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143B1 -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143B1
KR102603143B1 KR1020220161411A KR20220161411A KR102603143B1 KR 102603143 B1 KR102603143 B1 KR 102603143B1 KR 1020220161411 A KR1020220161411 A KR 1020220161411A KR 20220161411 A KR20220161411 A KR 20220161411A KR 102603143 B1 KR102603143 B1 KR 10260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are
caregi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호
윤꽃님
박종환
김도형
박선홍
Original Assignee
유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호 filed Critical 유성호
Priority to KR102022016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pidemi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Customized care system through personal life log data}
본 발명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수집한 개인별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별 사용자마다 맞춤형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적합한 요양보호사를 매칭받을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사회가 점차 고령화되어 감에 따라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원인은 다종다양하여 일률적으로 해결방안을 도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신체기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처한 상황도 각자 상이하므로, 각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도출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필요로 하는 요양 케어 서비스에 대해 특별히 숙련도가 뛰어난 요양보호사를 매칭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발명가들이 해결 방안을 찾고자 하는 시도를 하였으나,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오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의 목적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복약현황, 기저질환 유무 등에 따라 적합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의 다른 목적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대여명과 활동능력을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의 또 다른 목적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복약현황, 기저질환 유무 등에 따라 적합한 요양보호사를 매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 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케어서비스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지능형 웹 크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데이터, 복약 현황, 기저 질환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URL 리스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URL 리스트를 송신하는 필요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지식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추천물품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추천물품 정보를 송신하는 상품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대여명 또는 사용자의 활동 능력을 추출하는 사용자 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진단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필요한 물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요양보호사 매칭부를 더 포함하고,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 요양보호사의 수행가능 업무 및 요양보호사의 수행가능 업무별 업무 숙련도를 기초로 요양보호사를 매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서,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사용자의 연령, 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케어 서비스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추출하고, 특정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식그래프를 구축하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케어 서비스 이용을 희망할 경우, 사용자의 연령, 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데이터가 가장 비슷한 유사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유사 사용자로부터 높은 만족도 평가 데이터를 받은 요양보호사를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매칭된 요양보호사의 업무 적합도,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별 만족도 평가데이터, 매칭 이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요양보호사 매칭결과를 사용자 또는 관계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또는 관계자는 매칭결과에 포함된 상기 정보를 기초로 요양보호사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케어서비스 추천부,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요양보호사 매칭부를 더 포함하되,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케어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부여한 케어 서비스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숙련도를 수치화하는 제 2 단계,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숙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요양보호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고, 상기 제 4 단계는, 케어서비스 추천부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라고 추출한 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 숙련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슨템에서,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제공받은 케어 서비스 경험,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부여한 케어 서비스별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제 5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의 특성 및 상기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에 관한 지식그래프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지식그래프에서, 연령, 기저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데이터가 사용자와 가장 비슷한 다른 사용자를 유사 사용자로 추출하는 제 7 단계, 및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케어 서비스에 대해, 유사 사용자로부터 높은 케어 서비스 만족도를 얻은 요양수급자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매칭시키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요양보호사 평가 정보를 입력받아 요양보호사 매칭부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요양보호사 평가 정보에 대한 요양보호사 평가 항목 및 요양보호사 평가 항목에 대응되는 응답값을 입력할 수 있는 앤서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를 포함하고,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내부에는 양 종단면이 개방되고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사용자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우징 공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개구가 형성되며, 하우징 공간의 바닥면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배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는 단말 하우징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요양보호사 평가 항목 개구 및 앤서 개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래크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무빙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무빙 보조체를 포함하는 단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무빙 가이드는, 단말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 형태의 무빙 동력체 및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동력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무빙 동력체에 연결되고 무빙 동력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무빙 보조체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 형태의 무빙 전달체를 포함하고, 단말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어, 무빙 보조체와 무빙 가이드의 무빙 전달체는 맞물리며, 사용자 단말기는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배치 공간에 삽입되며, 디스플레이부 및 디텍터부는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단말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며, 무빙 가이드의 무빙 동력체가 무빙 전달체를 회전시킬 때, 무빙 보조체는 이동되어 단말 플레이트는 하우징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복약현황, 기저질환 유무 등에 따라 적합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대여명과 활동능력을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복약현황, 기저질환 유무 등에 따라 적합한 요양보호사를 매칭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라 사용자에게 추천된 케어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웹 크롤러의 검색 방법 학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URL 리스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의 특성과 요양보호사가 받은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지식그래프화 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사 사용자의 만족도 평가에 관한 지식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사 매칭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인풋 하우징 및 인풋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인풋 하우징 및 인풋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된 인풋 하우징 및 인풋 플레이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관계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110),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120), 케어서비스 추천부(130), 필요정보 제공부(140), 상품추천부(150), 사용자 진단부(160) 및 요양보호사 매칭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을 통해 케어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관계자는 사용자의 가족, 보호자, 의사, 약사 또는 매칭된 요양보호사와 같이 사용자를 진찰하거나 돌보는 사람을 의미한다.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100)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관계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서버와 같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관계자 단말기(2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거나 카메라와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라이프로그란, 개인의 일상을 인터넷 또는 스마트 기기에 기록하는 것으로, ‘일상의 디지털화'라 할 수 있다. 이는 취미, 건강, 여가 등에서 생성되는 개인 생활 전반의 기록을 정리하고 보관해 주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란, 상기와 같이 기록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신체기능, 복약 현황, 기저 질환, 돌봄 필요 서비스가 기록된 데이터도 이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 및 관계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10)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110) 및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을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설문지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복약 현황, 기저 질환, 돌봄 필요 서비스 선택 등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11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시스템을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운동 및 활동은 어떻게 하시나요?"와 같은 질문이 포함된 설문지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스스로 가능", "옆에서 부축 필요", "지팡이 혹은 휠체어 보조 필요", "침대 내에서 자세 변경 필요" 중 어느 하나의 보기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기능에 대한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시스템을 처음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전염병 질환을 진단 받으셨나요?" 와 같은 질문이 포함된 설문지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 "아니오" 중 어느 하나의 보기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11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10)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미리 정해진 주기'란, 관계자 단말기(20)에서 설정하는 주기일 수 있고, 시스템에 일률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주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계자에 해당하는 '요양보호사'가 특정 사용자를 보다 집중적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요양보호사'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매일'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 케어 시스템(100)은 일률적으로 모든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매일' 송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120)는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한다는 것은, 모든 관계자 단말기가 아닌 특정 단말기로만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받는 특정 단말기는, 모든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받지 않고 미리 지정된 특정한 데이터 변동이 있는 경우에만 변동기록을 송신받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한 예를 들면, 'A'라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기록은 관계자인 '가족'에게만 송신되도록 할 수 있고, 'B'라는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기록은 관계자인 '요양보호사'에게만 송신되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제한적으로 공유할 수도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케어서비스 추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알고리즘 학습에 의한 케어 서비스 추출은,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여러 질문이 포함된 설문지 형식의 인터페이스에서 각 질문에 어떤 선택을 하였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인공지능 알고리즘 학습에 의한 케어 서비스 추출은, 당해 사용자와 유사한 신체기능, 복약현황, 기저질환을 가진 다른 사용자가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당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당해 사용자가 스스로 필요하다고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당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 학습에 의한 케어 서비스 추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협업 기반 필터링', '콘텐츠 기반 필터링', '협업 기반 필터링과 콘텐츠 기반 필터링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필터링, '지식그래프', '기타 유사성 분석기술을 이용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를 추출하는 것 또한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송신한다는 것은, 사용자 및 관계자 단말기 중에서도 특정 단말기로만 추출된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추출된 정보를 송신받는 특정 단말기는, 추출된 정보 전부를 송신받지 않고 미리 지정된 특정한 케어 서비스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만을 송신받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추천된 케어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어 서비스는 '위생관리', '배뇨배변관리', '이동서비스', '영양관리', '환경관리', '인지정서지원', '재활서비스', '의료서비스' 등으로 카테고리가 세분화될 수 있고, 세분화된 케어 서비스는 보다 세분화되어 '외모관리', '산책동행', '배뇨문제관리' 등으로 카테고리가 다시 나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지능형 웹 크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데이터, 복약 현황 데이터, 기저 질환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URL 리스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URL 리스트를 송신하는 필요정보 제공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신체기능이 저하된 사용자에게는 저하된 신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동법이 포함된 URL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고, 저하된 신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양 정보가 포함된 URL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복약 경험이 없는 새로운 약을 복약해야 하는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약품의 투약 정보나 효능 정보가 포함된 URL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고, 기저 질환을 가진 사용자에게는 기저 질환에 좋은 영양정보 또는 질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URL 리스트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URL 리스트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URL 리스트를 송신한다는 것은, 사용자 및 관계자 단말기 중에서도 특정 단말기로만 URL 리스트를 송신하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URL 리스트를 송신받는 특정 단말기는, URL 리스트 전부를 송신받지 않고 미리 지정된 특정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만을 송신받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웹 크롤러의 검색 방법 학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URL 리스트를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정보를 얻어올 수 있는 URL과 검색 방법을 학습한 지능형 웹 크롤러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가 있는 정보원을 판단할 수 있고, 제목이 포함된 URL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관계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지능형 웹 크롤러가 필요한 정보가 있는 정보원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메타 검색 엔진에 키워드를 검색하여 PageRank 및 필요한 정보를 표현하는 단어와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페이지 URL를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관계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지식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추천물품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추천물품 정보를 송신하는 상품추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식그래프란, 검색어를 입력하면 그 단어와 연관성이 있는 정보를 함께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가장 근접한 검색 결과를 나열해주는 것이다.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추천물품이란, 수집된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신체기능을 높일 수 있는 건강식품일 수 있고, 기저 질환 극복에 도움이 되는 건강식품일 수 있고, 돌봄 필요서비스에 도움이 되는 물품 등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추천물품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사용자 및 관계자 단말기 중에서도 특정 단말기로만 추천물품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추천물품 정보를 송신받는 특정 단말기는, 추천물품 정보 전부를 송신받지 않고 미리 지정된 특정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만을 송신받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대여명 또는 사용자의 활동 능력을 추출하는 사용자 진단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기대여명이란, 사용자가 앞으로 몇 년을 더 생존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활동 능력이란, 사용자의 남은 기대여명동안,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걸을 수 있는지 여부,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의 도움 없이 스스로 목욕을 할 수 있을지 여부와 같은 신체기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기대여명 또는 사용자의 활동 능력을 추출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신체 기능, 기저 질환의 유무, 기저 질환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복약 중인 약의 유무, 복약 중인 약의 부작용 및 복약 중인 약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과 강도를 분석한 딥러닝 모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남은 기대여명 또는 남은 기대여명 동안의 활동 능력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남은 기대 여명을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삶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 만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모색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추출된 기대여명 및 활동 능력을 시각화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기(10) 또는 관계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필요한 물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는 "사용자의 기대여명 및 사용자의 활동 능력에 따라서" 라는 의미일 수 있고, 또한 "필요한 상품 또는 서비스"란, "사용자가 남은 기대 여명을 즐겁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될 수 있고, 삶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도움이 될만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란, 사용자 및 관계자 단말기 중에서도 특정 단말기로만 추출된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추출된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를 송신받는 특정 단말기는, 추출된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 전부를 송신받지 않고 미리 지정된 특정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만을 송신받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요양보호사 매칭부(170)를 더 포함하고, 요양보호사 매칭부(170)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 요양보호사의 수행가능 업무 및 요양보호사의 수행가능 업무별 업무 숙련도를 기초로 요양보호사를 매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요양 보호사가 사용자에게 밥을 차려주는 '식사제공' 케어 서비스를 필요로 하여 선택했을 수 있고, '당뇨병'이라는 만성질환 관리가 필요하여 '만성질환 관리' 케어 서비스를 선택했을 수 있다.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요양보호사에 대한 지식그래프를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요양보호사 A의 경우,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받은 '식사 제공' 케어 서비스에 대한 평가점수, 요양보호사 경력, 케어한 환자들의 신체기능, 복약현황, 기저질환 등을 종합하여, '식사제공'이라는 케어 서비스는 '숙련도 1.3'으로 비교적 낮게 환산되었을 수 있고, 같은 방식으로 '만성질환 관리' 케어 서비스는 '숙련도 3.2'로 비교적 높게 환산되었을 수 있다. 지식그래프는 데이터 프로파일링을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케어 서비스"별 숙련도를 기초로 가중치를 산정하여 적합한 요양보호사의 리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사용자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의 특성과 요양보호사가 받은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지식그래프화 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양보호사 매칭부(170)는 사용자의 연령, 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케어 서비스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추출하고, 특정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나타내는 지식그래프를 구축하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케어 서비스 이용을 희망할 경우, 사용자의 연령, 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데이터가 가장 비슷한 유사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유사 사용자로부터 높은 만족도 평가 데이터를 받은 요양보호사를 사용자에게 매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일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맞춤형 케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에게 매칭된 요양보호사의 업무 적합도,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별 만족도 평가데이터, 매칭 이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요양보호사 매칭결과를 사용자 또는 관계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또는 관계자는 매칭결과에 포함된 상기 정보를 기초로 요양보호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일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케어서비스 추천부,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요양보호사 매칭부를 더 포함하되,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케어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부여한 케어 서비스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숙련도를 수치화하는 제 2 단계,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숙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요양보호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고, 상기 제 4 단계는, 케어서비스 추천부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라고 추출한 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 숙련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제공받은 케어 서비스 경험,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부여한 케어 서비스별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제 5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의 특성 및 상기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에 관한 지식그래프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지식그래프에서, 연령, 기저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데이터가 사용자와 가장 비슷한 다른 사용자를 유사 사용자로 추출하는 제 7 단계, 및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케어 서비스에 대해, 유사 사용자로부터 높은 케어 서비스 만족도를 얻은 요양수급자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매칭시키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일지 자동생성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적용되는 단말 하우징 및 단말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일지 자동생성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단말 하우징 및 단말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양보호일지 자동생성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적용된 단말 하우징 및 단말 플레이트의 동작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는 단말 하우징(201) 및 단말 플레이트(202)와 결합되고, 단말 하우징(201) 및 단말 플레이트(202)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평과결과 선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요양보호사 매칭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은 "요양보호사가 제공한 식사는 만족스러우셨나요?"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의 선지는 "만족", "보통", "불만족" 등일 수 있다. 요양보호사 매칭부(170)는 전송받은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평과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사용자 단말기(10)의 일면에 위치되고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에 대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응되는 선지를 입력할 수 있는 앤서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11) 및 사용자 단말기(10)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11)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은 "질문형 문장", "키워드 단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앤서 영역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 12개 등과 같이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 하우징(201)은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사용자 단말기(10)를 분리 가능하도록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하우징(201)에는 하우징 공간(210), 디스플레이 개구(201a) 및 배치 공간(201b)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공간(210)은 단말 하우징(201)의 내부에서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 종단면이 개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개구(201a)는 단말 하우징(201)의 상면에 형성되어 하우징 공간(210)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하우징 공간(210)에 위치될 때,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 및 디텍터부(12)는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배치 공간(201b)은 하우징 공간(210)의 바닥면에 사용자 단말기(10)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하우징 공간(210)에 위치되어 배치 공간(201b)에 삽입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1) 및 디텍터부(12)는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디스플레이 개구(201a)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하우징(201)은 무빙 가이드(211) 및 보조 스토퍼(213)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21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단말 하우징(201)의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A)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하우징 공간(210)에 위치된 상태에서, 무빙 가이드(211)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2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무빙 가이드(211)는 무빙 동력체(211a) 및 무빙 전달체(211b)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동력체(211a)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단말 하우징(201)의 외부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무빙 전달체(211b)는 피니언(pinion)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우징 공간(210)의 내부 측면에서 무빙 동력체(2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무빙 동력체(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무빙 전달체(211b)는 무빙 동력체(211a)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보조 스토퍼(213)는 직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우징 공간(210)에서 하우징 공간(210)의 제 1 종단면 및 무빙 가이드(211)의 근처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210)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우징 공간(210)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무빙 전달체(211b)에 인접하도록 하우징 공간(210)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201b)에 접촉되거나 배치 공간(201b)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보조 스토퍼(213)로 인해 하우징 공간(210)의 제 1 종단면의 반대편인 제 2 종단면을 통해 하우징 공간(210)에 삽입되거나 하우징 공간(2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 부분의 하면에는 스토퍼 돌기(213a)가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 돌기(213a)는 고무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가 하우징 공간(210)에 위치되지 않을 때, 보조 스토퍼(213)는 기울어져, 보조 스토퍼(213)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201b)에 접촉되고,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11(a) 참조).
한편, 사용자 단말기(10)가 하우징 공간(210)의 제 2 종단면(도 11의 하우징 공간(210)에서 좌측 부분)을 통해 하우징 공간(210)에 점점 삽입될 때, 보조 스토퍼(213)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접촉되어 회동되고, 보조 스토퍼(213)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201b)으로부터 점점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가 단말 하우징(201)의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보조 스토퍼(213)의 스토퍼 돌기(213a)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제 1 종단 부분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스토퍼(213)는 기울어져, 보조 스토퍼(213)의 제 2 종단은 스토퍼 돌기(213a)에 의해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도 11(b) 참조). 또한, 보조 스토퍼(213)는 단말 플레이트(202)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단말 플레이트(202)는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 플레이트(202)는 하우징 공간(210)에 삽입되어 무빙 가이드(211)와 맞물릴 수 있고, 무빙 가이드(211)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단말 플레이트(202)에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 및 앤서 개구(202b)가 형성될 수 있다.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응되는 크기로 단말 플레이트(202)에 형성될 수 있다.
앤서 개구(202b)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의 평과결과 선지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앤서영역(b)에 대응되는 크기로 단말 플레이트(20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앤서 개구(202b)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와 조합하여 일 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동일 직선을 형성하도록 단말 플레이트(202)에 위치될 수 있고, 앤서 영역(b)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플레이트(202)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도 11의 단말 플레이트(202)에서 상단 부분 참조)에는 디텍터 마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 마크(220)는 QR 코드, 바 코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 플레이트(202)가 하우징 공간(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디텍터 마크(220)는 하우징 공간(210)에 수용된 사용자 단말기(10)의 디텍터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부(12)는 디텍터 마크(220)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는 디텍터 마크(220)에 대응되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의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의 제 1 종단 부분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 및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은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 및 앤서 개구(202b)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플레이트(202)는 무빙 보조체(221)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보조체(2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단말 플레이트(202)의 양측에서 일 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빙 보조체(221)는 래크(rack)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 플레이트(202)가 하우징 공간(210)에 삽입될 때, 무빙 보조체(221)는 무빙 가이드(211)의 무빙 전달체(211b)의 상측에 위치되고 무빙 전달체(211b)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무빙 보조체(221)와 무빙 전달체(211b)는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결합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무빙 동력체(211a)가 무빙 전달체(211b)를 회전시킬 때, 무빙 전달체(211b)는 무빙 보조체(221)를 이동시켜 단말 플레이트(2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가 단말 하우징(201)의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보조 스토퍼(213)의 제 2 종단이 스토퍼 돌기(213a)에 의해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보조 스토퍼(213)는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 플레이트(202)는 하우징 공간(210)에 위치되고 사용자 단말기(10)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보조 스토퍼(213)에 의해 하우징 공간(210)의 제 1 종단면을 향하는 이동을 제한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가 단말 하우징(201)의 하우징 공간(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단말 플레이트(202)는 하우징 공간(210)의 제 1 종단면을 통과할 수 없고, 하우징 공간(210)의 제 2 종단면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말 하우징(201) 및 단말 플레이트(202)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적용되어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우선, 단말 플레이트(202)가 하우징 공간(2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플레이트(202)가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단말 플레이트(202)의 무빙 보조체(221)는 무빙 가이드(211)의 무빙 전달체(211b)와 맞물릴 수 있다(도 11(a) 및 도 11(b) 참조).
이어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단말 하우징(201)의 하우징 공간(2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도 11(b) 참조).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배치 공간(201b)에 삽입되어 단말 플레이트(202)의 하측에 위치되고, 보조 스토퍼(213)는 기울어져, 보조 스토퍼(213)의 제 2 종단은 보조 스토퍼(213)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 및 디텍터부(12)는 디스플레이 개구(201a)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단말 플레이트(202)의 디텍터 마크(220)는 사용자 단말기(10)의 디텍터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부(12)는 디텍터 마크(220)를 검출하고, 디스플레이부(11)는 디텍터 마크(220)에 대응되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의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플레이트(202)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 및 앤서 개구(202b)는 각각 디스플레이부(11)의 제 1 종단 부분(도 12의 상측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 및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12(a) 참조).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에 대응되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을 음성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 및 앤서 개구(202b)를 통해 입력해야 할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 및 앤서 영역(b)을 빠르고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앤서 개구(202b)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앤서 영역(b)을 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는 터치된 앤서 영역(b)에 대응하도록 터치 마크(c)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터치 마크(c)가 디스플레이된 앤서 영역(b)에 대응하는 응답값이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는 동작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하우징(2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하우징(201)에서 무빙 가이드(211)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211)의 무빙 동력체(211a)는 무빙 전달체(211b)를 회전시켜, 무빙 전달체(211b)는 무빙 보조체(221)를 디스플레이부(11)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도 12의 하측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텍터 마크(220)는 디텍터부(12)로부터 멀어지도록 무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 플레이트(202)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 및 앤서 개구(202b)는 디스플레이부(11)에서 디스플레이된 다른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따른 앤서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단말 플레이트(202)의 일부는 하우징 공간(2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12(b) 참조).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앤서 개구(202b)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에 대한 앤서 영역(b)을 선택적으로 하나씩 터치하여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플레이트(202)가 무빙 가이드(211)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중 마지막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한 앤서 영역(b)을 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마지막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한 앤서 영역(b)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를 터치할 때, 사용자 단말기(10)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에 대응되고 선택된 앤서 영역(b)에 대응하는 응답값을 포함하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의 입력을 위한 다른 내용의 복수 개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는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하우징(2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하우징(201)에서 무빙 가이드(211)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211)의 무빙 동력체(211a)는 무빙 전달체(211b)를 회전시켜, 무빙 전달체(211b)는 무빙 보조체(221)를 디스플레이부(11)의 제 1 종단 부분(도 12의 상측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디텍터 마크(220)는 디텍터부(12)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디텍터 마크(220)가 디텍터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디텍터부(12)가 디텍터 마크(220)를 검출할 때, 사용자 단말기(10)는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단말 하우징(201)에 전송하고, 무빙 가이드(211)는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단말 플레이트(202)는 보조 스토퍼(213)에 의해 하우징 공간(210)의 제 1 종단면을 통과하도록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단말 플레이트(202)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개구(202a) 및 앤서 개구(202b)는 다시금 디스플레이부(11)의 제 1 종단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 및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12(a) 참조). 즉, 단말 하우징(201) 및 단말 플레이트(202)는 다른 내용의 복수 개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을 확인하면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를 입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요양보호일지 자동생성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에 단말 하우징(201) 및 단말 플레이트(202)를 적용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의 입력을 위한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 및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들에 대응되는 앤서 영역(b)은 하나의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하여 단말 플레이트(202)에 의해 물리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1)에 디스플레이되는 요양보호사 평가항목(a)에 대하여 앤서 영역(b)에 대응되는 응답값이 보다 정확하게 입력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사용자 단말기(10)에 요양보호사 평가항목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 사용자 단말기
20: 관계자 단말기
100: 맞춤형 케어 시스템
110: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
120: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
130: 케어서비스 추천부
140: 필요정보 제공부
150: 상품추천부
160: 사용자 진단부
170: 요양보호사 매칭부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 및 관계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자 단말기로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의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수집부;
    상기 업데이트 요청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 기존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에서 변동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데이터 변동기록을 송신하는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 변동알림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송신하는 케어서비스 추천부;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요양보호사 매칭부;를 더 포함하되,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케어 서비스 정보를 수신받는 제 1 단계;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부여한 케어 서비스별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숙련도를 수치화하는 제 2 단계;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선택한 케어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는 요양보호사를 추출하는 제 3 단계; 및
    케어서비스 추천부가 사용자에게 필요한 케어 서비스로 추출한 서비스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 숙련도 및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 숙련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요양보호사 리스트를 추출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고,
    상기 제 4 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제공받고자 선택한 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 숙련도에 가중치를 부여한 상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 단말기는 네트워크를 통해 맞춤형 케어 시스템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는 요양보호사 평가 정보를 입력받아 요양보호사 매칭부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요양보호사 평가 정보에 대한 요양보호사 평가 항목 및 요양보호사 평가 항목에 대응되는 응답값을 입력할 수 있는 앤서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이격되고 사용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디텍터부를 포함하고,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내부에는 양 종단면이 개방되고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사용자 단말기가 삽입될 수 있는 하우징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우징 공간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개구가 형성되며, 하우징 공간의 바닥면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배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무빙 가이드를 포함하는 단말 하우징;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요양보호사 평가 항목 개구 및 앤서 개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래크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무빙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무빙 보조체를 포함하는 단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무빙 가이드는,
    단말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 형태의 무빙 동력체; 및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동력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무빙 동력체에 연결되고 무빙 동력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무빙 보조체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 형태의 무빙 전달체를 포함하고,
    단말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삽입되어 위치되어, 무빙 보조체와 무빙 가이드의 무빙 전달체는 맞물리며,
    사용자 단말기는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배치 공간에 삽입되며, 디스플레이부 및 디텍터부는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단말 플레이트의 하측에 위치되며,
    무빙 가이드의 무빙 동력체가 무빙 전달체를 회전시킬 때, 무빙 보조체는 이동되어 단말 플레이트는 하우징 공간에서 이동하고,
    단말 하우징은,
    하우징 공간에서 무빙 가이드 및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 근처에 위치되고 하우징 공간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는 직사각 판 형상의 보조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보조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은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무빙 전달체에 인접하도록 하우징 공간의 내측면에 힌지 연결되고, 보조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에 접촉되거나 배치 공간으로부터 이격되며, 보조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의 하면에는 고무로 제조된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며,
    단말 플레이트가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고 사용자 단말기가 하우징 공간에 위치되지 않을 때, 보조 스토퍼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에 접촉되고 보조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보조 스토퍼의 제 1 종단 부분보다 하우징 공간의 제 1 종단면에 더 근접하도록 위치되고,
    사용자 단말기가 하우징 공간의 제 2 종단면을 통해 하우징 공간에 점점 삽입될 때, 보조 스토퍼는 사용자 단말기에 접촉되어 회동되고, 보조 스토퍼의 제 2 종단은 배치 공간으로부터 점점 이격되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단말 하우징의 디스플레이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보조 스토퍼의 스토퍼 돌기는 사용자 단말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되고, 보조 스토퍼의 제 2 종단이 보조 스토퍼의 제 1 종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보조 스토퍼가 단말 플레이트의 제 1 종단면과 마주하도록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지능형 웹 크롤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기능 데이터, 복약 현황 데이터, 기저 질환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URL 리스트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URL 리스트를 송신하는 필요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지식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추천물품을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추천물품 정보를 송신하는 상품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학습시키고, 학습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대여명 또는 사용자의 활동 능력을 추출하는 사용자 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진단부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필요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추출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특정 단말기로 필요한 물품 또는 서비스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요양보호사 매칭부는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제공받은 케어 서비스 경험, 다른 사용자가 요양보호사에게 부여한 케어 서비스별 평가데이터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수치화하는 제 5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의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해 파악한 사용자의 특성 및 상기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를 이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케어 서비스별 만족도에 관한 지식그래프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지식그래프에서, 연령, 기저질환, 케어 서비스 경험 데이터가 사용자와 가장 비슷한 다른 사용자를 유사 사용자로 추출하는 제 7 단계; 및
    사용자 자신이 제공받고자 하는 케어 서비스에 대해, 유사 사용자로부터 높은 케어 서비스 만족도를 얻은 요양수급자를 추출하고 사용자에게 매칭시키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요양보호사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맞춤형 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매칭된 요양보호사의 업무 적합도, 다른 사용자의 서비스별 만족도 평가데이터, 매칭 이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복수의 요양보호사 매칭결과를 사용자 또는 관계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또는 관계자는 매칭결과에 포함된 상기 정보를 기초로 요양보호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케어 시스템.
  10. 삭제
KR1020220161411A 2022-11-28 2022-11-28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KR10260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411A KR102603143B1 (ko) 2022-11-28 2022-11-28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1411A KR102603143B1 (ko) 2022-11-28 2022-11-28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143B1 true KR102603143B1 (ko) 2023-11-16

Family

ID=8896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1411A KR102603143B1 (ko) 2022-11-28 2022-11-28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1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046A (ko) * 2017-12-11 2019-06-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셋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045881A (ko) * 2018-10-23 2020-05-06 홈아너케어 주식회사 장기요양 서비스 중개 방법, 그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KR20210021875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비지팅엔젤스코리아 요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02280B1 (ko) * 2021-10-20 2022-05-25 김서현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046A (ko) * 2017-12-11 2019-06-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셋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045881A (ko) * 2018-10-23 2020-05-06 홈아너케어 주식회사 장기요양 서비스 중개 방법, 그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KR20210021875A (ko) * 2019-08-19 2021-03-02 주식회사 비지팅엔젤스코리아 요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02280B1 (ko) * 2021-10-20 2022-05-25 김서현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eenwood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evaluating technology-enabl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Clark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main mechanisms of heart failure disease management interventions
US2018006049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processing to recommend medical intervention activities for caregivers and/or human subjects
Wang et al.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with treatment recommendations based on patient similarity
Starkweather et al. The use of technology to support precision health in nursing science
Connolly et al. Health practices of critical care nurses: are these nurses good role models for patients?
Gyrard et al. Knowledge engineering framework for IoT robotics applied to smart healthcare and emotional well-being
Dobratz Hospice nursing. Present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ves.
Comito et al. Exploiting social media to enhance clinical decision support
KR102603143B1 (ko)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Johnson et al. The Iowa Model: A Proposed Model for Nursing Administration.
Gerard Practical Machine Learning in JavaScript
Nguyen et al. Designing a social mobile platform for diabetes self-management: a theory-driven perspective
Wilmoth et al. An Interactive IoT-based framework for Resource Management in Assisted living during pandemic
MacMillian et al. From hospital to community: a follow up of community placement of the long term mentally ill.
Cartabellotta Evidence-based medicine. 1. The transfer of research results to clinical practice. The Italian Group for Evidence-Based Medicine-GIMBE
Barker The philosophy of psychiatric nursing.
KR102432572B1 (ko) 재활요양병원 토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uang et al. DiabeticLink: an integrated and intelligent cyber-enabled health social platform for diabetic patients
Vargas et al.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knowledge use in the health care system in Mexico: The Newborn Screening Programme
Brougham et al. Our advice? Get a budget!
Montes-Gonzalez et al. The evolution of motivated and modulated robot selection
Ren et al. Medical intelligent system application in schizophrenia treatment satisfaction based on neural networks
Sands et al. Meeting information needs: analysis of clinicians' use of an HIV database through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Torres Vargas et al. Barriers and facilitators of knowledge use in the health care system in Mexico: the Newborn Screening Program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