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280B1 -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280B1
KR102402280B1 KR1020210139932A KR20210139932A KR102402280B1 KR 102402280 B1 KR102402280 B1 KR 102402280B1 KR 1020210139932 A KR1020210139932 A KR 1020210139932A KR 20210139932 A KR20210139932 A KR 20210139932A KR 102402280 B1 KR102402280 B1 KR 10240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umer terminal
product
information
terminal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현
Original Assignee
김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현 filed Critical 김서현
Priority to KR102021013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은,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제품들의 각각에 대한 제품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 영상 정보에 따른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생성부; 소비자 단말기가 정보 리스트 중에서 제품 영상 정보의 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생성할 때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선택 신호를 전송받고,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품 영상 정보를 선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선택 접수부; 및 제품 영상 정보를 전송받은 소비자 단말기가 구매 희망 신호를 생성할 때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받고,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로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 관리부를 포함하되, 구매 관리부는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Mobile trade home shopping system}
본 발명은 홈쇼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대면 상태에서도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 누구나 편리하게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을 전세계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쇼핑은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고, 시청자로 하여금 방송이 나가는 동안 전화 등의 수단을 통해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거래 방식이다. 홈쇼핑을 통한 상거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홈쇼핑 방송 채널이 운영되고 있다.
홈쇼핑의 방송영상은 녹화 영상과 현장 촬영 영상을 결합하여 제작되고,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녹화 영상은 제품을 설명하고 홍보하기 위하여 미리 제작된 홍보 영상들이다. 이러한 홍보 영상은 제품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나 세부적인 특징에 대한 설명을 멘트와 함께 영상으로 제공해준다. 또한, 현장 촬영 영상은 방송 중에 촬영된 영상으로서, 홈쇼핑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영상이다. 홈쇼핑 스튜디오에는 쇼호스트가 제품 설명/홍보를 진행하고, 판매할 제품이 전시된다. 쇼호스트는 현장에서 제품의 특징을 말로 설명하거나, 직접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쇼호스트 외에 모델 등과 같은 보조 출연자가 출연하기도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이 의류인 경우 모델들이 직접 옷을 착용하고 쇼를 보여주거나, 제품이 음식인 경우, 현장에서 직접 조리한 음식을 시식하는 장면이 연출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홈쇼핑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 발품을 팔지 않고서도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구매에 따른 소비자의 피로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홈쇼핑의 방송 영상은 텔레비전을 통해 특정한 시간 및 특정 지역에서만 시청가능한 실정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방송시간을 놓치면 제품을 구매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고, 방송 시간을 맞추더라도 해당 홈쇼핑에 따른 지역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방송영상을 시청하여 제품을 어느 정도 확인한 상태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누구나 어디서든지 홈쇼핑의 방송영상을 시청할 수 있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홈쇼핑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누구나 어디서든지 제품 영상을 시청하여 홈쇼핑처럼 편리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대면 상태에서 제품 영상의 쇼호스트에 의한 제품의 소개 및 설명을 통해 제품을 정확하고 안전하고 쉽게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고, 전세계 어디서든지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판매 시장을 확장하고 제품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국산 제품을 전세계적으로 판매할 수 있어, 한국의 중소기업 제품의 수출 시장을 확장시킬 수 있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은,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제품들의 각각에 대한 제품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 영상 정보에 따른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생성부; 소비자 단말기가 정보 리스트 중에서 제품 영상 정보의 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생성할 때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선택 신호를 전송받고,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품 영상 정보를 선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선택 접수부; 및 제품 영상 정보를 전송받은 소비자 단말기가 구매 희망 신호를 생성할 때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받고,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로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 관리부를 포함하되, 구매 관리부는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영상 정보는 제품 명칭,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 및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에는 관리자의 연락처 및 제품 가격이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는 제품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제품 명칭은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출력되며,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는 제품 소개 및 설명 동영상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제품 소개 및 설명 동영상에 중첩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에서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가 선택될 때, 소비자 단말기는 구매 희망 신호를 생성하여 구매 관리부로 전송하고, 구매 관리부는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에 대응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에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를 접속시키고, 소비자 단말기는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구매 정보를 입력하여 구매 관리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는 상이한 국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는 정보 저장부에 연결되고, 제품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정보 저장부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구매 관리부는 구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구매 관리부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이진값에 대하여 순서대로 순서 번호를 부여하되, 자연수가 1부터 1씩 증가하도록 부여하고, 상기 순서 번호들 중 어느 하나의 순서 번호를 회전 시작 번호로 결정하되, 상기 회전 시작 번호는 랜덤으로 생성되며, 상기 회전 시작 번호보다 순서 번호가 작은 디지털 신호의 이진값들을 디지털 신호의 마지막 이진값 뒤에 위치하도록 재배치시키는 회전 키크리에이팅 모듈;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1 회전 디스패칭 모듈; 및 상기 회전 시작 번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회전 디스패칭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된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 및 상기 회전 시작 번호를 전송받고,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상기 회전 시작 번호에 따라 역회전하여 역회전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리어셈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는 제품 및 제품 영상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아 구매 관리부에 전송하고, 구매 관리부는 평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소비자 단말기는, 소비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평가 정보에 대한 평가 문항 및 평가 문항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부; 및 소비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표시부로부터 이격되고 소비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은, 내부에는 소비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개방된 양 종단면을 가지면서 소비자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표시 개구가 형성되며,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는 소비자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확인 개구 및 입력 개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래크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동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이동 몸체를 포함하는 입력 가이드 몸체를 더 포함하며, 이동 가이드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의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 형태의 구동체; 및 수용 공간에 위치되어 구동체에 연결되고 구동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동 몸체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 형태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소비자 단말기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장착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표시부 및 감지부는 표시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입력 가이드 몸체가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되어, 소비자 단말기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동 몸체와 이동 가이드의 회전체는 맞물리며, 이동 가이드의 구동체가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이동 몸체는 이동되어 입력 가이드 몸체는 수용 공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몸체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에는 식별자가 형성되고, 입력 가이드 몸체가 표시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식별자는 감지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며, 표시부는 식별자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평가 문항들 및 평가 문항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을 출력하고, 입력 가이드 몸체의 확인 개구 및 입력 개구는 각각 표시부의 제 1 종단 부분에 출력된 하나의 평가 문항 및 하나의 평가 문항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소비자가 입력 개구를 통해 표시부에 출력된 입력 영역에 접촉될 때, 표시부는 접촉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선택 표시를 출력하며, 소비자 단말기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가이드 베이스에 전송하고, 구동체는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이동 몸체는 표시부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되고, 확인 개구 및 입력 개구는 표시부에 출력된 다른 평가 문항 및 다른 평가 문항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입력 가이드 몸체의 일부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누구나 어디서든 제품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홈쇼핑처럼 편리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2) 비대면 상태에서 제품 영상의 쇼호스트에 의한 제품의 소개 및 설명을 통해 제품이 정확하고 안전하고 쉽고 편리하게 확인되고 전세계 어디서든지 구매되도록 할 수 있다.
(3)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제품이 판매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 판매 시장이 확장되고 제품 판매량이 증가될 수 있다.
(4) 한국산 제품이 전세계적으로 판매되도록 하여, 한국의 중소기업 제품의 수출 시장이 확장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에서 출력된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 단말기에 접속되어 출력된 제품 판매 사이트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서 구매 관리부로부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구매 정보의 보안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서 소비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 및 입력 가이드 몸체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서 소비자 단말기에 입력 가이드 베이스 및 입력 가이드 몸체를 적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서 소비자 단말기에 적용된 입력 가이드 베이스 및 입력 가이드 몸체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의 실시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 저장부(101), 리스트 생성부(102), 선택 접수부(103) 및 구매 관리부(104)를 포함할 수 있고, 어디서든지 제품에 대한 제품 영상 정보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고, 관리자는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관리하면서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및 관리자는 상이한 국가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는 중국에 위치될 수 있고, 관리자는 한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제품에 대한 무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1명 또는 복수의 관리자와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소비자와 연결될 수 있다.
소비자 및 관리자는 각각 소비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소비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에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소비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는 각각 네트워크(1)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10) 및 관리자 단말기(20)는 각각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는, 복수 개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보 저장부(101)는 제품들의 각각에 대한 제품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01). 여기서, 제품들은 의류, 생활용품, 화장품 등 다양한 물건을 포함할 수 있고, 제품 영상 정보는 제품 명칭,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은 쇼호스트에 의해 제품에 대한 소개 및 설명을 구현되는 모습을 촬영한 동영상(도 3 내지 도 18 참조)으로서, 관리자의 연락처(예를 들어, 휴대폰 번호, 카카오톡 아이디 등) 및 제품 가격 등이 표기될 수 있다. 또한,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의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이 썬크림인 경우, 제품 명칭은 텍스트 형태인 썬크림, 쇼호스트에 의해 썬크림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 및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인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 저장부(101)는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정보 저장부(101)에 연결될 수 있고,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조작하여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을 포함한 제품 영상 정보를 정보 저장부(101)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리스트 생성부(102)는 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제품 영상 정보에 따른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02). 여기서, 정보 리스트는 정보 저장부(101)에 저장된 제품 영상 정보들을 목록 형태로 배열한 것으로서, 각각의 제품 영상 정보에 대한 제품 명칭 및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정보 리스트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는 정보 리스트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복수 개의 제품에 대한 제품 영상 정보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품 영상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접수부(103)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선택 신호를 전송받고,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품 영상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03). 여기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정보 리스트 중에서 제품 영상 정보를 선택할 때, 소비자 단말기(10)는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신호는 선택 접수부(103)에 전송되고, 선택 접수부(103)는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품 영상 정보를 정보 저장부(101)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제품 영상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전송한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품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제품 영상 정보의 제품 명칭,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제품 명칭은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출력될 수 있고,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는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에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가 선택될 수 있고, 소비자 단말기(10)는 구매 희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10)에 출력된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를 선택함으로써, 출력되는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에 대응되는 제품의 구매 의사를 드러낼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에 표기된 관리자의 연락처를 확인하고 관리자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직접 제품을 구매 의사를 관리자에게 드러낼 수 있다.
구매 관리부(104)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받고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10)로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04). 여기서, 확인 요청 정보는 소비자 단말기(10)에서 선택된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에 대응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일 수 있다. 즉, 소비자 단말기(10)는 선택된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에 대응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도 19 및 도 20 참조)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제품을 다른 형태로 확인하고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 정보는 제품 명칭, 제품의 구매 수량, 소비자 정보(예를 들어, 소비자의 연락처 및 주소), 결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비자는 구매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0)에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제품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구매 관리부(104)는 소비자 단말기(10)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05). 여기서,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구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제품을 소비자에게 배송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소비자는 구매 정보에 대응되는 제품을 구매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제품 명칭,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 등을 포함한 제품 영상 정보를 정보 저장부(101)에 저장하고, 선택 접수부(103)에서 소비자의 선택에 따른 제품 영상 정보를 소비자 단말기(10)에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제품 영상 정보에 대응되는 제품에 따른 구매 정보를 입력하여 구매 관리부(104)에 전송하고, 구매 관리부(104)는 구매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제품을 소비자에게 배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비자와 관리자는 상이한 국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소비자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인 소비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제품 영상 정보, 특히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을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상이한 국가의 소비자 및 관리자를 연결할 수 있어, 제품을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도 판매할 수 있는 무역을 구현할 수 있고, 제품 판매 시장을 확장하고 제품 판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 영상 정보, 특히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을 통해 홈쇼핑처럼 편리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 글로벌 시대인만큼 해외의 소비자도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고 해외에서도 홈쇼핑처럼 편리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글로벌 시대에 걸맞게 어디서든지 편리하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무역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을 통해 쇼호스트에 대한 상세한 제품 소개 및 설명을 확인할 수 있어, 비대면 상태에서도 정확하고 안전하고 쉽게 편리하게 제품을 확인한 후에 전세계 어디서든지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오늘날 한국산 제품이 전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상태이기에, 한국산 제품에 대한 판매 시장이 확장되고 판매량이 증대될 수 있다. 특히,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제품도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을 통해 판매 대행될 수 있어, 전세계적으로 판매되어 수출 시장이 새롭게 개척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제품을 수령한 이후에 소비자 단말기(10)를 통해 제품 및 제품 영상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입력된 평가 정보를 구매 관리부(104)에 전송할 수 있고, 구매 관리부(104)는 평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평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제품 및 제품 영상 정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를 확인할 수 있고 제품 및 제품 영상 정보를 개선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서 구매 관리부(104)로부터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되는 구매 정보의 보안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구매 관리부(104)로부터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되는 구매 정보의 보안화를 위하여, 구매 관리부(104)는 구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구매 관리부(104)는 전체 디지털 신호의 순서를 고려한 회전 시작 번호를 랜덤으로 생성하고, 처음 디지털 신호를 순서 번호 1로 시작하여 1씩 증가하고 마지막 디지털 신호를 자연수 D라고 할 경우, 회전 시작 번호보다 순서 번호가 작은 디지털 신호를 마지막 디지털 신호 뒤에 위치하도록 재배치시키는 회전 키크리에이팅 모듈;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하는 제 1 회전 디스패칭 모듈; 및 회전 시작 번호를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하는 제 2 회전 디스패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된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 및 회전 시작 번호를 전송받고,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회전 시작 번호에 따라 역회전하여 역회전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리어셈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디지털 신호가 "0101111011"일 경우, 회전 시작 번호가 4이면,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는 "1111011010"이 되고, 역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는 "0101111011"가 될 수 있다. 이는 도 21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먼저, 구매 관리부(104)는 구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회전 키크리에이팅 모듈은 디지털 신호의 이진값(여기서, 0101111011)에 대하여 순서대로 순서 번호(파란색 숫자)를 부여한다. 여기서, 순서 번호는 자연수가 1부터 1씩 증가하도록 부여된다(도 21(a) 참조).
순서 번호들 중 어느 하나의 순서 번호는 회전 시작 번호로 결정되고, 회전 시작 번호는 랜덤으로 생성된다(도 21(b) 참조).
회전 키크리에이팅 모듈은 회전 시작 번호(여기서는 4)보다 순서 번호가 작은 디지털 신호의 이진값들(여기서는, 순서번호 1, 2, 3에 해당하는 이진값 0, 1, 0)을 디지털 신호의 마지막 이진값(여기서는, 순서번호 10의 이진값 1) 뒤에 위치하도록 재배치시킨다. 즉, 디지털 신호가 반시계 방향으로 108도 회전한 것이 된다(도 21(c) 및 도 21(d) 참조).
이어서, 제 1 회전 디스패칭 모듈은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소비자 단말기(10)에 전송하고, 제 2 회전 디스패칭 모듈은 회전 시작 번호를 소비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회전 리어셈블링 모듈은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회전 시작 번호에 따라 역회전(시계방향으로 108도 회전)하여 역회전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디지털 신호의 절단 위치가 정확하게 복원되는 것이다(도 21(e) 참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서 소비자 단말기(10)에 적용되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서 소비자 단말기(10)에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를 적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에서 소비자 단말기(10)에 적용된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작동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자 단말기(10)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와 결합되고,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를 이용하여, 제품 및 제품 영상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구매 관리부(104)에 전송할 수 있다. 구매 관리부(104)는 전송받은 평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기(10)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소비자 단말기(10)의 일면에 위치되고 평가 정보에 대한 평가 문항(a) 및 평가 문항(a)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부(11) 및 소비자 단말기(10)의 일면에서 표시부(11)로부터 이격되고 소비자 단말기(10)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감지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가 문항은 "제품 영상 정보가 제품 구매에 도움이 되었습니까?", "확인하신 제품 영상 정보가 제품 구매에 영향을 주었습니까?", "제품은 만족스럽습니까?"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입력 영역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입력 영역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5개, 7개, 9개 등과 같이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는 소비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소비자 단말기(10)를 분리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에는 수용 공간(210), 표시 개구(201a) 및 장착 공간(201b)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210)은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의 내부에서 소비자 단말기(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양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수용 공간(210)의 양 종단면을 통과하여 수용 공간(210)에 수용될 수 있고, 일 방향(A)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표시 개구(201a)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용 공간(210)에 연결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가 수용 공간(210)에 수용될 때, 소비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 및 감지부(12)는 표시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장착 공간(201b)은 수용 공간(210)의 바닥면에 소비자 단말기(10)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표시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수용 공간(210)에 수용되어 장착 공간(20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표시부(11) 및 감지부(12)는 표시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표시 개구(201a)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는 이동 가이드(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21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의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A)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가 수용 공간(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이동 가이드(211)는 소비자 단말기(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수용 공간(2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이드(211)는 구동체(211a) 및 회전체(211b)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체(211a)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체(211b)는 피니언(pinion)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수용 공간(210)에 위치되어 구동체(211a)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체(211b)는 구동체(211a)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입력 가이드 몸체(202)는 표시 개구(201a)에 대응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가이드 몸체(202)는 수용 공간(210)에 삽입되어 이동 가이드(211)와 맞물릴 수 있고, 이동 가이드(211)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입력 가이드 몸체(202)에는 확인 개구(202a) 및 입력 개구(202b)가 형성될 수 있다.
확인 개구(202a)는 소비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에 출력되는 평가 정보를 위한 하나의 평가 문항(a)에 대응되는 크기로 입력 가이드 몸체(202)에 형성될 수 있다.
입력 개구(202b)는 소비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에 출력되는 평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 영역(b)에 대응되는 크기로 입력 가이드 몸체(202)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개구(202b)는 확인 개구(202a)와 조합하여 일 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동일 직선을 형성하도록 입력 가이드 몸체(202)에 위치될 수 있고, 입력 영역(b)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도 22의 입력 가이드 몸체(202)에서 상단 부분 참조)에는 식별자(2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220)는 QR 코드, 바 코드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가이드 몸체(202)가 수용 공간(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식별자(220)는 수용 공간(210)에 수용된 소비자 단말기(10)의 감지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2)는 식별자(220)를 감지하여, 표시부(11)는 식별자에 대응되는 평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평가 문항(a)들 및 평가 문항(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의 제 1 종단 부분에 출력되는 하나의 평가 문항(a) 및 하나의 평가 문항(a)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은 확인 개구(202a) 및 입력 개구(202b)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몸체(202)는 이동 몸체(2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몸체(221)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양측에서 일 방향(A)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몸체(221)는 래크(rack)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 가이드 몸체(202)가 수용 공간(210)에 삽입될 때, 이동 몸체(221)는 이동 가이드(211)의 회전체(211b)의 상측에 위치되고 회전체(211b)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몸체(221)와 회전체(211b)는 래크 기어와 피니언 기어의 결합 방식으로 맞물릴 수 있다. 구동체(211a)가 회전체(211b)를 회전시킬 때, 회전체(211b)는 이동 몸체(221)를 이동시켜 입력 가이드 몸체(2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는 소비자 단말기(10)에 적용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우선, 소비자 단말기(10)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의 수용 공간(2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도 24(a) 참조). 여기서, 소비자 단말기(10)는 장착 공간(20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고, 소비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 및 감지부(12)는 표시 개구(201a)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어서, 입력 가이드 몸체(202)가 수용 공간(210)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가이드 몸체(202)는 소비자 단말기(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동 몸체(221)는 이동 가이드(211)의 회전체(211b)와 맞물릴 수 있다.
입력 가이드 몸체(202)가 표시 개구(20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식별자(220)는 감지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2)는 식별자(220)를 감지하고, 표시부(11)는 식별자(220)에 대응되는 평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평가 문항(a)들 및 평가 문항(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확인 개구(202a) 및 입력 개구(202b)는 각각 표시부(11)의 제 1 종단 부분(도 24의 상측 부분)에 출력된 하나의 평가 문항(a) 및 하나의 평가 문항(a)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24(b) 참조). 여기서, 소비자 단말기(10)는 확인 개구(202a)에 대응되는 평가 문항(a)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확인 개구(202a) 및 입력 개구(202b)를 통해 입력해야 할 평가 문항(a) 및 입력 영역(b)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는 입력 개구(202b)를 통해 표시부(11)에 출력된 입력 영역(b)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1)는 접촉된 입력 영역(b)에 대응하도록 선택 표시(c)를 출력할 수 있고, 선택 표시(c)가 출력된 입력 영역(b)에 대응하는 입력값이 평가 문항(a)에 대하여 소비자 단말기(10)에 입력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에서 이동 가이드(211)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가이드(211)의 구동체(211a)는 회전체(211b)를 회전시켜, 회전체(211b)는 이동 몸체(221)를 표시부(11)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도 24의 하측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식별자(220)는 감지부(12)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확인 개구(202a) 및 입력 개구(202b)는 표시부(11)에 출력된 다른 평가 문항(a) 및 다른 평가 문항(a)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일부는 수용 공간(2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24(c) 참조).
상기와 같이 소비자는 입력 개구(202b)를 통해 표시부(11)에 출력된 평가 문항(a)들에 대한 입력 영역(b)을 선택적으로 하나씩 접촉시켜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가이드 몸체(202)가 이동 가이드(211)에 의해 계속해서 이동되어, 소비자는 표시부(11)에 출력된 평가 문항(a)들 중 마지막 평가 문항(a)에 대한 입력 영역(b)을 선택하고 접촉시켜야 할 수 있다. 소비자가 마지막 평가 문항(a)에 대한 입력 영역(b)을 선택하도록 표시부(11)를 접촉할 때, 소비자 단말기(10)는 평가 문항(a)들 및 평가 문항(a)들에 대응되고 선택된 입력 영역(b)에 대응하는 입력값을 포함하는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는 평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다른 내용의 복수 개의 평가 문항(a)들 및 평가 문항(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소비자 단말기(10)는 복원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에서 이동 가이드(211)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가이드(211)의 구동체(211a)는 회전체(211b)를 회전시켜, 회전체(211b)는 이동 몸체(221)를 표시부(11)의 제 1 종단 부분(도 24의 상측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220)는 감지부(12)에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식별자(220)가 감지부(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감지부(12)가 식별자(220)를 감지할 때, 소비자 단말기(10)는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에 전송하고, 이동 가이드(211)는 정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가이드 몸체(202)의 확인 개구(202a) 및 입력 개구(202b)는 다시금 표시부(11)의 제 1 종단 부분에 출력된 하나의 평가 문항(a) 및 하나의 평가 문항(a)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도 24(b) 참조). 즉,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는 다른 내용의 복수 개의 평가 문항(a)들 및 평가 문항(a)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을 확인하면서 평가 정보를 입력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기(10)에 입력 가이드 베이스(201) 및 입력 가이드 몸체(202)를 적용하여, 소비자 단말기(10)에 평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소비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에 출력되는 평가 정보의 입력을 위한 평가 문항(a)들 및 평가 문항(a)들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b)은 하나의 평가 문항(a)에 대하여 입력 가이드 몸체(202)에 의해 물리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 단말기(10)의 표시부(11)에 출력되는 평가 문항(a) 및 입력 영역(b)을 식별하기 어려운 저시력자(예를 들어, 노인, 시각 장애인 등)들도 소비자 단말기(10)에 용이하게 평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0: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101: 영상 저장부
102: 리스트 생성부
103: 선택 접수부
104: 구매 관리부

Claims (10)

  1.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에 있어서,
    제품들의 각각에 대한 제품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품 영상 정보에 따른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스트 생성부;
    소비자 단말기가 정보 리스트 중에서 제품 영상 정보의 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생성할 때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선택 신호를 전송받고,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품 영상 정보를 선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선택 접수부; 및
    제품 영상 정보를 전송받은 소비자 단말기가 구매 희망 신호를 생성할 때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받고,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로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 관리부를 포함하되,
    구매 관리부는 확인 요청 정보를 전송받은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구매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구매 관리부는 구매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구매 관리부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이진값에 대하여 순서대로 순서 번호를 부여하되, 자연수가 1부터 1씩 증가하도록 부여하고, 상기 순서 번호들 중 어느 하나의 순서 번호를 회전 시작 번호로 결정하되, 상기 회전 시작 번호는 랜덤으로 생성되며, 상기 회전 시작 번호보다 순서 번호가 작은 디지털 신호의 이진값들을 디지털 신호의 마지막 이진값 뒤에 위치하도록 재배치시키는 회전 키크리에이팅 모듈;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1 회전 디스패칭 모듈; 및 상기 회전 시작 번호를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2 회전 디스패칭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된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 및 상기 회전 시작 번호를 전송받고, 회전된 전체 디지털 신호를 상기 회전 시작 번호에 따라 역회전하여 역회전된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 리어셈블링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품 영상 정보는 제품 명칭,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 및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에는 관리자의 연락처 및 제품 가격이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기는 제품 영상 정보를 전송받아 출력하고,
    제품 명칭은 제품 소개 설명 동영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출력되며,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는 제품 소개 및 설명 동영상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제품 소개 및 설명 동영상에 중첩되도록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기에서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가 선택될 때, 소비자 단말기는 구매 희망 신호를 생성하여 구매 관리부로 전송하고,
    구매 관리부는 제품 판매 사이트 주소에 대응되는 제품 판매 사이트에 구매 희망 신호를 전송한 소비자 단말기를 접속시키고,
    소비자 단말기는 제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구매 정보를 입력하여 구매 관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기 및 관리자 단말기는 상이한 국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기는 정보 저장부에 연결되고, 제품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정보 저장부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소비자 단말기는 제품 및 제품 영상 정보에 대한 평가 정보를 입력받아 구매 관리부에 전송하고, 구매 관리부는 평가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소비자 단말기는,
    소비자 단말기의 일면에 위치되고 평가 정보에 대한 평가 문항 및 평가 문항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표시부; 및
    소비자 단말기의 일면에서 표시부로부터 이격되고 소비자 단말기의 제 1 종단 부분에 위치되는 카메라 또는 센서 형태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은,
    내부에는 소비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개방된 양 종단면을 가지면서 소비자 단말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표시 개구가 형성되며,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는 소비자 단말기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장착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각각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 가이드를 포함하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 및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확인 개구 및 입력 개구가 형성되며, 양측에 일 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래크 기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동 가이드와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이동 몸체를 포함하는 입력 가이드 몸체를 더 포함하며,
    이동 가이드는,
    입력 가이드 베이스의 측면에 위치되는 모터 형태의 구동체; 및
    수용 공간에 위치되어 구동체에 연결되고 구동체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동 몸체와 맞물릴 수 있는 피니언 기어 형태의 회전체를 포함하고,
    소비자 단말기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장착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표시부 및 감지부는 표시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입력 가이드 몸체가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수용되어, 소비자 단말기의 상측에 위치되고, 이동 몸체와 이동 가이드의 회전체는 맞물리며,
    이동 가이드의 구동체가 회전체를 회전시킬 때, 이동 몸체는 이동되어 입력 가이드 몸체는 수용 공간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입력 가이드 몸체의 하면의 제 1 종단 부분에는 식별자가 형성되고,
    입력 가이드 몸체가 표시 개구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때, 식별자는 감지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며, 표시부는 식별자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평가 문항들 및 평가 문항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을 출력하고, 입력 가이드 몸체의 확인 개구 및 입력 개구는 각각 표시부의 제 1 종단 부분에 출력된 하나의 평가 문항 및 하나의 평가 문항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소비자가 입력 개구를 통해 표시부에 출력된 입력 영역에 접촉될 때, 표시부는 접촉된 입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선택 표시를 출력하며, 소비자 단말기는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가이드 베이스에 전송하고,
    구동체는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이동 몸체는 표시부의 제 1 종단 부분의 반대편인 제 2 종단 부분을 향하도록 이동되고, 확인 개구 및 입력 개구는 표시부에 출력된 다른 평가 문항 및 다른 평가 문항에 대응되는 입력 영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입력 가이드 몸체의 일부는 수용 공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KR1020210139932A 2021-10-20 2021-10-20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KR102402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32A KR102402280B1 (ko) 2021-10-20 2021-10-20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932A KR102402280B1 (ko) 2021-10-20 2021-10-20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280B1 true KR102402280B1 (ko) 2022-05-25

Family

ID=8179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932A KR102402280B1 (ko) 2021-10-20 2021-10-20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2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7920B1 (ko) * 2022-09-13 2022-12-16 (주)헬프네이쳐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필름 가공 장치
KR102512326B1 (ko) * 2022-09-13 2023-03-22 (주)헬프네이쳐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필름 처리 장치
KR102516648B1 (ko) * 2022-09-29 2023-03-30 이승곤 지능형 배터리 센서를 적용한 차량에 적합한 시동용 배터리 조정 장치
KR102528503B1 (ko) * 2022-09-05 2023-05-04 주식회사 피지오 전문가와 연계되는 온라인 재활 운동 시스템
KR102528502B1 (ko) * 2022-09-05 2023-05-08 주식회사 피지오 통증 정도 및 통증 부위를 이용한 온라인 재활 운동 시스템
KR102578700B1 (ko) * 2022-09-28 2023-09-14 전상철 도어를 이용한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
KR102603143B1 (ko) * 2022-11-28 2023-11-16 유성호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KR20240016620A (ko) *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스윔어바웃 사원증 수납형 핸드폰 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75A (ko) * 2004-02-13 2005-08-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방향 방송서비스를 보완한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방법
KR200435760Y1 (ko) * 2006-09-28 2007-02-15 김재곤 접지식 주머니 학습카드
KR20120053657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83232B1 (ko) * 2020-08-18 2021-07-30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라이브 영상 방송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및 실시간 상품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75A (ko) * 2004-02-13 2005-08-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방향 방송서비스를 보완한 방송,통신 융합서비스 방법
KR200435760Y1 (ko) * 2006-09-28 2007-02-15 김재곤 접지식 주머니 학습카드
KR20120053657A (ko) * 2010-11-18 2012-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책 단말기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83232B1 (ko) * 2020-08-18 2021-07-30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라이브 영상 방송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및 실시간 상품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620A (ko) * 2022-07-29 2024-02-06 주식회사 스윔어바웃 사원증 수납형 핸드폰 케이스
KR102640116B1 (ko) * 2022-07-29 2024-02-27 주식회사 스윔어바웃 사원증 수납형 핸드폰 케이스
KR102528503B1 (ko) * 2022-09-05 2023-05-04 주식회사 피지오 전문가와 연계되는 온라인 재활 운동 시스템
KR102528502B1 (ko) * 2022-09-05 2023-05-08 주식회사 피지오 통증 정도 및 통증 부위를 이용한 온라인 재활 운동 시스템
KR102477920B1 (ko) * 2022-09-13 2022-12-16 (주)헬프네이쳐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필름 가공 장치
KR102512326B1 (ko) * 2022-09-13 2023-03-22 (주)헬프네이쳐 생분해성 필름 제조용 필름 처리 장치
KR102578700B1 (ko) * 2022-09-28 2023-09-14 전상철 도어를 이용한 독거 노인 관리 시스템
KR102516648B1 (ko) * 2022-09-29 2023-03-30 이승곤 지능형 배터리 센서를 적용한 차량에 적합한 시동용 배터리 조정 장치
KR102603143B1 (ko) * 2022-11-28 2023-11-16 유성호 퍼스널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케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280B1 (ko) 모바일 무역 홈쇼핑 시스템
JP6416318B2 (ja) イメージ認証キーを用いたtvとスマートフォンの連動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ant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32669B1 (ko)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안내되는 사진 및 비디오
US201301106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yment in broadcast receiver using mobile terminal having card reader function
US20130246218A1 (en) Remote third party payment of in-store items
WO2016000394A1 (zh) 一种信息获取方法及装置
US20110246291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s of dynamic product content display and synchronized distributed programming
US98049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ata tags to track and manage tasks to provide object-to-object services
CN103164412A (zh) 通过图形编码访问网络信息的方法、客户端装置及服务器
US20090300106A1 (en) Mobile book-marking an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CN103944864A (zh) 信息传输方法、信息发送装置、接收装置及系统
EP3048571A1 (en) Tag data appl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036412A (zh) 导购系统、导购管理装置及方法
US20220067803A1 (en) Method of providing un-contact commerce service and commerce server performing the same
CN106296151A (zh) 一种电视节目的支付方法、装置及设备
CN10620401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第一终端、第二终端及服务器
CN107710260A (zh) 二维码信息传输方法、电子保修方法及系统
CN110852815B (zh) 数据处理方法、装置和机器可读介质
CN101441748A (zh) 结合位置信息的移动商务系统、其可携式电子装置及其方法
US9569800B2 (en) Paperless receipt device
KR102284672B1 (ko) 온라인 쇼핑몰 관리 시스템
US956014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tag based object-to-object applications
US9911152B2 (en) Distribution channel using audio/visual recognition
KR20220031959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라이브 쇼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