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321B1 -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321B1
KR102601321B1 KR1020187005586A KR20187005586A KR102601321B1 KR 102601321 B1 KR102601321 B1 KR 102601321B1 KR 1020187005586 A KR1020187005586 A KR 1020187005586A KR 20187005586 A KR20187005586 A KR 20187005586A KR 102601321 B1 KR102601321 B1 KR 10260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ocysteine
cells
cell culture
medium
intracellular glutathi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527A (ko
Inventor
알리네 침머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28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2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60Buffer, e.g. pH regulation, osmotic pressure

Abstract

본 발명은 세포 내 글루타티온 풀을 증가시키기 위한 술포시스테인 및 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세포 내 글루타티온 풀 (pool) 을 증가시키기 위한 술포시스테인 및 이의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L-글리신, L-시스테인, 및 L-글루탐산 (또한 L-글루타메이트로서 공지됨) 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트리-펩티드 분자인, 글루타티온은, 포유류에서의 주요 세포 내 항산화제 중 하나이다.
글루타티온은 감소된 (GSH) 및 산화된 (GSSG) 상태로 존재하며, 감소된 형태 (GSH) 가 우세하다. 증가된 GSSG-대-GSH 비는 산화 스트레스의 지표로 간주된다.
글루타티온은 대부분의 세포에서 생산되지만, 다수의 질환 및 기타 병리학이 세포 내 글루타티온의 감소된 수준과 관련이 있다. 글루타티온은 엄격하게 조절되는 세포 내 구성 성분으로, 감마-글루타밀시스테인 합성효소인 효소를 통한 이의 자체 합성의 음성 피드백 저해에 의해 이의 생산이 제한되기 때문에, 과다복용의 가능성을 크게 최소화시킨다. 글루타티온 합성의 전구체를 사용하는 글루타티온 증강은 글루타티온 결핍, 높은 산화 스트레스, 면역 결핍, 및 생체이물질 (xenobiotic) 과부하의 상태를 다루기 위해 개발된 전략으로, 여기서 글루타티온은 논의되는 생체이물질의 해독에 일익을 담당한다. 인간에서의 글루타티온 결핍 상태에는, 비제한적으로, HIV/AIDS, 화학적 및 감염성 간염, 근통성 뇌척수염, 만성 피로 증후군, 전립선 암 및 기타 암, 백내장,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만성 폐쇄성 폐질환, 천식, 방사능 중독, 영양실조 상태, 힘든 육체적 스트레스, 및 노화가 포함되며, 이는 준최적화된 (suboptimal) 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다. 다수의 임상 병리학이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으며, 수많은 의학적 참고문헌에 상술되어 있다.
나아가, 글루타티온 시스템에서의 결핍은 중요한 세포 노화, 및 궁극적으로는, 세포 이환 (morbidity) 을 유도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포 글루타티온의 농도는 항산화제 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영양소 제한, 운동 및 산화 스트레스는 세포 글루타티온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글루타티온은 ATP, 마그네슘, 및 글리신, 글루타메이트 및 시스테인의 3 가지 아미노산을 이용하는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으로 합성된다. 일반적으로, 감마-글루타밀시스테인의 합성 속도는 글루타티온의 합성 속도를 결정하고, 시스테인의 술프히드릴기는 글루타티온에 이의 생물학적 효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시스테인 가용성은 글루타티온의 가용성 및 이의 항산화제 기능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글루타티온의 가용성은 치료적 적용 및 미용적 적용 뿐 아니라, 세포 배양 적용에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배양된 세포 내에서의 총 GSH 풀의 증가는 세포 내 구획에서 감소된 산화 반응성을 유도하기 때문에, 배양 지속기간의 연장 및 종종 또한 역가의 증가를 유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의 GSH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다. 주로 치료 분야에서의, 이를 위한 몇몇 접근법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US 2014/0100283 에는, GSH 유도체인 S-아세틸-글루타티온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US 2011/0077303 에는, 글리신 및 N-아세틸-시스테인을 제공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US 2013/0338165 에는, 특정한 시스테인/시스테인 전구체 또는 N-아세틸-시스테인 전구체의 용도가 제안되어 있다.
세포 배양 적용의 경우, 글루타티온 전구체는 종종 특정 수송체 시스템의 요건으로 인해 세포에 의해 흡수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접근법은 단지 제한된 실행 가능성을 갖는다. 세포 배양의 경우, 보다 효과적이고 보편적인 접근법이 유리할 수 있다.
S-술포시스테인 및 이의 염은 포유류 세포의 GSH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세포에 등량의 시스테인 또는 S-술포시스테인이 제공되는 경우, S-술포시스테인을 받은 세포는 시스테인을 갖는 세포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GSH 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세포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세포를 액체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 중에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배양물 중 세포의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S)-2-아미노-3-술포술파닐프로판산 소듐 염이 첨가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세포 배양 배지는 6.8 내지 7.5 의 pH 를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은, 세포 배양물 중 이의 농도가 0.4 내지 50 mM 이 되는 양으로 첨가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세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류 (saccharide) 성분,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하나 이상의 비타민 또는 비타민 전구체, 하나 이상의 염, 하나 이상의 완충제 성분, 하나 이상의 보조인자 및 하나 이상의 핵산 성분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a) 생물반응기를 제공하는 단계
b)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를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와 혼합하는 단계
c) 단계 b) 의 혼합물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 생물반응기 내에 세포 및 액체 세포 배양 배지를 충전하는 단계
- 생물반응기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 생물반응기에서의 세포의 인큐베이션 전체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상기 인큐베이션 시간 내에 1 회 또는 수회, 세포 배양 배지 (이러한 경우, 이는 공급 배지임) 를 생물반응기에 첨가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며,
공급 배지는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급 배지는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1 내지 100 mmol/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mol/l 의 농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나아가, 세포 내 글루타티온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시스테인 또는 S-술포시스테인을 이용하여 생물반응기 유가식 (fed-batch) 실험에서 배양된 CHO 세포로 달성된 IgG 농도의 비교를 나타낸다.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 는, 시스테인 또는 S-술포시스테인을 이용하여 생물반응기 유가식 실험에서 배양된 CHO 세포의 세포 내 반응성 종의 비교를 나타낸다.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 은, 시스테인 또는 S-술포시스테인을 이용하여 생물반응기 유가식 실험에서 배양된 CHO 세포의 글루타티온 수준의 비교를 나타낸다.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위 (S)-2-아미노-3-술포술파닐프로판산으로 불리는, S-술포시스테인은, 예를 들어 황산과 시스테인의 축합에 의해 수득 가능한 생성물이다. 적합한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리튬 염, 소듐 염, 포타슘 염, 칼슘 염 또는 마그네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소듐 염, 포타슘 염, 칼슘 염 및 마그네슘 염이 바람직하고, 소듐 염이 가장 바람직하다.
S-술포시스테인 및 이의 염은 또한 하기 화학식 I 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19583920-pct00001
[식 중, R 은
Figure 112018019583920-pct00002
이고,
X 는 H, Li, Na, K, ½Ca, ½Mg, 바람직하게는 H, Na, K 임]. 용어 프로판산은 또한, 용어 프로피온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소위 (S)-2-아미노-3-술포술파닐-프로판산, S-술포-시스테인 또는 시스테인-S-술페이트로 불리는, 2-아미노-3-술포술파닐-프로피온산, 및 이의 염의 합성은, 예를 들어 [I.H.Segel and M.J.Johnson, Analytical Biochemistry 5 (1963), 330-337] 및 [J.S. Church, D.J. Evans, Spectrochimica Acta Part A 69 (2008) 256-262] 에 개시되어 있다. 소듐 염은 추가로 스위스의 바켐 (Bachem) 사에서 시판된다.
세포 배양 배지는 세포의 시험관 내 성장을 유지 및/또는 지지하는 성분의 임의의 혼합물이다. 이는 복합 배지 또는 화학적으로 정의된 (chemically defined) 배지일 수 있다. 세포 배양 배지는 세포의 시험관 내 성장을 유지 및/또는 지지하는데 필수적인 모든 성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단지 일부의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어, 추가의 성분들이 개별적으로 첨가된다. 세포 배양 배지의 예는, 세포의 시험관 내 성장을 유지 및/또는 지지하는데 필수적인 모든 성분 뿐 아니라, 배지 보충물 또는 공급물을 포함하는 완전 배지 (full media) 이다. 소위 기초 배지라 불리는 완전 배지는 전형적으로 6.8 내지 7.8 의 pH 를 갖는다. 공급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8.5 미만의 pH 를 갖는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포 배양 배지는 생물반응기에서 세포의 성장을 유지 및/또는 지지하고, 상기 세포의 IgG 생산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세포 배양 배지는 멸균 수성 액체로서 제공된다. 액체 세포 배양 배지의 단점은 이의 감소된 저장 수명, 및 운송 및 보관에 있어서의 어려움이다. 그 결과, 다수의 세포 배양 배지는 현재 미세하게 밀링된 (milled) 건조 분말 혼합물로서 제공된다. 이는 용해된 상태로, 및 물 및/또는 수용액에 용해시키기 위하여 제조되며, 상기 세포로부터 생물의약품의 성장 및/또는 생산을 위한 실질적인 영양소 베이스를 세포에 공급하기 위하여, 종종 기타 보충물과 함께 디자인된다.
대부분의 생물의약품 생산 플랫폼은 유가식 세포 배양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이의 목적은 전형적으로 시장 요구의 증가를 충족시키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고-역가 세포 배양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고-성능 재조합 세포주의 사용 이외에, 세포 배양 배지 및 공정 파라미터의 개선이 최대 생산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유가식 방법에서, 기초 배지는 초기 성장 및 생산을 지지하며, 공급 배지는 영양소의 고갈을 방지하고, 생산 단계를 유지시킨다. 배지는 상이한 생산 단계 동안 각각의 대사 요건에 부응하도록 선택된다. 공급 전략 및 제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공정 파라미터 설정은, 세포 성장 및 단백질 생산에 적합한 화학적 및 물리적 환경을 정의한다.
공급물 또는 공급 배지는, 세포 배양에서 초기 성장 및 생산을 지지하는 기초 배지가 아니라, 영양소의 고갈을 방지하고 생산 단계를 유지시키는 이후의 단계에서 첨가되는 배지인, 세포 배양 배지이다. 공급 배지는 기초 배양 배지에 비해 일부 성분의 농도가 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성분, 예를 들어 아미노산 또는 탄수화물을 포함하는 영양소는, 기초 배지에서의 농도의 약 5X, 6X, 7X, 8X, 9X, 10X, 12X, 14X, 16X, 20X, 30X, 50X, 100x, 200X, 400X, 600X, 800X, 또는 심지어 약 1000X 로, 공급 배지 중에 존재할 수 있다.
포유류 세포 배양 배지는 포유류 세포의 시험관 내 성장을 유지 및/또는 지지하는 성분의 혼합물이다. 포유류 세포의 예는, 인간 또는 동물 세포, 바람직하게는 CHO 세포, COS 세포, I VERO 세포, BHK 세포, AK-1 세포, SP2/0 세포, L5.1 세포, 하이브리도마 (hybridoma) 세포 또는 인간 세포이다.
화학적으로 정의된 세포 배양 배지는, 어떠한 화학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물질도 포함하지 않는 세포 배양 배지이다. 이는, 배지에 사용된 모든 화학물질의 화학적 조성이 공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적으로 정의된 배지는 어떠한 이스트, 동물 또는 식물 조직도 포함하지 않으며; 이들은 피더 (feeder) 세포, 혈청, 추출물 또는 소화물, 또는 화학적으로 불충분하게 정의된 단백질을 배지에 제공할 수 있는 기타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화학적 조성 및 구조가 공지되어 있지 않은, 화학적으로 정의되지 않거나 불충분하게 정의된 화학적 성분은, 다양한 조성으로 존재하거나, 또는 알부민 또는 카제인과 같은 단백질의 화학적 조성 및 구조의 평가에 필적하는 막대한 실험적 노력으로만 정의될 수 있다.
분말화된 세포 배양 배지 또는 건조 분말 배지는, 전형적으로 밀링 (milling) 방법 또는 동결건조 방법으로부터 수득되는 세포 배양 배지이다. 이는, 분말화된 세포 배양 배지가, 액체 배지가 아닌, 과립형, 미립자 배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건조 분말" 은, 용어 "분말" 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건조 분말" 은 단순히 과립화된 물질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복합체화되거나 응집된 용매가 완전히 없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분말화된 세포 배양 배지는 또한, 예를 들어 롤러 압축에 의해 건조 과립화된, 과립화된 세포 배양 배지일 수 있다.
분말화된 세포 배양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분을 혼합하고, 이를 밀링함으로써 제조된다. 성분의 혼합은 밀링에 의해 건조 분말화된 세포 배양 배지를 제조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분은, 혼합물의 모든 부분이 거의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철처하게 혼합된다. 조성물의 균일성이 높을수록, 균질 세포 성장과 관련하여 수득되는 배지의 품질이 우수해진다.
밀링은 분말화된 세포 배양 배지의 제조에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밀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는, 볼 밀, 핀 밀, 피츠 밀 (fitz mill) 또는 제트 밀이다. 핀 밀, 피츠 밀 또는 제트 밀이 바람직하며, 핀 밀이 가장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이러한 밀의 작동 방법을 알고있다.
밀링된 분말화된 배지의 사용을 위하여,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가장 특히 증류수 및/또는 탈이온수, 또는 정제수, 또는 주사용수) 또는 수성 완충제를 배지에 첨가하고, 배지가 용매에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성분들을 혼합한다.
용매는 또한 적합한 pH 범위 (전형적으로 pH 1.0 내지 pH 10.0 범위) 를 제공하는 가용성 산 또는 염기 이온, 염수,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알코올 또는 기타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H, 소 태아 혈청, 당 등의 조정을 위하여 완충제 물질과 같은 추가의 물질을, 세포 배양 배지 및 용매의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되는 액체 세포 배양 배지를 성장 또는 유지시키고자 하는 세포와 접촉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세포는, 정상 세포, 불멸화된 세포, 질환에 걸린 세포, 변형된 세포, 돌연변이 세포, 체 세포, 생식 세포, 줄기 세포, 전구체 세포 또는 배아 세포일 수 있으며, 이들 중 임의의 것은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수득되거나, 확립 또는 변형된 세포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포는 포유류 세포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BHK, VERO, HEK 또는 CHO 세포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CHO-S, CHO dhfr- (DG44 및 Duxb11), CHO-M 및 CHOK1 세포이다.
세포 배양 배지, 특히 완전 배지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류 성분,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하나 이상의 비타민 또는 비타민 전구체, 하나 이상의 염, 하나 이상의 완충제 성분, 하나 이상의 보조인자 및 하나 이상의 핵산 성분을 포함한다.
배지는 또한 소듐 피루베이트, 인슐린, 식물성 단백질, 지방산 및/또는 지방산 유도체 및/또는 플루론산 및/또는 표면 활성 성분, 예컨대 화학적으로 제조된 비(非)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하나의 예는, 소위 폴록사머라 불리는, 1차 히드록실기로 종결되는 2작용성 블록 공중합체 계면활성제이며, 예를 들어 BASF (Germany) 사에서 상표명 pluronic ® 으로 시판된다.
당류 성분은 모든 단- 또는 이당류, 예컨대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리보오스 또는 프룩토오스 (단당류의 예), 또는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말토오스 (이당류의 예)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의 예는, 티로신, 단백질생성 아미노산, 특히 필수 아미노산, 류신, 이소류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및 발린 뿐 아니라, D-아미노산과 같은 비(非)단백질생성 아미노산이다.
티로신은, L- 또는 D- 티로신, 바람직하게는 L-티로신을 의미한다.
시스테인은, L- 또는 D-시스테인, 바람직하게는 L-시스테인을 의미한다.
비타민의 예는, 비타민 A (레티놀, 레티날, 각종 레티노이드, 및 4 가지 카로테노이드), 비타민 B1 (티아민),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비타민 B3 (나이아신, 나이아신아미드), 비타민 B5 (판토텐산), 비타민 B6 (피리독신, 피리독사민, 피리독살), 비타민 B7 (비오틴), 비타민 B9 (폴산, 폴린산), 비타민 B12 (시아노코발라민, 히드록시코발라민, 메틸코발라민),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D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비타민 E (토코페롤, 토코트리에놀) 및 비타민 K (필로퀴논, 메나퀴논) 이다. 비타민 전구체가 또한 포함된다.
염의 예는, 바이카르보네이트, 칼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포타슘 및 소듐과 같은 무기 이온, 또는 Co, Cu, F, Fe, Mn, Mo, Ni, Se, Si, Ni, Bi, V 및 Zn 과 같은 미량 원소를 포함하는 성분이다. 이의 예는, 구리(II) 술페이트 펜타히드레이트 (CuSO4·5H2O), 소듐 클로라이드 (NaCl), 칼슘 클로라이드 (CaCl2·2H2O), 포타슘 클로라이드 (KCl), 철(II)술페이트, 무수 1염기성 소듐 포스페이트 (NaH2PO4),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 (MgSO4), 무수 2염기성 소듐 포스페이트 (Na2HPO4),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헥사히드레이트 (MgCl2·6H2O), 아연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이다.
완충제의 예는, CO2/HCO3 (카르보네이트), 포스페이트, HEPES, PIPES, ACES, BES, TES, MOPS 및 TRIS 이다.
보조인자의 예는, 티아민 유도체, 비오틴, 비타민 C, NAD/NADP, 코발라민, 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 및 유도체, 글루타티온, 헴 (heme) 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 및 유도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핵산 성분은, 시토신, 구아닌, 아데닌, 티민 또는 우라실과 같은 핵염기, 시티딘, 우리딘, 아데노신, 구아노신 및 티미딘과 같은 뉴클레오시드, 및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또는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또는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와 같은 뉴클레오티드이다.
공급 배지는 완전 배지와 비교하여 상이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아미노산, 미량 원소 및 비타민을 포함한다. 이는 또한 당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때때로 제조상의 이유로, 당류 성분은 별도의 공급물로 첨가된다.
적합한 공급 배지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L-아스파라긴 모노히드레이트
L-이소류신
L-페닐알라닌
소듐 L-글루타메이트 모노히드레이트
L-류신
L-트레오닌
L-리신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L-프롤린
L-세린
L-아르기닌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L-히스티딘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모노히드레이트
L-메티오닌
L-발린
모노-소듐-L-아스파르테이트-모노히드레이트
L-트립토판
콜린 클로라이드
미오-이노시톨
니코틴아미드
칼슘-D(+) 판토테네이트
피리독신 히드로클로라이드
티아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미분화된 비타민 B12 (시아노코발라민)
비오틴
폴산
리보플라빈
무수 마그네슘 술페이트
구리(II) 술페이트 펜타히드레이트
아연 술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1,4-디아미노부탄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암모늄 헵타몰리브데이트 테트라히드레이트
칼슘 술페이트 히드레이트
망간(II) 클로라이드 테트라히드레이트
니켈(II) 클로라이드 헥사히드레이트
소듐 메타 실리케이트
소듐 메타바나데이트
주석(II) 클로라이드 디히드레이트
소듐 셀레나이트 (약 45% SE)
소듐 디히드로겐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레이트
암모늄 철(III) 시트레이트 (약 18% FE)
본 발명의 요지는 세포 내 총 글루타티온 풀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의 첨가에 의해 세포 내 글루타티온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하기 긍정적인 효과 중 하나 이상이 전형적으로 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 보다 긴 배양 지속기간
- 보다 높은 역가 (생산된 IgG 의 농도)
- 보다 높은 특정 생산성
- 보다 낮은 세포 내 산화 가능성.
이러한 효과는, 높은 역가, 높은 생산성 및 또한 보다 긴 배양 지속기간이 모두 세포 배양 효율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세포 배양에 매우 유익하다.
본 발명에 따라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세포는, 전형적으로 생물약제 생산 목적을 위하여 생물반응기에서 배양되는 세포이다. 적합한 세포 배양 방법의 예는, 유가식 방법 또는 관류 (perfusion) 세포 배양 방법이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세포 배양의 임의의 단계에서 세포에 첨가될 수 있다.
이는, 세포 배양이 시작될 때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을 시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초 배지의 기타 성분과 함께 혼합 및 밀링된다. 이어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이러한 건조 분말 혼합물은, 분말이 용해되어 배지 성분의 목적하는 균질한 농도를 갖는 액체 세포 배양 배지가 제조되도록, 분말 및 용매의 혼합에 의해 적합한 용매 중에 용해된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또한 세포의 배양 동안 1 회 이상 첨가될 수 있다. 세포 배양은 전형적으로 1 내지 3 주 동안 수행된다. 이러한 시간 동안, 공급 배지는 연속적으로 또는 1 회 이상 첨가된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기타 공급 배지 성분과 함께 공급 배지에 첨가될 수 있거나, 또는 이는 단지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만을 포함하는 별도의 공급물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공급물은 전형적으로 액체이기 때문에, 공급물의 모든 성분은 세포 배양물에 첨가하기 전 적합한 용매에 용해되어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공급물로서 첨가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 동안 적어도 4 회,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회 첨가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매 2 일차와 매 4 일차 사이에 첨가된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공급물의 pH 는,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7.5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7.1 이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이 세포 배양물에 0.4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의 농도로 존재하는 경우, 글루타티온의 수준이 가장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형적으로, 전체 배양 과정 동안 세포 배양물에 첨가되는 공급물의 부피는, 생물반응기에 이미 존재하는 세포 배양 배지의 부피의 약 30% 이다. 공급물 중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mol/l,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mmol/l 이다.
전형적으로, 세포 배양은:
a) 생물반응기를 제공하는 단계
b) 생물반응기에서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를 액체 세포 배양 배지와 혼합하는 단계
c) 단계 b) 의 혼합물을 일정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된다.
생물반응기는 세포가 배양될 수 있는 임의의 컨테이너, 백, 용기 또는 탱크이다. 세포 배양의 수행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pH, 삼투압몰농도, 온도, 교반, 에어레이션 (aeration) (산소/CO2) 등과 같은 적합한 조건, 및 세포 배양 동안 1 회 또는 수회 공급 배지의 임의적 첨가 하에, 생물반응기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은 유가식 세포 배양으로서 수행된다.
유가식 배양은, 세포의 배양 동안 하나 이상의 영양소 (기질) 가 생물반응기에 공급 (제공) 되고, 생산물(들)이 실행의 종결까지 생물반응기에 남아있는 세포 배양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다른 설명은, 기초 배지가 초기 세포 배양을 지지하고, 공급 배지가 영양소 고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배양 방법이다. 유가식 배양의 이점은, 배양 액체 중 공급된 기질의 농도를 임의적으로 목적하는 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유가식 배양은, 영양소 (또는 영양소들) 의 농도 제어가 목적하는 대사물 (예컨대, 이러한 경우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 의 수율 또는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통상적인 배치 배양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 생물반응기 내에 세포 및 액체 세포 배양 배지를 충전하는 단계
- 생물반응기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 생물반응기에서의 세포의 인큐베이션 전체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상기 인큐베이션 시간 내에 1 회 또는 수회, 세포 배양 배지 (이러한 경우, 이는 공급 배지임) 를 생물반응기에 첨가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며,
공급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6.8 내지 7.5 의 pH 를 갖고,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세포 배양은 관류 배양으로서 수행된다.
관류 배양은, 세포가, 예를 들어, 여과, 캡슐화, 마이크로담체에의 앵커링 (anchoring) 등에 의해 배양물 중에 억제되어 있으며, 배양 배지는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도입되어, 생물반응기로부터 제거되는 배양이다.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은,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배양 배지의 일부로서 도입된다.
관류 배양에서, 세포 배양 중에, 세포 (바이오매스) 는 세포 배양물 (세포 현탁액) 로부터 분리되며, 한편으로는, 소비된 배지가 상기 과정에서 제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영양소가 신선한 배지를 통해 세포에 이용 가능하게 된다. 세포가 상기 과정 동안 배양 시스템에 억제되어 있는 경우, 이는 "관류" 로 불린다. 세포가 상기 과정 동안 소비된 배지와 함께 시스템에서 제거되는 경우, 이는 "연속 방법" 으로 불린다. 관류 방법에서, 세포는 또한 최대 세포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의된 시간 간격에서 배양 시스템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이러한 작업은 "블리딩 (bleeding)" 으로 공지되어 있다. 세포 분리는, 세포 분리를 간접적으로 촉진시키는 일부 기법을 포함하여, 각종 기법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가능한 세포 분리 방법의 예에는, 여과, 세포 캡슐화, 마이크로담체에의 세포 접착, 세포 침강 또는 원심분리가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전형적으로, 상기 수준은 세포 배양 시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2배 초과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루타티온의 수준은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지 않은 동등한 조건 하에서의 세포 배양에 비해, 세포 배양 시간의 절반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25% 초과 증가된다.
본 발명은 나아가 하기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되지만,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및 하기에 인용된 모든 특허출원, 특허 및 공보 뿐 아니라, 2015 년 7 월 30 일자 출원된 대응 EP 15179065.6 은,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제적인 적용을 나타낸다.
1.2L 유리 생물반응기에서 CHO 현탁 세포주를 사용하는 Cellvento® CHO 220 배지 및 공급물 220 에서의 생물반응기 유가식 실험.
15 mM S-술포-L-시스테인 (SS) 을, 중성 pH 의 주 (main) 공급물 220 (Feed-220) (n=5) 에 통합시켰다. 공급물을 3 일차에 3% (v/v) 로, 및 5, 7, 9 및 14 일차에 6% (v/v) 로 첨가하였다. 대조군 조건에서, SS 미포함 공급물을 동일한 비율로 첨가한 반면, 150mM L-시스테인을 알칼리성 공급물에 별도로 첨가하고, 3 일차에 0.3% (v/v) 및 5, 7, 9, 14 일차에 6% (v/v) 의 비율로 첨가하였다 (n=2). pH 를 6.95 +/- 0.15 로 제어하였다. 용존 산소 농도는, 개방형 파이프 스파저 (sparger) 를 통해 공기 및 순수한 산소를 스파징 (sparging) 함으로써, 50% 공기 포화도로 제어하였다. 온도를 37℃ 로 설정하고, 배양 5 일차에 37℃ 에서 33℃ 로 이동시켰다. 교반을 140 rpm 으로 유지하였다. 상청액 중 IgG 농도를 혼탁도 측정법 (turbidometric method) 으로 Cedex BioHT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1 에 제시되어 있다. 역가 (IgG 농도) 는 표준에 비해 SS 를 포함하는 경우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S-술포시스테인을 사용하는 유가식 방법 vs 대조군 방법에서의 CHO 세포의 세포 내 반응성 종
세포 내 반응성 종을 6-카르복시-2',7'-디클로로디히드로플루오레세인 디아세테이트 염색 (카르복시 H2DCFDA, Life Technologies) 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산화 반응에 의한 형광의 증가는 Perkin Elmer 형광 판독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위하여, 유가식 실험 동안 대조군 조건과 15 mM SSC 조건을 비교하여 측정을 수행하였다. 샘플을 매일 취하고, 즉시 분석하였다. 간략하게, 3x105 개의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1200 rpm, 5 분), PBS (음성 대조군) 중에 재현탁시키거나 또는 50 μM 카르복시-H2DCFDA 를 로딩하고, 37 ℃ 및 1000 rpm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원심분리하고, PBS 중에 재현탁시키고,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가지 조건 모두에 대하여 n=3). 공급물에 S-술포시스테인을 사용한 경우의 보다 낮은 형광 강도는, 세포에서의 보다 낮은 반응성, 따라서 분자의 항산화 가능성을 나타낸다. 결과는 도 2 에 제시되어 있다.
S-술포시스테인을 사용하는 유가식 방법 vs 대조군 방법 동안 CHO 세포의 세포 내 총 글루타티온
세포 내 총 글루타티온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세포를 냉각된 PBS 로 3 회 세정하고, 추가 분석을 위하여 -20℃ 에서 동결시켰다. 잠재적인 Cys-전환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기 위하여, 12x106 개의 세포를 20 mM 요오도아세트아미드가 보충된, 4 가지 포스파타아제 저해제: 소듐 플루오라이드, 소듐 바나데이트, β-글리세로포스페이트 및 소듐 피로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phosphoSafe 시약 (Merck Millipore) 100 ㎕ 중에 용균시켰다 (활성 부위에 하나의 시스테인을 함유하는 모든 효소의 알킬화). 글루타티온 농도 (GSH 및 GSSG) 를 AccQ Tag Ultra® 시약 키트를 이용하는 사전-컬럼 유도화를 사용하여 UPLC 를 통해 측정하였다. 유도체화, 크로마토그래피 및 데이터 분석을 공급업자의 권장사항 (Waters, Milford, MA) 에 따라 수행하였다. 총 글루타티온을 GSH 및 GSSG 의 첨가에 의해 수득하고, 날마다 FB 방법의 대조군 조건에서 수득된 농도에 대하여 정규화하였다. 결과는 도 3 에 제시되어 있다.

Claims (11)

  1.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세포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세포를 액체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 중에 하나 이상의 시점에서 배양물 중 세포의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S)-2-아미노-3-술포술파닐프로판산 소듐 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세포 배양 배지가 6.8 내지 7.5 의 pH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이, 세포 배양물 중 이의 농도가 0.4 내지 50 mM 이 되는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세포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당류 (saccharide) 성분,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하나 이상의 비타민 또는 비타민 전구체, 하나 이상의 염, 하나 이상의 완충제 성분, 하나 이상의 보조인자 및 하나 이상의 핵산 성분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에서 배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생물반응기를 제공하는 단계
    b) 배양하고자 하는 세포를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배지와 혼합하는 단계
    c) 단계 b) 의 혼합물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생물반응기 내에 세포 및 액체 세포 배양 배지를 충전하는 단계
    - 생물반응기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하는 단계
    - 생물반응기에서 세포의 인큐베이션의 전체 시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상기 인큐베이션 시간 내에 1 회 또는 수회, 공급 배지를 생물반응기에 첨가하는 단계
    에 의해 수행되며,
    공급 배지가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공급 배지가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1 내지 100 mmol/l 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루타티온의 수준이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이의 염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 배양물에 비해, 세포 배양 시간의 절반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25% 초과로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11. 세포 내 글루타티온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술포시스테인 및/또는 S-술포시스테인 염을 포함하는 공급 배지.
KR1020187005586A 2015-07-30 2016-07-01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601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179065 2015-07-30
EP15179065.6 2015-07-30
PCT/EP2016/001118 WO2017016631A1 (en) 2015-07-30 2016-07-01 Method for increasing the glutathione level in ce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527A KR20180028527A (ko) 2018-03-16
KR102601321B1 true KR102601321B1 (ko) 2023-11-10

Family

ID=5378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586A KR102601321B1 (ko) 2015-07-30 2016-07-01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26364B2 (ko)
EP (1) EP3328410B1 (ko)
JP (1) JP6845218B2 (ko)
KR (1) KR102601321B1 (ko)
CN (1) CN107847549B (ko)
ES (1) ES2838693T3 (ko)
WO (1) WO2017016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0668B2 (en) * 2016-04-28 2022-01-11 Merck Patent Gmbh Method for reducing the trisulfide level in proteins
US11841369B2 (en) 2017-11-28 2023-12-12 Cell2In, Inc.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therapeutic cell through real-time glutathione measurement
CN111304144B (zh) * 2019-11-30 2023-04-07 河南普诺易生物制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昆虫细胞培养基及其制备方法
EP4166651A1 (en) 2021-10-18 2023-04-19 Evonik Operations GmbH Methods and composition to increase cellular glutathione level
CN115501125A (zh) * 2022-10-20 2022-12-23 澳门科技大学 用于修复皮肤损伤的h2s供体凝胶及h2s供体凝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7459A (en) 1991-02-04 1998-05-05 Nestec, Ltd. Method for insuring adequate intracellular glutathione in tissue
DK0502313T3 (da) 1991-02-04 1998-02-02 Nestle Sa Fremgangsmåde til sikring af tilstrækkeligt intracellulært glutathion i væv
US5208249A (en) 1992-08-20 1993-05-04 Clintec Nutrition Co. Method for stimulating intracellular synthesis of glutathione using esters of L-2-oxothiazolidine-4-carboxylate
US5762922A (en) * 1994-01-31 1998-06-09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Antioxidants and intracellular gluthathione raising ag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s
US8362080B2 (en) 2008-12-18 2013-01-29 Baylor College Of Medicine Increasing glutathione levels for therapy
US20130338165A1 (en) 2012-06-15 2013-12-19 Promentis Pharmaceuticals, Inc. Use of Compounds Elevating Glutathione Levels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US20140100283A1 (en) 2012-10-05 2014-04-10 Atlantic Pro Nutrients, Inc. dba XYMOGEN Method to Increase Absorption and Bioavailability of Oral Glutathione
AR093460A1 (es) * 2012-11-14 2015-06-10 Merck Patent Ges Mit Beschränkter Haftung Medios de cultivo celular
CN105695427A (zh) * 2016-03-23 2016-06-22 江苏诚信药业有限公司 一种催化合成谷胱甘肽的生物酶及其制备和提取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nerjee, R.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12) 287(7):4397-4402
Nakatani, T. et al., Microbial Cell Factories, Bioomed Central, GB (2012) 11(1):6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5218B2 (ja) 2021-03-17
US20180216061A1 (en) 2018-08-02
WO2017016631A1 (en) 2017-02-02
EP3328410A1 (en) 2018-06-06
ES2838693T3 (es) 2021-07-02
CN107847549B (zh) 2021-11-16
CN107847549A (zh) 2018-03-27
KR20180028527A (ko) 2018-03-16
US10626364B2 (en) 2020-04-21
JP2018520692A (ja) 2018-08-02
EP3328410B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0011B2 (ja) 細胞培養培地
KR102601321B1 (ko) 세포 내 글루타티온 수준을 증가시키는 방법
US10563169B2 (en) Cell culture media
US20210207079A1 (en) Process for producing cell culture media
US20220204918A1 (en) Cell culture media comprising keto acids
US20220411748A1 (en) Cell culture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