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369B1 -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369B1
KR102601369B1 KR1020210077405A KR20210077405A KR102601369B1 KR 102601369 B1 KR102601369 B1 KR 102601369B1 KR 1020210077405 A KR1020210077405 A KR 1020210077405A KR 20210077405 A KR20210077405 A KR 20210077405A KR 102601369 B1 KR102601369 B1 KR 10260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meric
weight
cosmetic composition
body cleans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214A (ko
Inventor
이유석
이선경
김표현
김명석
권오도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21007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3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2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의 유효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세정시 각질제거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노화방지 효과 및 피지선 안정화가 지속적으로 도모되어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body cleanser containing turmeric}
본 발명은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디클렌저 조성물에 울금 분말 및 울금 뿌리수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의 보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모공을 통하여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배출되고 분해됨으로써,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탄력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피부 상피 세포의 비정상적인 각화는 모공을 막아 피지의 피부 표면 배출을 저해하여 공기 중의 미생물들이 피부표면에 번식하고 피지를 산패시킴으로써 피부 트러블의 요인이 되게 한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문헌 표시와 같은 바디클렌저를 사용하여 피부 트러블의 요인을 방지하기도 하는데, 바디클렌저는 피부표면의 노폐물을 깨끗이 제거하여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시켜주는 세정제이다. 세정제는 적은 양으로도 기포 발생 정도와 양이 우수하면서 사용시 표면 감촉이 매끄럽고, 피지 제거능 및 보습력이 뛰어나며, 물성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자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디클렌저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사용시 기포 발생 정도가 우수하고, 표면 감촉이 매끄러우며, 피부 흡수가 뛰어나야 하는 것은 물론, 사용 전후에 피부 자극이 없어야 하고, 항균력이 있어야 하며, 피부의 보습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출원인은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피부의 보습성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5222호(2016.09.01.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보습력을 갖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울금이 포함됨으로써, 향상된 피부 보습력을 갖는 것은 물론, 각제제거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울금은, 울금 분말 및 울금 뿌리수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울금 분말 0.15~0.25 중량% 및 울금 뿌리수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뿌리수는,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추출한 후 분리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울금 뿌리수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25~48 %의 수분 증진 및 70 % 이상의 각질 제거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은 울금의 유효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세정시 각질제거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노화방지 효과 및 피지선 안정화가 지속적으로 도모되어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울금 추출물로부터 울금 뿌리수 및 울금 오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 피부 수분 변화 및 피부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후 피부 각질도 변화 및 개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보습력을 갖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울금이 포함됨으로써, 향상된 피부 보습력을 갖는 것은 물론, 각제제거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울금은 생강과의 식물로 울금(Curcuma longa Radix), 온울금(C aromatica), 서아출(C kwangsiensis) 및 봉아출(C zedoaria)을 포함한다. 특이한 냄새와 자극성이 있으며, 맛은 맵고 쓰다. 상기 울금은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 불순, 옆구리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혈, 코피, 피오줌을 치료하는 데에도 효능이 있으며, 정신을 맑게 하고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므로 담즙 분비 촉진과 담낭 결석 치료에도 쓰일 수 있다. 상기 울금의 약리작용은 담즙분비, 배설 촉진, 관상동맥 안의 반괴 형성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울금은, 울금 분말 및 울금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울금 추출물은 울금 뿌리수일 수 있다.
상기 울금 뿌리수는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분리하여 수득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수증기 증류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은 용매를 이용하여 식물의 방향성 유효 성분을 녹여내고 용매를 다시 분리하여 유효 성분만을 얻는 방법이다.
상기 용매추출에 사용되는 상기 용매는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아세톤(Acetone), 글리세린(Glycerin),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메틸아세테이트(Methyl acetate), 에텔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헥산(Hexane), 디에틸에테르(Diethylether),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소르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 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증류(Hydrodistillation) 및 상기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는 모두 증기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수증기 증류는 끓는점이 높고, 물에 거의 녹지 않는 유기화합물에 수증기를 불어넣어, 그 물질의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수증기와 함께 유출되어 나오는 물질의 증기를 냉각하여, 물과의 혼합물로서 응축시키고 그것을 분리시키는 증류법이다.
상기 울금 추출물 및 울금 뿌리수의 제조방법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울금 분말은 세포 독성을 증강시키며, 뇌 신경 세포의 치유를 촉진하고, 염증, 통증완화, 혈관치료, 항염증, 진정효과, 면역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울금 분말은 주요 성분으로 상기 울금 분말 100 중량% 기준으로 진지베린(Zingiberene) 36.734 중량%, 베타-세스퀴펠린드렌(β-Sesquiphellandrene) 20.938 중량%, 투메론(Tumerone) 8.713 중량%, 알파-쿠르쿠멘(α-Curcumene) 7.376 중량%, 베타-비사볼렌(β-Bisabolene) 4.937 중량%, 베타-튜메론(β-Turmerone) 3.2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뿌리수는 항염증, 보혈, 면역촉진, 진정작용 및 세포 독성 증강 효과가 있으며, 상기 울금 뿌리수는 주요 성분으로, 상기 울금 뿌리수 100 중량% 기준으로 유칼리프톨(Ekucalyptol) 37.647 중량%, 베타-세크퀴펠린드렌(β-Sesquiphellandrene) 11.367 중량%, 베타-비사볼렌(β-Bisabolene) 10.992 중량%, 노난올(2-Nonanol) 8.233 중량%, 알파-쿠르쿠멘(α-Curcumene) 5.030 중량%, 베타-펜콜 알코올(β-Fenchyl alcohol) 4.946 중량% 및 베타-튜메론(β-Turmerone) 2.6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울금 분말 0.15~0.25 중량% 및 울금 뿌리수 3~5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울금 분말 0.2 중량% 및 울금 뿌리수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분말의 함량이 0.15 중량% 미만이면, 기대치에 미치는 울금의 항균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최종 제품의 색상이 연하여 기호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0.25 중량%를 초과하면, 원료간 혼합시 균질화되지 않으며, 색상이 진하여 기호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울금 뿌리수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보습 효과 및 사용감 낮은 문제점이 있고, 5 중량%를 초과하면, 울금 특위의 향이 강하여 기호도가 낮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울금 분말 0.2 중량% 및 울금 뿌리수 4.5 중량%를 포함할 때 가장 우수한 수분 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에 항균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울금 오일 0.0001~0.000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오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이면, 보습 및 향균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0.0003 중량%를 초과하면, 투입량 대비 기대 효과에 못미치며, 최종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상기한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울금 오일은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있고, 혈관 강화, 콜레스테롤,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증 개선 및 노화억제 효과가 있으며, 뇌 신경 세포의 치유를 촉진하고, 염증, 통증완화 및 혈관치료 효과가 있으며, 상기 울금 오일은 주요 성분으로, 상기 울금 오일 100 중량% 기준으로 진지베리(Zingiberene) 28.467 중량%, 베타-세크퀴펠린드렌(β-Sesquiphellandrene) 17.988 중량%, 유칼리프톨(Eucalyptol) 6.742 중량%, 알파-쿠르쿠멘(α-Curcumene) 5.573 중량%, 알파-(α-Terpinolene) 5.362 중량%, (β-Bisabolene) 4.025 중량%, 투메론(Tumerone) 3.917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울금 추출물로부터 울금 뿌리수 및 울금 오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울금 분말 및 울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울금 분말은 울금을 세절하는 단계, 숙성하는 단계, 건조하는 단계 및 분쇄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수증기 증류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상기 수증기 증류법을 통해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면, 상기 울금 추출물은 수성 성분 및 유성 성분이 추출되는데 이를 분리하여 상기 울금 오일 및 상기 울금 뿌리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울금 뿌리수는 상기 울금 추출물에서 분리된 수성 성분 88 중량%, 1,3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10 중량% 및 1,2 헥산디올(Hexanediol) 2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를 제균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도록 원료화된다.
본 발명에서 울금 오일은 상기 울금 추출물에서 분리된 유성 성분 2 중량%, 글리세린(Glycerin) 66 중량%, 디메티콘(Diemethicone) 18 중량% 수첨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4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70~80 ℃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상기 울금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원료화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계면활성제, 유연제, 보습제, 보습제, 각젤제거제 산화방지제, 부형제 및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정제수,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Sodium C14-16 olefin sulfonate), 코코-베타인(Coco-betaine), 글리세린(Glycerin), 소듐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우레아(Urea),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테트라데센(Tetradecene),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 헥사데센(Hexadecene), 1,2-헥사다이올(1,2-Hexanediol), 시트릭애씨드(Citri acid), 베타인(Betaine),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티트리추출물(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프로폴리스추출물(Propolis extract), 다이메디콘(Dimethicone),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및 향료(Fragranc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은 25~48 %의 보습증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70 % 이상의 각질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조예)
제조예 1: 울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울금 60 kg과 정제수 200 L를 혼합하고,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울금 추출물을 제조한 후 유성 성분(원료화 되지 않은 오일)과 수성성분(원료화 되지 않은 뿌리수)으로 분리하였다.
제조예 2:울금 오일의 제조
제조예 1에서 분리된 유성 성분 2 중량%, 글리세린(Glycerin) 66 중량%, 디메티콘(Diemethicone) 18 중량% 수첨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4 중량% 및 증류수 10 중량%를 75 ℃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혼합물을 200 mesh로 여과한 후 1,500 bar의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여 울금 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울금 뿌리수의 제조
제조예 1에서 분리된 수성성분 88 중량%, 1,3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10 중량% 및 1,2 헥산디올(Hexanediol) 2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액 제조한 후 0.1N NaCl을 이용하여 pH를 보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균기(0.45 ㎛)를 이용하여 혼합액을 제균하여 원료화된 울금 뿌리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1
정제수 62.87 중량%,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Sodium C14-16 olefin sulfonate) 16 중량%, 울금 뿌리 추출물 4 중량% 코코-베타인(Coco-betaine) 4 중량%, 글리세린(Glycerin) 3 중량%, 소듐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2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중량%, 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1 중량%,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 중량%, 우레아(Urea) 0.5 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5 중량%, 테트라데센(Tetradecene) 0.37 중량%,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 0.5 중량%, 헥사데센(Hexadecene) 0.25 중량%, 1,2-헥사다이올(1,2-Hexanediol) 0.2 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 acid) 0.3 중량%, 울금 분말 0.2 중량%, 베타인(Betaine) 0.1 중량%,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0.1 중량%, 티트리추출물(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0.1 중량%, 프로폴리스추출물(Propolis extract) 0.05 중량%, 다이메디콘(Dimethicone) 0.05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5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0.01 중량% 및 향료(Fragrance) 0.85 중량%로 이루어진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울금 분말 0.2 중량%, 울금 뿌리수 추출물 4 중량% 및 정제수 62.87 중량% 대신에 울금 분말 0.1 중량%, 울금 뿌리수 추출물 4 중량% 및 정제수 62.97 중량%를 투입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울금 분말 0.2 중량%, 울금 뿌리수 추출물 4 중량% 및 정제수 62.87 중량% 대신에 울금 분말 0.1 중량%, 울금 뿌리수 추출물 6 중량% 및 정제수 60.97 중량%를 투입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울금 분말 0.2 중량%, 울금 뿌리수 추출물 4 중량% 및 정제수 62.87 중량% 대신에 울금 분말 0.2 중량%, 울금 뿌리수 추출물 6 중량% 및 정제수 60.87 중량%를 투입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관능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선호도 조사는 7 점 척도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향, 촉감, 색 및 전반적 기호도를 조사하여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2 및 실시예에서 울금 향을 강하게 감지하였으며 촉감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색감과 전반적 기호도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안전성 평가
본 발명의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실시예)의 안정성평가를 위해 피험자 33명을 대상으로 피부첩포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반응도 0.00~0.75 무자극; 0.76~1.50 미자극; 1.51~2.50 경자극; 2.51~4.00 중자극; 4.01 강자극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첩포 제거 후 30 분, 24 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고, 48 시간 경과 후에는 ±자극(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판정기준, 미자극)이 3 명 관찰되었으며, 평균 피부반응도는 0.51로 판정기준에 따라 무자극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기의 표 3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기준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3: 피부 보습 평가
본 발명에 따른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보습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Epslion E100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A 및 도 2B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후 피부 수분 변화 및 피부 수분 개선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을 참조하면, Epslion E100을 이용하여 왼쪽 전완부위의 피부 보습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 수분이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1 회 사용직후 48.74 %, 2 주 사용 후 25.65 % 증가하는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1 회 사용 직후, 2 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001) 본 발명의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보습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각질제거 및 세정효과 분석
비디오 마이크로 스코프와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예의 각질 세정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1회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의 각질 세정효과를 평가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A 내지 도 3E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후 피부 각질도 변화 및 개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전 피부 각질도를 비교하여 보면 1 회 사용 직후 58.87 %, 2 주 사용 후 68.51 %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1 회 사용 직후, 2 주 사용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001) 실시예가 각질 세정효과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사용감 및 피부상태 설문 조사
본 발명에 따른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및 피부상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피시험자는 사용 후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이나 자극성 접촉 피부염에 대한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특별한 피부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data not shown). 피시험자의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후 사용감 및 피부상태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하기의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사용감 조사는 만족/불만족 양자택일형을 이용하여 세정력, 촉촉함, 매끈함, 만족도 항목에 대해 피시험자의 시험물질에 대한 사용감을 설문조사하였다.
상기 표 4 및 표 5를 참조하면, 전체 항목에 대해 만족한다는 답변이 우세하였으며, 피부 상태에 대해서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울금의 유효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세정시 각질제거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노화방지 효과 및 피지선 안정화가 지속적으로 도모되어 피부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형예: 바디클렌저 화장료 조성물
정제수 62.3873 중량%, 소듐C14-16올레핀설포네이트(Sodium C14-16 olefin sulfonate) 16 중량%, 울금 뿌리 추출물 4.5825 중량% 코코-베타인(Coco-betaine) 4 중량%, 글리세린(Glycerin) 3 중량%, 소듐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2 중량%,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2 중량%, 글라이콜다이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1 중량%, 다이소듐라우레스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 중량%, 우레아(Urea) 0.5 중량%,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Hydroxyacetophenone) 0.5 중량%, 테트라데센(Tetradecene) 0.37 중량%, 라우릴베타인(Lauryl betaine) 0.5 중량%, 헥사데센(Hexadecene) 0.25 중량%, 1,2-헥사다이올(1,2-Hexanediol) 0.2 중량%, 시트릭애씨드(Citri acid) 0.3 중량%, 울금 뿌리 분말 0.1 중량%, 베타인(Betaine) 0.1 중량%,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 0.1 중량%, 티트리추출물(Melaleuca alternifolia extract) 0.1 중량%, 프로폴리스추출물(Propolis extract) 0.05 중량%, 다이메디콘(Dimethicone) 0.05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05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0.01 중량%, 울금 뿌리 오일 0.0002 중량% 및 향료(Fragrance) 0.85 중량%로 이루어진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0.15~0.25 중량%의 울금 분말,
    0.0001~0.0003 중량%의 울금 오일 및
    3~5 중량%의 울금 뿌리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오일은 울금을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로 추출한 울금 추출물에서 분리한 유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뿌리수는 울금을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로 추출한 울금 추출물에서 분리한 수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뿌리수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추출한 울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수성 성분, 1,3-부틸렌 글리콜 1,2-헥산디올을 혼합한 다음 제균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사용 전 대비 25~48 %의 수분 증진 및 70 % 이상의 각질 제거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77405A 2021-06-15 2021-06-15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05A KR102601369B1 (ko) 2021-06-15 2021-06-15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405A KR102601369B1 (ko) 2021-06-15 2021-06-15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214A KR20220168214A (ko) 2022-12-23
KR102601369B1 true KR102601369B1 (ko) 2023-11-14

Family

ID=8453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405A KR102601369B1 (ko) 2021-06-15 2021-06-15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8658B1 (ko) * 2024-01-04 2024-03-19 주식회사 제이에스뷰티 안티에이징 효과를 가지는 난황유를 사용한 바디워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767A (ja) * 2009-07-10 2011-01-27 Mukogawa Gakuin 保湿剤
KR102228257B1 (ko) * 2020-06-17 2021-03-16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1248A (ko) * 2003-03-14 2004-09-21 (주)에코텍 울금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KR101655222B1 (ko) 2014-07-07 2016-09-07 경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금은화 및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세안제, 바디클렌저, 크렌징 겔 및 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767A (ja) * 2009-07-10 2011-01-27 Mukogawa Gakuin 保湿剤
KR102228257B1 (ko) * 2020-06-17 2021-03-16 (주)대한뷰티산업진흥원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214A (ko)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6636B2 (ja) 止痒性組成物及び創傷治癒促進組成物
US6485711B1 (en) Organic toothpaste containing saponin
JP6412901B2 (ja) 組成物の製造方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601369B1 (ko) 울금을 포함하는 바디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759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담체로 이용한 울금 추출물과 탄닌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62132A (zh) 一种抑螨除螨植物组方及其在制皂中的用途
KR20100108039A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30613B (zh) 一种抗菌缓解疲劳的天然植物精油洗脚液
CN104928081A (zh) 一种抑螨除螨的马油和植物组方及其在制皂中的用途
KR20220009755A (ko) 생리활성이 증진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생리활성이 증진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621611B1 (ko) 메이크업 리무브 거꾸로 클렌징 조성물
KR20140087901A (ko) 식물성 오일과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세안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101045410B1 (ko) 올리브유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451818A (zh) 一种榆树皮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93585B1 (ko) 왁스형 클렌저
KR102027681B1 (ko) 매실증류추출액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와, 이의 제조방법
Naser et al. Plants Extract Oils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in Treatment of Denture Stomatitis: Lemongrass Essential Oil (A review of literature)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KR20210030166A (ko)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스크럽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109227A (ko) 피부병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4117A (ko) 대추가 함유된 기능성 바디 클렌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