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254B1 -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254B1
KR102601254B1 KR1020210024242A KR20210024242A KR102601254B1 KR 102601254 B1 KR102601254 B1 KR 102601254B1 KR 1020210024242 A KR1020210024242 A KR 1020210024242A KR 20210024242 A KR20210024242 A KR 20210024242A KR 102601254 B1 KR102601254 B1 KR 102601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reatment history
chart
area
current symp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312A (ko
Inventor
이주영
유희정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는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이 동시에 입력될 경우, 차팅 구역 내에 현재 증상이 항상 이전 치료 내역 보다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전자차트의 디자인적 요소 및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rt Input Location,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이 동시에 입력될 경우, 차팅 구역 내에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치과에서 전자차트를 이용한 PI(Present Illness) 입력 시, 사용자가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동시에 입력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입력된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은 별도의 구분 없이 입력한 순서에 의해서만 한 줄(Row)에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이 구분 없이 입력될 경우, 디자인적(UI/UX) 관점에서 정리가 잘 되지 않아 산만한 느낌을 주며, 사용자가 추후 차팅 내역을 확인하거나 수정할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내용 확인에 어려움이 있어 업무 속도의 지연 등 기능성, 사용성 관점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차팅 구역을 임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차팅 구역을 구분된 영역 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 차팅 구역 내에 환자의 현재 증상이 이전 치료 내역 보다 항상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된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상하 방향의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상하 방향의 두 개 영역으로 구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을 각각의 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이 이전 치료 내역 보다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이 추가된 경우, 추가된 현재 증상이 기존에 표시된 현재 증상의 하단에 위치하고, 기존에 표시된 이전 치료 내역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구분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분자는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 및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우식, 치아맹출, 형태이상, 반응검사, 치주상태, 치근농양, 마모, 파절, 구강습관 및 교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치수염, 충전, 크라운, 브릿지, 틀니 및 임플란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은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된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서로 다른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서로 다른 두 개 영역으로 구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을 각각의 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된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이 표시될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상하 방향의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상하 방향의 두 개 영역으로 구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을 각각의 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을 이전 치료 내역 보다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이 추가된 경우, 추가된 현재 증상을 기존에 표시된 현재 증상의 하단에 위치하고, 기존에 표시된 이전 치료 내역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구분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분자는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 및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우식, 치아맹출, 형태이상, 반응검사, 치주상태, 치근농양, 마모, 파절, 구강습관 및 교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치수염, 충전, 크라운, 브릿지, 틀니 및 임플란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의 차팅 구역을 임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구분된 임의의 영역 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이 동시에 입력된 경우, 차팅 구역 내에 환자의 현재 증상이 이전 치료 내역 보다 항상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영역 별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자차트의 디자인적 요소 및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차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사용자 입력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10)에는 전자차트(130)가 표시될 수 있다.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장치(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환자의 차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수신된 차트 정보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차트 정보의 종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전자차트(130) 상에 해당 차트 정보를 표시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수신된 차트 정보는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이와 같이 구분된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전자차트(130) 상의 차팅 구역 내에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전자차트(130)의 차팅 구역을 임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구분된 차팅 구역의 영역 별로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자차트(130)의 디자인적 요소 및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차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된 전자차트(130)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차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입력 장치(120)를 통해 전자차트(130) 상의 제1 영역(210) 상단에 표시된 현재 증상 탭(211) 또는 치료 내역 탭(212)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탭에 대응하는 구분자가 제1 영역(210) 하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1 영역(210) 하단에 표시된 구분자 중 환자의 차트 정보에 대응하는 구분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구분자에 대응하는 환자의 차트 정보가 연동되어 전자차트(130) 상의 제2 영역(22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환자의 차트 정보가 어느 탭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되었는지를 식별함으로써 수신된 환자의 차트 정보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수신된 환자의 차트 정보가 환자의 현재 증상에 속하는지 또는 이전 치료 내역에 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이와 같이 판단된 환자의 차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트 정보가 표시될 제2 영역(220) 상의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전자차트(1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전자차트(130)의 제2 영역(220)을 임의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전자차트(130)의 제2 영역(220)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여 두 개의 영역을 구분하였으나 이와 같은 분할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만약 전자차트(130)의 제2 영역(220)이 상항 방향으로 분할되었다면,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응하는 차트 정보가 이전 치료 내역에 대응하는 차트 정보 보다 항상 상단에 위치하도록 차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수신된 환자의 차트 정보가 현재 증상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차트 정보를 제2 영역(220)의 분할된 영역 중 상단 영역에 표시하고, 수신된 환자의 차트 정보가 이전 치료 내역에 대응하는 경우, 해당 차트 정보를 제2 영역(220)의 분할된 영역 중 하단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응하는 차트 정보가 추가된 경우,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추가된 차트 정보를 기존에 표시된 현재 증상의 하단에 위치시키고, 이전 치료 내역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환자의 현재 증상과 이전 치료 내역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을 참고하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은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들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을 곧바로 식별하여 입력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을 유사한 성질 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현재 증상의 종류 및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에 기초하여 현재 증상에 대한 구분자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우식, 치아맹출, 형태이상, 반응검사, 치주상태, 치근농양, 마모, 파절, 구강습관 및 교정 중 적어도 하나의 구분 값에 기초하여 현재 증상에 대한 구분자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우식에 대응하는 구분 값에 포함되는 현재 증상의 구분자는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치아맹출/형태이상에 대응하는 구분 값에 포함되는 현재 증상의 구분자는 주황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구분 값에 대응하는 현재 증상의 구분자들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환자의 현재 증상을 식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고하면,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치수염, 충전, 크라운, 브릿지, 틀니 및 임플란트 중 적어도 하나의 구분 값에 기초하여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치수염에 대응하는 구분 값에 포함되는 치료 내역의 구분자는 빨간색으로 표시하고, 충전에 대응하는 구분 값에 포함되는 치료 내역의 구분자는 주황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구분 값에 대응하는 치료 내역의 구분자들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환자의 이전 치료 내역을 식별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단계(410)에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된 전자차트(130) 상의 제1 영역(210)에 배치된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은 유사한 성질 별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현재 증상의 종류 및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에 기초하여 현재 증상에 대한 구분자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이 표시될 전자차트(130) 상의 제2 영역(220)을 식별할 수 있으며, 단계(430)에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식별된 전자차트(130) 상의 제2 영역(220)을 상하 방향의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차트(130)의 제2 영역(220)을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여 두 개의 영역을 구분하였으나 이와 같은 분할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상하 방향의 두 개 영역으로 구분된 전자차트(130)의 제2 영역(220)에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을 각각의 영역별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100)는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응하는 차트 정보가 이전 치료 내역에 대응하는 차트 정보 보다 항상 상단에 위치하도록 차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110 : 디스플레이
120 : 사용자 입력 장치
130 : 전자차트

Claims (15)

  1.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된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가 표시될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를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연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서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이 치료 내역 보다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되,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한 신규 정보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한 기존 정보의 하단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기존 정보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구분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 및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우식, 치아맹출, 형태이상, 반응검사, 치주상태, 치근농양, 마모, 파절, 구강습관 및 교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치수염, 충전, 크라운, 브릿지, 틀니 및 임플란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8. 삭제
  9.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배치된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가 표시될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을 식별하며,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를 상기 식별된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연동하여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서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이 치료 내역 보다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되, 상기 수신된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한 신규 정보를 상기 제2 영역에 표시된 환자의 현재 증상에 대한 기존 정보의 하단 및 치료 내역에 대한 기존 정보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탭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구분자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구분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의 현재 증상 및 이전 치료 내역에 대한 신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 및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증상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우식, 치아맹출, 형태이상, 반응검사, 치주상태, 치근농양, 마모, 파절, 구강습관 및 교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내역의 종류에 따른 구분 값은,
    치수염, 충전, 크라운, 브릿지, 틀니 및 임플란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KR1020210024242A 2021-02-23 2021-02-23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60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242A KR102601254B1 (ko) 2021-02-23 2021-02-23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242A KR102601254B1 (ko) 2021-02-23 2021-02-23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12A KR20220120312A (ko) 2022-08-30
KR102601254B1 true KR102601254B1 (ko) 2023-11-13

Family

ID=8311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242A KR102601254B1 (ko) 2021-02-23 2021-02-23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032B1 (ko) 2015-11-30 2017-03-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를 통한 의료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934008B1 (ko) 2017-04-18 2019-01-02 주식회사 디오 인공 치아의 플랜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7099A (ko) * 2013-08-06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페이지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177373B1 (ko) * 2018-06-18 2020-11-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진료 패턴 제공 방법, 진료 패턴 제공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182579B1 (ko) * 2018-11-08 2020-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와 치과용 프로그램 간 연동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치과용 보험청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032B1 (ko) 2015-11-30 2017-03-0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전자차트를 통한 의료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934008B1 (ko) 2017-04-18 2019-01-02 주식회사 디오 인공 치아의 플랜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덴트웹, "덴트웹 미리보기", YouTube, [online], 인터넷 URL: https://youtu.be/VsQuzgJGlkE, (2019.03.25. 공개)
덴트웹, "덴트웹 설명서 #7 - 전자차트", YouTube, [online], 인터넷 <URL: https://youtu.be/SKiOr7zrTlY?si=8WtjBuH3tkxKK9MK>, (2020.10.25.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12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36B1 (ko) 치아 영상 제공 방법, 치아 영상 제공 장치 및 기록 매체
US11864969B2 (en) Prioritization of three dimensional dental elements
WO2016108452A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계획 가이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기록 매체
Cassetta et al. Impaction of permanent mandibular second molar: A retrospective study
Langberg et al. Tooth-size reduction associated with occurrence of palatal displacement of canines
BR112018011227B1 (pt) Método para preencher um gráfico dentário digital com informações de condição dentária para os dentes de um paciente
US8949730B2 (en) Library selection in dental prosthesis design
KR20110107795A (ko) 치열교정 치료 플랜에서의 스테이지들의 기하학적 평가에 기초한 케이스 매칭 사정을 위한 자동화된 방법 및 시스템
KR102390567B1 (ko) 치아 영상 위에 진료 내역을 누적 표시하는 진료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2601254B1 (ko) 차트 입력 위치 결정 방법, 차트 입력 위치 결정 장치 및 기록매체
US20220254511A1 (en) Dental formula information input method, dental formula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recording medium
Pawar et al. New classification for pulp chamber floor anatomy of human molars
KR102470572B1 (ko) 크라운 자동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033253B1 (ko) 크라운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상태 정보 제공 장치 및 기록매체
US20230325558A1 (en) Detector of aligner low retentiveness and aligner fit evaluation tool
KR102177373B1 (ko) 진료 패턴 제공 방법, 진료 패턴 제공 장치 및 기록매체
KR102383109B1 (ko) 교정 치료 환자를 위한 환자의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20230014806A (ko) 치아 분석 화면 개선을 위한 파노라마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
Soganci et al.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tooth angulation in permanent mandibular second molars with delayed tooth eruption
Gandía-Aguiló et al. Use of self-organizing maps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canines displaced towards midline under interceptive treatment
KR102268433B1 (ko) 치아교정 진단 방법 및 장치
Fors et al. Computer-aided risk management--A software tool for the Hidep model.
KR102633099B1 (ko) 치료 탭 자동 전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
KR101867481B1 (ko) 지대치의 축 결정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KR20210023117A (ko)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