을 위해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는 키오스크(102) 및/또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는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로부터 자동문 잠금해제정보를 추가로 수신한 경우에 자동문(200)이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 하거나, 이용자가 부스(20)에 입장(또는 퇴장)한 경우에 자동문(200)이 닫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는 이용자의 입장여부(또는 퇴장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는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로부터 자동문 잠금해제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및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존재를 감지하여 자동문(200)에 구비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자동문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는 이용자의 입장 및/또는 퇴장 이후에, 자동문(200)이 잠기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치료과정 중에 다른 이용자가 부스(20)에 출입할 수 없으며, 인증을 완료하지 않은 이용자가 강제로 자동문(200)을 열 수 없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는 출입인증부(300)로부터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자동문(200)의 잠금을 해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는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로부터 이용자 입장정보를 수신하거나 키오스크(102) 및/또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한 경우 자동문(200)을 잠근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는 키오스크(102) 및/또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한 경우 자동문(200)의 잠금을 해제하고, 자동문 개폐제어부(302)로부터 이용자 퇴장정보를 수신한 경우 자동문(200)을 잠근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문 안전관리부(304)는 기계식 및/또는 전자식으로 자동문(200)을 잠금 및/또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자동문 안전관리부(304)가 자동문(200)을 잠금 및/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괄하며, 특정한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102)는 진료 가이드부(treatment guide unit, 310), 문서관리부(document management unit, 3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31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키오스크(102)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진료 가이드부(310)는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의 이용방법 등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진료 가이드부(310)는 치료 진행순서를 관리하고, 치료 진행순서에 따른 안내메시지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안내메시지는 영상, 안내문구 및 안내음성 등의 형태로 이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는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부(310)는 부스 출입관리부(101)로부터 인증완료정보 또는 이용자 입장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입장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입장 안내메시지는 레이저 치료시스템(100)의 이용방법 및 안전교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부(310)는 이용자로부터 안내 개시요청을 입력받거나,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314)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입장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기저장된 입장 안내메시지를 제공한 이후, 진료 가이드부(310)는 치료개시정보를 부스 출입관리부(101), 레이저 치료로봇(104) 및/또는 안전관리부(103)에게 전송하고, 기저장된 치료시작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진료 가이드부(310)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하면, 기저장된 치료종료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후, 진료 가이드부(310)는 치료결과 안내메시지, 기저장된 예약 안내메시지, 및 기저장된 퇴장 안내메시지를 순차적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결과 안내메시지는, 치료결과정보, 유의사항 및 치료결과정보를 이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4) 및/또는 이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다음 치료를 예약하고, 이용자 단말기(110)로 치료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가이드부(310)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수신한 치료종료정보를 부스 출입관리부(101) 및/또는 안전관리부(103)에게 전달할 수 있다.
문서관리부(312)는 처방정보, 예약정보 및 치료결과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관리부(312)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모든 이용자 또는 일부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 및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원격 관리시스템(120)에게 모든 이용자 또는 일부 이용자에 대한 치료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관리부(312)는 기설정된 주기로 원격 관리시스템(120)과 연동하여 처방정보, 예약정보 및 치료결과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관리부(312)는 이용자 출입 인증을 위해 부스 출입관리부(101)에게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관리부(312)는 현재시간에 대응하는 예약정보를 부스 출입관리부(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관리부(312)는 부스 출입관리부(101)로부터 인증이 완료된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관리부(312)는 현재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를 안전관리부(103) 및/또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에게 전송하고,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현재 이용자에 대한 치료결과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관리부(312)는 이용자 단말기(110)와 연동하여, 이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처방정보 및/또는 예약정보를 수신하고, 이용자 단말기(110)에게 치료결과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관리부(103)는 카메라제어부(camera control unit, 320), 저장부(storage, 322) 및 통신부(communications unit, 324)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3c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안전관리부(103)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카메라제어부(320)는 부스(20)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제어부(320)는 키오스크(102) 및/또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으로부터 치료개시정보 및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하여, 부스(20)의 내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치료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촬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제어부(320)가 제어하는 카메라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에 탑재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제어부(320)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촬영개시명령 및 촬영종료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제어부(32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음성 포함 가능)를 수신하여 저장부(322) 및/또는 통신부(324)에게 전송한다.
저장부(322)는 카메라제어부(320)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322)는 키오스크(102)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뒷자리 등)를 수신하여, 식별정보를 영상정보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324)는 카메라제어부(320)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원격 관리시스템(120)에게 전송한다.
도 3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진료 동기화부(treatment synchronization unit, 330), 환부인식부(affected part recognition unit, 332), 환부추적부(affected part tracking unit, 334), 모션제어부(motion control unit, 336) 및 레이저제어부(laser control unit, 338)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다. 도 3d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레이저 치료로봇(104)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진료 동기화부(330)는 치료 진행순서에 따라 레이저 치료로봇(104)을 기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진료 동기화부(330)는 키오스크(102)로부터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하고, 레이저제어부(338)로부터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동기화부(330)는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한 경우, 레이저 치료로봇(104)을 기설정된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초기위치는 부스(20)의 벽면 근처와 같이 이용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진료 동기화부(330)는 레이저제어부(338)로부터 수신한 치료종료정보를 키오스크(102)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동기화부(330)는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한 경우, 환부 위치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로봇(10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부의 위치가 어깨인 경우 또는 환부의 위치가 다리인 경우에, 각각 환부를 치료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레이저 치료로봇(104)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료 동기화부(330)는 키오스크(102)로부터 치료개시정보와 함께 처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처방정보는 환부의 위치에 대한 정보 및/또는 이용자의 신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동기화부(330)는 리니어모션 베이스(220)에 구비되는 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바디(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리니어모션 베이스(220)를 이용하여 바디(230)를 이동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환부인식부(332)는 처방정보 및 레이저 치료로봇(104)의 로봇 팔(24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환부를 인식한다. 여기서, 처방정보는 환부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부의 위치정보는 환부에 대응하는 신체 명칭 또는 환부의 위치를 표현하는 그림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부인식부(332)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모델로서, 처방정보 및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환부를 인식하도록 사전에 트레이닝된 학습모델(learning model)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부인식부(332)는 처방정보 및 영상정보를 학습모델에 입력함으로써 환부에 대한 인식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인식결과는 환부의 좌표정보, 환부 크기정보, 환부 깊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부인식부(332)는 학습모델을 사전에 트레이닝시키기 위한 학습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학습부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및/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을 이용하여 학습모델을 사전에 트레이닝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학습부는 이미지 및 이미지에 대응하는 환부 위치정보 및 환부의 좌표정보를 학습 데이터로써 활용하여 학습 모델을 트레이닝할 수 있다. 한편, 학습부가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 모델을 트레이닝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환부추적부(334)는 로봇 팔(240)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환부영역을 추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부추적부(334)는 영상정보로부터 환부영역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이에 따라, 로봇 팔(240) 또는 환자가 움직이더라도 환부추적부(334)는 환부영역을 추적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부추적부(334)는 객체 추적기술을 이용하여 환부영역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다. 환부추적부(334)는 객체 추적기술로서 예컨대, 차분법(difference method)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이 분야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용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서 환부영역의 움직임을 추적하기 위한 기술로서 채용할 수 있다.
모션제어부(336)는 레이저 치료로봇(104)의 로봇 팔(240)을 제어한다. 예컨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제어부(336)는 로봇 팔(240)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관절부(242 내지 246)를 제어함으로써, 로봇 팔(24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한 레이저 핸드피스(248)가 환부영역 위를 왕복하도록 로봇 팔(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로봇 팔(240)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관절부(242 내지 246)를 이용하여 로봇 팔(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해당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레이저제어부(338)는 기설정된 레이저 조사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로봇 팔(240)에 구비된 레이저 핸드피스(248)를 제어한다. 여기서 레이저 조사정보는 레이저 조사강도, 조사시간 및 조사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제어부(338)는 키오스크(102) 및/또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레이저 조사정보를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제어부(338)는 환부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조사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환부정보는 환부 크기정보 및 환부 깊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이저제어부(338)는 환부인식부(332)로부터 환부정보를 수신하거나, 키오스크(102) 및/또는 원격 관리시스템(120)으로부터 수신한 처방정보에 기초하여 환부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환부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조사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레이저제어부(338)는 환부정보와 레이저 조사정보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정의된 수식 및/또는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제어부(338)는 치료가 수행되는 동안 로봇 팔(240)에 구비된 거리센서 및/또는 온도센서가 측정한 정보를 획득하여, 환자의 피부특성에 맞도록 레이저 조사정보를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환부의 온도 및/또는 환부와의 거리에 적합한 레이저 조사정보를 설정하기 위해, 레이저제어부(338)는 환부의 온도 및/또는 환부와의 거리와 레이저 조사정보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정의된 수식 및/또는 매핑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조사시간 또는 기설정된 조사횟수에 따른 레이저 빔 조사가 완료된 경우, 레이저제어부(338)는 진료 동기화부(330) 및/또는 키오스크(102)에게 진료완료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레이저제어부(338)는 키오스크(102)에게 치료 결과정보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결과정보는 레이저 조사정보, 환부정보, 치료가 수행되는 동안 로봇 팔(240)에 구비된 거리센서 및/또는 온도센서가 측정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치료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이용자 단말기(110) 및/또는 키오스크(102)와 연동하여,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400).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키오스크(102)에게 인증 완료정보를 전송한다(S402).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자동문(200)의 잠금을 해제한 후, 자동문(200)을 개방하여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고, 이용자가 입장함에 따라 자동문(200)이 닫히면 자동문(200)을 잠근다(S404).
인증완료정보를 수신한 키오스크(102)는 기저장된 입장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S406).
키오스크(102)는 안전관리부(103) 및 레이저 치료로봇(104)에게 치료개시정보 및/또는 처방정보를 전송한다(S410).
키오스크(102)는 기저장된 치료시작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S412).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한 안전관리부(103)는 부스(2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S414).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한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처방정보에 기초하여 환부 위치로 이동한다(S416).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레이저 치료를 수행한다(S420).
기설정된 레이저 조사 횟수 및/또는 시간에 기초해 레이저 치료가 종료되면,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치료종료정보 및/또는 치료결과정보를 키오스크(102) 및 안전관리부(103)에게 전송한다(S430).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한 키오스크(102)는 기저장된 치료종료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S432).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한 안전관리부(103)는 부스(2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S434).
치료를 완료한 레이저 치료로봇(104)은 기설정된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S436).
키오스크(102)는 수신한 치료결과정보에 기초한 치료결과 안내메시지 및 기저장된 예약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S440).
키오스크(102)는 치료결과정보를 이용자 단말기(110)에게 전송한다(S442).
키오스크(102)는 기저장된 퇴장 안내메시지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S444).
부스 출입관리부(101)는 자동문(200)의 잠금을 해제한 후, 자동문(200)을 개방하여 이용자의 퇴장을 허용하고, 이용자가 퇴장함에 따라 자동문(200)이 닫히면 자동문(200)을 잠근다(S452).
도 4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4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4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 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데이터 저장 시스템(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종류의 저장 시스템이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함) 및 적어도 한 개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로그램가능 컴퓨터는 서버, 네트워크 기기, 셋탑 박스, 내장형 장치, 컴퓨터 확장 모듈, 개인용 컴퓨터, 랩탑, PDA(Personal Data Assistant),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또는 모바일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레이저 치료시스템 101: 부스 출입관리부
102: 키오스크 103: 안전관리부
104: 레이저 치료로봇 105: 전동제어 침대
110: 이용자 단말기 120: 원격 관리시스템
20: 부스 200: 자동문
210: 터치 디스플레이 220: 리니어모션 베이스
230: 바디 240: 로봇팔
242 ~ 246: 관절부 248: 레이저 핸드피스
250: 머리 300: 출입인증부
302: 자동문 개폐제어부 304: 자동문 안전관리부
310: 진료가이드부 312: 문서관리부
314: 사용자 인터페이스 320: 카메라제어부
322: 저장부 324: 통신부
330: 진료 동기화부 332: 환부인식부
334: 환부추적부 336: 모션제어부
338: 레이저제어부

Claims (11)

  1.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부스에 구비된 자동문을 제어하는 부스 출입관리부;
    상기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저장하고, 치료개시정보 및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치료진행순서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키오스크;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는 레이저 치료로봇;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 및 상기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안전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스 출입관리부는,
    상기 이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예약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 출입관리부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부스에 구비된 자동문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자동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치료로봇은,
    직선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리니어모션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키오스크로부터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처방정보에 포함된 환부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리니어모션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환부를 치료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치료로봇은,
    레이저 핸드피스, 거리센서, 온도센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로봇 팔을 구비하고, 상기 처방정보에 포함된 환부의 위치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환부를 인식(recognition) 및 추적(track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치료로봇은,
    기설정된 레이저 조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핸드피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정보는,
    레이저 조사강도, 레이저 조사시간 및 레이저 조사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조사정보는,
    상기 처방정보, 상기 환부의 인식결과, 상기 거리센서의 출력 및 상기 온도센서의 출력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치료로봇은,
    상기 레이저 핸드피스의 레이저 조사시간이 기설정된 레이저 조사시간과 일치하거나, 상기 레이저 핸드피스의 레이저 조사횟수가 기설정된 레이저 조사횟수와 일치하는 경우에, 치료종료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부는,
    상기 치료개시정보를 수신하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치료종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촬영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정보를 원격 관리시스템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
  11. 기설정된 인증조건을 만족하는 이용자의 출입을 허용하도록 부스에 구비된 자동문을 제어하는 과정;
    상기 이용자에 대한 처방정보를 저장하고, 치료개시정보 및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치료진행순서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처방정보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치료를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치료개시정보 및 상기 치료종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이용자가 소지하는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예약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치료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10015854A 2021-02-04 2021-02-04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60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854A KR102604201B1 (ko) 2021-02-04 2021-02-04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854A KR102604201B1 (ko) 2021-02-04 2021-02-04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78A KR20220112878A (ko) 2022-08-12
KR102604201B1 true KR102604201B1 (ko) 2023-11-23

Family

ID=8280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854A KR102604201B1 (ko) 2021-02-04 2021-02-04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1677A (zh) * 2023-05-30 2023-08-04 广州市五合医疗器械有限公司 激光治疗方法及激光治疗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086961U (zh) * 2018-12-14 2019-07-09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人机交互的信息亭及其系统
JP2020168312A (ja) * 2019-04-05 2020-10-15 株式会社Stu N軸ロボット型脱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82B1 (ko) 2012-03-09 2013-01-15 (주)서울오션아쿠아리움 레이저 조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로봇 레이저 조사기
KR102594427B1 (ko) * 2016-04-19 2023-10-26 주식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봇암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장치 및 방법
KR102060998B1 (ko) * 2018-03-23 2019-12-31 주식회사 제이엘유 레이저 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086961U (zh) * 2018-12-14 2019-07-09 上海智臻智能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人机交互的信息亭及其系统
JP2020168312A (ja) * 2019-04-05 2020-10-15 株式会社Stu N軸ロボット型脱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878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26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verification
US10493298B2 (en) Camer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one or more areas in a medical facility
US110240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nd for performing a medically-related proces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10390779B2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2529758A (ja) 顔認識装置
AU20122190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automatic and remote trained personnel guided medical examination
CN109480882B (zh) 医疗设备成像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US201902431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nd for performing a medically-related proces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N109464155B (zh) 医学扫描定位方法
KR102604201B1 (ko) 부스형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664914B1 (ko) 영상 기기 조작 방법 및 영상 기기
JP6534441B2 (ja) 呼吸誘導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21532478A (ja) サーマル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を構成する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
WO2012073119A2 (en) Phr/emr retrieval system based on body part recognition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7050867B2 (ja) 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この動作方法
CN107368697B (zh) 医疗设备的虚拟现实控制系统及方法
CN104656885B (zh) 手持式眼控接目装置及其密码输入装置、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记录媒体
JP2020168312A (ja) N軸ロボット型脱毛装置
KR102602342B1 (ko) 레이저 치료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60062664A (ko) 복약 가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약 모니터링 지원 시스템, 및 복약 가이드 방법
KR102200686B1 (ko) 안면인식 및 인식표 기반의 병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4098691A1 (zh) 粒子放射治疗系统及粒子放射治疗系统的控制方法
KR20210061211A (ko) 영상촬영부를 이용한 임상 대상자의 안면 및 모션인식시스템
JP2019002269A (ja) 入退出用開閉体制御システム
JP5024012B2 (ja) 扉装置および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