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187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187B1
KR102602187B1 KR1020160152553A KR20160152553A KR102602187B1 KR 102602187 B1 KR102602187 B1 KR 102602187B1 KR 1020160152553 A KR1020160152553 A KR 1020160152553A KR 20160152553 A KR20160152553 A KR 20160152553A KR 102602187 B1 KR102602187 B1 KR 102602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ptacle connector
axis direction
sub
charg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788A (ko
Inventor
박시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4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 어레이 및 컨택트 어레이가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컨택트 어레이는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를 포함하고, 컨택트들은 각각 본체의 상측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재, 본체의 하측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재, 및 제1접속부재와 제2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는 이에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에 결합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한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야만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간의 정상적인 연결이 가능하였다. 즉, 종래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양방향 중에서 어느 한 방향을 향하는 제1상태인 경우에만 리셉터클 커넥터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사용자가 플러그 커넥터의 방향을 맞추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불편함이 더욱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가 양방향 중에서 어느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더라도 리셉터클 커넥터에 연결이 가능한 USB Type-C 규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USB Type-C 규격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크게 하이브리드(Hybrid) 타입 및 듀얼 실장(Dual SMT) 타입으로 구분된다.
도 1은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2는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텍터는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 어레이(110), 및 상기 제1상태에서 뒤집힌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컨택트 어레이(120)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110)는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111)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컨택트 어레이(120)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컨택트(12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 어레이(110)가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타입으로 기판(미도시)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컨택트 어레이(120)가 DIP(Dual In-line Package) 타입으로 기판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컨택트 어레이(120)를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판에 스루홀(Through hole)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의 뒷면에 활용 가능한 면적을 감소시키는 구조로,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1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21)들이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기판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는 구조로,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더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컨택트 어레이(110) 및 상기 제2컨택트 어레이(120) 모두가 SMT 타입으로 기판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111)들은 각각 기판에 실장되는 제1실장부재(1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2컨택트(121)들은 각각 기판에 실장되는 제2실장부재(121a)를 포함한다.
이러한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어레이(110)의 제1컨택트(111)들은 상기 제1실장부재(111a)들이 제1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컨택트 어레이(120)의 제2컨택트(121)들은 상기 제2실장부재(121a)들이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열로부터 이격된 제2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실장부재(111a)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121a)들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111a)들 및 상기 제2실장부재(121a)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만큼 길이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는 구조로,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실장부재(121a)들이 상기 제1실장부재(111a)들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기판에 결합되면 상기 제2실장부재(121a)들이 상기 제1실장부재(111a)들에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는 기판에 결합되면, 상기 제2실장부재(121a)들에 대한 검사, 유지보수 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저하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컨택트 어레이들이 갖는 컨택트들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컨택트 어레이가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어레이는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재, 상기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제1상태인 경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재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실장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재들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제1열 상에 위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충전을 위한 충전컨택트, 및 접지를 위한 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지컨택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컨택트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서브충전컨택트,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충전컨택트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서브접지컨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충전컨택트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충전컨택트와 상기 접지컨택트가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와 상기 서브접지컨택트가 이격된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어레이는 상기 충전컨택트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를 연결하는 연결컨택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기판에 접지 연결되기 위한 미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플레이트는 접지본체, 및 상기 접지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절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공은 상기 충전컨택트의 제1접속부재와 상기 충전컨택트의 제2접속부재 사이, 또는 상기 서브충전컨택트의 제1접속부재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의 제2접속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연결되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체적인 크기 및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컨택트 어레이들이 갖는 컨택트들에 대해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하이브리드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2는 듀얼 실장 타입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 어레이가 제1절연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컨택트 어레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8핀으로 구현되는 실시예에 대한핀맵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제1절연부재, 제2절연부재, 미드 플레이트, 및 컨택트가 결합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7 및 도 18은 미드 플레이트가 갖는 절연공을 설명하기 위해 제1절연부재, 제2절연부재, 미드 플레이트, 및 컨택트를 도 16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 기판(미도시)에 결합된다. 상기 기판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기판에 결합되기 위한 본체(2), 플러그 커넥터(미도시)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 어레이(3), 및 쉘(4)을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쉘(4)은 상기 본체(2)를 지지한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컨택트(3a,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3a)들은 상기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a)들은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a)들은 각각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311,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부재(311)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컨택트(3a)들은 상기 실장부재(311)들이 제1열(FR, 도 4에 도시됨) 상에 위치하게 배치된다.
상기 쉘(4)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컨택트(3a)들에 접속되는 접속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4)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3a)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쉘(4)은 상기 본체(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컨택트(3a)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쉘(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는 상기 컨택트(3a)들이 상기 쉘(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2)는 상기 제1실장부재(311)들이 상기 쉘(4)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본체(2), 상기 컨택트 어레이(3), 및 상기 쉘(4)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2)는 상기 컨택트 어레이(3)를 지지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제1절연부재(21, 도 5에 도시됨), 및 제2절연부재(22,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재(21)는 상기 쉘(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상기 제1절연부재(2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절연부재(21)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컨택트 어레이(3)가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재(22)는 상기 제1절연부재(21)에 결합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는 상기 쉘(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쉘(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상기 실장부재(311)들이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재(2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절연부재(22)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컨택트 어레이(3)가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쉘(4)은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를 지지한다. 상기 쉘(4)은 양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쉘(4)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쉘(4)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컨택트 어레이(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장부재(311)들은 상기 쉘(4)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상기 쉘(4)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실장부재(311)들은 상기 쉘(4)의 외부에서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상기 컨택트(3a)들을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3a)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상기 컨택트(3a)들 중에서 하나의 컨택트(3a)를 예시로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컨택트(3a)는 상기 실장부재(311)를 포함한다. 상기 실장부재(311)는 상기 컨택트(3a)에 접속된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된다. 상기 실장부재(311)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면(面)이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택트(3a)는 제1접속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2)는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3a)는 상기 제1접속부재(312)가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2)는 제1접속면(3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면(312a)은 상기 제1접속부재(312)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직접 접촉되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접속면(312a)은 상기 제1접속부재(312)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실장부재(311)는 각각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3a)의 양단에 위치한다. 상기 컨택트(3a)는 상기 제1접속부재(312)가 상기 제1절연부재(21,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21)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트(3a)는 제2접속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313)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택트(3a)는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313)는 제2접속면(31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면(313a)은 상기 제2접속부재(313)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직접 접촉되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부분이다.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접속면(313a)은 상기 제2접속부재(313)의 하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313) 및 상기 제1접속부재(312)는 각각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컨택트(3a)의 일단에 위치한다. 상기 컨택트(3a)는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상기 제1절연부재(21)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2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는 제3축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절연부재(21,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방향이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높이 방향으로 정의하면, 상기 제1절연부재(21, 도 6에 도시됨)의 일측은 타측에 대해 상측에 위치한다.
상기 컨택트(3a)는 연결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4)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연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텍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제1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에도 모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사용자가 협소한 공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플러그 커넥터의 방향에 제한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상기 연결부재(314)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재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제2축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314)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ㄷ”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4)의 일단 및 타단은 굽힘(Bending) 가공을 통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4)의 일단은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연결되는 부분이고, 상기 연결부재(314)의 타단은 상기 제2접속부재(313)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4)의 일단 및 타단이 곡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충돌에 의해 손상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컨택트(3a)들은 결합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5)는 상기 제2접속부재(313)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접속부재(313)의 일측은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상기 연결부재(314)와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컨택트(3a)들이 상기 결합부재(315)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315)는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상기 제1접속부재(312) 또는 상기 실장부재(311)와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315)는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상기 제1접속부재(312) 또는 상기 실장부재(311)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상기 제2접속부재(313)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상기 제2접속부재(313) 간의 거리가 상기 연결부재(314) 및 상기 결합부재(315)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5)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314)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 상기 컨택트(3a)는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 또는 상기 제2상태로 상기 쉘(4)의 일측에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상하측에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를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14)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15)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 간의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3a)가 상기 결합부재(315)를 포함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결합부재(315)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 간의 이격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결합부재(315) 없이 상기 연결부재(314)만을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312)와 상기 제2접속부재(313)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경우,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컨택트 어레이(3)를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 간의 이격된 거리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연결부재(314) 및 상기 결합부재(315)를 통해 상기 제1접속부재(31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 간의 이격된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의 접속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충전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경우,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충전컨택트(32) 및 접지컨택트(33)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경우, 상기 충전컨택트(3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지컨택트(33)로부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충전컨택트(32)는 충전을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충전컨택트(32)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충전컨택트(32)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충전컨택트(32)는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3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컨택트(32)의 실장부재(321)는 상기에서 상기 컨택트(3a, 도 5에 도시됨)의 실장부재(311, 도 8에 도시됨)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지컨택트(33)는 접지(Ground)를 위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접지컨택트(33)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접지컨택트(33)를 통해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33)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33)의 실장부재(331)는 상기에서 상기 컨택트(3a)의 실장부재(311)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는 각각 상기 실장부재들(321, 331)이 상기 제1열(FR, 도 13에 도시됨)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충전컨택트(32)는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322),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323), 및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322)와 상기 제2접속부재(323)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322)와 상기 제2접속부재(323)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컨택트(32)의 상기 제1접속부재(322), 상기 제2접속부재(323), 및 상기 연결부재(324)는 각각 상기에서 상기 컨택트(3a, 도 5에 도시됨)의 제1접속부재(312), 제2접속부재(313), 및 연결부재(314)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지컨택트(33)는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332),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333), 및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332)와 상기 제2접속부재(333)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332)와 상기 제2접속부재(333)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컨택트(33)의 상기 제1접속부재(332), 상기 제2접속부재(333), 및 상기 연결부재(334)는 각각 상기에서 상기 컨택트(3a, 도 5에 도시됨)의 제1접속부재(312), 제2접속부재(313), 및 연결부재(314)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상기 제1접속부재(322, 33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3, 333)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제1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된 제2상태인 경우에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크 커넥터(1)는 사용자가 협소한 공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도 플러그 커넥터의 방향에 제한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가 상기 제1접속부재(322, 33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3, 333)들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24, 334)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접속부재(323, 333)들을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재를 별도로 배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는 각각 상기 제1접속부재(322, 332)들을 실장하기 위한 상기 실장부재(321, 331)들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FR)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실장부재들이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의 길이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접지컨택트(33)를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상기 컨택트(3a)들을 형성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 상기 컨택트 어레이(3)는 서브충전컨택트(34, 도 12에 도시됨), 및 서브접지컨택트(35,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및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충전 기능을 강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충전컨택트(32), 상기 접지컨택트(33),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및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를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충전 속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급속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컨택트(32)로부터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341),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342),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343), 및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342)와 상기 제2접속부재(343)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342)와 상기 제2접속부재(34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의 실장부재(341), 제1접속부재(342), 제2접속부재(343), 및 상기 연결부재(344)는 각각 상기에서 상기 컨택트(3a, 도 5에 도시됨)의 실장부재(311), 제1접속부재(312), 제2접속부재(313), 및 상기 연결부재(314)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로부터 상기 제1방향(A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351),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352),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353), 및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352)와 상기 제2접속부재(353)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접속부재(352)와 상기 제2접속부재(35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의 실장부재(351), 제1접속부재(352), 제2접속부재(353), 및 상기 연결부재(354)는 각각 상기에서 상기 컨택트(3a, 도 5에 도시됨)의 실장부재(311), 제1접속부재(312), 제2접속부재(313), 및 상기 연결부재(314)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및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재(341, 351)들은 상기 제1열(FR)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급속 충전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기판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기판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기판에 결합된 후에도 검사, 유지보수 등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 컨택트 어레이(3)는 연결컨택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컨택트(36)는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결컨택트(36)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충전을 위한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연결컨택트(36)를 통해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의 실장부재(321, 341)들 중 어느 하나의 실장 상태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실장부재를 통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연결컨택트(36) 없이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제1거리(D1)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접지컨택트(33)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제2거리(D2)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와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제2거리(D2)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거리(D1)는 상기 제2거리(D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이격된 상기 제1거리(D1)가,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접지컨택트(33)가 이격된 상기 제2거리(D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와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가 이격된 상기 제2거리(D2)에 비해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사이에 충전 이외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컨택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충전 용도 또는 급속 충전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상기 충전컨택트(32), 상기 접지컨택트(33),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및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전송 등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 인식을 위한 인식컨택트(미도시),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컨택트(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상기 제1거리(D1)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므로 인식컨택트 또는 데이터컨택트는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서로 이격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접지컨택트(33)와 상기 충전컨택트(32)가 이격된 거리, 상기 충전컨택트(32)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가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와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가 이격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가 8핀(pin)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시하여 나타낸 핀맵(Pin Map)으로,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에 대한 핀맵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는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가 뒤집힌 것이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인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에도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접속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중에서 어느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더라도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협소한 공간, 어두운 공간 등에서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3a)들이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3a)들은 상기 본체(2)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해, 도 12 내지 도 15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접지를 위한 접지컨택트(33)의 제1접속부재(332)(GND), 충전을 위한 충전컨택트(32)의 제1접속부재(322)(VBUS), 충전을 위한 서브충전컨택트(34)의 제1접속부재(342)(VBUS), 및 접지를 위한 서브접지컨택트(35)의 제1접속부재(352)(GN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컨택트(3a)들은 상기 본체(2)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해, 도 12 내지 도 15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접지를 위한 접지컨택트(33)의 제2접속부재(333)(GND), 충전을 위한 충전컨택트(32)의 제2접속부재(323)(VBUS), 충전을 위한 서브충전컨택트(34)의 제2접속부재(343)(VBUS), 및 접지를 위한 서브접지컨택트(35)의 제2접속부재(353)(GND)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제1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a) 및 상기 제2상태의 플러그 커넥터(200b) 모두에 대해 공용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충전컨택트(32)(VBUS), 상기 접지컨택트(33)(GND),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VBUS), 및 상기 서브접지컨택트(35)(GND)를 공용컨택트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3a)들의 상기 제1접속부재(322, 332, 342, 352)들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3, 333, 343, 353)들이 USB Type-C 규격을 만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컨택트(3a)들을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양방향 중에서 어느 방향을 향하는 상태이더라도 플러그 커넥터 및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택트(3a)들은 상기 실장부재(321, 331, 341, 351)들이 상기 제1열(FR) 상에서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미드 플레이트(24,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는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에 결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는 상기 제1접속부재(312)들 및 상기 제2접속부재(313)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을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들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일체로 형성된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플레이트(24)에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를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여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미드 플레이트(24) 내측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는 접지본체(241, 도 17에 도시됨) 및 절연공(242, 도 1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241)는 상기 제1절연부재(21) 및 상기 제2절연부재(2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본체(241)는 접지된다.
상기 미드 플레이트(24)가 복수개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절연공(242)은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들에 각각 포함된 상기 접지본체(241)들 간의 이격된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드 플레이트(24)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상기 절연공(242)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접지본체(24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공(242)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컨택트(32)의 상기 제1접속부재(32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3)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공(242)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의 상기 제1접속부재(34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43)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공(242)은 상기 충전컨택트(32)의 상기 제1접속부재(32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3)가 상기 접지본체(241)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1, S2)를 늘릴 수 있고, 상기 충전컨택트(34)의 상기 제1접속부재(342) 및 상기 제2접속부재(343)가 상기 접지본체(241)로부터 이격된 절연거리(S1, S2)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드 플레이트(24)는 상기 절연공(242)을 통해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의 상기 제1접속부재(322, 342)들 및 상기 제2접속부재(323, 343)가 상기 접지본체(241)와 쇼트되는 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충전컨택트(32),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 및 상기 접지본체(241)에 대한 소손방지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는 상기 절연공(242)을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접지본체(241)들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된 공간을 상기 제1절연본체(21)가 채우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충전컨택트(32)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34)를 상기 접지본체(241)와 안전하게 절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본체
21 : 제1접속부재 22 : 제2접속부재
23 : 커버부재 24 : 미드 플레이트
241 : 접지본체 242 : 절연공
3 : 컨택트 어레이 3a : 컨택트
311 : 실장부재 312 : 제1접속부재
313 : 제2접속부재 314 : 연결부재
315 : 결합부재 32 : 충전컨택트
33 : 접지컨택트 34 : 서브충전컨택트
35 : 서브접지컨택트 36 : 연결컨택트
4 : 쉘

Claims (12)

  1.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컨택트 어레이; 및
    상기 컨택트 어레이가 결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 어레이는 제1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본체의 상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1접속부재, 상기 본체의 하측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는 제2접속부재, 및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제1축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2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부재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2접속부재를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제1상태인 경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상태에서 반전(反轉)된 제2상태인 경우 모두에 접속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장부재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실장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의 타단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장부재들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제1열 상에 위치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각각 충전을 위한 충전컨택트, 및 접지를 위한 접지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컨택트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접지컨택트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들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충전컨택트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서브충전컨택트, 및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충전컨택트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서브접지컨택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컨택트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가 이격된 거리는, 상기 충전컨택트와 상기 접지컨택트가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서브충전컨택트와 상기 서브접지컨택트가 이격된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어레이는 상기 충전컨택트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를 연결하는 연결컨택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기판에 접지 연결되기 위한 미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플레이트는 접지본체, 및 상기 접지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절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공은 상기 충전컨택트의 제1접속부재와 상기 충전컨택트의 제2접속부재 사이, 또는 상기 서브충전컨택트의 제1접속부재와 상기 서브충전컨택트의 제2접속부재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연결되는 일단, 및 상기 제2접속부재와 연결되는 타단 중 적어도 하나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삭제
KR1020160152553A 2016-10-21 2016-11-16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021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7931 2016-10-21
KR1020160137931 2016-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788A KR20180044788A (ko) 2018-05-03
KR102602187B1 true KR102602187B1 (ko) 2023-11-16

Family

ID=6224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553A KR102602187B1 (ko) 2016-10-21 2016-11-16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4585A1 (ko) * 2022-05-30 2023-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0111A (zh) 2009-02-27 2010-09-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179288U (zh) * 2014-11-06 2015-02-2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CN204516943U (zh) * 2015-04-08 2015-07-29 上海天诚通信技术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组
CN105703124A (zh) * 2016-01-19 2016-06-22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以及制作电连接器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7945B1 (ko) * 2015-07-29 2021-10-2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0111A (zh) 2009-02-27 2010-09-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4179288U (zh) * 2014-11-06 2015-02-2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座连接器
CN204516943U (zh) * 2015-04-08 2015-07-29 上海天诚通信技术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组
CN105703124A (zh) * 2016-01-19 2016-06-22 深圳市得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以及制作电连接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788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366B2 (ja) ウェハ型構造を有する差動信号コネクタ
US10218088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6835091B2 (en) Universal serial bus electrical connector
US20160365673A1 (en) Cable assembly
US8562376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pacitor connected with one connector and a metallic shell
JP2011029174A (ja) 電気コネクタ
TWM552200U (zh) 插座電連接器
KR101338249B1 (ko)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TWM552207U (zh) 插座電連接器
KR20120089745A (ko) 플러그 어댑터
US85236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modules with differential pairs on both sides of a printed circuit board
KR10260218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1498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1415909B1 (ko) 멀티 마이크로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결합되는 멀티 마이크로 유에스비 플러그 커넥터
KR10222536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4611362B2 (ja) ウェハ型構造を有する差動信号コネクタ
US9263832B2 (en) Male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function
KR10255630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6515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KR102149848B1 (ko) 리셉터클 커넥터용 미드플레이트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10231794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383444B1 (ko) 이중 전기 커넥터
US902281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universal structure for different contacts
KR101315360B1 (ko)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KR10208139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