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527B1 -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 Google Patents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527B1
KR102601527B1 KR1020220166053A KR20220166053A KR102601527B1 KR 102601527 B1 KR102601527 B1 KR 102601527B1 KR 1020220166053 A KR1020220166053 A KR 1020220166053A KR 20220166053 A KR20220166053 A KR 20220166053A KR 102601527 B1 KR102601527 B1 KR 10260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drill
weight
debris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환
최웅조
김현도
장은환
Original Assignee
(주)고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양이엔씨 filed Critical (주)고양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6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5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선단에 드릴비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본체, (b) 상기 드릴본체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드릴비트의 바깥 둘레를 감싸며 상기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되는 수용부, 및 (c) 상기 가이드부의 내면에 슬립 조성물로 코팅된 슬립막을 포함하는 해머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건조 상태인지 또는 작은 물방울이 맺힐 정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인지와 무관하게 슬립막)을 따라 슬립되어 코르게이트부에 수용됨으로써, 가이드부의 내면에 파편과 분진이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만 부착되어, 이후 가이드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파편과 분진이 거의 비산되지 않거나 미량만 비산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해머드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Hammer drill}
본 발명은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머드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에 함유된 수산화칼슘이 탄산가스와 반응하면서 탄산칼슘으로 변화하여 알칼리성을 잃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콘크리트의 탄산화(중성화)라고 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탄산화가 발생하면, 콘크리트에 매설된 철근을 감싸던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면서 철근의 부식이 시작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성 및 내구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부분을 검출하여야 하는데, 종래 해머드릴에 의한 탄산화 부분의 검출 방식이 보통 사용된다.
해머드릴에 의한 탄산화 부분의 검출 방식은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여 구멍을 형성한 후, 그 구멍에 탄산화 검출 용액을 분무하여 탄산화 부분을 검촐한 후,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탄산화 부분의 깊이를 계측한다.
이때, 탄산화 검출 용액은 페놀프탈레인 1%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페놀프탈레인 1% 용액은 콘크리트의 탄산화 부분에 대해서는 색이 유지되는 무색 반응이 일어나나, 콘크리트의 비탄산화 부분에 대해서는 레드(Red)계열의 색으로 변색되는 변색 반응이 일어난다.
따라서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한 구멍에 페놀프탈레인 1%용액을 분무한 경우, 그 구멍에서 색이 유지된 부분은 탄산화 부분이며, 그 구멍에서 레드 계열로 변색된 부분은 비탄산화 부분인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한 구멍에서 탄산화 부분과 비탄산화 부분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해머드릴에 의한 탄산화 부분의 검출 방식은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비산된 파편과 분진은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고, 작업자의 호흡기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슬립막을 두어 가이드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을 슬립시키는 슬립 작용을 하게 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 역시 파편과 분진이 건조한 상태로 가이드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슬립막이 위와 같은 슬립 작용을 충분히 수행하는 반면, 가이드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작은 물방울이 맺힐 정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슬립막을 따라 제대로 슬립되지 못하고 가이드부의 내면에 상당량 부착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26999호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069401호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128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머드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가이드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건조 상태인지 또는 작은 물방울이 맺힐 정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인지와 무관하게 슬립막)을 따라 슬립되어 코르게이트부에 수용됨으로써, 가이드부의 내면에 파편과 분진이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만 부착되어, 이후 가이드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파편과 분진이 거의 비산되지 않거나 미량만 비산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해머드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선단에 드릴비트(1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본체(100), (b) 상기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드릴비트(120)의 바깥 둘레를 감싸며 상기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되는 수용부(200), 및 (c) 상기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슬립 조성물로 코팅된 슬립막(230)을 포함하는 해머드릴로서; 상기 수용부(200)는 (b1) 상기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드릴비트(120)의 바깥 둘레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코르게이트부(210), (b2) 상기 코르게이트부(210)의 선단에 연결되며 상기 코르게이트부(210)보다 직경이 작은 가이드부(220), 및 (b3) 상기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논슬립 조성물로 코팅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밀착되는 논슬립막(24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유입되는 상기 파편과 상기 분진은 상기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되어 상기 코르게이트부(210)에 수용되며; 상기 슬립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의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0.5~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은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부에 수용됨으로써, 파편과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가이드부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건조 상태인지 또는 작은 물방울이 맺힐 정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인지와 무관하게 슬립막)을 따라 슬립되어 코르게이트부에 수용됨으로써, 가이드부의 내면에 파편과 분진이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만 부착되어, 이후 가이드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의 외측으로 파편과 분진이 거의 비산되지 않거나 미량만 비산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보인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의 슬립막에 파편과 분진이 슬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의 논슬립막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 부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해머드릴의 드릴비트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장치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이 일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의 드릴본체(100) 및 수용부(200)를 포함한다.
드릴본체(100)는 드릴비트(120)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드릴본체(100)의 선단에는 드릴척(110)이 구비되고. 드릴척(110)에는 드릴비트(120)가 구속되며, 드릴본체(100)의 내부에는 드릴척(1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된다.
드릴척(110)은 드릴비트(120)를 구속시키는 것으로,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구비되는 척본체 및 척본체의 내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죠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척본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척본체의 내부에는 다수의 죠오가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다수의 죠오는 내부에 드릴비트(120)가 삽입된다. 다수의 죠오는 척본체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내부 연동 기구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드릴비트(120)를 구속시키거나 반경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드릴비트(120)를 구속 해제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연동 기구는 슬라이드 및 베어링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179호의 내부 연동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드릴척(110)에 드릴비트(120)가 구속된 상태에서 드릴척(110)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모터의 전원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이차전지는 드릴본체(100)의 내부에 휴대용으로 구비될 수 있고, 드릴본체(100)의 외부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릴본체(100)의 후단에는 손잡이(130)가 구비된다. 손잡이(130)는 사용자가 드릴본체(100)를 파지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0)의 선단에는 구동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스위치(130)는 사용자의 누름이 지속되는 동안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드릴비트(12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드릴척(110)에 구속된 상태에서, 드릴척(1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어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할 수 있다.
수용부(200)는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장착되고 드릴비트(120)의 바깥 둘레를 감싸며,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해머드릴은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부(200)에 수용됨으로써, 파편과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용부(200)는 코르게이트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코르게이트부(210)는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장착되고 드릴비트(120)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것으로,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된다.
코르게이트부(2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코르게이트(corrugate)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형성되는 구멍의 깊이에 따라 코르게이트부(210)가 수축되면서,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코르게이트부(210)에 수용될 수 있다.
코르게이트부(21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용이하고 드릴비트(120)의 시각적인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르게이트부(210)는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플랜지(300)를 매개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300)는 내부가 중공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300)의 내부에는 드릴척(110)이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플랜지(300)의 전방에는 코르게이트부(210)가 고정된다. 여기서 플랜지(300)의 전방 및 코르게이트부(210)는 관통볼트(310)를 매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로 드릴척(110)을 구동시에는 드릴척(110)만 플랜지(300)의 내부에서 제자리 회전된다.
한편, 플랜지(300)의 일측에는 한도봉(400)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도봉(400)은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형성되는 구멍의 깊이의 한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한도봉(400)은 플랜지(300)의 일측에 특정 지점이 고정된 상태에서, 한도봉(400)의 선단에서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까지의 거리를,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형성되는 구멍의 깊이의 한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한도봉(400)은 플랜지(300)의 일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관통될 수 있다. 그리고 한도봉(400)은 플랜지(300)의 일측에 래치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부(220)는 코르게이트의 선단에 연결되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20)의 내부에는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최초로 투입된다.
가이드부(220)는 코르게이트부(210)의 최외각 직경보다 작은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부(220)는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은 가이드부(220)의 하부 내면을 따라 슬립되면서 코르게이트부(210)로 수용될 수 있다.
그런데,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부착되는 경우, 가이드부(220)를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잔존하던 파편과 분진이 가이드부(220)의 외부로 비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부착된 파편과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슬립막(23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의 슬립막에 파편과 분진이 슬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머드릴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슬립막(230)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슬립막(230)은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을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시키는 슬립 작용을 하는 것으로,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슬립(slip) 조성물로 코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된 파편과 분진은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되어 코르게이트부(210)에 수용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파편과 분진이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만 부착되므로, 이후, 가이드부(220)를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220)의 외측으로 파편과 분진이 거의 비산되지 않거나 미량만 비산될 수 있다.
일예로, 슬립막(230)은 가이드부(220)의 내면을 따라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립막(230)은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슬립막(230)은 가이드부(220)의 하부 내면을 따라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립막(230)은 원뿔대를 절반으로 자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슬립막(230)을 이루는 슬립 조성물은 슬립막(230)의 슬립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5: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실리콘계 슬립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이 3: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에루크산 아미드, 카프로산 아미드, 카프릴산 아미드, 라우르산 아미드, 아라키딕산 아미드, 올레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및 스테아르산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는 스테아르산 아미드, 팔미트산 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르산 아미드일 수 있다.
왁스계 슬립제는 폴리에틸렌계 왁스, 폴리프로필렌계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왁스일 수 있다.
점도조절제는 슬립막(230)의 점도를 조절하여 가이드부(220)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혼합될 수 있다. 점도조절제는 초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슬립막(230)은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을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시키는 슬립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서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된 파편과 분진은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되어 코르게이트부(210)에 수용됨으로써,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파편과 분진이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만 부착되어, 이후 가이드부(220)를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220)의 외측으로 파편과 분진이 거의 비산되지 않거나 미량만 비산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다만, 파편과 분진이 건조한 상태로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경우에는 슬립막(230)이 위와 같은 슬립 작용을 충분히 수행하는 반면,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작은 물방울이 맺힐 정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슬립막(230)을 따라 제대로 슬립되지 못하고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상당량 부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문제는 위와 같은 슬립 조성물에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0.5~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슬립막(230)을 이루는 슬립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0.5~1 중량부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슬립막(230)을 이루는 슬립 조성물에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0.5~1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써,
가이드부(220)의 내부에 투입되는 파편과 분진이 건조 상태인지 또는 작은 물방울이 맺힐 정도 이상의 수분을 함유한 상태인지와 무관하게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되어 코르게이트부(210)에 수용됨으로써,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파편과 분진이 부착되지 않거나 매우 미량만 부착되어, 이후 가이드부(220)를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서 분리할 때 가이드부(220)의 외측으로 파편과 분진이 거의 비산되지 않거나 미량만 비산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의 논슬립막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라 해머드릴은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해머드릴의 구성요소 또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해머드릴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되, 논슬립막(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논슬립막(240)은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논슬립(non-Slip) 조성물로 코팅된 것으로, 가이드부(220)의 선단을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밀착할 때, 가이드부(220)의 선단이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논슬립되도록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논슬립 작용을 한다,
논슬립막(240)은 장방형일 수 있으며, 다수의 논슬립막(240)이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방사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논슬립막(240)은 링형일 수 있으며, 가이드부(220)의 선단을 따라 코팅될 수 있다.
논슬립막(240)을 이루는 논슬립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51~69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논슬립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58 중량%, 논슬립 입자 26 중량%, 유기계 비드 10 중량% 및 경화제 6 중량%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논슬립 입자는 입경이 30 내지 50 ㎛이고,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세륨 및 실리콘카바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35 내지 40 ㎛인 산화세륨일 수 있다.
유기계 비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분자 소재이며, 1~20 ㎛의 직경을 갖는 구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비드는 직경이 12~18 ㎛인 구형의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일 수 있다.
경화제는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폴리아마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헥사케틸렌테트라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콘크리트 구조물 100 : 드릴본체
110 : 드릴척 120 : 드릴비트
130 : 손잡이 140 : 스위치
200 : 수용부 210 : 코르게이트부
220 : 가이드부 230 : 슬립막
240 : 논슬립막 300 : 플랜지
310 : 관통볼트 400 : 한도봉

Claims (2)

  1. (a) 선단에 드릴비트(1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릴본체(100), (b) 상기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드릴비트(120)의 바깥 둘레를 감싸며 상기 드릴비트(120)로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천공시에 발생하는 파편과 분진이 수용되는 수용부(200), 및 (c) 가이드부(220)의 내면에 슬립 조성물로 코팅된 슬립막(230)을 포함하는 해머드릴로서;
    상기 수용부(200)는 (b1) 상기 드릴본체(100)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기 드릴비트(120)의 바깥 둘레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코르게이트부(210), (b2) 상기 코르게이트부(210)의 선단에 연결되며 상기 코르게이트부(210)보다 직경이 작은 가이드부(220), 및 (b3) 상기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논슬립 조성물로 코팅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10)의 표면에 밀착되는 논슬립막(240)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220)의 선단에 유입되는 상기 파편과 상기 분진은 상기 슬립막(230)을 따라 슬립되어 상기 코르게이트부(210)에 수용되며;
    상기 슬립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실리콘계 슬립제 10~25 중량부, 지방산 아미드계 슬립제 0.5~10 중량부, 왁스계 슬립제 0.1~3 중량부, 점도조절제 0.1~5 중량부,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0.5~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논슬립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51~69 중량%, 논슬립 입자 20~30 중량%, 유기계 비드 5~12 중량% 및 경화제 5~8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머드릴.
  2. 삭제
KR1020220166053A 2022-12-01 2022-12-01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KR10260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53A KR102601527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053A KR102601527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527B1 true KR102601527B1 (ko) 2023-11-14

Family

ID=8874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053A KR102601527B1 (ko) 2022-12-01 2022-12-01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5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08Y1 (ko) * 1999-01-22 2000-03-15 김정오 해머 드릴용 비트 커버
KR20140012807A (ko) 2012-07-23 2014-02-04 허광학 천정 앙카 드릴작업 장치
KR20180126999A (ko) 2017-05-19 2018-11-28 홍종주 드릴용 집진장치
KR102032461B1 (ko) * 2019-05-08 2019-10-15 이명행 천공드릴용 비산물받이통과 그의 장착고정체
KR20200069401A (ko) 2018-12-06 2020-06-17 노희천 드릴용 집진장치
KR102159215B1 (ko) * 2020-07-01 2020-09-23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해머 드릴
JP2021004350A (ja) * 2018-10-23 2021-01-1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08Y1 (ko) * 1999-01-22 2000-03-15 김정오 해머 드릴용 비트 커버
KR20140012807A (ko) 2012-07-23 2014-02-04 허광학 천정 앙카 드릴작업 장치
KR20180126999A (ko) 2017-05-19 2018-11-28 홍종주 드릴용 집진장치
JP2021004350A (ja) * 2018-10-23 2021-01-14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防曇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69401A (ko) 2018-12-06 2020-06-17 노희천 드릴용 집진장치
KR102032461B1 (ko) * 2019-05-08 2019-10-15 이명행 천공드릴용 비산물받이통과 그의 장착고정체
KR102159215B1 (ko) * 2020-07-01 2020-09-23 주식회사 미래구조안전연구원 안전 점검 및 진단용 해머 드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215B1 (ko) 안전 점검 및 진단용 해머 드릴
US5160230A (en) Safety debris catcher
US7484578B2 (en) Hole coring system
KR102601527B1 (ko) 안전 진단용 해머 드릴
US20100189940A1 (en) Titanium dioxide-containing composite
CN1919510A (zh) 通用快速变换孔锯轴
CA2543755C (en) Detachable anchor bolt mixing head for use in mine roof support systems and method of using same
EP1683692A3 (en) Webbing take-up device
EP2080602A2 (en) Hole coring system with lever arm
EP0063442A2 (en) Improved anchoring cartridge and method
KR1025672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 점검 및 진단용 해머 드릴
KR102574110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해머 드릴
JP2001507996A (ja) インパクトツールドライバー
KR102567256B1 (ko) 구조물 진단용 해머 드릴
US5477620A (en) Chalk dot marker
US4341301A (en) Adhesive securing of anchors in borehole
EP1064879A1 (en) Plug body for vacuum specimen sampling container, vacuum specimen sampling container, vacuum specimen sampling system, vacuum specimen sampling holder, an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for plug body
US11111071B2 (en) Mixing apparatus, method of making the mixing apparatus and using the mixing apparatus
TW201107122A (en) Anchoring adhesive combination and integrated method of applying it
EP3510120A1 (en) Carbonat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4842063A (en) Anchoring method and capsule therefor
CN113845281B (zh) 一种底泥原位修复方法
JP3718230B2 (ja) アンカ−ボルト固定用カプセル
EP2883664A1 (de) Werkzeug
US4922848A (en) Underwater rescu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