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027B1 - 전동 킥보드 - Google Patents

전동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027B1
KR102604027B1 KR1020190001709A KR20190001709A KR102604027B1 KR 102604027 B1 KR102604027 B1 KR 102604027B1 KR 1020190001709 A KR1020190001709 A KR 1020190001709A KR 20190001709 A KR20190001709 A KR 20190001709A KR 102604027 B1 KR102604027 B1 KR 10260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body
wheel
electric
unit
stee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964A (ko
Inventor
이보훈
Original Assignee
이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훈 filed Critical 이보훈
Priority to KR1020190001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0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5Inclination sensors
    • B62J45/4151Inclination sensors for sensing lateral inclination of th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62K13/06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to a quadricycle, e.g. by coupling together two bicycles side by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1/00Brakes; Arrangements thereof
    • B62L1/005Brakes; Arrangements there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brake elements, e.g. fastening of brake blocks in thei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45Control or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6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 B62M6/65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axle parts with axle and driving shaft arranged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하게 라이딩을 수행할 수 있고 커플 합체가 가능한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보드본체; 상기 보드본체의 전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본체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상기 보드본체와 상기 조향부의 헤드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접히는 폴딩부; 상기 조향부의 상부에서 상기 보드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서 설치된 레이저 조사기; 상기 조향부의 하측 끝단에 설치된 전방휠; 상기 보드본체의 후측 끝단에 설치되고 주행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휠; 상기 전방휠 및 상기 후방휠을 멈추거나 휠 회전 속도를 늦추는 브레이크; 상기 전방휠 또는 상기 후방휠을 구동시키는 주행모터; 상기 주행모터 또는 상기 라이트의 작동을 센서부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게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구비한 제어장치; 및 상기 주행모터 및 제어장치에 전기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킥보드{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 수십 미터 전방 지형 지물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커플 결합을 통해 다양한 라이딩을 수행할 수 있는 전동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동력을 이용하는 개인 이동 수단에는 전동휠, 전기 자전거, 전동 킥보드, 전동 바이크 등이 있다.
이들 장치는 제품 종류, 가격, 휴대성, 편의성 등에서 일장일단이 있지만, 대부분 가까운 거리를 편리하게 이동하거나 혹은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전동 킥보드는 조향핸들에 의해 방향 조향이 가능한 킥보드를 기본 형태로 제작 되어 있고, 킥보드의 본체 또는 휠에 전동관련 장치를 달아서 전기의 힘으로 달릴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 킥보드는 평균속도 25Km/h 내외로서, 일부 고급형의 경우 속도 40 ~ 60Km/h의 성능을 가지고 있고, 일부 경사 구간에서도 등판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전동 킥보드는 일반적인 사용자 보행 속도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속도로 달릴 수 있기 때문에, 전방 지면의 돌출물이나, 특히 야간 드라이빙시 예상치 못한 지형지물에 부딪혀 균형을 잃거나 쓰러지면서 사용자가 다칠 수 있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기 매우 쉬운 상황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전동 킥보드는 혼자 타는 형태로 제작되어 있거나, 두 명이 탈 경우 매우 위험하거나 속도 저하로 인하여 라이딩을 제대로 즐길 수 없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8125호(2018.01.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42009호(2017.12.27.)
본 발명은 야간에 수십 미터 전방 지형 지물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커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체 또는 분리가 가능한 전동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보드본체; 상기 보드본체의 전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본체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상기 보드본체와 상기 조향부의 헤드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접히는 폴딩부; 상기 조향부의 상부에서 상기 보드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상기 조향부의 상부에서 설치된 레이저 조사기;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서 상기 보드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상기 조향부의 하측 끝단에 설치된 전방휠; 상기 보드본체의 후측 끝단에 설치되고 주행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휠; 상기 전방휠 및 상기 후방휠을 멈추거나 휠 회전 속도를 늦추는 브레이크; 상기 전방휠 또는 상기 후방휠을 구동시키는 주행모터; 상기 주행모터 또는 상기 라이트의 작동을 센서부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게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구비한 제어장치; 및 상기 주행모터 및 제어장치에 전기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동 킥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킥보드는, 상기 조향부의 조향핸들에서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 너클 암; 상기 보드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도어; 상기 측면도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보드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수납공간부와 상기 보드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수납공간부; 상기 제 1 수납공간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측면도어의 개방시 제 1 수납공간부로부터 회전에 의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수납공간부에 보관되어 있고,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의 합체시 상기 제 2 수납공간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 각각의 상기 너클 암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되는 타이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에 각각 탑재된 배터리를 병렬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 및 연결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본체는, 상기 보드본체의 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보드본체의 양측 저면에 설치되고, 사이드휠모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사이드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한 폭방향 기준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휠모터로 상기 사이드휠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사이드휠모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휠은 상기 보드본체의 저면을 기초로 설치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본체는, 상기 사이드휠의 전방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보드본체의 저면에 설치된 프로텍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보드본체에 탈부착되는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센서부의 작동상태값을 체크하여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는 장치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의 상기 근거리통신부는 라이딩 경로 상에 기 설치된 복수개의 비콘 태그로부터 통과 안내 비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도록 전자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킥보드는 레이저 조사기로 수십 미터 전방에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의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전방 지형지물의 윤곽 또는 돌출된 형태가 레이저광에 의해 식별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방 지형 지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야간에 안전하게 라이딩을 즐길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킥보드는 전동 킥보드는 사용자 혼자 사용하거나 커플로 결합 또는 합체되어 사용되어서, 커플 사용자가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동 킥보드는 전동 킥보드의 측면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전동 킥보드가 넘어지면서 균형을 잃기 전에 기울기 센서로 이를 감지한 후, 규형을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전동식으로 구동될 수 있는 사이드휠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액티브한 복원력 발생 장치와 같은 사이드휠에 의해 전동 킥보드의 쓰러짐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레이저 조사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의 레이저 조사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의 킥앤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휠을 설명하기 위한 전동 킥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커플링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플링 수단을 구비한 전동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동 킥보드로부터 커플링 수단인 연결 프레임 및 타이로드가 전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한 쌍의 전동 킥보드가 커플로 합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동 킥보드(10)는 보드본체(100), 조향부(110), 폴딩부(120), 라이트(130), 레이저 조사기(140), 전방휠(150), 후방휠(160), 브레이크(170), 주행모터(180), 배터리(190), 제어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드본체(100)는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보드본체(100)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구조물의 형태로 설계 변경될 수 있고, 이 경우 전동휠, 전기 자전거, 전동 바이크용 본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
보드본체(100)는 사용자가 서서 타는 보드타입의 구조물로 제작되어 있거나, 미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본체(100)의 상면에 좌석부를 더 포함하여 좌석타입의 구조물로 구성되거나, 혹은 미도시된 바와 같이 휠 측면의 발바닥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휠타입의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고, 특정 구조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조향부(110)는 보드본체(100)의 앞쪽 끝단에 결합되어 조향 기능을 담당할 수 있고 브레이크 레버 및 변속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조향핸들(111)과, 조향핸들(1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튜브(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조향부(110)는 보드본체(100)의 전측(예: 앞쪽)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본체(10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폴딩부(120)는 보드본체(100)와 조향부(110)의 헤드튜브(112) 사이에 연결되어 접히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전동 킥보드(10)의 외형적 구조를 콤팩트한 형태로 변형시켜서,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런 폴딩부(120)는 미도시된 폴딩을 록킹 또는 릴리싱 시킬 수 있는 레버 고정 방식 또는 핀삽입 방식의 잠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폴딩부(120)는 폴딩핀에 체결될 수 있는 잠금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딩부(120)의 폴딩핀을 폴딩부(120)의 회전축 중심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폴딩부(120)의 폴딩핀을 기준으로, 헤드튜브(112) 쪽의 일측 폴딩멤버와 보드본체(100) 쪽의 타측 폴딩멤버는 상호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잠금 레버를 조작할 경우, 일측 폴딩멤버와 타측 폴딩멤버가 상호 고정될 수 있는 통상적인 장치 구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라이트(130)는 야간 운행시 보드본체(100)의 전방 수미터 영역을 단순히 불빛으로 비춰주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즉, 라이트(130)는 조향부(110)의 하부에서 보드본체(100)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빛을 조사하게 된다. 라이트(130)는 LED라이트, 방향 지시등, 전방 헤드 램프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라이트(130)는 전선, 온오프 스위칭 장치 등을 더 포함하고, 배터리(190)의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레이저 조사기(140)는 조향부의 상부에서 전동 킥보드(10)의 전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이저 조사기(140)는 후술되는 제어장치(200) 또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구동되어서 전방 수십미터(예: 20미터)를 향하여 기설정된 패턴(예: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이저 조사기(14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190)의 전원으로 작동되는 빔 구동부(204)에 의해 제어되고, 패턴 형상을 만들고, 인식하고, 제동거리를 연산하고, 브레이크(170)를 제어하고, 경보를 발생하기 위한 세부 장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응용예로서 레이저 조사기(140)는 그의 세부 장치 구성으로서, 레이저 발광부(141), 공간 필터부(142), 패턴 인식부(143), 제동거리 연산부(144), 브레이크 연동부(145) 및 경보부(146)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발광부(141)는 빔 구동부(204)의 전력을 이용하는 레이저 빔 생성기와 광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공간 필터부(142)는 레이저 발광부(141)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빔을 프리즘 또는 빔 전향부재에 의해 공간적으로 필터링하여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의 레이저광을 만드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패턴 인식부(143)는 고해상도 카메라 또는 레이저광으로 돌출물(M)에 반사된 레이저광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스캔 장치로서, 상기 스캔 데이터에서 일그러진 레이저광의 부분 패턴을 광학인식 또는 파악하여 돌출물(M)의 유무를 판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동거리 연산부(144)는 센서부(210)의 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속도와 레이저광 거리(예: 20m)를 이용하여 제동 타이밍을 연산하고, 연산된 제동 타이밍에 대응하게 전동 킥보드(10)가 부드럽게 감속할 수 있는 브레이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브레이크 연동부(145)는 돌출물(M)의 유무가 판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브레이크 제어신호를 브레이크 구동부(207)에 입력하여, 브레이크(170)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경보부(146)는 스피커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속되어서, 돌출물(M) 인식에 따른 경보 기능브레이크(170)의 자동 제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렇게 기본적으로 사용자는 레이저 조사기(14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의 패턴이 야간 라이딩시 지면의 돌출물(M)이나, 지형지물의 형상에 대응하게 변형된 레이저광의 그물망 패턴을 미리 육안으로 확인하여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브레이크 레버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브레이크(170)가 작동되어서 돌출물(M) 또는 움푹 패인 곳을 지나기 전에 전동 킥보드(10)의 라이딩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방휠(150)은 조향부(110)의 하측 끝단에 설치되고, 앞서 언급한 조향핸들(111)의 하단에 구비된 쇽옵서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향핸들(111)의 조향 조작은 전방휠(150)의 조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전방휠(150) 및 후방휠(160)은 타이어, 휠프레임, 베어링 등을 통칭하여 포함하는 각각의 구성품으로 이해될 수 있다.
후방휠(160)은 일종의 주행휠로서 보드본체(100)의 후측 끝단에 설치되고 주행모터(180)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모터(180)의 구동축은 후방휠(160)의 휠프레임 및 휠회전축과 일치되어 휠 일체형 모터 장치로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주행모터(180)는 후방휠(16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설계 변경을 통해서 별도의 주행모터는 전방휠(150)에도 장착될 수 있으므로, 주행모터(180)의 장착 위치는 특정 위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브레이크(170)도 전방휠(150) 또는 후방휠(16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거나, 전방휠(150) 및 후방휠(160)에 각각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브레이크(170)는 마찰을 이용한 기계식 브레이크이거나, 혹은 전자식 브레이크일 수 있다. 여기서, 전자식 브레이크는 회생 제동(回生制動), 또는 전력 회생 브레이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토크력으로 움직이고 있는 전동기(예: 주행모터(180) 또는 전방휠(150)에 별도로 부착된 브레이크용 전동기)가 폐회로 상태가 됐을 때의 관성력을 이용해 바퀴인 전방휠(150) 또는 후방휠(160) 등에 달려 있는 회전자를 돌려 전동기를 발전기 기능으로 작동하게 함으로써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해 회수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브레이크(170)는 전방휠(150) 및 후방휠(160)을 멈추거나 휠 회전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후술되는 제어장치(200)와 연동하여 경사 구간에서 킥앤고(kick and go) 기능 또는 크루즈 기능 등을 수행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주행모터(180)는 일반적인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이거나, 구동 및 회생 제동 타입 전동기(예: 모터 및 발전기 겸용)를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복수개의 배터리셀을 병렬 접속한 것으로서, 재충전 가능한 리차저블 충전 전지팩을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190)는 주행모터(180) 및 제어장치(200)에 전기 동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0)의 전기 동력 혹은 전원은 앞서 설명한 레이저 조사기(140)를 비롯하여 본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기 및 전자적 구성의 작동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레이저 조사기의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어장치(200)는 본 실시예에서 전기적 접속이 필요한 구성에 전선으로 접속되어 있고, 보드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드본체(100)에는 제어장치(200)를 탈부착시키기 위한 커버와, 복수개의 수밀형 접속단자 또는 포트(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제어장치(200)는 주행모터(180) 또는 라이트(130)의 작동을 센서부(210)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게 제어하는 중앙제어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a에 보이듯이, 제어장치(200)는 입출력처리부(230)를 통해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된 센서부(210)를 포함한다. 입출력처리부(230)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회로 장치일 수 있고, 역으로 중앙제어기(220)의 제어신호 및 작동전원을 센서부(210) 쪽으로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보드본체(100)의 길이방향 기준 기울기와 폭방향 기준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제어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울기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210)의 설치 위치는 폴딩부(120)에 위치될 수 있거나, 폴딩부(120)에 연결된 보드본체(100) 등에 마련된 센서 설치 공간일 수 있다.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는 기본적으로 보드본체(100)의 기울기를 제어장치(200)의 중앙제어기(220)에 입력시켜서 아래와 같은 스마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장치(200)의 중앙제어기(220)는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로부터 보드본체(100)의 길이방향 경사각 측정값을 입력 받고, 사용자에게 크루즈 기능을 안내한다.
미도시된 전동 킥보드(10)에는 기능 안내를 위한 스피커, 디스플레이 패널, 터치 패널 중 어느 하나로서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된 외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크루즈 기능을 비롯하여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자 제어 작동 관련 사용자 조작 및 기능 표출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조작하여 메모리(240)에 기 설정된 크루즈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장치(200)의 중앙제어기(210)는 크루즈 기능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사용자의 속도 세팅 조작에 따라 크루즈 범위 속도치가 설정된다.
제어장치(200)의 중앙제어기(220)는 상기 안내에 따라 설정한 크루즈 범위 속도치에 대응하도록,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된 주행모터 구동부(208)를 통해서 상기 경사각 측정값에 비례하여 상기 주행모터(180)의 출력량을 가감하거나, 상기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된 브레이크 구동부(207)를 통해서 상기 브레이크(170)의 제동량을 가감하여, 주행 중 경사 구간 내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자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payload), 사용자의 예상 중량 및 전동 킥보드(10)의 설계 중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평면 또는 비경사 구간에서 주행모터(180)의 출력량이 1000rpm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상대적으로 높은 경사각(R3)에서는 경사각 측정값에 비례하여 주행모터(180)의 출력량이 1800rpm이 될 수 있고, 경사각(R2, R1)의 변경에 따라 주행모터(180)의 출력량이 각각 1600rpm, 1400rpm으로 비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중앙제어기(220)는 센서부(210)의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야간 이동 중 이동로 주변의 밝기 감지값에 대응하여 주변 밝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된 디밍 구동부(203)를 통해서 주변 밝기가 어두운 경우 상기 라이트(130)의 밝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더 밝게 제어하고, 주변 밝기가 밝은 경우 상기 라이트(130)의 밝기를 기 설정된 값만큼 어둡게 제어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트(130)를 위해 기 설정된 값은 디밍 제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200)의 제작당시 실험을 통해 설정하고 미리 메모리(240)에 기록 관리되는 정보값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온오프 조작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접속되거나, 독립적으로 조향부(110)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즉, 중앙제어기(220)는 센서부(210)의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된 빔 구동부(204)를 통해서 상기 레이저 조사기(1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레이저 조사기(140)에서는 라이트(130)의 조명빛의 조사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먼 지면을 향하여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의 레이저광이 조사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의 레이저 조사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동 킥보드(10)의 야간이동 시 레이저 조사기(140)에서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의 레이저광(L)은 전방 20m 정도에 조사될 수 있고, 전방 도로의 형태가 이물질 또는 돌출물(M)에 의해 볼록 솟거나, 움푹 패이거나 할 경우 조사되는 레이저 빛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운전자가 전방 도로 상태를 인지하면서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동 킥보드의 킥앤고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우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5를 참고하면, 센서부(210)는 전동 킥보드(10)가 경사로에서 정지된 후 사용자가 경사 방향을 향하여 출발하기 위해 킥앤고(kick and go) 기능을 수행하도록,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와 연동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10)는 전동 킥보드(10)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속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되고, 배터리(190)의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한 홀 센서 및 전원관리부(20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209)는 충전 기능, 방전 경보 기능, 전원 공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자 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관리부(209)는 충전포트(202)를 구비하여 외부 직류충전기(미도시) 또는 하기에서 설명할 연결 프레임의 접속단자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중앙제어기(220)는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와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서 상기 킥에 따른 전동 킥보드(10)의 작동 상태 혹은 경사 자세 신호를 체크한다. 이후 중앙제어기(220)는 상기 경사 자세 신호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킥 범위 속도치를 가산 또는 감산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킥 범위 속도치는 메모리(240)에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기(220)는 전동 킥보드(10)가 상기 가산 또는 감산에 따른 속도로 움직이도록 상기 주행모터 구동부(208) 및 상기 브레이크 구동부(207)를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안전 법규상 사용자에 의해 전동 킥보드(10)의 출발 시 킥을 할 때,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경사각(R1, R2, R3)별 오르막 길 또는 내리막 길을 인지하고, 기설정된 킥 범위 속도치로부터 가산 또는 감산된 속도로 출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경사각(R1, R2, R3)을 갖는 도로 또는 경사로에서 정지수 올라갈 때 원활한 구동을 구현함으로써, 용이하고 스마트한 출발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 또는 도 3a을 참조하면, 제어장치(200)는 보드본체(100)에 탈부착되는 배터리(190)의 충전량, 센서부(210), 기타 자가 진단이 요구되는 구성품의 작동상태값을 체크하여 근거리통신부(25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20)의 어플리케이션(21)에 전송하는 장치진단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부(250)는 도로 또는 전동 킥보드(10)의 주행을 위한 라이딩 경로 상에 기 설치된 복수개의 비콘 태그(30)로부터 통과 안내 비콘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스마트폰(20)의 어플리케이션(21)에 전송하도록 전자회로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마트폰(20)의 어플리케이션(21)은 전동 킥보드(10)의 근거리통신부(250)와 페어링에 의한 접속이 가능하고, 전동 킥보드(10) 자체의 분실 방지 기능, 전동 킥보드(10)의 고장 진단, 킥보드 라이더(예: 사용자)들의 경로 통과 기록 관리 및 공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분실 방지 기능은 스마트폰(20)에 기 설치된 블루투스 모듈과 전동 킥보드(10)의 근거리통신부(250)가 상기 어플리케이션(21)에 기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즉, 블루투스 모듈과 근거리통신부(250)간 송수신 신호세기 측정값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토대로 운전자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거리 범위를 벗어난 값이 검출된 경우 어플리케이션(21)에서 경보가 발생 또는 안내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스마트폰(20)의 어플리케이션(21)은 사용자와 함께 라이딩 하는 다른 사용자(예: 라이딩 모임 회원)들의 식별자를 각각 등록 받을 수 있다. 이때, 위치 안내용 비콘 태그(30)들은 이동로를 따라 기 설정된 곳마다 설치되고, 전동 킥보드(10)의 근거리통신부(250)와 상대적으로 고전력 통신을 원활하게 수행한다. 이와 연동하여 상기 근거리통신부(250)와 스마트폰(20)의 어플리케이션(21) 및 블루투스 모듈은 상호 저전력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20)의 전력 소비량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 또는 회원들이 각각 자신의 전동 킥보드(10)를 타고 주행할 경우, 통과 안내 비콘 신호(식별자 포함)와 그의 수신 시간(예: 해당 비콘 태그 통과 시간)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전동 킥보드(10)의 근거리통신부(250) 끼리 상호 전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스마트폰(20)에 해당 전동 킥보드(10)가 통과한 위치 및 시간 정보가 취합 및 공유됨으로써, 같이 라이딩하기로 등록된 운전자(사용자)들이 지나갈 때 어플리케이션(21)에서는 그 전송되는 통과 안내 비콘 신호를 토대로 누가 언제 통과했는지 안내하고, 아직 통과하지 않은 사람들을 식별한 후 다른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원활하게 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어장치(200)는 근거리통신부(250)의 작동을 위해서 전동 킥보드(10)의 대용량 배터리(190)를 사용하고, 스마트폰(20)과의 근거리 통신에 저전력 소모가 가능하다. 따라서, 근거리통신부(250)는 외부의 비콘 태그(30)와의 통신을 위해 상대적으로 전력 사용량이 여유 있는 전동 킥보드(10)의 배터리(190)를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저소모 전력 사용을 통해 스마트폰(20)과 통신함으로써, 전동 킥보드(10)의 라이딩에 따른 스마트폰(2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휠을 설명하기 위한 전동 킥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드본체(100)는 그의 정면 또는 배면 방향을 기준으로 바라보았을 때, 보드본체(100)의 양측 저면 또는 최외곽 테두리 저면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동식 사이드휠(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휠(300)의 구동 방향은 후방휠(160)의 구동 방향과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즉, 각 사이드휠(300)은 보드본체(100)의 폭방향으로 구동 또는 회전하도록, 사이드휠모터(31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사이드휠모터(310)는 사이드휠(300)의 회전축에 모터 회전축이 일치된 휠 일체형 장치일 수 있다.
이런 사이드휠모터(310)는 전선과 사이드휠모터 구동부(201) 및 입출력처리부(230)를 통해 제어장치(200)의 중앙제어기(220)에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200)의 사이드휠모터 구동부(201)는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한 폭방향 기준 기울기에 대응하여 사이드휠모터(310)로 사이드휠(30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전동 킥보드(10)가 측면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넘어지려 할 때 센서부(210)의 기울기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가 그러한 넘어짐을 감지한다. 이런 경우, 중앙제어기(220)는 상기 넘어짐에 따라 자세를 올바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제어값을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대응하게 상기 넘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사이드휠모터(310)를 작동시키고, 결과적으로 사이드휠(300)이 지면에 접촉하면서 휠 회전에 따른 마찰력의 방향이 전동 킥보드(10)의 균형 복원 방향으로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전동 킥보드(10)는 사이드휠(300)의 회전에 따라 균형을 회복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사이드휠(300)은 휠브래킷(32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때, 휠브래킷(320)은 보드본체(100)의 저면 안쪽에 설치된 댐퍼(3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휠(300)은 보드본체(100)의 저면을 기초로 설치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전동 킥보드(10)의 넘어지는 상황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전동 킥보드(10) 및 사이드휠(3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보드본체(100)는 사이드휠(300)의 전방 위치를 기준으로 보드본체의 저면에 각각 설치된 프로텍터(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텍터(340)의 하방 돌출 높이는 사이드휠(300)의 하방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웨지 형상 또는 삼각 블록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내구성이 강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 또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프로텍터(340)는 사이드휠(300)의 전방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희생물이므로, 전동 킥보드(10)의 진행 도중 지면에 기 설치된 도로 방지 턱 등과의 접촉물로부터 사이드휠(300)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프로텍터(340)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의 커플링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플링 수단을 구비한 전동 킥보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8의 전동 킥보드로부터 커플링 수단인 연결 프레임 및 타이로드가 전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한 쌍의 전동 킥보드가 커플로 합체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용예는 2대 또는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10a, 10b)를 상호 합체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커플링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전동 킥보드(10a, 10b)는 커플링 수단(400)으로서 조향부(110)의 조향핸들(111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조향핸들(111a)에서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 너클 암(450)을 포함한다.
또한, 각 전동 킥보드(10a, 10b)는 보드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도어(410, 420)을 포함한다.
각 측면도어(410, 420)는 힌지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또한 각각 손잡이 및 탄성 걸림턱(미도시)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잡아당길 때만 측면도어(410, 420)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각 전동 킥보드(10a, 10b)는 해당 측면도어(410, 420)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보드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수납공간부(411)와 보드본체(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수납공간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전동 킥보드(10a, 10b)는 제 1 수납공간부(411)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좌측의 측면도어(410)의 개방시 제 1 수납공간부(411)로부터 회전에 의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430)은 본 응용예에서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조적 강도 및 연결 길이 등을 고려하여, 연결 프레임(430)의 개수는 특정 개수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 프레임(430)은 빔, 바, 앵글 구조물 등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430)의 일측 끝단은 제 1 수납공간부(411)의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 프레임(430)의 타측 끝단은 볼트 구멍을 구비하여 연결하려는 전동 킥보드(10b)에 마련된 타측 볼트 구멍(402)에 볼트 결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프레임(430)은 일종의 전기적 커넥터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연결 프레임(430)은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10a, 10b)에 각각 탑재된 배터리를 병렬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 및 연결전선(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속단자의 위치는 타측 볼트 구멍(402)의 주변 및 연결 프레임(430)의 타측 끝단일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만 전기가 통하는 금속 재질로 되어 있거나 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접속단자를 제외한 연결 프레임(430)의 외표면은 비전도 물질로 전기적 차폐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거나, 혹은 상기 금속 재질에 통전 가능한 별도의 전선을 연결 프레임(430)의 내부에 내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전동 킥보드(10a, 10b)는 제 2 수납공간부(412)에 보관되어 있고,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10a, 10b)의 합체시 상기 제 2 수납공간부(412)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10a, 10b) 각각의 상기 너클 암(450)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되는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이로드(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로드(440)는 전동 킥보드(10a, 10b) 각각의 조향핸들(111a, 111b)들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우측의 조향핸들(111a)이 사용자에 의해 조향될 경우, 좌측의 조향핸들(111b) 쪽으로 사용자의 조향력을 전달함으로써, 2개의 조향핸들(111a, 111b)이 연동(예: 동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타이로드(440)는 그의 양단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런 타이로드(440)는 제 2 수납공간부(412)에 수납되어 있으며, 임시적으로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볼트를 풀어서 제 2 수납공간부(412)로부터 분리된 후 너클 암(450) 쪽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타이로드(440)는 각 전동 킥보드(10a, 10b)의 조향부(110)를 상호 연동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연결 프레임(430)에 의해 전동 킥보드(10a, 10b)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합체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전동 킥보드(10a, 10b)의 보드본체(100)에 각각 탑승하여 커플 라이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따르면, 레이저광의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에 의해 야간 라이딩시 전방 지형 지물의 윤곽 또는 돌출된 형태를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라이딩을 수행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간이동 중 이동로 주변의 밝기가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되어 라이트의 배터리 사용이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행 방향 경사각이 기울기 센서 및 자이로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그 측정된 값이 주행모터 구동부 및 브레이크 구동부의 제어에 반영될 수 있으므로 크루즈 기능 및 킥앤고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동식 사이드휠을 구비하여 전동 킥보드가 넘어지면서 균형을 잃기 전에 기울기 센서로 이를 감지한 후, 규형을 복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플링 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커플 사용자가 함께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a, 10b : 전동 킥보드 100 : 보드본체
110 : 조향부 120 : 폴딩부
130 : 라이트 140 : 레이저 조사기
150 : 전방휠 160 : 후방휠
170 : 브레이크 180 : 주행모터
190 : 배터리 200 : 제어장치
300 : 사이드휠 400 : 커플링 수단

Claims (6)

  1. 사용자를 탑승시키기 위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보드본체;
    상기 보드본체의 전측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본체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부;
    상기 보드본체와 상기 조향부의 헤드튜브 사이에 연결되어 접히는 폴딩부;
    상기 조향부의 상부에서 설치된 레이저 조사기;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서 상기 보드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조명빛을 조사하는 라이트;
    상기 조향부의 하측 끝단에 설치된 전방휠;
    상기 보드본체의 후측 끝단에 설치되고 주행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휠;
    상기 전방휠 및 상기 후방휠을 멈추거나 휠 회전 속도를 늦추는 브레이크;
    상기 전방휠 또는 상기 후방휠을 구동시키는 주행모터;
    상기 주행모터 또는 상기 라이트의 작동을 센서부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게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구비한 제어장치; 및
    상기 주행모터 및 제어장치에 전기 동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스위치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기가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중앙제어기에 접속된 빔 구동부를 통해서 상기 레이저 조사기를 제어하여서, 상기 레이저 조사기로부터 상기 조명빛의 조사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먼 지면을 향하여 그물망 패턴 또는 메쉬구조 패턴의 레이저광을 조사하며, 전동 킥보드는,
    상기 조향부의 조향핸들에서 전방을 향하여 설치된 너클 암;
    상기 보드본체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도어;
    상기 측면도어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상기 보드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수납공간부와 상기 보드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 2 수납공간부;
    상기 제 1 수납공간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측면도어의 개방시 제 1 수납공간부로부터 회전에 의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수납공간부에 보관되어 있고,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의 합체시 상기 제 2 수납공간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 각각의 상기 너클 암에 회전 가능하게 조인트되는 타이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전동 킥보드에 각각 탑재된 배터리를 병렬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 및 연결전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본체는,
    상기 보드본체의 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보드본체의 양측 저면에 설치되고, 사이드휠모터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사이드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드본체의 길이방향 기준 기울기와 폭방향 기준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상기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울기 센서를 구비한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한 폭방향 기준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사이드휠모터로 상기 사이드휠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사이드휠모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
  6. 삭제
KR1020190001709A 2019-01-07 2019-01-07 전동 킥보드 KR10260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09A KR102604027B1 (ko) 2019-01-07 2019-01-07 전동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709A KR102604027B1 (ko) 2019-01-07 2019-01-07 전동 킥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964A KR20200085964A (ko) 2020-07-16
KR102604027B1 true KR102604027B1 (ko) 2023-11-24

Family

ID=7183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709A KR102604027B1 (ko) 2019-01-07 2019-01-07 전동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321B1 (ko) * 2020-12-14 2021-07-01 주식회사 모빌린트 인공지능 기반의 사고 방지용 전동 킥보드 및 그의 사고 방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6968A1 (en) 2011-05-27 2014-07-17 Micro-Beam Sa Electrically assisted street scooter
WO2017217936A1 (en) * 2016-06-16 2017-12-21 Neuron Mobility Pte. Ltd. Motorised scoo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988A (ko) * 2009-06-16 2010-12-24 김중원 2륜차의 안전 주행 보조용의 보조 바퀴를 구비한 자동 모터 구동 스탠드 장치
KR20120136456A (ko) * 2011-06-09 2012-12-20 박정욱 자전거용 보조바퀴 어셈블리
KR101818125B1 (ko) 2015-04-09 2018-01-12 연암공과대학교산학협력단 압전소자를 적용한 전동킥보드
KR102435716B1 (ko) 2016-06-16 2022-08-23 이국환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KR20200065747A (ko) * 2018-11-30 2020-06-09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킥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96968A1 (en) 2011-05-27 2014-07-17 Micro-Beam Sa Electrically assisted street scooter
WO2017217936A1 (en) * 2016-06-16 2017-12-21 Neuron Mobility Pte. Ltd. Motorised sco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964A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395B1 (ko) 스마트폰과 통신이 가능한 전동 킥보드
CN208356075U (zh) 自平衡代步车
US9968841B2 (en) Self-stabilizing skateboard
KR101939093B1 (ko) 전동 킥보드
US10376772B1 (en) Suspension system for one-wheeled vehicle
RU2679518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елосипед
KR101079755B1 (ko) 핸즈프리형 전동스쿠터
KR101377986B1 (ko) 조향핸들 정위치 복원형 셀프 밸런싱 스쿠터
US10926826B2 (en) Portable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thereof
TW201412596A (zh) 電子控制懸吊系統,懸吊系統的控制方法及電腦程式
CN104512502A (zh) 用重心控制方向的无把手双轮自平衡电动车及其控制方法
CN101920728A (zh) 一种便携自动重心控制小车
CN105923082A (zh) 一种机电陀螺平衡独轮车
KR102604027B1 (ko) 전동 킥보드
CN105799838A (zh) 折叠自行包
CN107472419A (zh) 一种平衡车的重心调整方法
CN108909917A (zh) 自平衡代步车
KR20160067357A (ko) 전동장치가 부착된 주행용 보드
KR101620326B1 (ko) 장난감 차량 원격제어용 자전거 운동기구 시스템
CN107019899A (zh) 一种新型多功能可折叠电动滑板车
CN106314641A (zh) 电动滑板车
JP2014113970A (ja) 立乗り式電動車両
CN107972781A (zh) 基于无线传输两轮自平衡侦察小车及控制方法
CN212096375U (zh) 独轮机器人
CN207482092U (zh) 基于无线传输两轮自平衡侦察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