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662B1 -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662B1
KR102603662B1 KR1020230043541A KR20230043541A KR102603662B1 KR 102603662 B1 KR102603662 B1 KR 102603662B1 KR 1020230043541 A KR1020230043541 A KR 1020230043541A KR 20230043541 A KR20230043541 A KR 20230043541A KR 102603662 B1 KR102603662 B1 KR 102603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fting
drawer
refrigerator
lifting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481A (ko
Inventor
양창완
박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66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2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Drawers which can be rotated while or after sliding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랍; 상기 다수의 서랍 중 다른 서랍보다 하방에 구비되는 승강 서랍; 상기 승강 서랍의 양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서랍이 저장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승강 서랍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 서랍이 회전에 의해 승강되도록하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 Refrigerator and lift up drawer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고내 공간에는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은 야채 과일 등 분리 보관이 필요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출입 조작에 의해 서랍 내부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이 고내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서랍 내부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숙여야 하며, 인출입 조작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64412호에는 냉장고의 서랍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의 서랍 승강장치는, 고내를 차폐하는 도어와 함께 인출입 되므로 전체적인 크기가 크게 되어 조작에 많은 힘이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공간 전체가 개폐되어 냉기의 단속에 비효율적이며, 사용편의성 또한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서랍의 인출입 및 승강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등 전체적인 저장 공간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측에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승강 서랍이 인출 후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납성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 후 승강 조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서랍; 상기 다수의 서랍 중 다른 서랍보다 하방에 구비되는 승강 서랍; 상기 승강 서랍의 양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서랍이 저장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승강 서랍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승강 서랍이 회전에 의해 승강되도록하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승강 서랍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는 서포팅 멤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서포팅 멤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 후방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서포팅 멤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상기 서포팅 멤버와 상기 제 2 링크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에 따라 인장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공간의 일측 벽면과, 상기 저장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버티컬 베리어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서랍의 상승을 위한 회전시 상기 승강 서랍의 상방에 위치되는 선반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상기 승강 서랍의 인출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베리어에 의해 상방에 냉장실을 형성하고 하방에 냉동실을 형성하며, 상기 승강 서랍은 상기 냉동실의 하단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승강 서랍의 상승 조작시 상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서랍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승강 서랍의 무게 중심보다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승강 서랍이 승강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서랍의 전단이 하방으로 틸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승강 서랍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는 서랍; 상기 서랍의 양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서랍이 저장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서랍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서랍이 회전에 의해 승강되도록하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서랍의 좌우 양측면 하단에 장착되는 서포팅 멤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서포팅 멤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 후방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서포팅 멤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상기 서포팅 멤버와 상기 제 2 링크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에 따라 인장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 벽면에 고정되는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레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2 레일과; 상기 제 2 레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되며,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가 장착죄는 제 3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의 양측면 하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며, 상기 마운팅 멤버가 수용되는 마운팅 멤버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운팅 멤버 장착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운팅 멤버에는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며, 상기 안착부가 구속 결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 1 링크는 제 2 링크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링크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링크 장착부와,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와 떨어진 일측에서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 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되며, 제 2 링크의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링크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와 제 2 링크 장착부에는 상기 서랍이 가장 하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가 더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1 스토퍼 및 제 2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에는 상기 서랍이 가장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제 2 링크의 외측과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가 더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3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링크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이 고정 장착되는 탄성부재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재 고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서랍이 가장 상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가 더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 3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축보다 더 후방 및 상방으로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이 고정되는 탄성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제 2 스토퍼와 제 3 스토퍼에 접하게 될 때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제 2 스토퍼와 제 3 스토퍼 사이의 중간 지점으로 회전되었을 때 인장되어 가장 긴 길이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링크의 하단은 상기 서랍의 무게 중심보다 더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서랍이 가장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서랍의 틸팅 조작시 상기 제 2 링크의 연장선과 교차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된 후 상방의 서랍들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하면서 상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낮은 위치의 승강 서랍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식품의 수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서랍의 승강을 위한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승강 서랍을 연결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승강 서랍의 용적을 최대화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며,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선택적인 인장에 의해 상기 승강 서랍이 최상단 그리고 최하단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승강 서랍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력보다 더 큰 힘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선반의 승강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승강 서랍이 설정 높이 이상 상승한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는 나란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서랍의 상승 조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서랍의 무게 중심에 의해 상기 승강 서랍은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의 틸팅에 의해 상기 제 1 링크는 더 회전되어 상기 제 2 링크와 엇갈리는 배치를 가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선반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지 않는 상태가 되어 사용 편의성과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 서랍이 분리된 보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레일 어셈블리와 승강 어셈블리가 상기 승강 서랍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승강 어셈블리 및 승강 서랍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승강 서랍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승강 서랍이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승강 서랍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승강 서랍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상기 승강 서랍이 락된 상태를 나나탠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한쌍의 도어가 양측에 배치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구비되는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랍이 냉장고 하부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각각 냉동실(13)과 냉동실(13)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211,2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스켓(211,221)은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고내에 구비되는 수납부재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며 금속 소재로 외관이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 전체가 금속 소재의 질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 전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21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와 아이스 뱅크가 구비될 수 있고,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 또는 냉동실 도어(22)에는 별도의 보조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도어 수납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2) 및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또는 바스켓과 같은 다양한 수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인출입 될 수도 있으며, 인출입에 의해 식품을 수납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13)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버티컬 베리어(131)가 구비될 수있으며, 상기 버티컬 베리어(131)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는 다수의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은 상하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은 상기 냉동실 도어(2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22) 배면의 도어 바스켓(211,22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 서랍이 분리된 보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레일 어셈블리와 승강 어셈블리가 상기 승강 서랍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승강 어셈블리 및 승강 서랍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승강 서랍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동실(13)에는 다수의 서랍이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서랍 중 가장 하방에 구비되는 승강 서랍(30)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 서랍(30)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 서랍(30)의 상방에 배치되는 다른 서랍 또한 동일하게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30)의 양측방에는 레일 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다단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고내 양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단부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양측방에서 상기 승강 서랍(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슬라이딩 인출입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 서랍(30)이 고내 또는 고외 공간으로 인출입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기 캐비닛(10) 외측의 공간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서랍(30)이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될 때 상방에 배치되는 다른 서랍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레일 케이스(4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케이스(41)는 고내측 벽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레일 케이스(41)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일측을 감싸 고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케이스(41)의 내측면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장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 어셈블리(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 고정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다단으로 인출입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승강 서랍(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3단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레일 케이스(41)에 고정되는 제 1 레일(42)과, 상기 제 1 레일(42)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레일(43), 그리고 상기 제 2 레일(43)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50)가 장착되는 제 3 레일(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일(42)과 제 2 레일(43) 및 제 3 레일(44)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2 레일(43)과 제 3 레일(44)은 연장 방향으로 원활하게 인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구조는 3단이 아닌 2단 또는 4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 서랍(30)의 인출입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의 레일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에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을 위한 승강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5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와 상기 승강 서랍(30)을 연결하여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슬라이딩에 따라 인출입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승강 어셈블리(50)는 상기 승강 서랍(3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어셈블리(5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와의 결합을 위한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상기 서포팅 멤버(55)를 연결하는 제 1 링크(52), 상기 제 1 링크(52)와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상기 서포팅 멤버(55)를 연결하는 제 2 링크(53), 상기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3)의 회전시 회전을 제한 및 강제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4), 그리고 상기 승강 서랍(3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서포팅 멤버(5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50)의 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승강 서랍(30)은 상면이 개구되어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1)와 상기 승강 서랍(3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는 상기 서랍 본체(31)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 서랍(3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2)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인출입 및 승강 조작을 위한 손잡이(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321)는 상기 전면부(32)의 상단에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을 넣어 쥘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30)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서포팅 멤버(55)에 의해 양측면 하단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서랍(30)의 하부에는 서포팅 멤버 장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양측면 하단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1)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서랍(30)의 측면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차진 승강 서랍의 측면 하단에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에는 상기 서포팅 멤버(55)와 결합되기 위한 안착부(33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31)는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포팅 멤버(55)에 의해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을 위한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3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서포팅 멤버(55)의 전방 수직 구속부(553)가 삽입되는 전방 수직 함몰부(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수직 함몰부(332)는 상기 전반부 구속리브(552a)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31)의 전방에는 전방 고정돌기(333)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고정돌기(333)는 상기 안착부(331)의 전단과 다소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331)의 전단과 상기 전방 고정돌기(333) 사이에는 전방 삽입부(334)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 삽입부(334)에 상기 서포팅 멤버(55)의 전방 구속부(55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31)의 후반부에는 상기 전방 수직 함몰부(332)보다 더 함몰되는 후방 수직 함몰부(33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수직 함몰부(335)는 상기 서포팅 멤버(55)의 후반부 구속리브(552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331)의 후단에는 후방 고정돌기(3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고정돌기(336)는 상기 안착부(33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의 후방 구속부(55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은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에 장착되는 서포팅 멤버(55)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5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승강 서랍(30)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어셈블리(50)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제 1 링크(52), 제 2 링크(53), 탄성부재(54), 서포팅 멤버(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는 금속 또는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에 장착되는 레일 고정부(511)와,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장착되는 제 1 링크 장착부(512)와 제 2 링크 장착부(5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고정부(511)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고정부(511)는 상기 제 3 레일(44)의 상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에 절곡부(5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511a)는 상기 레일 고정부(511)의 양단에서 연속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511a)는 상기 제 3 레일(44)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511a)는 상기 제 3 레일(44)과 면접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절곡부(511a) 사이의 상기 레일 고정부(511)는 상기 제 3 레일(44)의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511a)는 상기 제 3 레일(44)과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거나 상기 제 3 레일(44)과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 고정부(511)의 전단에는 제 1 링크 장착부(512)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512)에는 상기 제 1 링크(52)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 1 회전홀(51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52)는 상단이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5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512)의 후단에는 제 1 스토퍼(51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토퍼(512b)는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512)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서랍(30)이 가장 하방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링크(52)와 접하여 상기 제 1 링크(5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1 링크(52)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 1 링크(52)의 외측단이 상기 제 1 스토퍼(512b)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링크(52)가 더 회전되지 않고 상기 승강 서랍(30)이 최하방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512) 후방의 상기 레일 고정부(511)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링크 장착부(513)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에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 2 회전홀(513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링크(53)는 상단이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의 하단에는 제 2 스토퍼(5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토퍼(513b)는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서랍(30)이 가장 하방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53)와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5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 2 링크(53)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 2 링크(53)의 외측단이 상기 제 2 스토퍼(513b)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링크(53)가 더 회전되지 않고 상기 승강 서랍(30)이 최하방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이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상태 즉,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각각 제 1 스토퍼(512b)와 제 2 스토퍼(513b)와 지지되어 상기 승강 서랍(30)의 위치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의 전단에는 제 3 스토퍼(513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스토퍼(513c)는 상기 제 2 스토퍼(513b)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서랍(30)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제 2 링크(53)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53)가 더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스토퍼(513c)는 상기 제 2 회전홀(513a)의 높이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53)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여 상기 승강 서랍(30)이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더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에는 탄성부재 장착부(51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513d)는 상기 제 2 회전홀(513a)의 후측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4)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513d)는 상기 제 2 회전홀(513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링크(53)가 상기 제 2 스토퍼(513b)에서 제 3 스토퍼(513c)까지 회전되는 중간지점의 연장선상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513d)에는 고정부재(54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41)에는 상기 탄성부재(54)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541)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513d)에 삽입되어 고정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513d)는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상에 다수개의 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541)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513d)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54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 장착부(513)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에 따른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시 인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 및 하강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도록 제한하며, 상기 승강 서랍(30)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하여 상기 승강 서랍(30)의 용이한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용수철 스프링 즉 인장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4)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4)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54)의 상단은 상기 고정부재(541)에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4) 하단은 상기 제 2 링크(53)에 형성되는 탄성부재 고정부(531)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제 2 링크(53)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시 상기 제 2 링크(53)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4)의 회전축이 되는 상단은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축이 되는 제 2 회전홀(513a)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인장 또는 복원되면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상기 제 1 링크 장착부(512)와 제 2 링크 장착부(51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1 링크 장착부(512)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1 링크 장착부(512)를 이격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회전부재(56)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56)는 상기 제 1 링크(52)의 회전축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56)는 오일이 함침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5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회전부재(56)는 회전 결합되는 상기 제 1 링크(52)의 상단과 하단 그리고 제 2 링크(53)의 상단과 하단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폭에 비해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각각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와 상기 서포팅 멤버(55)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부품을 공용화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링크(53)의 일측에는 상기 탄성부재(54)의 하단이 고정되는 탄성부재 고정부(531)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고정부(531)는 상기 제 2 링크(53)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54)의 단부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탄성부재(54)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상기 고정부재(541)와 탄성부재 고정부(531)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서랍(30)이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탄성부재(54)가 인장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부(531)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절곡되는 제 4 스토퍼(53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 스토퍼(532)는 상기 승강 서랍(30)이 가장 높은 위치에 상승되었을 때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53)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링크(53)는 상기 제 3 스토퍼(513c)와 동시에 접촉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승강 서랍(30)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링크(52)는 상기 제 2 링크(53)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 1 링크에도 상기 탄성부재 고정부(531)와 상기 제 4 스토퍼(53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성들이 형성되지만, 이들 구성은 부품 공용화를 위해 형성될 뿐 다른 작용을 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하단이 상기 서포팅 멤버(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포팅 멤버(55)가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팅 멤버(55)는 고내 벽면과 마주보며 상기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3)가 장착되는 서포팅 바디(551)와 상기 서포팅 바디(551)의 측면에서 상기 승강 서랍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5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바디(551)는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에 수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팅 바디(551)의 전단과 상단 일부에는 테두리부(551a)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 서랍(30)과 고내 벽면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551a)에 의해 상기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3)의 장착 구조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게 되어 외관의 개선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서포팅 바디(551)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링크(52)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링크 결합부(55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52) 결합부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 1 링크(52) 하단과 상기 회전부재(56)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 결합부(551b)에는 상기 제 1 링크(52)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팅 바디(551)의 후반부 하단에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링크 결합부(5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 결합부(551c)는 함몰 형성되어 상기 제 2 링크(53) 하단과 상기 회전부재(56)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 결합부(551c)에는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그 길이가 같지만,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 및 상기 서포팅 멤버(55)에 장착되는 높이는 다소 다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링크(52)는 제 2 링크(53)보다 다소 상측 즉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시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바디(551)의 내측면에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부(5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5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포팅 바디(551)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52)는 상기 서포팅 멤버(55)가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에 장착될 때 상기 안착부(331)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331)가 안착될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52)의 돌출된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반부 구속리브(552a)와 후반부 구속리브(552b)가 구비된다. 상기 전반부 구속리브(552a)와 후반부 구속리브(552b)는 상기 지지부(552)의 전반부와 후반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331)의 하단에 개구된 전방 수직 함몰부(332)와 후방 수직 함몰부(335)에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서포팅 멤버(55)가 상기 승강 서랍(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전반부 구속리브(552a)와 대응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551)에는 수직 구속부(5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구속부(553)는 상기 안착부(331)의 전방 수직 함몰부(332)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팅 멤버(55)의 상하방향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전반부 구속리브(552a)의 전방에는 전방 구속부(5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구속부(554)는 상기 서포팅 바디(551) 및 안착부(331)에 모두 접하는 리브 형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전방 고정돌기(333)와 안착부(331)의 사이의 전방 삽입부(334)에 삽입되어 상기 서포팅 멤버(55)의 전후방향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후반부 구속리브(552b)의 후방 즉, 상기 지지부(552)의 후단에는 후방 구속부(5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구속부(555)는 상기 지지부(552)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전방으로 연장되되 경사 또는 라운드 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고정돌기(336)가 압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서포팅 멤버(55)와 상기 서포팅 멤버 장착부(33)의 내부 구조에 의해 상기 서포팅 멤버(55)는 상하, 전후, 좌후 모든 방향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 조작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이 승강될 때 상기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3)는 회전되며, 이에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54)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 조작되지 않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각각 제 1 스토퍼(512b)와 제 2 스토퍼(513b)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4)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 또는 최소 인장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부재(54)의 길이(D1)는 가장 짧은 길이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 조작되어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53)는 제 3 스토퍼(513c)에 의해 지지되며, 제 2 링크(53)에 형성되는 제 4 스토퍼(532)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51)에 접하여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상기 탄성부재(54)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 또는 최소 인장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부재(54)의 길이(D2)는 가장 짧은 길이(D1)와 같거나 비슷하게 된다.
한편, 도 9(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 또는 하강이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54)는 인장되며, 탄성 복원력이 발생된다.
특히,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도 9(a) 상태와 도 9(b)상태의 중간 지점에 위치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4)의 길이(D3)는 가장 긴 길이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54)는 최대 길이로 인장되며 탄성 복원력 또한 가장 크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탄성부재(54)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 2 링크(53)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거나 제한하여 상기 승강 서랍(30)의 승강 조작 또는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 서랍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승강 서랍이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승강 서랍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승강 서랍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승강 서랍이 락된 상태를 나나탠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은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 상하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인출인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특히, 상기 서랍들 중 가장 하방에 위치된 승강 서랍(30)은 레일 어셈블리(40)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입이 가능하며, 동시에 상기 승강 어셈블리(50)에 의해 승강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은 고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30)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 또한 완전히 인입된 상태로 가장 짧은 길이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탄성부재(54)는 최소 길이로 인장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손잡이(321)를 잡고 상기 승강 서랍(30)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승강 서랍을 인출하게 된다. 상기 승강 서랍(30)의 인출에 따라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연장된다. 이때, 상기 레일 어셈블리(40)는 상기 제 2 레일(43)과 제 3 레일(44)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승강 서랍(30)이 승강시 상방에 위치된 다른 서랍들에 간섭되지 않는 거리만큼 고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30)이 완전히 인출된 후에도 사용자의 승강 조작 전까지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50)는 작용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도 10 및 도 9(a)에서와 같이 회전되지 않고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부재(54)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 서랍(30)이 승강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재(54)가 인장되면서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를 회전시켜야 하며, 상기 승강 서랍(30)의 슬라이딩 인출입 조작시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탄성부재(54)의 인장을 위한 힘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상기 승강 서랍(30)의 의도하지 않은 승강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 서랍(30)이 인출되어 상기 레일 어셈블리(40)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서랍(30)은 더이상 인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손잡이(321)를 전방으로 당기면서 상기 승강 서랍(3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 서랍(30)이 더이상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완전히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서랍(30)을 당기게 되면,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에는 모멘트가 발생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최초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설정각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탄성부재(54)를 인장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서랍을 들어올릴 때에 상기 탄성부재(54)의 인장력 보다 큰힘을 가해 주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도 9(c)에서와 같이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며 상기 탄성부재(54)는 최대 인장되며, 이때까지 사용자는 상기 승강 서랍(30)을 들어올리면서 힘을 가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 서랍(30)을 들어올려 상기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3)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4)는 탄성 복원되며, 이때의 복원력에 의해 사용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상기 탄성부재(54)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회전 완료되면, 상기 제 3 스토퍼(513c)는 상기 제 2 링크(53)와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53)가 더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제 4 스토퍼(532)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40)와 접하여 상기 제 2 링크(53)가 더 회전하는 것을 2중으로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서랍(30)은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도 12 및 도 9(b)에서와 같이 상승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서랍(30)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되며, 또한 전방으로도 인출된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강 서랍(30)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무게 중심이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기 제 2 링크(53)의 상단을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 서랍(30)이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링크(53)의 상단은 상기 승강 서랍(30)의 후반부 하단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 서랍(30)의 전단부를 하방으로 내리는 조작을 하거나 승강 서랍(30) 및 승강 서랍(30)에 수납된 식품의 무게에 의해, 상기 승강 서랍(30)은 상기 제 2 링크(53)의 상단을 축으로 하여 상기 승강 서랍(30)은 시계방향으로 틸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30)의 틸팅에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52)의 전단 또한 상기 승강 서랍(3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52)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링크(53)와 평행 상태가 아닌 엇갈린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링크(52)의 연장선(L1)과 제 2 링크(53)의 연장선(L2)은 서로 교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서랍(3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힘의 방향이 다르게 되어 함께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서랍(30)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승강 서랍(3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승강 서랍(30)에 식품을 수납한 후 다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 서랍(30)의 전반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틸팅시켜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가 수평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서랍(30)에 상기 탄성부재(54)의 탄성력보다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될 경우 상기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3)는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자연스럽게 상기 승강 서랍(30)이 하강 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랍(30)의 하강 및 인입은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반복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22)

  1. 저장공간의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으로 인입/인출되며, 인출했을 때 상방으로 승강가능한 승강서랍;
    상기 승강 서랍의 양측방에 구비 되며, 상기 승강 서랍이 저장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되도록 하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와 상기 승강 서랍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승강 서랍이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하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승강 서랍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마운팅 플레이트;
    상기 승강 서랍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 서랍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서포팅 멤버;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방과 상기 서포팅 멤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의 제 1 링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후방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이격되어 상기 제 1 링크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서포팅 멤버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의 제 2 링크;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링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 2 링크가 회전에 의해 연장될 때,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방향으로 탄성력이 적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멤버에 연결되는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은,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서포팅 멤버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보다 낮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전단에서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장착부와,
    상기 제 1 링크장착부 후방의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는 제 1 링크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장착부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링크장착부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2 링크장착부는 상기 제 1 링크장착부보다 하방으로 더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장착부는,
    상기 제 1 링크의 일단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 1 회전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회전홀 후방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 1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링크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 1 링크의 외측단이 상기 제 1 스토퍼와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장착부는,
    상기 제 2 링크 일단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회전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회전홀 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링크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 2 링크의 일단부가 상기 제 2 스토퍼와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장착부는,
    상기 제 2 링크장착부의 전단에서 상기 제 2 스토퍼와 동일 방향으로 돌촐되어,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부가 접하여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 3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토퍼는, 상기 제 2 회전홀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장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탄성부재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장착부는, 상기 제 2 링크가 회전되는 구간 내의 상기 제 2 회전홀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장착부는,
    상기 제 2 스토퍼와 상기 제 3 스토퍼 사이의 상기 제 2 회전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탄성부재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장착부는,
    상기 제 2 회전홀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탄성부재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장착부는 상기 제 2 회전홀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 양단에는 일부분이 절곡되어 상기 레일어셈블리에 면접촉 고정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 사이의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는 동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멤버는,
    상기 서포팅 멤버의 상단에 상기 제 1 링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결합부와,
    상기 서포팅 멤버의 후단 하부에 상기 제 2 링크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승강서랍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낮은 위치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 길이는 가장 짧은 상태가 되고,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낮은 위치와 가장 높은 위치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길이가 가장 길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4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레일 어셈블리의 하단에 상기 제 4 스토퍼가 접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서랍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서포팅멤버장착부를 형성하고;
    상시 서포팅 멤버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2 링크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서포팅 바디와,
    상기 서포팅 바디 측면에서 상기 승강서랍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포팅멤버장착부의 단차 아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승강서랍이 가장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서랍의 틸팅 조작시 상기 제 2 링크의 연장선과 교차되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30043541A 2016-06-10 2023-04-0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KR102603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541A KR102603662B1 (ko) 2016-06-10 2023-04-0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784A KR102519038B1 (ko) 2016-06-10 2016-06-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KR1020230043541A KR102603662B1 (ko) 2016-06-10 2023-04-0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84A Division KR102519038B1 (ko) 2016-06-10 2016-06-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481A KR20230062481A (ko) 2023-05-09
KR102603662B1 true KR102603662B1 (ko) 2023-11-17

Family

ID=605780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84A KR102519038B1 (ko) 2016-06-10 2016-06-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KR1020230043541A KR102603662B1 (ko) 2016-06-10 2023-04-03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784A KR102519038B1 (ko) 2016-06-10 2016-06-10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90401B2 (ko)
KR (2) KR102519038B1 (ko)
WO (1) WO2017213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192B1 (ko) * 2017-11-22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9069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6889B1 (ko) 2018-08-3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42609B1 (ko) * 2018-08-30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6480B1 (ko) 2018-10-19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98957B1 (ko) * 2018-12-10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CN111657690B (zh) * 2019-03-06 2021-10-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升降抽屉
CN112146337B (zh) * 2019-06-27 2021-09-2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抽屉及冰箱
CN112146336B (zh) * 2019-06-27 2022-05-2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抽屉及冰箱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9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4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33304A (ko) * 2019-09-18 2021-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어셈블리
US11578909B2 (en) 2020-05-26 2023-02-14 Whirlpool Corporation Shelf assembly for an appliance
KR20210157695A (ko) 2020-06-22 202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585595B2 (en) 2020-07-14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RU200593U1 (ru) * 2020-07-31 2020-10-30 Игорь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тов Механизм перемещения шторок
RU203314U1 (ru) * 2020-11-11 2021-03-31 Игорь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отов Шкаф с поворотными шторками и толкателями для пачек
US11796245B2 (en) * 2021-12-13 2023-10-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wing-up storage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8215A1 (en) 2006-07-20 2008-01-24 Maytag Corp.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6564A (en) * 1945-10-03 1949-11-01 Cribben And Sexton Company Stove construction
US2819141A (en) * 1954-05-21 1958-01-07 American Radiator & Standard Cutting board drawer construction
US2953287A (en) * 1958-02-11 1960-09-20 Schofield Mfg Company Retractable package carrier for automobile trunks
US3524692A (en) * 1968-04-30 1970-08-18 Alton C Preston Waste basket holder
KR100555826B1 (ko) * 2003-10-04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690645B1 (ko) *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65249B1 (ko) * 2004-07-1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0664052B1 (ko) * 2004-08-26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31113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64412B1 (ko) * 2004-11-19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서랍 승강장치
KR101035169B1 (ko) * 2004-12-03 2011-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이중서랍
KR20060101038A (ko) 2005-03-18 200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 경사 인출이 가능한 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101554852B1 (ko) * 2008-03-06 2015-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291208B1 (ko) * 2008-06-12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80447B1 (ko) *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080874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어셈블리
US8936332B2 (en) * 2011-10-04 2015-01-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827390B2 (en) * 2012-07-19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feature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container
KR101962138B1 (ko) * 2012-11-05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733862B1 (en) * 2013-02-25 2014-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shelf support assembly for an appliance
US9022496B2 (en) * 2013-03-20 2015-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Vertically adjustable shelf support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1618128B1 (ko) * 2014-04-16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22231B1 (ko) 2014-04-18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47380B1 (ko) * 2014-11-24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40307B1 (ko) * 2018-03-26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8215A1 (en) 2006-07-20 2008-01-24 Maytag Corp.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0401B2 (en) 2020-06-23
KR20170140010A (ko) 2017-12-20
WO2017213471A1 (ko) 2017-12-14
US20190162466A1 (en) 2019-05-30
KR102519038B1 (ko) 2023-04-05
KR20230062481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366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US9464841B2 (en) Refrigerator
US8733867B2 (en) Draw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040607B1 (ko) 냉장고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US10767920B1 (en) Refrigerator
US20080168794A1 (en) Refrigerator
KR102440262B1 (ko) 냉장고
JP3895136B2 (ja) 冷蔵庫の引出し容器
EP2594878A2 (en) Refrigerator
EP2725314A2 (en) Refrigerator
KR102043201B1 (ko) 냉장고
KR101035169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CN111765710B (zh) 冰箱
KR102456241B1 (ko) 냉장고
KR102091246B1 (ko) 냉장고
KR20060032686A (ko) 냉장고 인출식 선반
KR20220077577A (ko) 냉장고
KR20140119970A (ko) 냉장고
KR100624674B1 (ko) 냉장고
JP3946674B2 (ja) 冷蔵庫
KR100621107B1 (ko) 냉장고
CN113091387A (zh) 制冷器具
KR20210081635A (ko) 냉장고
JP2006162229A (ja) 棚装置、および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