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69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695A
KR20210157695A KR1020200075811A KR20200075811A KR20210157695A KR 20210157695 A KR20210157695 A KR 20210157695A KR 1020200075811 A KR1020200075811 A KR 1020200075811A KR 20200075811 A KR20200075811 A KR 20200075811A KR 20210157695 A KR20210157695 A KR 20210157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ide rail
refrigerator
dra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695A/ko
Publication of KR20210157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91Drawer movement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와,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서랍식 도어에는 유동방지부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면서 상기 서랍식 도어의 동작시 좌우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된다. 즉, 서랍식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각 레일간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서랍식 도어가 동작될 때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서랍식 도어의 좌우 유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서랍의 인출 혹은, 인입시 편심힘이 제공되더라도 서랍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보관 대상물을 장시간 혹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보관 대상물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혹은, 복수의 저장실이 제공되며, 상기 저장실은 도어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는 개폐를 위한 조작 방식에 따라 회전형 도어 및 서랍형 도어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형 도어의 경우 냉장고 본체의 내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해당 서랍식 도어에 구비되는 수납박스 내에 음식물(혹은, 음료)을 보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랍형 도어는 레일을 이용하여 냉장고 본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서랍형 도어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 서랍형 도어에 제공되는 레일의 경우 다단으로 접히거나 혹은, 인출되도록 구성된 구조의 레일이 제공되면서 서랍형 도어가 최대한 긴 거리만큼 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04-0082703호, 공개특허 제10-2017-0140010호, 공개특허 제10-2010-0079891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단 인출식 레일의 경우 서랍형 도어의 최대 인출시 각 레일과 레일 간의 연결 부위가 서랍식 도어의 무게로 인한 처짐 등으로 유동이 심하게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물론, 종래의 다단 인출식 레일은 서랍식 도어의 무게를 고려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흔들림에 대하여는 최대한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서랍식 도어의 좌우 흔들림에 대하여는 거의 고려되지 않음에 따라 서랍식 도어의 동작시 좌우 흔들림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와인이나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종류에 따라 최적 환경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기능화된 와인 냉장고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가 제공된다.
이러한 와인 냉장고의 경우 싱크대 등에 빌트인되는 소형 냉장고로 주로 만들어지고 있으며, 도어는 서랍식 도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소형의 냉장고에 적용되는 서랍식 도어는 전면부의 양 측에 다단 레일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양 측의 두 다단 레일의 상면에 수납박스의 양 측 상단이 각각 얹히도록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언더레일 형태의 다단레일은 다단으로 인출되는 레일을 지지하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좌우 흔들림이 더욱 취약하다.
즉, 서랍식 도어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다단으로 인출된 각 레일 사이의 지지가 매우 취약해짐에 따라 해당 부위에 대한 좌우 유동이 더욱 크게 발생되었던 것이다.
특히, 종래의 기술들은 서랍식 도어를 닫을 때 전면의 중앙측 부위가 아닌 어느 한 측편이나 모서리측을 밀게 될 경우에는 서랍식 도어의 좌우 흔들림이 심하게 발생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악화되었던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4-0082703호 공개특허 제10-2017-0140010호 공개특허 제10-2010-007989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방지부재의 제공을 통해 서랍식 도어의 인출 혹은, 인입 동작시 좌우 흔들림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동방지부재가 레일에 접촉되더라도 그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여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동방지부재의 조립을 위한 작업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랍식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해당 서랍식 도어의 전면 중 어느 한 측편이나 모서리 부위에 조작력이 제공되더라도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의 슬라이딩 인출을 위해 제공되는 둘 이상의 레일 사이에 유동방지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서랍식 도어의 좌우 유동 발생되더라도 상기 유동방지부재가 이동측레일에 접촉되면서 유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가 이동측레일과 커넥터레일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커넥터레일의 이동시 이동측레일과 커넥터레일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커넥터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단 및 이동측레일에 접촉되는 접촉단이 포함되어 유동방지부재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서랍식 도어의 좌우 흔들림시 상기 접촉단이 이동측레일에 접촉되면서 서랍식 도어의 좌우 유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의 접촉단이 이동측레일에 점접촉 또는, 선접촉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접촉단이 이동측레일 간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의 접촉단이 라운드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접촉단이 이동측레일에 접촉된 상태로 동작되더라도 동작성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의 이동측레일을 향하는 면이 반복적으로 요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접촉단이 이동측레일 간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이동측레일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유동방지부재는 일부가 함몰부 내로 요입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유동방지부재가 서랍식 도어의 좌우 유동뿐 아니라 상하 유동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를 이루는 접촉단의 끝단면과 함몰부 내면과의 사이 거리가 접촉단의 상면이나 하면과 함몰부 내의 상면이나 하면과의 사이 거리에 비해 더욱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서랍식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한 영향은 최소화하면서도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의 하측 끝단에 돌출단이 돌출 형성되면서 커넥터레일의 저면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유동방지부재를 커넥터레일에 나사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고정단의 상측 끝단은 커넥터레일의 내측 벽면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유동방지부재를 커넥터레일에 나사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의 고정측레일과 이동측레일 간의 좌우 방향측 이격 거리에 비해 유동방지부재와 이동측레일 간의 좌우 방향측 이격 거리가 더욱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서랍식 도어의 최대 인출 상태에서 동작될 때 좌우 유동이 최대한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유동방지부재가 이동측레일의 전방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서랍식 도어가 최대한 인출되더라도 서랍식 도어의 좌우 유동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고정측레일의 외면에 레일측 체결브라켓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측레일이 냉장고 본체에 견고히 결합된다.
특히,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켓은 냉장고본체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커넥터레일의 전방측 끝단에 패널측 체결브라켓이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커넥터레일이 도어패널부의 배면에 견고히 결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를 이루는 레일 어셈블리가 언더레일 형태의 다단레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유동방지부재로 인해 좌우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서랍식 도어가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이동측레일과 커넥터레일 간의 사이가 유동방지부재로 지지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의 좌우 흔들림으로 인한 소비자 불만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해당 서랍식 도어를 닫을 때 전면의 중앙측 부위가 아닌 어느 한 측편이나 모서리측을 밀더라도 유동방지부재가 이동측레일에 접촉되면서 서랍식 도어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이동측레일에 함몰부가 형성되고,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함몰부 내에 그 일부가 요입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레일 어셈블리의 좌우 두께가 증가되지 않고도 유동 방지를 위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레일 어셈블리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수납박스의 저장 공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지만, 전술된 레일 어셈블리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유동방지부재가 제공되면서도 수납박스의 저장 공간을 줄이지 않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상측 서랍식 도어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측 서랍식 도어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전방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레일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박스가 도어패널부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방측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후방측 사시도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배면도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평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20는 도 19의 “A”부 확대도
도 21 및 도 2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를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각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유동방지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각 방향별 상태도이다.
이때, 첨부된 도 1은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는 단면도이며, 도 5는 상측 서랍식 도어가 열린 상태를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은 하측 서랍식 도어가 열린 상태를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와, 서랍식 도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서랍식 도어(2)에는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7의 유동방지부재(4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면서 상기 서랍식 도어(2)의 동작시 좌우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서랍식 도어(2)가 인출된 상태에서 각 레일(210,220,230)간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서랍식 도어(2)가 동작될 때 부드러운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서랍식 도어(2)의 좌우 유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한 유동방지부재(400)는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각 구성별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싱크대에 빌트인되는 소형의 냉장고(예컨대, 와인 냉장고)임을 그 예로 한다.
먼저, 상기 냉장고 본체(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냉장고 본체(1)는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상기 냉장고 본체(1)는 전면이 개방된 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장고 본체(1)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제공되며, 후술될 수납박스(300)는 상기 수납 공간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1) 내의 저부측 공간에는 냉동사이클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장고 본체(1) 내의 하측 공간에 압축기(1b) 및 응축기(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냉장고 본체(1) 내의 후방측 공간에는 증발기(1d)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d)는 하나로만 제공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상기 증발기(1d)의 전방에는 냉기 유동의 안내를 위한 그릴팬 어셈블리(1a)가 위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서랍식 도어(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랍식 도어(2)는 상기 냉장고 본체(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이다.
상기 서랍식 도어(2)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서랍식 도어(2)는 냉장고 본체(1) 내의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각 서랍식 도어(2)는 상기 냉장고 본체(1)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각 서랍식 도어(2)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서랍식 도어(2)에는 각종 동작 제어를 위한 조작패널(2a)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400)가 구비되는 서랍식 도어(2)는 각 서랍식 도어 중 하측에 위치되는 서랍식 도어(2)를 그 예로 한다.
즉, 하측의 서랍식 도어(2)는 상측의 서랍식 도어(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만큼 많은 양을 보관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울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400)가 더욱 필요시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측의 서랍식 도어(2)를 이루는 레일어셈블리(200)에도 상기 유동방지부재(40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랍식 도어(2)는 도어패널부(100)와 레일 어셈블리(200)와 수납박스(300) 및 유동방지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도어패널부(100)는 서랍식 도어(2)의 전면을 형성하면서 냉장고 본체(1)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도어패널부(100)는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혹은, 하단)에는 손잡이홈(110)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도어패널부(100)는 전면으로 돌출된 손잡이가 추가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상기 도어패널부(100)가 냉장고 본체(1)로부터 인출 혹은, 인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
즉, 상기 도어패널부(100)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의 도움을 받아 상기 냉장고 본체(1)로부터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는 둘 이상 복수의 레일(210,220,230)이 중첩되게 설치된 다중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중 레일로 이루어진 레일 어셈블리(200)에 의해 도어패널부(100)가 냉장고 본체(1)의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수납박스(300)의 전후 크기(용량)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일 어셈블리(200)가 고정측레일(210)과 이동측레일(220) 및 커넥터레일(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고정측레일(210)은 상기 냉장고 본체(1) 내의 양 측 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고정측레일(210)은 후술될 이동측레일(220)의 하측 끝단을 하부에서 감싸도록 양 측 부위가 상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양 측이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하단 양 측 벽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상향 절곡된 양 측 부위의 끝단은 이동측레일(220)의 양 측 벽면을 향해 추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추가 절곡 구조로 인해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하측 끝단이 상기 고정측레일(210) 내로부터 상방으로 원치않게 이탈됨이 방지된다.
상기 고정측레일(210)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의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나사 체결되는 레일측 체결브라켓(211)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켓(211)은 고정측레일(210)의 외벽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일측 체결브라켓(211)이 고정측레일(210)에 비해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랍식 도어(2)의 인출시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켕(211)이 냉장고 본체(1) 내에 노출됨이 방지 또는,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켓(211)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복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켓(211)이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됨을 그 예로 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켓(211)은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전 부위를 따라 하향 돌출되면서 냉장고 본체(1)의 내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이동측레일(220)은 상기 고정측레일(210)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는 레일이다.
이러한 이동측레일(220)의 상측 끝단 및 하측 끝단에는 라운드단(221,222)이 각각 형성(첨부된 도 8 및 도 10 참조)된다.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하측 끝단에 형성되는 라운드단(222)은 상기 고정측레일(210) 내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측레일(210)은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하측 라운드단(222)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라운드단(221,222)은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양 끝단간 이격 거리에 비해 더욱 큰 폭을 갖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이동측레일(220)은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상부로 이탈됨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이동측레일(220)은 커넥터레일(230)에 의해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커넥터레일(230)이 상기 고정측레일(210)로부터 완전히 인출된 후 상기 커넥터레일(230)에 의한 추가적인 전진 이동력에 의해 상기 이동측레일(220)이 상기 고정측레일(210)로부터 인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레일(230)과 이동측레일(220)의 연동을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0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측레일(220)의 어느 한 측 벽면의 후방측 끝단 부위에는 돌출턱(224)이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커넥터레일(230)에는 상기 돌출턱(224)에 부딪히는 연동돌기(2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턱(224)은 상기 이동측레일(220)과는 별개로 제공된 후 상기 이동측레일(2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돌출턱(224)이 상기 이동측레일(220)로부터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술될 커넥터레일(230) 내의 가이드부재(235)에 상기 이동측레일(220)과의 연동 구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측레일(220)에는 함몰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23)는 냉장고 본체(1) 내의 벽면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된 부위로써 이동측레일(220)이 뒤틀리거나 휘는 등의 변형을 방지할 뿐 아니라 후술될 유동방지부재(400)가 설치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커넥터레일(230)은 도어패널부(100)에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측레일(210) 혹은, 이동측레일(220)의 안내를 받아 이동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커넥터레일(230)은 상기 도어패널부(100)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면서 상단은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측면은 고정측레일(210)과 이동측레일(220)의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전방측 끝단에는 패널측 체결브라켓(231)이 절곡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내지 도 9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패널측 체결브라켓(231)은 도어패널부(100)의 배면에 접촉되면서 나사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어느 한 부위는 서랍식 도어(2)의 인출시 상기 이동측레일(220)에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서랍식 도어(2)의 인출시 커넥터레일(230)과 이동측레일(220)이 함께(혹은, 순차적으로)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재(2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35)는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안내를 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35)는 상기 커넥터레일(230)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상측 라운드단(221)을 감싸도록 양 측 부위가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235)의 양 측이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상단 양 측 벽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재(235)의 하향 절곡된 양 측 부위의 끝단은 이동측레일(220)의 양 측 벽면을 향해 추가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추가 절곡 구조로 인해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상측 라운드단(221)이 상기 가이드부재(235) 내로부터 하방으로 원치않게 이탈됨이 방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도 10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함께,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235)의 전방측 끝단에는 받침돌기(236)가 하향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받침돌기(236)는 커넥터레일(230)의 후퇴 이동(서랍식 도어의 인입 동작)시 이동측레일(220)의 전방측 끝단에 부딪혀 상기 이동측레일(220)도 함께 후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수납박스(300)는 각종 음식물 혹은, 음료의 수납을 위해 제공되는 박스이다.
첨부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박스(300)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납박스(300)의 둘레 벽면에는 다수의 냉기유출입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내(냉장고 본체 내부)를 유동하는 냉기는 상기 냉기유출입구(310)를 통해 수납박스(300) 내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수납박스(300) 내를 유동한 냉기는 상기 냉기유출입구(310)를 통해 고내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박스(300)의 양 측 벽면의 상측 끝단에는 절곡단(320)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단(320)은 상기 수납박스(300)의 양 측 벽면으로부터 다단 절곡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절곡단(320)에 의해 상기 수납박스(300)의 양 측이 두 레일 어셈블리(200)의 커넥터레일(230)에 각각 얹힐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수납박스(300)의 양 측에 위치된 절곡단(320)이 두 커넥터레일(230)을 동시에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두 레일 어셈블리(200)가 냉장고 본체(1)로부터 뒤틀리거나 혹은, 좌우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는 레일 어셈블리(200)의 좌우 유동을 저감시키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즉, 통상의 다단 구조의 레일 어셈블리(200)의 경우 상하 방향의 하중에 따른 상하 유동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반면, 좌우 방향의 유동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제공을 통해 서랍식 도어(2)가 냉장고 본체(1)로부터 인출 혹은, 인입 동작될 때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9와 도 18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는 이동측레일(220)과 커넥터레일(230)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방지부재(400)가 상기 커넥터레일(23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측레일(220)에는 인접하게 위치되면서 상기 이동측레일(220)과 커넥터레일(230) 사이의 틈새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서랍식 도어(2)의 좌우 유동이 발생될 경우 상기 유동방지부재(400)가 상기 이동측레일(220)에 맞닿도록 함으로써 상기 좌우 유동이 빠르게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유동방지부재(400)는 커넥터레일(230)에 고정되는 고정단(410) 및 이동측레일(220)에 접촉되는 접촉단(42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촉단(420)은 상기 고정단(410)으로부터 이동측레일(220)과의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420)의 끝단면은 상기 이동측레일(220)과의 대향면에 최대한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로써, 서랍식 도어(2)의 좌우 흔들림이 발생될 경우 상기 접촉단(420)이 상기 이동측레일(220)에 접촉되면서 접촉단(420)과 이동측레일(220) 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유동방지부재(400)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이동측레일(220)과 고정측레일(210) 간의 좌우 유동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측레일(210)은 그의 전 부위가 냉장고 본체(1)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고, 이동측레일(220)은 상기한 고정측레일(210)의 지지를 받아 동작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실상 소비자의 불만이 야기될 정도로 유동되지는 않는다.
이를 고려할 때, 서랍식 도어(2)가 인출된 상태에서 이동측레일(220)과 커넥터레일(230) 간의 연결 부위에서 가장 큰 유동이 발생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제공으로 상기 유동을 방지(또는, 최소화)함으로써 사실상 서랍식 도어(2)의 좌우 떨림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접촉단(420)은 이동측레일(220)의 함몰부(223)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단(420)은 상기 함몰부(223)에 비해 상하 높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접촉단(420)의 끝단면인 함몰부(223) 내면과의 대향면은 상기 함몰부(223)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접촉단(420)이 상기 함몰부(223)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서랍식 도어(2)의 좌우 유동뿐 아니라 상하 유동도 추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촉단(420)의 끝단면과 함몰부(223) 내면과의 사이 거리는 상기 접촉단(420)의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함몰부(223) 내의 상면 또는, 하면과의 사이 거리에 비해 더욱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접촉단(420)의 구조를 통해 서랍식 도어(2)의 상하 유동에 비해 좌우 유동이 더욱 엄밀히 관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서랍식 도어(2)의 상하 유동의 경우 고정측레일(210)과 이동측레일(220) 간의 연결 구조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반면, 서랍식 도어(2)의 좌우 유동에 대한 관리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서랍식 도어(2)의 좌우 유동을 보다 엄밀하게 관리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접촉단(420)과 상기 이동측레일(220) 간의 이격 거리는 상기 고정측레일(210)의 절곡된 양 끝단과 그에 대향되는 이동측레일(220)의 양 측 벽면 간의 이격 거리에 비해 더욱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측레일(220)의 좌우 유동이 발생더라도 이동측레일(220)의 좌우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고정단(410)은 커넥터레일(230)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나사 체결을 통해 유동방지부재(400)가 원치않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레일(230) 중 상기 유동방지부재(400)가 설치되는 부위에는 체결공(232)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에는 상기 체결공(232)에 일치되면서 나사 체결되는 체결리브(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공(232) 및 체결리브(440)는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를 이루는 고정단(410)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는 돌출단(43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단(430)은 유동방지부재(400)를 커넥터레일(230)에 나사 체결하는 도중 상기 유동방지부재(400)가 나사 체결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를 이루는 고정단(410)의 상측 끝단은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내측 벽면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구조에 의해 유동방지부재(400)가 커넥터레일(230)의 내측 벽면에 정확히 접촉된 상태로 체결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는 상기 서랍식 도어(2)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전방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식 도어(2)의 인출시 이동측레일(220)의 전방측 끝단에서 가장 큰 좌우 유동이 발생됨을 고려할 때 해당 위치에 유동방지부재(400)를 위치시킴으로써 좌우 유동의 해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동방지부재(400)가 이동측레일(220)의 전방측 끝단에 위치될 경우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는 상기 서랍식 도어(2)를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이동측레일(220)과 커넥터레일(230)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체결공(232)과 체결리브(440)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한편, 이동측레일(220) 및 고정측레일(210)은 수납박스(300)의 하중에 대한 고려 및 서랍식 도어(2)의 인출 거리에 대한 고려를 만족할 수 있도록 금속(예컨대,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동방지부재(400)는 사실상 서랍식 도어(2)의 하중을 지탱하는 부위가 아니며, 금속 재질의 이동측레일(220)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는 부위이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유동방지부재(36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접촉단(420)은 상기 이동측레일(220)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서랍식 도어(2)의 이동시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와 이동측레일(220) 간의 접촉에 의한 마찰로 동작성이 저하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접촉단(420)은 상기 이동측레일(220)과 면접촉이 아닌 선접촉이나 점접촉으로 접촉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단(420)은 중앙 부위로 갈수록 이동측레일(220)을 향해 돌출되는 라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촉단(420)의 라운드 구조라 함은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한 라운드 구조가 될 수도 있고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 라운드 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구형의 라운드 구조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유동방지부재(400)는 상하 높이(두께)에 비해 전후 길이(커넥터레일의 이동 방향측 길이)이 더 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방지부재(400)의 길이 만큼 커넥터레일(230)과 이동측레일(220) 간의 접촉 범위가 넓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좌우 유동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유동방지부재(400)의 길이가 길 수록 설치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그 만큼 접촉 면적이 커짐으로써 동작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첨부된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방지부재(400)의 접촉단(42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요철 구조를 통해 유동방지부재(4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동작성의 영향은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요철은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산과 골로 이루어진 요철, 반구형의 돌기, 엠보싱, 널링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랍식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는 레일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고정측레일(210) 내에 이동측레일(220)이 위치되고, 상기 이동측레일(220) 상부에는 커넥터레일(230)이 위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레일(230)의 내측에 위치된 가이드부재(235)는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상측 라운드단(221)을 감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고정측레일(210)은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하측 라운드단(222)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즉, 서랍식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는 레일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세 레일(210,220,230)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렇게 서랍식 도어(2)가 닫힌 상태에서는 세 레일(210,220,230)의 중첩 상태로 인해 레일 어셈블리(200)의 상하 유동이나 좌우 유동이 사실상 발생되지 않는다.
이때, 유동방지부재(400)는 이동측레일(220)의 후단측 함몰부(223) 내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로 인해 서랍식 도어(2)가 전진 이동되면 상기 레일 어셈블리(200)를 이루는 세 레일(210,220,230)이 순차적으로 인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랍식 도어(2)는 최대 인출 거리에 이르기까지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서랍식 도어(2)의 인출시 도어패널부(100)와 함께 커넥터레일(230)이 우선적으로 이동되고, 이의 과정에서 상기 커넥터레일(230) 내에 형성된 연동돌기(234)가 이동측레일(220)의 돌출턱(224)에 맞닿는 순간부터 상기 이동측레일(220)도 함께 이동된다.
물론, 상기 서랍식 도어(2)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될 수록 상하 유동 및 좌우 유동이 점차 심해진다.
하지만, 레일 어셈블리(200)는 상기 서랍식 도어(2)의 인출 방향을 따라 긴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서랍식 도어(2)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하 유동은 사실상 미미하게만 이루어질 뿐이다.
이와 함께, 상기 서랍식 도어(2)의 레일 어셈블리(200) 중 이동측레일(220)과 커넥터레일(230) 사이에는 유동방지부재(400)가 구비됨에 따라 서랍식 도어(2)의 좌우 유동 역시 미미하게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서랍식 도어(2)의 이동시 좌우 유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레일(230)에 고정된 유동방지부재(400)의 접촉단(420)이 상기 이동측레일(220)의 함몰부(223) 내벽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접촉단(420)과 함몰부(223) 내벽면 사이의 틈새만큼 유동될 뿐 과도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서랍식 도어(2)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서랍식 도어(2)를 닫기 위해 도어패널부(100)의 전면 중 중앙측 부위가 아닌 어느 한 측부나 모서리 부위를 밀더라도 서랍식 도어(2)의 좌우 흔들림은 미미하게만 이루어질 뿐 좌우 유동으로 인해 닫힘 이동이 방해되지는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를 이루는 레일 어셈블리(200)가 언더레일 형태의 다단레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유동방지부재(400)로 인해 좌우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특히, 서랍식 도어(2)가 완전히 인출되더라도 이동측레일(220)과 커넥터레일(210) 간의 사이가 유동방지부재(400)로 지지되기 때문에 서랍식 도어(2)의 좌우 흔들림으로 인한 소비자 불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서랍식 도어(2)가 개방된 상태에서 해당 서랍식 도어(2)를 닫을 때 전면의 중앙측 부위가 아닌 어느 한 측편이나 모서리측을 밀더라도 유동방지부재(400)가 이동측레일(220)에 접촉되면서 서랍식 도어(2)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이동측레일(220)에 함몰부(223)가 형성되고, 유동방지부재(400)는 상기 함몰부(223) 내에 그 일부가 요입된 상태로 위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레일 어셈블리(200)의 좌우 두께가 증가되지 않고도 유동 방지를 위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레일 어셈블리(200)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수납박스(300)의 저장 공간은 줄어들 수밖에 없지만, 전술된 레일 어셈블리(2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유동방지부재(400)가 제공되면서도 수납박스(300)의 저장 공간을 줄이지 않게 된다.
1. 냉장고 본체 1a. 그릴팬 어셈블리
1b. 압축기 1c. 응축기
1d. 증발기 2. 서랍식 도어
100. 도어패널부 110. 손잡이홈
200. 레일어셈블리 210. 고정측레일
211. 레일측 체결브라켓 220. 이동측레일
221,222. 라운드단 223. 함몰부
224. 돌출턱 230. 커넥터레일
231. 패널측 체결브라켓 232. 체결공
234. 연동돌기 235. 가이드부재
236. 받침돌기 300. 수납박스
310. 냉기유출입구 320. 절곡단
400. 유동방지부재 410. 고정단
420. 접촉단 430. 돌출단
440. 체결리브

Claims (21)

  1. 전면이 개방된 냉장고 본체;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박스를 가지고, 상기 냉장고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식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부와,
    상기 냉장고 본체 내의 양 측 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측레일과,
    상기 각 고정측레일 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측레일과,
    상기 도어패널부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단은 상기 이동측레일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측면은 이동측레일의 측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커넥터레일과,
    상기 이동측레일과 상기 커넥터레일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동측레일과 커넥터레일 사이의 틈새를 줄이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커넥터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이동측레일과의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서랍식 도어의 좌우 흔들림시 상기 이동측레일에 접촉되는 접촉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 중 상기 이동측레일과의 대향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 중 상기 이동측레일과의 대향면은 상하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중앙측 부위로 갈수록 상기 이동측레일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서랍식 도어의 상하 방향에 비해 서랍식 도어의 인출 방향으로 더욱 긴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은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레일에는 냉장고 본체 내의 벽면을 향해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접촉단은 상기 함몰부 내로 삽입되도록 고정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은 상기 함몰부에 비해 상하 높이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단의 끝단면인 함몰부 내면과의 대향면은 상기 함몰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의 끝단면과 함몰부 내면과의 사이 거리는 상기 접촉단의 상면 또는, 하면과 상기 함몰부 내의 상면 또는, 하면과의 사이 거리에 비해 더욱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고정단은
    상기 커넥터레일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이루는 고정단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커넥터레일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쳐주는 돌출단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이루는 고정단의 상측 끝단은 상기 커넥터레일의 내측 벽면에 맞닿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의 양 벽면의 상측 끝단에는 상기 커넥터레일의 상단을 감싸도록 다단 절곡된 절곡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레일은
    상기 이동측레일을 이루는 하측 끝단을 감싸도록 양 측 부위가 상향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양 측 부위의 끝단은 상기 이동측레일의 양 측 벽면을 향하도록 추가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레일의 양 끝단과 그에 대향되는 이동측레일의 양 측 벽면 간의 이격 거리에 비해 상기 유동방지부재와 상기 이동측레일 간의 이격 거리가 더욱 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측레일의 하측 끝단 중 상기 고정측레일의 내에 위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고정측레일의 절곡된 양 끝단 간의 이격 거리에 비해 더욱 큰 폭을 갖도록 라운드진 라운드단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재는
    상기 서랍식 도어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이동측레일의 전방측 끝단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레일 내에는 상기 이동측레일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커넥터레일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레일의 외면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의 내벽면에 접촉되면서 나사 체결되는 레일측 체결브라켓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측 체결브라켓은 고정측레일로부터 하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전면이 개방된 냉장고 본체;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박스를 가지고, 상기 냉장고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상기 냉장고 본체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서랍식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패널부와,
    상기 냉장고 본체 내의 양 측 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고정측레일과,
    상기 각 고정측레일 내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측레일과,
    적어도 어느 한 부위는 상기 도어패널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측레일의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이동측레일의 길이 방향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레일과,
    상기 이동측레일과 상기 커넥터레일 간의 대향면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이동측레일과 커넥터레일 사이의 틈새를 줄이는 유동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00075811A 2020-06-22 2020-06-22 냉장고 KR20210157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11A KR20210157695A (ko) 2020-06-22 2020-06-22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811A KR20210157695A (ko) 2020-06-22 2020-06-22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95A true KR20210157695A (ko) 2021-12-29

Family

ID=7917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811A KR20210157695A (ko) 2020-06-22 2020-06-22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69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703A (ko)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20100079891A (ko)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140010A (ko) 2016-06-10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2703A (ko) 2003-03-20 2004-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20100079891A (ko) 2008-12-31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140010A (ko) 2016-06-10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8405B2 (en) Storage box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186243B1 (ko) 냉장고
US10731916B2 (en) Refrigerator
US10520247B2 (en) Refrigerator
EP1775536A2 (en) Refrigerator
KR101962138B1 (ko) 냉장고
US10634422B2 (en) Refrigerator
KR101695808B1 (ko) 냉장고
EP2175218B1 (en) Refrigerator
KR102120103B1 (ko)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015863B2 (en) Refrigerator
KR100435126B1 (ko) 냉장고의 인출용기
US11920859B2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ko) 냉장고
EP3722713A1 (en) Refrigerator
KR20210157695A (ko) 냉장고
JP6456500B2 (ja) 冷蔵庫
KR20210000434A (ko) 냉장고 도어용 힌지 어셈블리
KR101432292B1 (ko) 냉장고
US20230204282A1 (en) Refrigerator
US20220205706A1 (en) Refrigeration device
CN117989802A (zh) 制冷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