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456B1 - 커피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456B1
KR102603456B1 KR1020160093683A KR20160093683A KR102603456B1 KR 102603456 B1 KR102603456 B1 KR 102603456B1 KR 1020160093683 A KR1020160093683 A KR 1020160093683A KR 20160093683 A KR20160093683 A KR 20160093683A KR 102603456 B1 KR102603456 B1 KR 102603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housing
holder
coffee extraction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865A (ko
Inventor
박종우
조수창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3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456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49Details of the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된 출입구를 구비하는 커피 추출 하우징; 상기 출입구로 인입출 가능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캡슐 홀더; 상기 캡슐 홀더에 구비되고, 캡슐이 안착되며 상기 캡슐 내부에서 생성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장치{Coffee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커피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피캡슐은 분말상태 또는 액체상태의 커피가 내부에 밀봉된다.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면 커피캡슐 내부에서 커피가 생성되고, 생성된 커피는 커피캡슐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캡슐이 장착되면, 커피캡슐이 밀봉된 상태에서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종래의 커피캡슐을 장착할 수 잇는 커피 추출 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안착공간에 커피캡슐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커피의 맛을 좋게 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의 온수를 커피캡슐에 공급하여 커피를 생성한다.
그러나, 커피캡슐이 장착되는 안착공간에 액상의 커피 등이 남게 되어 안착공간이 오염되고,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압를 견디기 위하여 커피캡슐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은 커피 추출 장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오염된 안착공간을 청소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분리될 수 있어 세척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내용물(커피 또는 티)을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맛이 섞이지 않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로 공급되는 온수의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된 출입구를 구비하는 커피 추출 하우징; 상기 출입구로 인입출 가능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캡슐 홀더; 상기 캡슐 홀더에 구비되고, 캡슐이 안착되며 상기 캡슐 내부에서 생성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커피 추출부가 구비되는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홀더 체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은 상기 캡슐 홀더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삽입공간; 상기 홀더 체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삽입공간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하우징 체결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캡슐 홀더가 상기 출입구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 몸체에서 연장된 홀더 삽입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은 상기 홀더 삽입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더 몸체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단차지며,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단턱부;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홀더 단턱부에 상응하도록 오목하게 단차지며,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단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 홀더는 내주면에서 연장된 홀더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부는 상기 홀더 지지 리브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캡슐 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홀더 몸체에서 연장된 홀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이동하며,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캡슐 하우징; 상기 캡슐 하우징에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는 상기 작동레버에 제1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제2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 상기 캡슐 하우징에 제3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링크;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상기 제3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회전축;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은 수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3회전축은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구비된 가이드 홈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내리면,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 사이로 상기 구동 회전축이 이동하며,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이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레버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제2회전축, 상기 구동 회전축, 상기 제3회전축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와 같거나 큰 각도로 이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 하우징에서 하단으로 연장된 캡슐 하우징 돌기; 상기 캡슐 하우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몸체의 상측에 구비된 홀더 삽입홀;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캡슐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분리될 수 있어 세척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한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내용물(커피 또는 티)을 포함하는 캡슐을 사용하더라도, 서로 맛이 섞이지 않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 하우징에 안착된 캡슐홀더에 고압의 물을 공급하더라도, 커피 추출 하우징이 고압을 견딜 수 있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홀더에 작용하는 압력이 커질수록 홀더 체결돌기와 하우징 체결 홈의 체결력은 커져서 캡슐 홀더가 강하게 고정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 홀더는 커피 추출 하우징에 삽입되면서 항상 같은 위치에 안착되어 거치되는 커피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투명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에서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캡슐홀더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캡슐홀더의 하부와 캡슐홀더가 삽입되는 하우징 삽입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순환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해당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해당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1에 도시된 직교좌표계를 참고하여, X 방향을 전방, Z 방향을 상방, Y 방향을 우방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작동예를 간단히 설명한다.
캡슐(600)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서 분리되는 캡슐홀더(300)에 안착되며(도 8), 캡슐홀더(3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삽입되고(도 9), 작동레버(200)를 누르면(도 10) 캡슐 하우징(230)이 캡슐(600)을 고정하며, 급수유로(231)를 통해서 고온 고압의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생성하고, 생성된 커피를 배출유로(37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한다(도 11).
본 발명은 캡슐(600)이 안착되는 캡슐홀더(300)를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커피가 추출되는 공간과 배출되는 유로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사용하면, 커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캡슐홀더를 사용하여 다른 종류의 커피의 맛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피와는 다른 종류의 차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를 사용하면, 캡슐홀더(300)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투명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 커피 추출 장치는 개구된 출입구(101)를 구비하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과, 출입구(101)로 인입출 가능하며, 커피 추출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캡슐홀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피 추출 하우징(100)은 전방에 개구된 출입구(101)를 포함하며, 출입구(101)를 통해서 캡슐홀더(300)가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다.
커피 추출 하우징(100)은 내부에 하우징 삽입공간(102)을 포함하며, 하우징 삽입공간(102)은 출입구(101)에 연통한다. 캡슐홀더(300)는 출입구(101)를 통해서 하우징 삽입공간(102)에 거치된다.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작동레버(200)가 구비될 수 있다. 작동레버(2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상측에 작동레버 회전축(20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작동레버(2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된 캡슐홀더(300)를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하나의 예로, 작동레버(2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캡슐홀더(3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작동레버(20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캡슐홀더(3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이동 하며, 캡슐(600)을 고정하는 캡슐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하우징(230)은 캡슐(600)이 삽입되는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 하우징(230)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하로 직선 이동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측으로 이동한 캡슐 하우징(230)은 캡슐(600)을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에 삽입시키고, 캡슐(6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캡슐 하우징(230)은 캡슐(6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유로(231)와, 급수유로(231)를 캡슐(600) 내부와 연통시키기 위한 급수바늘(2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참고)
급수유로(231)는 캡슐 하우징(230)에 중공 형태로 구비되며, 일단은 외부 급수관(700)에 연결되고, 타단은 급수바늘(233)에 연결된다.
급수바늘(233)은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에 캡슐(600)이 삽입되면, 급수바늘(233)은 캡슐(600)을 관통하여 캡슐(600)의 내부로 삽입된다. 급수관(700), 급수유로(231), 급수바늘(233)을 통해서 물은 캡슐(600) 내부로 공급되며, 액상의 커피를 생성한다.
캡슐 하우징(230)과 작동레버(200)는 복수개의 링크(220, 222, 224)에 각각 연결되어 연동한다. 작동레버(20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캡슐 하우징(230)은 상측으로 직선이동하며, 작동레버(20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캡슐 하우징(230)은 하측으로 직선이동 한다.
복수개의 링크(220, 222, 224)는 작동레버(200)에 제1회전축(204)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220)와,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제2회전축(206)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222)와, 캡슐 하우징(230)에 제3회전축(208)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링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220), 제2링크(222), 제3링크(224)는 구동 회전축(210)으로 연결되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링크(220), 제2링크(222), 제3링크(224) 중 적어도 하나가 움직이면, 나머지 연동되어 움직인다.
제1회전축(204)은 작동레버 회전축(202)이 연결된 작동레버(200)의 끝단에서 전단으로 제1소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작동레버(200)가 작동레버 회전축(20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제1회전축(204)은 제1소정 거리를 회전 반경으로 하여 회전한다.
제1링크(220)는 제1회전축(204)과 구동 회전축(210) 사이를 연결하며, 제1링크(220)는 제1회전축(204)과 구동 회전축(210) 사이를 연결한 가상의 직선 보다 후방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회전축(206)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제1회전축(204) 또는 작동레버 회전축(202) 보다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204) 또는 작동레버 회전축(202) 보다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링크(222)는 제2회전축(206)과 구동 회전축(210) 사이를 연결하며, 구동 회전축(210)의 이동으로 제2회전축(206)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동레버(200)가 닫힐 때 제2링크(222)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링크(222)에 연결된 복원 스프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원 스프링(240)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와 제2링크(222)에 연결될 수 있다. 복원 스프링(240)은 제2링크(222)에서 제2회전축(206)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된 제2링크 연장부(222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회전축(206)과 구동 회전축(210) 사이를 연결한 가상의 선을 제2가상선으로 정의할 때, 제2가상선과 제2링크 연장부(222a)의 사이각은 캡슐 하우징(230)을 향하는 쪽이 180도 이하로 구비될 수 있다.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연결된 복원 스프링(240)의 끝단은 제2회전축(206) 보다 하측에 구비된다.
복원 스프링(240)은 작동레버(200)가 열린 상태에서는 원상태로 복원된 상태이며, 작동레버(200)가 닫힌 경우에는 최대로 인장되어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제3회전축(208)은 캡슐 하우징(230)에 구비될 수 있다. 제3회전축(208)은 캡슐 하우징(230)의 양단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링크(224)의 끝단은 제3회전축(208)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회전축(208)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3회전축(208)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 가이드 홈(14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작동레버(200)의 동작에 의해서, 제3회전축(208)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한다. 한 예로, 작동레버(200)를 닫으면, 제3회전축(208)은 하측으로 이동하며, 작동레버(200)를 열면, 제3회전축(208)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3회전축(208)과 제2회전축(206)은 동일한 수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3회전축(208)은 제2회전축(206)보다 하측에 구비되며, 제2회전축(206)은 가이드 홈(14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3링크(224)는 제3회전축(208)과 구동 회전축(210) 사이를 연결하며, 구동 회전축(210)의 이동에 따라서 제3회전축(208)에 연결되어 캡슐 하우징(230)을 상하로 왕복 이동시킨다.
구동 회전축(210)은 제1링크(220), 제2링크(222), 제3링크(224) 각각을 모두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구동 회전축(210)은 제2회전축(206)보다는 하측에 구비되며, 제3회전축(208) 보다는 상측에 구비되며, 제2회전축(206) 및 제3회전축(208) 보다는 후방에 구비된다.
구동 회전축(210)은 작동레버(200)의 이동에 따라 커피 추출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한다. 한 예로, 작동레버(200)를 내리면 구동 회전축(210)은 제2회전축(206)과 제3회전축(208) 사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고정된 제2회전축(206)에 상대적으로 제3회전축(208)은 하측으로 이동한다. 작동레버(200)를 내리면, 제2회전축(206)과 제3회전축(208)은 서로 멀어진다.
작동레버(200)가 올려진 상태에서는 구동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제2회전축(206)과 제3회전축(208) 사이의 각도(θ)는 예각(직각보다 작은 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며(도 9 참고), 작동레버(200)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는 구동 회전축(210)을 기준으로 제2회전축(206)과 제3회전축(208) 사이의 각도(θ)는 180도와 같거나 크게 이뤄진다. (도 10 참고)
작동레버(200)가 완전히 내려진 상태에서 제2링크(222)와 제3링크(224)이 이뤄는 각도는 180도와 같거나 이보다 크게 이뤄질 수 있다. 이로써, 캡슐 하우징(230)이 캡슐(600)을 큰 힘으로 눌러 고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에서 일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캡슐홀더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캡슐홀더의 하부와 캡슐홀더가 삽입되는 하우징 삽입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캡슐홀더(300)를 커피 추출 하우징(100) 내부로 삽입시켜서 고정시 체결 강도를 높이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슐홀더(300)는 캡슐(6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구비된 출입구(101)를 통해서 커피 추출 하우징(100)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캡슐홀더(300)는 캡슐(600)이 안착되며, 캡슐(600) 내부에서 생성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600)은 캡슐홀더(300)에 구비된 커피 추출부(500)에 안착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바늘(233)을 통해서 캡슐 내부로 물을 공급받고, 생성된 커피는 커피 추출부(50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배출된다.
커피 추출부(500)는 캡슐홀더(300)와 하나의 부품으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지만, 청소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캡슐홀더(300)와 커피 추출부(500)를 별개로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후자의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슐홀더(300)는 커피 추출부(500)가 구비되는 홀더 몸체(305)와, 홀더 몸체(305)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홀더 체결 돌기(4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체결 돌기(410)는 홀더 몸체(305)의 좌우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 체결 돌기(410)는 홀더 몸체(305)의 좌우 측면에 곧은 선으로 구비된 직선부(310a)와, 직선부(310a)에서 연장되며, 곡선으로 구비된 곡선부(310b)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참고)
상기 홀더 체결 돌기(410)는 하우징 삽입공간(102) 내부에서 하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하우징 체결 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 홈(110)은 하우징 삽입공간(102)을 이루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 홈(110)은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 홈(110)은 하우징 삽입공간(10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다.
캡슐홀더(300)가 하우징 삽입공간(102)에 삽입되면, 홀더 몸체(305)의 양측에 구비된 홀더 체결 돌기(410)는 하우징 삽입공간(102) 양측에 구비된 하우징 체결 홈(110)에 각각 삽입되며, 캡슐홀더(300)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홀더 체결 돌기(410)의 곡선부(310b)에 의해서 캡슐홀더(300)는 하우징 삽입공간(102)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제한된다.
한편, 캡슐홀더(300)는 캡슐홀더(300)가 출입구(101)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홀더 몸체(305)에서 연장되는 홀더 삽입 돌기(33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삽입 돌기(330)는 하우징 삽입공간(102)에 구비된 하우징 삽입구(103)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 삽입 돌기(330)는 홀더 몸체(305)의 전방에 구비되며, 홀더 몸체(305)의 좌우에 구비된 홀더 체결 돌기(410)가 구비되지 않은 홀더 몸체(305)의 둘레게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 삽입구(103)는 하우징 삽입공간(102)에서 좌우에 구비된 하우징 체결 홈(110)이 구비되지 않은 하우징 삽입공간(102)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 삽입 돌기(330)가 하우징 삽입구(103)에 삽입되면, 캡슐홀더(300)는 좌우로 이격되거나 흔들기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캡슐홀더(300)는 홀더 몸체(305)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단차지게 구비된 홀더 단턱부(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더 단턱부(32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홀더 단턱부(320)에 상응하도록 오목하게 단차지게 구비된 하우징 단턱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단턱부(320)는 홀더 몸체(305)의 하단에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 관통홀(306)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단턱부(120)는 홀더 단턱부(320)에 상응하도록 곡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내면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홀더 단턱부(320)와 하우징 단턱부(120)의 곡선형상이 원형인 경우 180도 이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캡슐홀더(300)가 하우징 삽입공간(102) 내부로 삽입된 경우, 홀더 단턱부(320)는 하우징 단턱부(120)에 안착되어 삽입되고, 캡슐홀더(3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캡슐홀더(300)는 캡슐홀더(3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홀더 관통홀(306)를 포함하며, 캡슐홀더(300)의 내주면에서 연장된 홀더 지지리브(331)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지지리브(331)는 홀더 관통홀(306)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홀더 지지리브(331)는 커피 추출부(500)의 하단을 지지하여 커피 추출부(500)가 캡슐홀더(300)의 내측에 거치되도록 한다.
커피 추출부(500)의 상단에는 캡슐(600)이 안착될 수 있는 추출판(510)과, 추출판(510)에서 추출된 커피가 흐를 수 있는 추출부 유로(520)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판(510)은 다수개의 추출관통홀(510a)을 포함하며, 볼록하게 구비된 다수개의 추출돌기(510b)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관통홀(510a)는 추출부 유로(520)에 연통하며, 추출부 유로(520)는 커피 추출부(500)를 수직하게 관통하며,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캡슐(600)이 추출판(510)의 상단에 안착되고, 캡슐 하우징(230)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힘을 받으면, 추출판(510)에 구비된 추출돌기(510b)에 의해 캡슐(600)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생성되며, 캡슐 내부에서 생성된 커피는 추출관통홀(510a)을 통해서 추출부 유로(520)로 이동하며, 후술할 배출유로(37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홀더 관통홀(306)은 커피 추출부(500)에 연장된 추출부 노출부(530)에 의해 관통되며, 추출부 노출부(530)는 홀더 관통홀(306)에 삽입되어 캡슐홀더(300)의 하부로 노출된다.
홀더 관통홀(306)을 통해서 캡슐홀더(300)의 외주로 노출된 추출부 노출부(530)는 배출유로(370)에 삽입될 수 있다.
배출유로(370)는 상측으로 개구되고, 추출부 노출부(530)가 끼워질 수 있는 배출유로 삽입구(370a)와, 하측으로 배출유로 삽입구(370a)에 연통하는 배출관(370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 노출부(530)의 외주면에 실링부재(531)을 구비하여 배출유로(370)가 추출부 노출부(5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출부 유로(520)에서 배출되는 커피는 배출유로 삽입구(370a)로 이동하며, 배출관(370b)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한편, 캡슐홀더(3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삽입된 경우에 출입구(101)를 개폐할 수 잇는 홀더 커버(35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커퍼()는 하우징 삽입공간(102)의 내부에서 스팀이나 고온의 물이 출입구(101)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한다.
한편, 캡슐홀더(300)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홀더 몸체(305)에서 연장된 홀더 날개(34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날개()는 홀더 몸체(305) 또는 홀더 커버()의 양단에 연장되며 출입구(101)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될 수 있다.
캡슐홀더(300)가 하우징 삽입공간(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 날개()는 커피 추출 하우징(100)의 외면의 양단에 접촉하며, 캡슐홀더(300)가 좌우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캡슐홀더(300)는 홀더 커버()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3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쥐고 캡슐홀더(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캡슐홀더(300)는 홀더 몸체(305)의 상측에 홀더 삽입홀(3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홀더 삽입홀(380)은 캡슐 하우징(230)에서 하단으로 연장된 캡슐 하우징 돌기(234)가 삽입될 수 있다.
캡슐 하우징(23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캡슐 하우징 돌기(234)는 홀더 삽입홀(380)에 삽입되고, 캡슐 하우징(230)의 끝단이 홀더 몸체(305)의 상단 또는/및 커피 추출부(500)의 상단을 압박한다. 이로써, 캡슐 하우징(230)은 고온, 고압의 물이 캡슐(600)로 공급되더라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동작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을 참고하면, 작동레버(200)를 상측으로 이동하면, 캡슐 하우징(230)은 가이드 홈(140)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3회전축(208)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한다.
캡슐홀더(300)의 상측 또는 커피 추출부(500)의 추출판(510)에 캡슐(600)을 안착시킨다. 캡슐(600)은 저장물을 내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일측이 개구된 저장용기(610)와, 저장용기(610)의 개구된 부분을 밀폐하는 용기덮개(620)로 이뤄질 수 있다. 캡슐(600)을 캡슐홀더(300)에 안착시킬 때는 용기덮개(620)가 하측으로 놓이도록 안착된다.
도 9를 참고하면, 캡슐홀더(300)는 출입구(101)를 통해서 하우징 삽입공간(102)에 거치되며, 캡슐홀더(300)에 구비된 홀더 체결 돌기(310), 홀더 삽입 돌기(330), 홀더 단턱부(320)는 각각 커피 추출 하우징에 구비된 하우징 체결 홈(110), 하우징 삽입구(103), 하우징 단턱부(120)에 인입된다. 따라서, 캡슐 홀던()는 하우징 삽입공간(102) 내부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작동레버(200)를 하측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작동레버(200)에 연결된 제1링크(220)도 함께 이동하고, 제1링크(220)에 구동 회전축(210)으로 연결된 제2링크(222) 및 제3링크(224)도 회전 이동을 한다.
제2링크(222)는 제2회전축(206)으로 커피 추출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할 수 없지만, 제3링크(224)는 제3회전축(208)으로 캡슐 하우징(23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회전축(206)과 제3회전축 사이로 구동 회전축(21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캡슐 하우징(230)은 하측으로 이동한다. 캡슐(600)은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에 삽입되며, 캡슐 하우징의 끝단은 캡슐홀더(300)의 상측 또는 홀더 몸체(305)의 상측을 압박한다.
이로써, 캡슐(600)은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232)에서 고정되고, 캡슐홀더(300)도 하우징 삽입공간(102) 내부에서 고정된다.
도 11을 참고하면, 캡슐(600)은 급수바늘(233)에 의해 관통되며, 급수유로(231)를 통해서 공급된 고온, 고압의 물을 캡슐(600)의 내부로 공급하고, 캡슐 내부에서 액상의 커피를 생성한다. 생성된 커피는 배출유로(37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장치의 순환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급수관(700)은 급수유로(231)에 연결되며, 고온, 고압의 물을 공급한다. 급수유로(231)로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물이 급수관(700)을 통해서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급수관(700)은 급수원(760)에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는다. 원수는 필터(750)를 통과하여 정수로 필터된다.
한편, 급수관(700)을 개폐하기 위하여 급수관(700)에 솔밸브(740)가 구비되며, 급수관(700) 내부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급수관(700)에 유량센서(73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급수유로(231)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관(700)에 고압펌프(7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급수유로(231)로 고온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관(700)에 히터(710)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원(760), 필터(750), 솔밸브(740), 유량센서(730), 고압펌프(720), 히터(710)는 급수관(700)의 유로에 구비된다.
필터(750)와 급수유로(231) 사이에 솔밸브(740), 유량센서(730), 고압펌프(720), 히터(7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솔밸브(740), 유량센서(730), 고압펌프(720), 히터(710)의 순서로 구비되거나, 솔밸브(740), 유량센서(730), 히터(710), 고압펌프(720)의 순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커피 추출 하우징 101: 출입구
102: 하우징 삽입공간 103: 하우징 삽입구
110: 하우징 체결 홈 120: 하우징 단턱부
140: 가이드 홈 200: 작동레버
202: 작동레버 회전축 204: 제1회전축
206: 제2회전축 208: 제3회전축
210: 구동 회전축 220: 제1링크
222a: 제2링크 연장부 222: 제2링크
224: 제3링크 230: 캡슐 하우징
231: 급수유로 232: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
233: 급수바늘 234: 캡슐 하우징 돌기
240: 복원 스프링 300: 캡슐홀더
305: 홀더 몸체 306: 홀더 관통홀
310b: 곡선부 310: 홀더 체결 돌기
310a: 직선부 320: 홀더 단턱부
330: 홀더 삽입 돌기 331: 홀더 지지리브
340: 연장된 홀더 날개 350: 홀더 커버
360: 손잡이 370b: 배출관
370a: 배출유로 삽입구 370: 배출유로
380: 홀더 삽입홀 410: 홀더 체결 돌기
500: 커피 추출부 510a: 추출관통홀
510b: 추출돌기 510: 추출판
520: 추출부 유로 530: 추출부 노출부
531: 실링부재 600: 캡슐
610: 저장용기 620: 용기덮개
700: 급수관 710: 히터
720: 고압펌프 730: 유량센서
740: 솔밸브 750: 필터
760: 급수원

Claims (13)

  1. 개구된 출입구를 구비하는 커피 추출 하우징;
    상기 출입구로 인입출 가능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캡슐 홀더;
    상기 캡슐 홀더에 구비되고, 캡슐이 안착되며 상기 캡슐 내부에서 생성된 커피를 추출하는 커피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커피 추출부가 구비되는 홀더 몸체;
    상기 홀더 몸체에서 하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홀더 체결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은
    상기 캡슐 홀더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삽입공간;
    상기 홀더 체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삽입공간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구비된 하우징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캡슐 홀더가 상기 출입구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 몸체에서 연장된 홀더 삽입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은 상기 홀더 삽입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몸체에서 하측으로 볼록하게 단차지며,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 단턱부;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홀더 단턱부에 상응하도록 오목하게 단차지며,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슐 홀더는 내주면에서 연장된 홀더 지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커피 추출부는 상기 홀더 지지 리브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캡슐 홀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홀더 몸체에서 연장된 홀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왕복 이동하며, 상기 캡슐이 삽입되는 캡슐 하우징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캡슐을 고정하는 캡슐 하우징;
    상기 캡슐 하우징에 연결된 복수개의 링크;
    상기 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크는
    상기 작동레버에 제1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제2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
    상기 캡슐 하우징에 제3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3링크;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상기 제3링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동 회전축;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은 수직선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제3회전축은 상기 커피 추출 하우징에 구비된 가이드 홈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를 내리면,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 사이로 상기 구동 회전축이 이동하며, 상기 제2회전축과 상기 제3회전축이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가 완전히 내려지면, 상기 제2회전축, 상기 구동 회전축, 상기 제3회전축이 이루는 각도는 180도와 같거나 큰 각도로 이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추출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하우징에서 하단으로 연장된 캡슐 하우징 돌기;
    상기 캡슐 하우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홀더 몸체의 상측에 구비된 홀더 삽입홀;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
KR1020160093683A 2016-07-22 2016-07-22 커피 추출 장치 KR10260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83A KR102603456B1 (ko) 2016-07-22 2016-07-22 커피 추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83A KR102603456B1 (ko) 2016-07-22 2016-07-22 커피 추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65A KR20180010865A (ko) 2018-01-31
KR102603456B1 true KR102603456B1 (ko) 2023-11-17

Family

ID=61082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83A KR102603456B1 (ko) 2016-07-22 2016-07-22 커피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794B1 (ko) * 2022-01-18 2024-02-0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캡슐 홀더 및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KR102633793B1 (ko) * 2022-01-18 2024-02-05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복수 종류의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727359U (zh) * 2010-05-07 2011-02-02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咖啡胶囊萃取机构
SI2481330T1 (sl) * 2011-02-01 2013-08-30 Nestec S.A. ÄŚrtna koda za kapsulo za pripravo napitka
KR102064177B1 (ko) * 2012-11-09 2020-01-09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KR102292862B1 (ko) * 2014-09-12 2021-08-25 코웨이 주식회사 음료 추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865A (ko) 201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9848B1 (ko) 휴대용 수동 커피머신
JP6245276B2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TWI482606B (zh) 飲料機及使用飲料機調製原料的方法
JP3892398B2 (ja) カプセルから飲料を準備する装置の水注入器
KR102449623B1 (ko) 캡슐커피 추출장치
ES2623629T3 (es)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productos alimenticios
JP4891078B2 (ja) 物質を入れたカプセルを使用して飲み物を準備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ES2336036T3 (es) Dispositivo para la preparacion de un liquido alimenticio a partir de una capsula.
KR102603456B1 (ko) 커피 추출 장치
KR20100094582A (ko) 조정 가능한 폐쇄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JP6910352B2 (ja) 飲料マシンへの液体タンクの容易な接続
BR112016006538B1 (pt) Módulo de infusão para um aparelho de extração, aparelho de extração e processo para a infusão de uma bebida de infusão
BR112017005492B1 (pt) Cápsula para preparação de uma bebida
TW201350066A (zh) 具有匣保持器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TW201350063A (zh) 具有移動飲料匣座之飲料形成裝置及方法
JPH022998A (ja) ラジオアイソトープ溶出容器詰め装置
EP3111811B1 (en) Capsule delivery and rejection mechanism in a beverage extracting device
CN103249337A (zh) 具有自动清洁系统的饮料制备机器
BRPI0419121B1 (pt) máquina para preparar e dispensar bebidas com o uso de pelo menos uma cápsula
KR102064177B1 (ko) 커피캡슐 장탈착 구조
KR20110110773A (ko) 운반 가능한 소형 음료 제조기
ES2643790T3 (es) Dispositivo para preparar bebidas infusionadas que incluye un soporte de cápsula pivotante
ITTO20090646A1 (it) Sistema, capsula, macchina percolatrice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per infusione a concentrazione selezionabile dall'utente
KR200423697Y1 (ko) 용기 조립체
CN106136908A (zh) 饮料酿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