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35B1 - 카드홀더 - Google Patents

카드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35B1
KR102601435B1 KR1020220011710A KR20220011710A KR102601435B1 KR 102601435 B1 KR102601435 B1 KR 102601435B1 KR 1020220011710 A KR1020220011710 A KR 1020220011710A KR 20220011710 A KR20220011710 A KR 20220011710A KR 102601435 B1 KR102601435 B1 KR 10260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iece
clamps
slits
car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5402A (ko
Inventor
최찬욱
강철민
차대희
박정수
김지열
고승학
Original Assignee
오토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4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카드홀더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홀더는 상면부(1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120, 130)로 구성된 상측피스(100); 하면부(210)와 그 양측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220, 230)로 구성된 하측피스(200); 전면부(310), 내측수평연장부(320) 및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로 구성된 제1 중간피스(300); 및 후면부(410) 및 내측수평연장부(420)로 구성된 제2 중간피스(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드홀더{A card holder}
본 발명은 카드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으로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카드홀더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일상 생활 중에 빈번하게 사용하는 물품 중의 대표적인 것으로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지갑 또는 휴대폰케이스와 같은 곳에 보관하고 그로부터 수시로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러한 카드 보관대상물로부터 카드를 넣었다가 수시로 빼내는 일은 종종 번거롭게 느껴지곤 한다.
특히 차량 운행 중과 같이 거동에 제한이 있는 상황에서 지갑 등의 보관대상물에 카드를 넣어두고 사용하는 것은 불편함이 느껴짐은 물론 보관대상물이 시야에 띄지 않을 때에는 곤혹스러움을 유발하기까지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카드홀더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카드홀더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 여러 장의 카드가 보관 가능할 것, 사용이 편리한 것, 구조 및 조립과정이 간단할 것, 가격 대비 높은 성능을 제공할 것, 차량 내에서 눈에 잘 띄는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용이할 것 등의 다양한 요구들을 모두 충족시키는 카드홀더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여러 장의 카드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이 높으며, 구조 및 조립과정이 간단하며,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또한 차량용으로 특히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카드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면부(1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120, 130)로 구성된 상측피스(100); 하면부(2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220, 230)로 구성된 하측피스(200); 전면부(310), 내측수평연장부(320) 및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로 구성된 제1 중간피스(300); 및 후면부(410) 및 내측수평연장부(420)로 구성된 제2 중간피스(400);를 포함하는 카드홀더를 제공한다.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제1 중간피스(300)의 상기 전면부(310)에 하위 카드슬릿(51, 52) 및 상위 카드슬릿(53, 54)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클램핑하는 하위 클램프(331, 332) 및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클램핑하는 상위 클램프(333, 334)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가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보다 높은 지점의 상기 전면부(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의 카드접촉부(331, 332a)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과 중첩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상위 클램프(333, 334)는 상기 상위 카드슬릿(53, 54)보다 높은 지점의 상기 전면부(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위 클램프(333, 334)의 카드접촉부(333a, 334a)는 상기 상위 카드슬릿(53, 54)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가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와 상기 내측수평연장부(420) 사이에 끼여져 클램핑되고, 상기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가 상기 상위 클램프(333, 334)와 상기 내측수평연장부(320) 사이에 끼여져 클램핑되며, 상기 하위 및 상위 클램프(331, 332, 333, 334)의 탄성변형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상기 내측수평연장부(320)와의 접촉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내측수평연장부(320)에는 복수의 통공(351, 352, 353, 354)이 형성되고,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의 탄성변형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상기 내측수평연장부(420)와의 접촉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내측수평연장부(420)에는 복수의 통공(421, 422)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드홀더는 제2 중간피스(400)를 상기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중간피스(300)를 상기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2 단계, 상기 상측피스(100)를 상기 제1 및 제2 중간피스(300, 400)에 연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상측피스(100)와 상기 하측피스(200)를 스크류(501, 502)로 체결하는 제4 단계를 통해 조립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제2 중간피스(400)의 상기 후면부(4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리브(415)가 상기 하측피스(200)의 후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261)에 끼워지며,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제1 중간피스(300)의 상기 전면부(3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리브(311)가 상기 하측피스(200)의 전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262)에 끼워지며,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제1 중간피스(300)의 상기 결합리브(311)가 상기 상측피스(100)의 전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71)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중간피스(400)의 상기 결합리브(415)가 상기 상측피스(100)의 후단모서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172)에 끼워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홀더는 상측피스, 하측피스, 제1 중간피스 및 제2 중간피스, 단지 4개의 피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조와 조립과정이 간단하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카드홀더는 그 전면에 상하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슬릿을 제공하므로 여러 장의 카드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으며 카드를 꽂거나 뺄 때 사용자 편의성이 높다.
본 발명의 카드홀더는 비교적 슬림한 형상이고 차량 내부 구성품들과 잘 어울리는 외관을 가지므로 차량 인테리어와의 위화감 없이 시야에 잘 띄는 곳에 부착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의 사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의 분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카드홀더 분해부품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의 클램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중간피스를 하측피스에 연결하는 제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중간피스를 하측피스에 연결하는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상측피스를 제1 및 제2 중간피스에 연결하는 제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스크류를 체결하는 제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스크류커버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1)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이다. 사용자는 카드 홀딩 시에는 카드홀더(1)에 카드를 꽂으면 되고, 카드 분리 시에는 카드홀더(1)로부터 카드를 잡아당겨 빼면 된다.
카드홀더(1)는 예를 들어 차량 내에서 공조기 컨트롤 패널의 하측면에 부착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고 대시보드 등 다른 차량 내부 구성품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드홀더(1)는 슬림한 형상의 케이스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카드홀더(1)는 대략 가로 15cm , 세로 7.5cm , 높이 1.5cm의 규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카드홀더(1)는 6개의 외측면 즉 상면(10), 하면(20), 좌측면(30), 우측면(40), 전면(50) 및 후면(60)을 갖는다.
카드홀더(1)의 상면(10)에는 테이프접착부(11, 12)가 제공된다. 테이프접착부(11, 12)에는 테이프 접착이 잘되는 플라스틱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테이프접착부(11, 12)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 희망 장소에 카드홀더(1)를 부착시킬 수 있다.
카드홀더(1)의 전면(50)에 복수의 카드슬릿(51, 52, 53, 54)이 제공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드홀더(1)에는 4개의 카드슬릿(51, 52, 53, 54)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카드슬릿(51, 52, 53, 54) 중 일부(51, 52)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53, 54)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슬릿의 갯수가 4개인 경우 제1 및 제2 카드슬릿(51, 52)은 하위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카드슬릿(53, 54)은 상위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의 사용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는 제1 및 제4 카드슬릿(51, 54)에 카드(C)가 꽂혀 홀딩된 경우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카드홀더(1)에 수평방향으로 카드(C)를 삽입하여 홀딩시킬 수 있으며, 카드(C)의 일부가 밖으로 노출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카드홀더(1)로부터 카드(C)를 빼낼 때에는 그 노출 부분을 잡고 당기면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의 분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카드홀더 분해부품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1)는 상측피스(100), 하측피스(200), 제1 중간피스(300), 제2 중간피스(400), 총 4개의 피스로 구성된다.
상측피스(100)는 상면부(110)와 그 양측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120, 1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부(120, 130)의 외측단 모서리부에는 결합홈(141)이 2개씩 형성된다.
하측피스(200)는 하면부(210)와 그 양측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220, 2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부(220, 230)의 외측단 모서리부에는 결합돌기(241)가 2개씩 형성된다. 카드홀더 조립과정에서 하측피스(200)의 결합돌기(241)가 상측피스(100)의 결합홈(141)에 끼워짐으로써 카드홀더(1)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중간피스(300)는 전면부(310), 내측수평연장부(320) 및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를 포함한다. 전면부(310)에 전술한 카드슬릿(51, 52, 53, 54)이 형성된다. 내측수평연장부(320)는 상위 카드슬릿(53, 54)보다 약간 낮은 지점의 전면부(310) 내측면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다. 내측수평연장부(320)는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의 하면을 접촉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는 카드 홀딩에 필요한 하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구성이다.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는 하위 클램프(331, 332) 및 상위 클램프(333, 334)로 구분되며,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2개의 하위 클램프(331, 332) 및 2개의 상위 클램프(333, 334)로 구성될 수 있다.
하위 클램프(331, 332)는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홀딩하기 위한 것으로, 하위 카드슬릿(51, 52)보다 약간 높은 지점의 전면부(310)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아래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그것의 카드접촉부(331a, 332a)는 하위 카드슬릿(51, 52)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다.
상위 클램프(333, 334)는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홀딩하기 위한 것으로, 상위 카드슬릿(53, 54)보다 약간 높은 지점의 전면부(310)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아래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그것의 카드접촉부(333a, 334a)는 상위 카드슬릿(53, 54)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다.
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 클램프(331, 332, 333, 334)는 그에 대응되는 카드슬릿을 통해 카드가 삽입될 때 상방으로 눌려지는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카드에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331, 332, 333, 334)는 카드 삽입 시에 상방으로 탄성변형되고, 카드 제거 시에는 본래 형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클램프(331, 332, 333, 334)의 탄성변형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내측수평연장부(320)와의 접촉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내측수평연장부(320)에는 복수의 통공(351, 352, 353, 35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중간피스(400)는 후면부(410) 및 내측수평연장부(420)를 포함한다. 내측수평연장부(420)는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의 하면을 접촉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수평연장부(420)에는 2개의 통공(421, 4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하위 클램프(331, 332)의 클램핑 동작이 내측수평연장부(420)와의 접촉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드홀더(1)에는 2개의 스크류(501, 502) 및 2개의 스크류커버(601, 602)가 구비된다. 스크류(501, 502)는 4개의 피스(100, 200, 300, 400)의 조립과정 중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되는 체결부재이며, 스크류커버(601, 602)는 스크류(501, 502)가 안 보이게 이를 가리는 구성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의 클램핑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하위 카드슬릿을 통한 카드 삽입의 경우를 설명하면, 하위 카드슬릿(52)을 통해 카드가 삽입될 때 그 카드와의 접촉으로 하위 클램프(332)가 상방으로 눌려짐으로써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삽입된 카드는 하위 클램프(332)와 제2 중간피스(400)의 내측수평연장부(420)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하위 클램프(332)가 제공하는 하방향의 탄성력을 받음으로써 카드홀더(1)로부터 빠지지 않고 그에 홀딩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여 상위 카드슬릿을 통한 카드 삽입의 경우를 설명하면, 상위 카드슬릿(53)을 통해 카드가 삽입될 때 그 카드와의 접촉으로 상위 클램프(333)가 상방으로 눌려짐으로써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게 된다. 그리하여, 삽입된 카드는 상위 클램프(333)와 제1 중간피스(300)의 내측수평연장부(320)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상위 클램프(333)가 제공하는 하"?향?* 탄성력을 받음으로써 카드홀더(1)로부터 빠지지 않고 그에 홀딩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카드홀더(1)의 조립과정은 제2 중간피스(400)를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1 단계, 제1 중간피스(300)를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2 단계, 상측피스(100)를 제1 및 제2 중간피스(300, 400)에 연결하는 제3 단계, 및 스크류(501, 502)를 체결하는 제4 단계 순으로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카드홀더(1)의 각 조립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제2 중간피스(400)를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1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단계는 아래에 놓여진 하측피스(200)에 제2 중간피스(400)를 위에서 아래로 끼워 연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중간피스(400)의 후면부(410)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결합리브(415)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피스(200)에는 그 후단 모서리를 따라 결합홈(26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단계에서 제2 중간피스(400)의 결합리브(415)가 하측피스(200)의 결합홈(261)에 끼워짐으로써 제2 중간피스(400)가 하측피스(200)에 연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측피스(200)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251, 252)가 구비되어 있고 제2 중간피스(400)의 내측수평연장부(420)에는 그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탭(425, 426)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단계에서 결합탭(425, 426)에 결합돌기(251, 252)가 끼워짐으로써 제2 중간피스(400)의 자세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1은 제1 중간피스(300)를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단계는 제2 중간피스(400)와 연결되어진 하측피스(200)에 제1 중간피스(300)를 위에서 아래로 끼워 연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중간피스(300)의 전면부(310)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결합리브(311)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피스(200)에는 그 전단 모서리를 따라 결합홈(26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단계에서 제1 중간피스(300)의 결합리브(311)가 하측피스(200)의 결합홈(262)에 끼워짐으로써 제1 중간피스(300)가 하측피스(200)에 연결된다.
제1 중간피스(300)의 내측수평연장부(320)의 일측에는 지지돌기(36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단계에서 그 지지돌기(365)가 전술한 제2 중간피스(400)의 결합탭(426) 위에 안착됨으로써 제1 중간피스(300)의 자세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2 및 도 13은 상측피스(100)를 제1 및 제2 중간피스(300, 400)에 연결하는 제3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단계는 전술한 과정에 따라 하측피스(200)에 연결된 상태의 제1 및 제2 중간피스(300, 400)에 상측피스(100)를 위에서 아래로 끼워 연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측피스(100)의 내측면에는 전단모서리를 따라 결합홈(171)이 구비되고 후단모서리를 따라 결합홈(172)이 구비되어 있다.
제3 단계에서 전단모서리 상의 결합홈(171)에 제1 중간피스(300)의 전술한 결합리브(311)(도 11 참조)가 끼워지고 후단모서리 상의 결합홈(272)에 제2 중간피스(400)의 전술한 결합리브(415)(도 10 참조)가 끼워짐으로써 상측피스(100)가 제1 및 제2 중간피스(300, 400)에 연결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했던 바와 같이, 하측피스(200)의 양측면부 모서리에는 결합돌기(241)가 2개씩 형성되어 있고, 상측피스(100)의 양측면부 모서리에는 결합홈(141)이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제3 단계에서 상측피스(100)의 결합홈(141)에 하측피스(200)의 결합돌기(241)가 끼워지는 과정이 함께 진행된다.
도 14는 스크류(501, 502)를 체결하는 제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 단계는 스크류(501, 502)를 위에서 아래로 체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상측피스(100)에 한 쌍의 체결공(161, 16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피스(200)에는 암나사산을 가진 한 쌍의 체결보스(271, 272)가 형성되어 있다.
제4 단계에서 체결공(161, 162)을 통해 스크류(501, 502)가 체결보스(271, 272)에 체결됨으로써 상측피스(100)와 하측피스(200)가 결합되며, 이로써 카드홀더(1)의 조립이 완성된다.
추가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스크류커버(601, 602) 장착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에서 사용된 스크류(501, 502)가 체결된 자리에 스크류커버(601, 602)를 끼워 장착함으로써 스크류(501, 502)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는 카드홀더(1)의 외관 개선을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스크류커버의 장착을 생략할 수도 있다.
1 : 카드홀더
10 : 상면
20 : 하면
30 : 좌측면
40 : 우측면
50 : 전면
51, 52, 53, 54 : 카드슬릿
60 : 후면
100 : 상측피스
110 : 상면부
200 : 하측피스
210 : 하면부
300 : 제1 중간피스
310 : 전면부
320 : 내측수평연장부
331, 332, 333, 334 : 클램프
351, 352, 353, 354 : 통공
400 : 제2 중간피스
410 : 후면부
420 : 내측수평연장부
421, 422 : 통공
501, 502 : 스크류
601, 602 : 스크류커버

Claims (6)

  1. 차량 내부 구성품에 부착시켜 사용되는 카드홀더로서, 상기 카드홀더는 상면(10), 하면(20), 좌측면(30), 우측면(40), 전면(50) 및 후면(60)을 가지며, 상기 상면(10), 상기 하면(20), 상기 전면(50) 및 상기 후면(60)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30) 및 상기 우측면(40)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10)에는 상기 카드홀더의 부착을 위한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한 쌍의 테이프접착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면(50)에는 수평방향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복수의 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카드홀더의 내부에는 카드 홀딩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클램프가 구비되며 각 클램프는 아래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카드접촉부를 가지며 각 클램프는 그에 대응되는 카드슬릿을 통해 카드가 삽입될 때 상방으로 눌려지는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카드에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며,
    상기 카드홀더는 제1 중간피스(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간피스(300)는 전면부(310) 및 상기 전면부(31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복수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간피스(300)는 체결부재를 사용함 없이 끼움결합에 의해 상기 카드홀더에 장착된
    카드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면부(1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120, 130)로 구성된 상측피스(100); 하면부(2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220, 230)로 구성된 하측피스(200); 상기 전면부(310), 내측수평연장부(320) 및 상기 복수의 클램프로 구성된 상기 제1 중간피스(300); 및 후면부(410) 및 내측수평연장부(420)로 구성된 제2 중간피스(400);를 포함하는
    카드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피스(300)의 상기 전면부(310)에 하위 카드슬릿(51, 52) 및 상위 카드슬릿(53, 54)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클램프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클램핑하는 하위 클램프(331, 332) 및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클램핑하는 상위 클램프(333, 334)로 구성된
    카드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보다 높은 지점의 상기 전면부(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의 카드접촉부(331, 332a)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과 중첩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상위 클램프(333, 334)는 상기 상위 카드슬릿(53, 54)보다 높은 지점의 상기 전면부(3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위 클램프(333, 334)의 카드접촉부(333a, 334a)는 상기 상위 카드슬릿(53, 54)과 중첩되는 높이를 갖는
    카드홀더.
  5. 차량 내부 구성품에 부착시켜 사용되는 카드홀더로서, 상기 카드홀더는 상면(10), 하면(20), 좌측면(30), 우측면(40), 전면(50) 및 후면(60)을 가지며, 상기 상면(10), 상기 하면(20), 상기 전면(50) 및 상기 후면(60)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30) 및 상기 우측면(40)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10)에는 상기 카드홀더의 부착을 위한 양면테이프가 부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테이프접착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면(50)에는 수평방향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복수의 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카드홀더의 내부에는 카드 홀딩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클램프가 구비되며 각 클램프는 아래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카드접촉부를 가지며 각 클램프는 그에 대응되는 카드슬릿을 통해 카드가 삽입될 때 상방으로 눌려지는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카드에 하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며,
    상면부(1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120, 130)로 구성된 상측피스(100);
    하면부(210)와 그 양측에 연장된 한 쌍의 측면부(220, 230)로 구성된 하측피스(200);
    전면부(310), 내측수평연장부(320) 및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로 구성된 제1 중간피스(300); 및
    후면부(410) 및 내측수평연장부(420)로 구성된 제2 중간피스(4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간피스(300)의 상기 전면부(310)에 하위 카드슬릿(51, 52) 및 상위 카드슬릿(53, 54)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클램프(331, 332, 333, 334)는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클램핑하는 하위 클램프(331, 332) 및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를 클램핑하는 상위 클램프(333, 334)로 구성되고,
    상기 하위 카드슬릿(51, 52)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는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와 상기 내측수평연장부(420) 사이에 끼여져 클램핑되고, 상기 상위 카드슬릿(53, 54)을 통해 삽입되는 카드는 상기 상위 클램프(333, 334)와 상기 내측수평연장부(320) 사이에 끼여져 클램핑되며,
    상기 하위 및 상위 클램프(331, 332, 333, 334)의 탄성변형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상기 내측수평연장부(320)와의 접촉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내측수평연장부(320)에는 복수의 통공(351, 352, 353, 354)이 형성되고, 상기 하위 클램프(331, 332)의 탄성변형에 의한 클램핑 동작이 상기 내측수평연장부(420)와의 접촉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내측수평연장부(420)에는 복수의 통공(421, 422)이 형성된
    카드홀더.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드홀더는 상기 제2 중간피스(400)를 상기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1 단계, 상기 상기 제1 중간피스(300)를 상기 하측피스(200)에 연결하는 제2 단계, 상기 상측피스(100)를 상기 제1 및 제2 중간피스(300, 400)에 연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상측피스(100)와 상기 하측피스(200)를 스크류(501, 502)로 체결하는 제4 단계를 통해 조립되는
    카드홀더.
KR1020220011710A 2022-01-26 2022-01-26 카드홀더 KR10260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710A KR102601435B1 (ko) 2022-01-26 2022-01-26 카드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710A KR102601435B1 (ko) 2022-01-26 2022-01-26 카드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402A KR20230115402A (ko) 2023-08-03
KR102601435B1 true KR102601435B1 (ko) 2023-11-14

Family

ID=8756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710A KR102601435B1 (ko) 2022-01-26 2022-01-26 카드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4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7112A1 (en) * 2001-09-24 2003-03-27 Robert Keough Personal object holding device
US20200305564A1 (en) * 2019-03-27 2020-10-01 Justin J. Myers Customizable Card Walle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464U (ja) * 1993-05-12 1994-11-29 高士 福田 自動車用収納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7112A1 (en) * 2001-09-24 2003-03-27 Robert Keough Personal object holding device
US20200305564A1 (en) * 2019-03-27 2020-10-01 Justin J. Myers Customizable Card Wal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5402A (ko)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2744B1 (en) Monitor mounted personal organizer
US4736539A (en) Bumper sticker holder
CN109445190B (zh) 背光模组及显示设备
CN103148459A (zh) 用于固定光学膜片的卡扣、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CA2045779A1 (en) Container with inner compartment case
KR102601435B1 (ko) 카드홀더
US6467210B1 (en) Versatile picture frame
US5713148A (en) Frame with picture holder
US11731449B2 (en) System for coupling magnets to articles
US20070119084A1 (en) Picture frame assembly for mounting to a cylindrical object
US5371963A (en) Display apparatus for desired items with easy exchange of desired items, and with protection from ultra-violet light
US3452463A (en) Card holder
CN113050316B (zh) 一种双视角车载背光模组
JP3160237U (ja) 表示物ホルダ
GB2207539A (en) Adjustable display device
CN110873922B (zh) 背光模组及使用其的显示装置
CN216057960U (zh) 商显红外边框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CN212259145U (zh) 功能区安装结构及电视机
CN215773344U (zh) 一种小尺寸全面屏电视一体式结构
CN213817968U (zh) 一种显示器模组及智能电视
CN216759899U (zh) 一种机器人
KR200481374Y1 (ko) 휴대용 책상 칸막이
CN219225415U (zh) 拆装机构及机箱
CN217326285U (zh) 一种踢脚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