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097B1 -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 Google Patents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097B1
KR102603097B1 KR1020220187547A KR20220187547A KR102603097B1 KR 102603097 B1 KR102603097 B1 KR 102603097B1 KR 1020220187547 A KR1020220187547 A KR 1020220187547A KR 20220187547 A KR20220187547 A KR 20220187547A KR 102603097 B1 KR102603097 B1 KR 10260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activated carbon
volume
adsorp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성춘
Original Assignee
현성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성춘 filed Critical 현성춘
Priority to KR102022018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72Details of the fuel vapour pipes or cond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활성탄이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것으로, 일단에는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12) 및 엔진의 작동시 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활성탄에 흡착된 충만 증발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유입할 수 있도록 한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되되, 상기 활성탄이 충진되는 캐니스터 내부의 단면적이 상기 대기유입구(116) 방향으로 점차 축소되어 깔대기 형상으로 내부 용적이 감소될 수 있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Canister using volume change of single chamber}
본 발명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캐니스터 내부의 용적을 줄여 BWC(Butane Working Capacity : 부탄 흡착 능력)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챔버를 구비하지 않고도 효과적인 흡착 성능을 갖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연료 시스템으로부터의 가솔린 연료의 증발가스(탄화수소)는 공기 오염의 주요한 잠재적 요소이다. 이러한 연료 증발가스(탄화수소) 배출은 차량이 급유 중이거나 주차될 때, 즉 엔진이 꺼져 있을 때 발생한다. 그러한 배출은, 연료 시스템으로부터 배출되는 연료 증발가스(탄화수소)를 흡착하기 위해 활성탄을 채용하는 캐니스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연료탱크 내부에 채워지는 가솔린은 연료펌프에 의해 엔진으로 보내지며 이 중,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다시 연료탱크로 보내지게 된다. 이렇게 연료탱크로 다시 보내진 연료는 엔진 구동시 엔진의 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특히 여름철과 같이 주위온도가 고온으로 올라가는 경우에는 상기 연료탱크 내의 가솔린 온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연료탱크 내에서 가솔린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증발가스(탄화수소)를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증발가스(탄화수소)는 연료탱크에 결합된 배관라인을 타고 연료탱크 외부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렇게 외부로 빠져나오는 증발가스(탄화수소)를 모아두는 저장소의 역할을 행하는 것이 바로 캐니스터(canister)이다.
캐니스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자동차의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증발가스를 캐니스터 내부에 구비된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엔진 작동으로 인한 부압(vacuum) 발생시 활성탄에 흡착된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이송하여 연소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의 증발가스 배출을 방지하여 각국의 차량 증발가스 발생 규제를 만족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는 종래 캐니스터의 내부는 연료 증발가스를 흡착하기 위하여 입상탄(Granule 형상), 펠렛형상 및 허니콤 형상의 활성탄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러한 활성탄의 가스흡착 성능이 자동차의 증발가스 배출 환경 규제 대응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특히, 최근 자동차의 연비 및 오염물질 배출에 관하여 이슈가 지속됨에 따라 캐니스터 내부 활성탄의 압력 손실 저하, 증발가스(탄화수소)의 탈착성능과 지속성 개선, 높은 생산성 및 필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는 캐니스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캐니스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형화된 일정한 형상의 하우징(10) 내에 복수개의 챔버(1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챔버(12)에 활성탄이 충진된 것으로, 차량의 일정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설치장소가 비좁거나 협소할 경우 설치가 까다로운 단점이 있는 등 수리 및 교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정형화된 하우징(10) 내에 활성탄을 충진하는데 있어서도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캐니스터는 통상 복수의 챔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챔버 내에 1~3개 종류의 활성탄을 사용하고, 각국의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별도의 보조캐니스터를 설치하여 가솔린 에미션(Gasoline Emission)을 줄이도록 하여 캐니스터 시스템(Canister system)에 사용하는 활성탄의 종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필요 이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활성탄을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구매비용 상승과, 보관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또한 캐니스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를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니스터 내부의 용적을 줄여 BWC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BWC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여 흡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협소한 공간에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에 따른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정형화된 캐니스터 형상이 아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형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에서 캐니스터가 차지하는 공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활성탄이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것으로, 일단에는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구 및 엔진의 작동시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에 흡착되어 있는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에 흡착된 증발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유입할 수 있도록 한 대기유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활성탄이 충진되는 캐니스터 내부의 단면적이 상기 대기유입구 방향으로 점차 축소되어 깔대기 형상으로 내부 용적이 감소될 수 있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가 제공되며, 이러한 내부 용적 감소 구간을 다단으로 배치하는 캐니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는 캐니스터 내부의 용적을 줄여 BWC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다단 구조로 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BWC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등 증발가스의 흡탈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처럼 보조 캐니스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증발가스의 흡탈착 능력을 향상시켜 캐니스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주름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를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차량 내의 협소한 공간에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며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니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의 형상이 변형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 대기유입구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캐니스터의 외주면에 고정구가 형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캐니스터(100) 내부의 용적을 감소시키고 이를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어 활성탄 및 활성탄소재가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캐니스터(100)의 일단에는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12) 및 엔진의 작동시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에 흡착되어 있는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상기 캐니스터(100)의 타단에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에 흡착된 증발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유입할 수 있도록 한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가 충진되는 캐니스터(100) 내부의 단면적이 점차 축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니스터(100) 내부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중공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는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일단에서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타단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깔대기 형상으로 상기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방향을 향할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용적을 감소시켜 충진되는 활성탄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BWC(Butane Working Capacity : 부탄 흡착 능력)의 용량을 감소시켜 주유중 또는 주/정차중 발생하는 다량의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증발가스 포집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니스터(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상, ㄴ자형상, U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 및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캐니스터(100)의 임의의 위치에 주름부(114)를 구성토록 하여 절곡 등 변형을 보다 자유롭고 용이하게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름부(114)는 자바라 형태로 복수개의 주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유롭게 일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를 구비하여 다단으로의 절곡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니스터(100) 내부에 충진되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는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는 분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직물(직포, 부직포), 플라스틱 구조물, 금속 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담체에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부착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캐니스터(100) 내에 충진되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는 다양한 형태로 충진될 수 있는 증발가스를 흡착할 수 있는 구조 및 구성이라면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활성탄 이외의 증발가스를 흡탈착할 수 있는 소재의 구성 및 구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캐니스터(100)의 내부 용적 감소만을 이용하여 증발가스의 포집능력을 극대화한 것으로,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위치된 캐니스터(100)의 일단측에는 BWC 11 이상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사용하고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타단측에는 BWC 8 이상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캐니스터(100)의 내부 용적을 줄여 BWC의 용량을 감소시키는 한편,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의 종류를 달리하는 방식으로 BWC의 그라데이션(Gradation: 단계적 차이) 효과를 부여하여 증발가스의 포집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대기유입구(116)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게 연장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5)는 캐니스터(100)의 대기유입구(116) 말단을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하여 엔진 정지시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대기유입구(116)를 통해 배출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검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캐니스터(100) 내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통해 대다수의 증발가스를 포집하고, 포집되지 않은 일부의 증발가스는 상기 연장부(115)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대기유입구(116)를 약 40cm의 길이만큼 연장되게 형성하여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각국의 가솔린 에미션(Gasoline Emission) 규제를 만족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장부(115)의 길이를 40cm 가량 연장되게 형성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사용 가능하다.
예컨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의 형상을 유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일단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A영역과, A영역과 연통되게 형성되되 점차 작은 내부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B영역으로 구획한 후 B영역의 말단에 내부 직경이 점차 확장되는 역깔대기 형상의 C영역을 이루도록 연장부(115)를 형성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축소 및 확산되게 할 수도 있다. 즉, 공기가 확장 및 축소되는 방식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유입구(116)가 위치된 일단을 역깔대기 모양으로 형성하게 되면, 엔진에 부압이 발생할 경우 대기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캐니스터 내부를 비우게 되는데, 대기유입구(116)를 통해 캐니스터(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속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배출구(113)로의 퍼지가 쉽게 되는 잇점이 있다. 여기서, 퍼지가 쉬워질수록 자동차의 연비는 향상되고, 친환경차에 가까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100) 내부의 용적변화를 극대화하기 위해 복수개의 A영역과, B영역을 교번되게 형성되도록 하는 등 다단형으로 형성하고 B영역의 말단에 내부의 용적이 확장 및 축소되게 연장부(115) 즉, C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캐니스터를 다단으로 복수개의 영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A,B,C영역은 비율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캐니스터(100)의 말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15) 내에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가 충진되지 않은 것으로, C영역이 위치되는 상기 캐니스터(100) 내에는 내부에 충진된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필터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차량에 고정시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에 고정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구(117)는 상기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117)에는 차량에 고정을 위한 볼트가 삽입될 수 있게 볼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구(117)를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게 상기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링(11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링(111)에 고정구(117)가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링(111)이 회전되는 상기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에는 회전링(111)의 원활한 회전 및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링(1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지지홈(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117)가 상기 회전링(111)을 통해 캐니스터(1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캐니스터(100)를 원하는 형태로 가변시킨 후에도 안정적으로 차량의 엔진룸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하여 용적을 점차 줄이도록 설명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니스터(100)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되, 길이방향 중심을 기점으로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일측을 A영역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일측을 B영역으로 구분한 후, A영역에 비해 B영역의 용적이 급격히 감소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보다 급격한 용적 감소를 통해 단계적 차이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증발가스를 포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시예를 표현한 도면으로서, 캐니스터(100)의 외형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하지 않고, 내부와 마찬가지로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100)는 내부를 깔대기 형상으로 용적이 감소되도록 하여 단위 부피당 BWC(부탄 흡탈착 능력) 하락효과가 있도록 하였다. 즉,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일단측에 BWC 11 이상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사용하고,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일단측에 BWC 8 이상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사용하여도 캐니스터(100) 내부의 용적을 줄이는 방식으로 BWC의 용량을 감소시켜 그라데이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BWC 8 이하의 활성탄 및 보조캐니스터의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용적을 줄이는 방식으로 형성하여 단위 부피당 BWC가 하락하도록 함으로써 최종 외부로 배출되는 탄화수소 증발가스 배출량이 1.25g/Day이하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니스터(100)의 외형을 원통형으로 형성토록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등 내부에 활성탄을 충진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캐니스터
111 : 회전링
112 : 유입구
113 : 배출구
114 : 주름부
115 : 연장부
116 : 대기유입구
117 : 고정구

Claims (12)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가 충진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것으로, 일단에는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12) 및 엔진의 작동시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에 흡착되어 있는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에 흡착된 증발가스를 외기로 배출하거나 유입할 수 있도록 한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되되, 상기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가 충진되는 캐니스터 내부의 단면적이 상기 대기유입구(116) 방향으로 점차 축소되어 깔대기 형상으로 내부 용적이 감소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로서,
    상기 캐니스터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점으로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일측을 A영역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일측을 B영역으로 구분한 후, A영역에 비해 B영역의 캐니스터 내부 단면적이 급격히 감소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캐니스터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직경이 축소되었다 확장되는 영역이 다단으로 복수개를 갖도록 하여 부피변화에 따른 증발가스 또는 공기의 유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 상기 캐니스터(100)의 일단측에는 BWC 11 이상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사용하고, 상기 대기유입구(116)가 형성된 상기 캐니스터(100)의 타단측에는 BWC 8 이상의 활성탄 및 흡탈착소재를 사용하며,
    상기 대기유입구(116)측에는 40cm의 길이를 갖게 연장부(115)가 연장형성되되, 내부가 역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캐니스터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동되는 속도를 느리게 하여 증발가스가 배출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하고, 퍼지시에는 공기 유속을 증가시켜 퍼지가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회전링(11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링(111)에 볼트를 이용하여 차량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117)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는 ㄱ자형상, ㄴ자형상, U자형상, Z형상으로 절곡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는 길이방향 임의의 위치에 복수개의 주름으로 이루어진 주름부(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14)는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주름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14)는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니스터는 탄화수소 증발가스 배출량이 1.25g/Day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KR1020220187547A 2022-12-28 2022-12-28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KR10260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547A KR102603097B1 (ko) 2022-12-28 2022-12-28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547A KR102603097B1 (ko) 2022-12-28 2022-12-28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097B1 true KR102603097B1 (ko) 2023-11-15

Family

ID=8874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547A KR102603097B1 (ko) 2022-12-28 2022-12-28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0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423A (ja) * 1984-09-27 1986-05-01 アルコ・ケミカル・カンパニー ビニル重合体ポリオール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
JPH0942080A (ja) * 1995-07-26 1997-02-10 Toyota Motor Corp キャニスタ
JP2009019572A (ja) * 2007-07-12 2009-01-29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キャニスタとキャニスタ用吸着材およびその吸着材の製造方法
KR20180107509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리한 보조 캐니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5423A (ja) * 1984-09-27 1986-05-01 アルコ・ケミカル・カンパニー ビニル重合体ポリオール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
JPH0942080A (ja) * 1995-07-26 1997-02-10 Toyota Motor Corp キャニスタ
JP2009019572A (ja) * 2007-07-12 2009-01-29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キャニスタとキャニスタ用吸着材およびその吸着材の製造方法
KR20180107509A (ko) *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리한 보조 캐니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0224B2 (ja) 蒸発排出物制御システムからの排出物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6503301B2 (en) Fuel vapor treatment canister
US3572014A (en) Engine air cleaner carbon bed filter element construction
US7134426B2 (en) Fuel vapor treatment device
JP5461564B2 (ja) 燃料蒸気貯蔵装置
JP3912048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20090013973A1 (en) Fuel vapor storage canister, fuel vapor adsorbent for canister, and method of producing fuel vapor adsorbent
US8082906B2 (en) Air duct for engine
EP2689952B1 (en) Fuel vapor storage and recovery apparatus
KR20070007297A (ko) 자동차 캐니스터용 x형 스프링 체적 보상 장치
JP2009250059A (ja) キャニスタ
US6652629B2 (en) Filter apparatus
JP6628992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CN101155985B (zh) 一种控制车辆燃料蒸气排放的系统
KR102603097B1 (ko) 단일 챔버의 부피 변화를 이용한 캐니스터
US20110114741A1 (en) Mobile heating device
CN202832866U (zh) 燃油蒸气碳罐、碳氢化合物储存碳罐和车辆系列
CN113027640A (zh) 燃料吸附装置及使用该燃料吸附装置的蒸发燃料处理设备
JPH1037812A (ja) 燃料蒸散防止装置
JP2008202604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20090111177A (ko) 차량용 캐니스터 유닛
JP7181254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20230024594A (ko) 가변형 캐니스터
JP2023072474A (ja) キャニスタ
WO2023120119A1 (en) Evaporated fuel adsorption device and method,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and corresponding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