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210B1 - 환풍기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환풍기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210B1
KR102602210B1 KR1020210088048A KR20210088048A KR102602210B1 KR 102602210 B1 KR102602210 B1 KR 102602210B1 KR 1020210088048 A KR1020210088048 A KR 1020210088048A KR 20210088048 A KR20210088048 A KR 20210088048A KR 102602210 B1 KR102602210 B1 KR 10260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protrusion
magne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607A (ko
Inventor
김정환
김규현
김은구
이병웅
박근혁
정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펠
Priority to KR102021008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2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풍기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필터 교체 등 유지관리가 용이한 환풍기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은, 임펠러가 수납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을 덮으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관통형성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일 모서리끼리 힌지결합되며, 상기 일 모서리와 마주보는 측의 모서리에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풍기 커버 구조 {Ventilator cover structur}
본 발명은 히터와 팬을 포함하여 더운 바람을 송풍시키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공기를 환기하거나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환풍기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풍기는 환풍기 본연 기능인 환기 기능에 국한되어 개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환풍기는 케이싱, 케이싱 내부에 장착되는 구동 모터와 임펠러, 케이싱의 전면에 결합되는 그릴커버 등의 기본적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사용자에 의해 환풍기에 전원이 인가되어 임펠러가 작동되면 실내 측 공기는 판상 그릴 커버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을 통해 케이싱 내부로 강제 유입된 후 임펠러가 배치 되는 와선형 공기 유로를 거쳐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최근 환풍기의 기능이 다변화되면서, 환풍기가 본래 기능에서 벗어나 온풍, 청풍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이런 바람을 이용하여 빨래를 건조시키는 건조 기능을 추가한 제품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풍기 겸용 환풍기의 경우, 임펠러 케이싱 내부에 댐퍼를 설치하며, 임펠러 케이싱에 히터 모듈을 복수 개소에서 볼팅체결함에 따라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환풍기를 난방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히터측 그릴이 항상 개방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필터는 주기적인 세척 또는 교체가 필요한데, 환풍기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필터를 더욱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176호(2005.08.0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7506호(2018.09.2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환풍기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필터 교체 등 유지관리가 용이한 환풍기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환풍기 커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임펠러가 수납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을 덮으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관통형성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일 모서리끼리 힌지결합되며, 상기 일 모서리와 마주보는 측의 모서리에 개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에 제1커버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에 제2커버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개폐부 및 제2커버개폐부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자석이고, 상기 제1커버개폐부 및 제2커버개폐부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요입되도록 설치되며, 돌출되는 길이가 요입되는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개폐부 및 제2커버개폐부에 의해 상기 제1커버 및 제2커버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흡입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측으로 요입되어 턱을 이루도록 필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장착부와 면접촉하는 필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착부 및 필더가 서로 접촉하는 면 상에 각각 자석이 포함되어, 상기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광원의 상태를 상기 제2커버의 외측으로 표시하는 표식부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식부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표식부는 하나의 패널 형상으로 상기 제2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유도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광원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풍기를 천장에 설치하더라도 힌지 구조를 이용하여 제2커버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교체나 청소 등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는 종래 제2커버를 완전히 분리하여 바닥에 내려놓은 후 내부 작업을 하고, 다시 제2커버를 제1커버에 조립하였던 것과 비교할 때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석을 이용하여 제2커버를 개폐함으로써 종래 볼팅 체결하는 방식보다 훨씬 간편하며, 종래 란스 또는 후크로 체결하는 방식에 비하여 내구성이 좋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장착에도 자석을 이용하여, 필터 고정을 위한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필터 교체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내측에 기판을 설치할 수 있고, 이 기판에 형성된 광원의 상태를 제2커버 외측에서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을 안정적인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제품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며, 나아가 하나의 표식부로 여러 광원의 상태를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 및 작업 공정을 단순화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환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구동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슬라이딩부재가 이동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 히터부의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종단면도,
도 10은 임펠러 케이스에 히터부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임펠러 케이스에 히터부가 장탁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 환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커버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구동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슬라이딩부재가 이동된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 히터부의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종단면도, 도 10은 임펠러 케이스에 히터부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임펠러 케이스에 히터부가 장탁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온풍기(1)의 일실시예는, 임펠러(20)가 수납되는 하우징(10)과, 임펠러(20)에 결합되는 히터부(30)와, 하우징(10)을 덮는 제1커버(50)와, 제1커버(50)와 이격되어 공기가 도입되도록 설치되는 제2커버(60)와, 제2커버(60)에 형성된 슬라이딩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 온풍기(1)는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할 수 있으며,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히터를 거쳐 실내로 재 배출 함으로써 실내 난방을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상부 및 하부에 관한 기재를 하였으나, 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이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상하부가 반전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은 사각 박스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천장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개구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와 천장면을 맞대어 설치함과 동시에, 제1커버(50) 등을 플랜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는 임펠러(20), 히터부(30), 모터 및 제어를 위한 기판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임펠러(20)는 원심팬일 수 있다. 따라서 임펠러 케이스(21)는 의 중앙 부분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와, 공기가 회전하는 날개를 통과하면서 접선방향(또는 흡입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토출부를 통해 배기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 배기를 위한 토출구가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토출부 단부에 형성되며, 난방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토출부 일측면에 히터측 토출구(22)가 개구형성될 수 있다. 히터측 토출구(22)는 도면과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22a)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히터부(3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히터부(30)는 제1몸체(31)와 제2몸체(37)가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몸체(31)는 임펠러(20) 케이스(21)에 형성된 히터측 토출구(22)에 결합되고, 제2몸체(37)에는 그릴이 형성되어 히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1몸체(31)는 중공 구조로 공기가 상기 임펠러(20)와 연통하여 관통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히터측 토출구(22)에 삽입되어 일 모서리에 걸리도록 후크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부(3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31) 중 제1결합부(32a)가 형성된 면은 히터측 토출구(22)에 형성된 모서리(22a) 부분에 걸려 접하며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몸체(31) 중 제1결합부(32a)가 형성된 면의 단면과 상기 히터측 토출구(22) 모서리(22a)는 동일한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측 토출구(22) 모서리(22a)가 직선인 경우 제1몸체(31)의 일측면 또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31)에는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댐퍼(34)가 형성되며, 댐퍼(34)를 회전 구동시키는 댐퍼모터(33)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댐퍼(34)가 닫힌 위치에서 제1몸체(31) 내측 둘레를 따라 댐퍼(34) 형상에 대응되는 댐퍼리브(35)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는 댐퍼(34)가 닫힌 상태에서 누기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제1몸체(31)의 상부에는 제2몸체(37)와의 조립을 위한 제1조립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조립부(36)는 레일 형상이고, 제2조립부(38)는 리브 형상으로 설명하나, 제1조립부(36)가 리브형상이고, 제2조립부(38)가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무관하다.
제1조립부(36)는 제2몸체(37)의 제2조립부(3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포함하는 레일을 형성하며, 상세하게는 제2조립부(38)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36a)가 상기 제1몸체(31)의 상부 개구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돌기(36a)와 제1몸체(31)의 상면 사이로 제1몸체(31)가 조립되게 된다. 이탈방지돌기(36a)는 제2조립부(38)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경사면(42b)으로 도입부(36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입부(36b)는 삽입되는 부분이 더욱 넓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탈방지돌기(36a)에는 하방으로 가압돌기(36c)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트(dot) 형상으로 제2몸체(37)의 삽입을 크게 저항하지 않으면서 제1몸체(31)와 제2몸체(37)가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가압돌기(36c)는 이탈방지돌기(36a)가 아닌 이와 마주보는 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조립부(36)를 형성하는 레일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조립부(36)와 제2조립부(38)가 조립되는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37) 또한 중공 구조로 임펠러(20) 및 제1몸체(31)와 연통하여 공기가 관통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며, 하부에 제1조립부(36)와 조립되는 제2조립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조립부(38)는 제2몸체(37)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조립부(3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1몸체(31)와 제2몸체(37)가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2몸체(37)의 타측에는 제2결합부(32b)가 형성될수 있다. 제2결합부(32b)는 히터부(30) 전체적으로 두고 볼 때 제1결합부(32a)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결합부(32b)는 볼팅홀이 형성된 브라켓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32b)가 임펠러(20) 케이스(21)에 면접하여 결합되기 위하여, 제2몸체(37)의 타측은 제1몸체(31)의 높이만큼 하방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몸체(37)에는 히터가 수납될 수 있으며, 히터는 전원에 연결되어 열을 발산하도록 형성될수 있다. 그리고 제2몸체(37)의 상면 일부에는 메쉬 형상의 히터그릴(39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히터그릴(39a)은 전체적으로는 격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부는 하방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일부는 상방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호형 또는 반원형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수 있다. 이는 온도 센서 등을 제2몸체(37)의 면방향으로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몸체(37)의 상면에는 센서고정부재(39c)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높이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센서를 끼운 후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는 과부하 방지 및 제어를 위한 것인데, 일반적인 경우 제어보드에 설치되어 과전류 등을 차단한다. 그러나 제어보드는 히터 또는 공기 토출부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밖에 없는 실정 상, 센서(59b)의 측정값을 그대로 사용하기에 정확도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원발명의 경우, 센서를 뜨거운 공기가 토출되는 위치에 직접 배치시킬 수 있어 정확한 온도 및 전류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 댐퍼(34)가 임펠러(20)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히터가 임펠러(20) 외측에 설치되되 히터의 네 귀퉁이를 모두 볼팅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에 의해, 히터부(30)의 제1몸체(31)와 제2몸체(37)를 조립 한 후, 제1몸체(31)의 제1결합부(32a)를 임펠러(20)의 히터측 토출구(22)에 끼워 걸고, 제2몸체(37)의 제2결합부(32b)를 임펠러(20) 케이스(21)에 체결하기만 하면 히터부(30)와 임펠러(20)가 완전히 조립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임펠러(20) 케이스(21)에 히터측 토출구(22)만 형성하면 되므로, 임펠러(20) 생산 범용성도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이용하여 제1커버(50) 및 제2커버(60)를 설명한다.
제1커버(50)는 상술한 하우징(10)의 플랜지에 체결될 수 있다. 제1커버(50)는 하우징(10)의 상부 개구를 덮는 제1커버면(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면(51)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임펠러(20)의 공기 흡입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흡입홀(5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홀(52)의 둘레를 따라 턱을 형성하는 플랜지 형상의 필터장착부(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면(51)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술한 히터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토출그릴(5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장착부(53)에 장착되는 필터(67)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67)는 상술한 필터장착부(53)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67) 설치 시 필터장착부(53)과 면접하며, 면접하는 부분에 각각 자석이 부착되어, 필터(67)를 별도의 걸림구조 없이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커버(60)를 제1커버(50)로부터 여닫이 형식으로 개폐하기 위해 힌지부(55)가 제1커버(50) 및 제2커버(60) 일측 모서리에 힌지부(55)가 형성 될 수 있으며, 이와 마주보는 모서리 측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1커버개폐부(54) 및 제2커버개폐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개폐부(54) 및 제2커버개폐부(64) 각각 홈 형태로 요입형성되 요입부 또는 돌기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제2커버(60)와 제1커버(50)가 조립 가능하며, 자성을 띤 제1자석(M1)과 제2자석(M2)이 포함되어 별도의 걸림구조 없이 용이하게 제2커버(60)를 개폐할 수 있다. 용이하게 개폐되기 위해서, 돌출부의 직경은 요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가 요입부에 삽입되는 경우, 돌출부와 요입부는 서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자석(M1)은 제1커버개폐부(54)에 설치되고, 제1자석(M1)과 착탈되는 제2자석(M2)은 제2커버개폐부(64)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자석(M1)은 볼팅체결 방식으로 제1볼트(V1)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제2자석(M2)도 볼팅체결 방식으로 제2볼트(V2)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제1자석(M1)과 제2자석(M2)의 설치 높이 등 설치 형태에 따라 제1커버(50)와 제2커버(60) 간의 이격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면(51)에는 가이드홈(58)이 요입 형성되고, 제2커버면(61)에는 가이드돌기(65)가 돌출형성되어, 제1커버(50)와 제2커버(60)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홈(58) 및 가이드돌기(65)는 두 커버에 반대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커버면(51)에는 램프(59a) 및 센서(59b)가 포함된 기판(59)이 설치될 수 있으며, 램프 및 센서에 형성된 광원이 통과할 수 있는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버면(61)에는 이들의 동작상태를 도시할 수 있도록 표식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식부(66)는 단순히 홀 형상으로 관통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램프(59a) 및 센서(59b)의 동작상태를 하나의 홀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커버면(61)에는 램프(59a) 및 센서(59b)의 배치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식부(66)가 유리 등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식부(66)는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커버면(61)에 부착되며, 패널 형상으로 된 부분으로부터 램프 빛을 유도하기 위한 유도돌기(66a)가 램프(59a) 및 센서(59b)의 광원이 형성된 곳까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식부에 의해 램프(59a) 및 센서(59b)가 형성된 기판을 하우징 내측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제2커버(60) 외측에서 식별이 용이한 구조가 된다. 또한 램프(59a) 및 센서(59b) 두가지 광원을 하나의 표식부(66)에의해 표시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해지며 조립 부품이 단일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커버면(51)에는 구동부(40)가 조립되는 구동부장착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장착부(56)는 제1커버면(5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커버면(51)의 내측면에는 구동부(40)가 체결될 수 있는 볼팅홀 등 체결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60)는 제2커버면(61)으로 형성되고, 제2커버면(61)에는 상술한 흡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또는 제1커버면(51)과 제2커버면(61)이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격된 틈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격되는 거리는 제1커버개폐부(54) 및 제2커버개폐부(64)의 제1자석(M1) 및 제2자석(M2) 설치 높이 등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60)는 제2커버면(61)과 별도로 형성되어 제1커버면(51)과 제2커버면(61) 사이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는 슬라이딩커버(6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커버(62)는 제1위치에서 제2커버면(61)과 함께 최외측 커버를 구성하며, 이 위치에 있는 경우 본 발명 온풍기(1)는 동작하지 않거나 실내 공기를 배기하는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커버(62)는 제2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제2커버면(61)에서 개구를 형성하며 이 개구를 통해 히터그릴(39a)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치에 있는 경우 본 발명 온풍기(1)는 난방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슬라이딩커버(62)는 제1커버(50)와 대면하는 측에 제2체결돌기(63)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 제2체결돌기(63)는 슬라이딩커버(62)의 양쪽 모서리를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체결돌기(63)에는 체결 수단으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볼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커버(62)는 구동부(4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구동부(40)는 제1커버(50)의 구동부장착부(56)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슬라이딩커버(6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1)와,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구동레일(42)과, 구동레일(42) 내에서 구동레일(42)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부재(43)와, 슬라이딩부재(43)와 구동모터(41)를 연동시키는 랙(45)과 피니언(49)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레일(42)은 슬라이딩 경로를 따라 연장형성되며, 구동레일(42)의 상부는 슬라이딩커버(62)가 제2커버(60)를 폐쇄하는 제1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폐쇄부(42a), 슬라이딩커버(62)가 제2커버(60)를 개방하는 제2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개방부(42c), 폐쇄부(42a)와 개방부(42c)를 연결하는 경사면(4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레일(42)을 제1커버면(51) 내측면에 장착하기 위한 설치리브(42d)가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방부(42c)는 폐쇄면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경사면(42b)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슬라이딩커버(62)가 개방될 때 제2커버면(61) 하측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개방부(42c), 경사면(42b), 폐쇄부(42a)는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하부 공간에 슬라이딩부재(43)와 랙(45), 피니언(49)이 삽입될 수 있다. 랙(45)은 구동레일(4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지지대(46)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43)는 지지대(4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조립되며, 조립부재(47)가 지지대(46)의 단부에 조립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43)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46)의 외주에는 슬라이딩부재(43)와 랙(45)을 지지하는 지지수단(48)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수단(48)으로는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랙(45)은 피니언(49)에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피니언(49)의 회전축은 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구동모터(41)의 조작으로 슬라이딩부재(43)가 구동레일(42)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재(43)는 경사면(42b)에 대응되도록 단부에(43a)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41) 동작 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딩부재(43)가 폐쇄부(42a)에서 경사면(42b)을 타고 개방부(42c)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부(42c)에서 폐쇄부(42a)로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면서 슬라이딩부재(43)가구동레일(42) 상면(폐쇄부(42a))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부재(43)의 상부에는 제1체결돌기(44)가 형상되어, 제1체결돌기(44)와 제2체결돌기(63)의 결합으로 슬라이딩커버(62)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41) 동작 시 슬라이딩부재(43)와 함께 슬라이딩커버(62)가 이동되므로, 슬라이딩커버(62)가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이동할수 있다.
한편 랙(45)과 슬라이딩부재(43)는 구동레일에 수납되며 구동레일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 때 구동레일(42)과의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트 형상의 미끌림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미끌림돌기는 랙(45) 또는 슬라이딩부재(43)와 구동레일(42)이 접하는 면에는 어느 면이던지 형성될 수 있으며, 미끌림돌기에 의해 구동레일에 면접촉하지 않고 점접촉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커버(62)는 제2커버면(61)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위치에서 개방하는 제2위치로 이동하게되는데, 여기서 제1위치는 제2커버면(61)과 하나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커버(62)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 제2커버면(61)과의 틈이 최소화되는 것이 기능상 유리하다. 따라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될 때 구동레일(42)의 경사면(42b)을 따라 이동하는데, 이 경사면(42b)과 대응되는 각도로 제2커버면(61) 단면에 경사 구조(61a)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된다 함은 경사면(42b)와 평행에 근접한 것으로, 경사의 방향이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기준으로 슬라이딩부재(43)가 우측 하방으로 이동하므로, 제2커버면(61)의 개구부 우측 모서리면이 우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별로 나누어 세부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일부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온풍기 10 하우징
20 임펠러 21 케이스
22 히터측 토출구 22a 토출구 모서리
30 히터부 31 제1몸체
32a 제1결합부 32b 제2결합부
33 댐퍼모터 34 댐퍼
35 댐퍼리브 36 제1조립부
36a 이탈방지돌기 36b 도입부
36c 가압돌기 37 제2몸체
38 제2조립부 39a 히터그릴
39b 안착리브 39c 센서고정부재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구동레일 42a 폐쇄부
42b 경사면 42c 개방부
42d 설치리브 43 슬라이딩부재
44 제1체결돌기 45 랙
46 지지대 47 조립부재
48 지지수단 49 피니언
50 제1커버 51 제1커버면
52 흡입홀 53 필터장착부
54 제1커버개폐부 55 힌지부
56 구동부장착부 57 토출그릴
58 가이드홈 59a 램프
59b 센서 60 제2커버
61 제2커버면 62 슬라이딩커버
63 제2체결돌기 64 제2커버개폐부
65 가이드돌기 66 표식부
67 필터 M1: 제1자석
M2: 제2자석 V1: 제1볼트
V2: 제2볼트

Claims (5)

  1. 임펠러가 수납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일면을 덮으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홀이 관통형성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일 모서리끼리 힌지결합되며, 상기 일 모서리와 마주보는 측의 모서리에 개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커버에 형성되고, 자성을 띤 제1자석이 구비된 제1커버개폐부; 및
    상기 제2커버에서 상기 제1커버개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자성을 띠며 상기 제1자석과 착탈되는 제2자석이 구비된 제2커버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 간의 이격거리는 제1자석과 상기 제2자석에 의해 조정가능하고,
    상기 제1커버개폐부 및 상기 제2커버개폐부 중 어느 하나는 돌기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이고, 나머지 하나는 홈 형태로 요입형성되는 요입부이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요입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요입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커버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흡입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하우징 측으로 요입되어 턱을 이루도록 필터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장착부와 면접촉하는 필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장착부 및 필터가 서로 접촉하는 면 상에 각각 자석이 포함되어, 상기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커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에는,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제1커버는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광원의 상태를 상기 제2커버의 외측으로 표시하는 표식부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커버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부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표식부는 하나의 패널 형상으로 상기 제2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광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유도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광원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커버 구조.
KR1020210088048A 2021-07-05 2021-07-05 환풍기 커버 구조 KR102602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048A KR102602210B1 (ko) 2021-07-05 2021-07-05 환풍기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048A KR102602210B1 (ko) 2021-07-05 2021-07-05 환풍기 커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07A KR20230007607A (ko) 2023-01-13
KR102602210B1 true KR102602210B1 (ko) 2023-11-15

Family

ID=84900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048A KR102602210B1 (ko) 2021-07-05 2021-07-05 환풍기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2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28Y1 (ko) * 2004-06-15 2004-09-08 영신산기 주식회사 배기장치
KR100984252B1 (ko) * 2009-09-21 2010-09-30 이춘우 욕실용 환풍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623B1 (ko) * 2008-08-27 2011-09-07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환풍기
KR200487506Y1 (ko) 2017-11-22 2018-09-28 도스코산업 주식회사 천장 매립형 환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328Y1 (ko) * 2004-06-15 2004-09-08 영신산기 주식회사 배기장치
KR100984252B1 (ko) * 2009-09-21 2010-09-30 이춘우 욕실용 환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07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6352B2 (ja) 送風装置及び空調装置
KR101403004B1 (ko) 공기조화기
WO2022022034A1 (zh) 换气装置
US7260953B2 (en) Air conditioner
KR10059625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02210B1 (ko) 환풍기 커버 구조
KR102564524B1 (ko) 온풍기
KR102529540B1 (ko)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KR20200111061A (ko) 모듈공조기, 및 공조시스템
KR20230007606A (ko) 환풍기의 커버 개폐 구조
KR102482637B1 (ko) 에어컨의 측면풍 가이드 구조
JP6113971B2 (ja) 窓付け換気装置
CN220303761U (zh) 取暖设备
KR20100025671A (ko) 공기조화기
KR2007010001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58262B1 (ko) 환풍기의 소음 저감용 그릴 구조
KR10120356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77151B1 (ko) 주방 후드용 환풍기
KR100633611B1 (ko) 공기조화기
KR102514548B1 (ko) 환풍기 및 환풍기 설치 방법
CN215809227U (zh) 前面板以及空调
JP7433266B2 (ja) 目隠し部材および換気システム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KR100765569B1 (ko) 환기 청정 장치
JP6948532B2 (ja) 給気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