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243B1 -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243B1
KR102601243B1 KR1020210033544A KR20210033544A KR102601243B1 KR 102601243 B1 KR102601243 B1 KR 102601243B1 KR 1020210033544 A KR1020210033544 A KR 1020210033544A KR 20210033544 A KR20210033544 A KR 20210033544A KR 102601243 B1 KR102601243 B1 KR 10260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nnt
polyfluorene
solution
bnnts
pf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856A (ko
Inventor
주용호
안석훈
장세규
유일환
조예린
고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033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4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01B21/064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with boron
    • C01B21/0648After-treatment, e.g. grinding,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1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one dimension, e.g. needle-like
    • C01P2004/13Nanotub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폴리플루오렌과 BNNT의 π-π 결합을 유도하여 BNNT와 기타 불순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은 폴리플루오렌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BNNT(boron nitride nanotubes)를 포함하는 BNNT 합성물을 혼합하여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Method for purifying crude BNNTs and composition for purified BNNTs}
본 발명은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폴리플루오렌과 BNNT의 π-π 결합을 유도하여 BNNT와 기타 불순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질화붕소나노튜브(BNNT, boron nitride nanotubes)는 특유의 우수한 기계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신소재이다. 특히, BNNT의 고내열성과 높은 산화안정성은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연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BNNT의 합성은 아크방전법, 볼밀링, 화학기상증착법, 레이저 어블레이션, 플라즈마 기류 등을 이용하고 있는데, 대량 합성에 적합한 방법의 대부분은 전구체로써 다결정 BN(boron nitride) 또는 육방정 BN(hBN)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합성된 BNNT에는 다량의 다결정 BN과 hBN이 포함되어 있어 대체적으로 순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특히, hBN은 BNNT와 화학적으로 그 성질이 매우 비슷하여 정체를 통해 순수한 BNNT를 얻은 것이 매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BNNT의 정제법은 크게 고체상에서의 분리 정제와 용액상에서의 분리 정제로 구분된다. 고체상에서의 분리 정제하는 방법으로, 합성된 BNNT에 고온의 염소기체(Cl2)를 통과시켜 BNNT에 포함된 불순물을 염화물 형태로 제거하는 방법(비특허문헌 1 - Simard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2020, 32, 3911 참조), 합성된 BNNT에 수증기를 주입한 상태에서 고온처리하여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분해시키는 방법(비특허문헌 2 - Pasquali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2019, 31, 1520 참조)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고체상에서의 분리 정제 방법은 고순도의 BNNT를 대량으로 얻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온 반응에 따른 BNNT 파괴로 인해 수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다.
용액상에서의 분리 정제하는 방법으로는, 합성된 BNNT를 계면활성제로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를 통해 분산된 BNNT를 추출하는 방법(비특허문헌 3 - Marti et al., Nanoscale Advances, 2019, 1, 1096 참조), 합성된 BNNT를 유기용매에 분산시킨 후 초음파분산을 동반한 연속적 여과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비특허문헌 4 - Alston et al., Nanoscale Advances, 2019, 1, 1693 참조) 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용액상에서의 분리 정제 방법은 산업적 관점에서 매우 경제적인 용액상 공정을 기반으로 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BNNT의 정제효율이 고체상 분리 정제법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20-0231439호(2020. 07. 23) 국제특허공보 WO2020-010458호(2020. 01. 16)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9-0292052호(2019. 09. 26)
Simard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2020, 32, 3911 Pasquali et al., Chemistry of Materials, 2019, 31, 1520 Marti et al., Nanoscale Advances, 2019, 1, 1096 Alston et al., Nanoscale Advances, 2019, 1, 169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폴리플루오렌과 BNNT의 π-π 결합을 유도하여 BNNT와 기타 불순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은 폴리플루오렌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BNNT(boron nitride nanotubes)를 포함하는 BNNT 합성물을 혼합하여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플루오렌 용액과 BNNT 합성물의 혼합에 의해, 폴리플루오렌의 플루오렌기와 BNNT의 B-N 육각고리 간의 π-π 결합이 유도되어, 폴리플루오렌이 BNNT의 외벽을 나선 모양으로 감싸는 형태의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가 형성된다.
상기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는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개별적으로 분산된 형태를 이루며, BNNT 합성물에 포함된 불순물은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 침전된다.
상기 폴리플루오렌은 PFO(poly(9,9-dioctylfluorenyl-2,7-diyl)과 PFO-BPy(poly(9,9-dioctylfluorenyl-2,7-diyl)-alt-co-(6,6-[2,2-bipyridin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PFO-BPy는 PFO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BNNT와 결합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원심분리공정 또는 여과공정을 이용하여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BNNT 합성물은 공지의 BNNT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물이며, 상기 BNNT 합성물은 BNNT 이외에 다결정 BN, hB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은 BNNT의 함량이 98wt%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된 BNNT 조성물의 BNNT는, 폴리플루오렌과 BNNT가 결합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 형태를 이루며, 상기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는 폴리플루오렌이 BNNT의 외벽을 나선 모양으로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폴리플루오렌과 BNNT의 결합 반응을 통해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형성시킴과 함께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가 용액 내에 개별적으로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불순물이 존재하는 BNNT 합성물로부터 고순도의 BNNT를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에 대한 모식도.
도 3a 및 도 3b는 폴리플루오렌 유무에 따른 BNNT의 분산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 및 순수 폴리플루오렌의 열중량분석 결과.
도 5a 및 도 5b는 용액의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에 대한 XPS 분석결과.
도 6a 내지 도 6d는 BNNT 합성물, 용액의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 각각에 대한 SEM 및 TEM 사진.
도 7은 용액의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에 대한 AFM 분석결과.
도 8은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에서의 BNNT 길이 분포를 나타낸 결과.
도 9는 PFO-BPy 및 PFO 각각이 결합된 BNNT의 직경 분포를 나타낸 결과.
도 10a 내지 도 10d는 PFO와 PFO-BPy 각각 그리고 PFO와 BNNT의 복합체와 PFO-BPy와 BNNT의 복합체 각각의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은 BNNT 합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다결정 BN, hBN 등의 불순물을 정제하여 고순도의 BNNT를 얻을 수 있는 BNNT 정제 기술을 제시한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BNNT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합성될 수 있는데 BNNT 합성물 내에는 BNNT(boron nitride nanotubes) 이외에 다결정 BN, hBN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고, 고체상 정제 또는 용액상 정제 공정을 통해 이러한 불순물을 정제할 수 있으나, 수율 상의 문제 또는 정제효율 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용액상 정제 공정을 기반으로 하여 BNNT의 정제효율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BNNT 정제 기술을 제시한다.
본 출원인은 BNNT가 CNT(carbon nanotube)와 유사한 결정구조를 갖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CNT 정제기술 중 하나인 폴리플루오렌 용액을 이용한 CNT 정제 공정을 BNNT의 정제에 응용한다. BNNT와 CNT는 상이한 물성을 갖고 있으나, BNNT의 결정구조가 CNT의 결정구조에서 탄소(C)가 붕소(B)와 질소(N)로 대체된 형태라는 점에서 BNNT와 CNT는 매우 유사한 결정구조를 갖는다.
CNT는 응용분야가 매우 다양한 만큼 CNT 합성물에 대한 정제 방법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예를 들어, 공유/비공유 기능화를 이용한 CNT 표면개질, 펩타이드 및 고분자를 이용한 CNT 랩핑(wrapping),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CNT 분리 등이 CNT 정제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CNT 정제 방법 중 하나로, CNT의 구조적 비대칭성(chirality)을 제어하여 반도체성 CNT(특히, SWCNT)를 분리 정제할 수 있는 폴리플루오렌 용액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BNNT는 CNT와 달리 반도체 특성을 갖고 있지 않고, 그에 따라 CNT와 같은 구조적 비대칭성(chirality)을 제어할 필요가 요구되지 않으나, 본 출원인은 폴리플루오렌이 CNT 뿐만 아니라 BNNT와도 π-π 결합을 이룬다는 것을 확인하고, 폴리플루오렌의 BNNT 정제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폴리플루오렌을 이용한 BNNT 정제 기술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플루오렌에 의한 BNNT의 분리 정제에 관한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BNNT 합성물이 혼합된 상태에서, 폴리플루오렌에 구비된 플루오렌기는 BNNT의 외벽에 구비된 B-N 육각고리와 π-π 결합을 이루며, 플루오렌기에 연결된 긴 사슬구조의 탄화수소기는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BNNT의 개별적 분산을 유도한다. 반면, BNNT 합성물에 존재하는 다결정 BN 또는 hBN은 평면구조를 이룸에 따라 폴리플루오렌의 열역학적 안정구조인 나선구조와 결합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BNNT만이 폴리플루오렌과 반응하여 폴리플루오렌이 BNNT의 외벽을 따라 나선형태로 감싸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폴리플루오렌과 결합된 BNNT는 용액 내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형태를 이룬다. 그에 반해, 다결정 BN 또는 hBN은 응집된 형태로 존재하게 되어 용액 내에서 침전된다.
이와 같이, 폴리플루오렌과 결합된 BNNT 즉,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는 용액 내에 개별적으로 고르게 분산된 형태를 이루고 BNNT 합성물의 불순물인 다결정 BN 또는 hBN는 용액 내에서 침전된 형태를 이룸에 따라, 고순도의 BNNT를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BNNT를 정제함에 있어서 BNNT의 직경에 따라 BNNT를 선별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정제 기술을 제시한다. 이는 폴리플루오렌계 고분자의 선택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플루오렌계 고분자로 PFO(폴리플루오렌, poly(9,9-dioctylfluorenyl-2,7-diyl)과 PFO-BPy(poly(9,9-dioctylfluorenyl-2,7-diyl)-alt-co-(6,6-[2,2-bipyridine]))를 이용하며, 실험을 통해 PFO-BPy가 PFO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BNNT와 결합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PFO-BPy와 PFO 간의 접힘 대칭(folding symmetry) 및 강성의 차이에 기인한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폴리플루오렌이라 함은 PFO와 PFO-BPy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BNNT 합성물이라 함은 공지된 다양한 BNNT 합성법을 통해 제조된 합성물을 의미하며, BNNT 합성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BNNT 이외에 다결정 BN 또는 hBN이 포함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플루오렌을 용매에 혼합하여 폴리플루오렌 용액을 준비한다(S101). 상기 폴리플루오렌은 PFO(poly(9,9-dioctylfluorenyl-2,7-diyl), PFO-BPy(poly(9,9-dioctylfluorenyl-2,7-diyl)-alt-co-(6,6-[2,2-bipyridin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용매로는 일 실시예로 톨루엔이 이용될 수 있다.
이어,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BNNT 합성물을 혼합한다(S102). 상기 BNNT 합성물은 공지의 BNNT 합성 공정에 의해 제조된 합성물로서 BNNT 이외에 다결정 BN, hB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BNNT 합성물이 혼합되면, 폴리플루오렌과 BNNT의 결합 반응에 의해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가 형성됨과 함께 다결정 BN 또는 hBN의 침전이 진행된다.
폴리플루오렌 즉, PFO 또는 PFO-BPy는 플루오렌기와 B-N 육각고리 사이의 π-π 결합을 매개로 BNNT의 외벽을 나선 형태로 감싸는 방식으로 BNNT와 결합된다(도 2a 및 도 2b 참조). 구체적으로, 폴리플루오렌에 구비된 플루오렌기와 BNNT의 외벽에 구비된 B-N 육각고리가 π-π 결합을 이룬다. 또한, 플루오렌기에 연결된 긴 사슬구조의 탄화수소기는 BNNT의 외벽을 나선 형태로 감쌈과 함께 폴리플루오렌과 결합된 BNNT 즉,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의 개별적 분산을 유도한다. 즉, 폴리플루오렌은 BNNT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BNNT의 용액 내에서의 개별적 분산을 유도한다.
BNNT가 폴리플루오렌과 결합되어 용액 내에서 개별적으로 고르게 분산되는 반면, BNNT 합성물에 포함된 다결정 BN 또는 hBN는 평면 결정구조를 이룸에 따라 나선형 구조인 폴리플루오렌과 결합되지 않으며, 응집된 형태로 용액 내에 침전된다. 따라서, 용액 내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는 용액 내에 침전된 다결정 BN 또는 hBN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이, 용액 내에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와, 다결정 BN 또는 hBN 등의 불순물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분리하면(S1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은 완료된다.
용액으로부터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원심분리, 여과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는 개별적으로 분산된 상태를 이루고 다결정 BN 또는 hBN 등의 불순물은 침전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원심분리, 여과 등의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의 개별적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용액에 초음파를 조사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예 :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 제조 및 특성 분석>
10ml 톨루엔에 10g 폴리플루오렌이 용해된 용액을 준비하고, 플라즈마 공정으로 제조된 다중벽 BNNT 합성물 10g을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혼합하였다. 이어, 용액에 10분간 초음파를 조사하였다. 그런 다음, 15000rpm의 속도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의 95%를 추가로 1시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의 95%에 대해 제반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음파 조사 후 용액의 상태를 보면 BNNT가 현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도 3a의 PFO-BPy@BNNT 참조) 반면, 폴리플루오렌이 없는 톨루엔 용액에 BNNT 합성물이 혼합된 경우 BNNT 및 다결정 BN, hBN 등의 불순물이 응집을 이루어 침전됨을 확인할 수 있다(도 3a의 BNNT 참조 참조). 도 3a의 PFO-BPy@BNNT에 있어서 용액에 침전된 물질은 다결정 BN, hBN 등의 불순물이며, BNNT의 현탁 상태는 1개월 이상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도 3b 참조).
또한, 원심분리된 상층액에 대해 열중량분석(TGA) 및 XPS분석을 실시하여 BNNT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플루오렌은 유기물로써 600℃ 미만의 온도에서 쉽게 열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무기물로 이루어진 결정체인 BNNT의 경우 700℃ 이상의 온도에서도 높은 열적 안정성으로 인해 그 결정 구조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열적 안정성 차이를 이용하여 상층액 내 BNNT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원심 분리를 통해 얻어진 상층액을 건조하여 고체 형태로 얻어진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도 4의 PFO-BPy@BNNT)를, 800℃까지 가열하며 질량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온도 조건 하에서 순수한 PFO-BPy의 질량 변화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순수한 PFO-BPy의 온도 상승에 따른 질량 변화를 살펴보면, 알려진 바와 같이 600℃ 미만의 온도에서 모두 열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PFO-BPy@BNNT의 경우 6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기 질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질량이 잔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질량은 BNNT의 존재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TGA 분석에 대한 상보적 분석 방법으로서, XPS를 이용하여 BNNT의 존재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원심분리를 통해 얻어진 상층액을 건조하여 고체 형태로 얻어진 PFO-BPy@BNNT의 XPS 분석 결과, 190 eV와 400 eV 부근의 결합 에너지에서 붕소(B)와 질소(N)의 존재 여부를 각각 확인하였다(도 5a 및 도 5b 참조).
폴리플루오렌이 BNNT의 개별적 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AFM, SEM, TEM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 6a는 BNNT 합성물에 대한 SEM 사진이고, 도 6b 및 도 6c는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에 대한 SEM 사진이며, 도 6d는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에 대한 TEM 사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BNNT 합성물에서의 BNNT 함량은 약 50%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 보고된 내용과 일치하는 수치이다. 또한, 도 6a에서 BNNT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은 hBN과 α-BN의 혼합물로 추정된다.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에 대해 SEM 및 TEM 분석을 실시한 결과(도 6b, 6c, 6d 참조), 고순도의 BNNT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층액에 포함된 물질이 고순도의 BNNT임은 AFM 분석결과(도 7 참조)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상층액에 포함된 고순도의 BNNT에 대한 SEM 분석결과, BNNT의 평균길이는 약 1.5㎛인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8 참조).
또한, 도 6b 및 도 6c의 SEM 사진을 분석한 결과, BNNT의 함량이 98% 이상이고, 나머지 물질은 hBN과 α-BN 등의 불순물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에 의해 고순도의 BNNT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폴리플루오렌의 종류에 따라 폴리플루오렌에 결합되는 BNNT의 직경 선택성이 존재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PFO-BPy가 PFO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BNNT와 결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PFO-BPy가 PFO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BNNT와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PFO-BPy가 결합된 BNNT의 평균직경은 약 5.8nm이고, PFO가 결합된 BNNT의 평균직경은 약 4.7nm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직경의 고순도 BNNT를 선별하여 분리 정제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PFO와 PFO-BPy 각각, 그리고 PFO와 BNNT의 복합체(PFO@BNNT)와 PFO-BPy와 BNNT의 복합체(PFO-BPy@BNNT) 각각의 흡수 및 방출 스펙트럼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순수한 PFO와 PFO-BPy는 방향성 작용기인 플루오렌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350nm에서 400nm 부근에서 강한 가시광선 흡수를 보인다. 해당 흡광 곡선들과 PFO@BNNT, PFO-BPy@BNNT의 흡광 곡선을 비교해 보면, PFO와 PFO-BPy 두 경우 모두 최대 흡광도 파장이 적색 파장쪽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레드쉬프트, Red-Shift). 이는 PFO나 PFO-BPy의 플루오렌 작용기와 BNNT 표면의 방향성 육각고리가 π-π 결합을 이루며 상호 작용함에 따른 에너지 준위 변화에 기인하며, 이를 통해 해당 고분자들과 BNNT의 상호 작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출 스펙트럼 경향성 분석을 통해 상호 작용시 해당 전도성 고분자들이 어떠한 구조적 변화를 가지는지 유추할 수 있다. PFO와 PFO-BPy는 평면에 가까운 고분자 사슬로, 각 단량체 사이에 약 18도 정도의 축회전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른 넓은 나선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방출 스펙트럼의 세 개의 두드러진 방출 파장으로 특징지어지며, 축회전 정도에 따라 해당 방출 파장들의 상대적 크기가 결정된다. 도 10b의 방출 스펙트럼을 분석해보면, 순수한 상태의 PFO-BPy에 비해 PFO-BPy@BNNT의 방출 파장 강도의 비율이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는 PFO-BPy와 BNNT의 상호 작용시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된 구조를 찾는 과정에서 PFO-BPy 사슬의 축회전이 증가함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좁은 나선 구조 형성을 확증할 수 있다. PFO@BNNT의 경우 PFO에 비해 방출 파장들의 상대적 크기 변화가 크지 않은데, 이는 PFO 사슬의 상호 작용시 축회전 증가량이 크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넓은 나선 구조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Claims (10)

  1. 폴리플루오렌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BNNT(boron nitride nanotubes)를 포함하는 BNNT 합성물을 혼합하여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폴리플루오렌 용액과 BNNT 합성물의 혼합에 의해, 폴리플루오렌의 플루오렌기와 BNNT의 B-N 육각고리 간의 π-π 결합이 유도되어, 폴리플루오렌이 BNNT의 외벽을 나선 모양으로 감싸는 형태의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가 형성되며,
    상기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는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서 개별적으로 분산된 형태를 이루며, BNNT 합성물에 포함된 불순물은 폴리플루오렌 용액 내에 침전되며,
    상기 폴리플루오렌은 PFO(poly(9,9-dioctylfluorenyl-2,7-diyl)과 PFO-BPy(poly(9,9-dioctylfluorenyl-2,7-diyl)-alt-co-(6,6-[2,2-bipyridine]))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상기 PFO-BPy는 PFO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BNNT와 결합되어 BNNT의 크기별 선별이 가능하며,
    평면 결정구조를 이루는 다결정 BN, hBN 중 어느 하나 이상이 BNNT 합성물에 포함되며, 다결정 BN 및 hBN는 폴리플루오렌과 결합되지 않아 용액 내에 침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원심분리공정 또는 여과공정을 이용하여 폴리플루오렌 용액에 개별적으로 분산된 폴리플루오렌-BNNT 복합체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NNT 합성물은 공지의 BNNT 합성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물이며, 상기 BNNT 합성물은 BNNT 이외에 다결정 BN, hBN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33544A 2021-03-15 2021-03-15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KR10260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44A KR102601243B1 (ko) 2021-03-15 2021-03-15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544A KR102601243B1 (ko) 2021-03-15 2021-03-15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56A KR20220128856A (ko) 2022-09-22
KR102601243B1 true KR102601243B1 (ko) 2023-11-13

Family

ID=8344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544A KR102601243B1 (ko) 2021-03-15 2021-03-15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830A (ja) * 2006-03-01 2007-09-1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の精製方法
KR101548008B1 (ko) 2015-03-14 2015-08-2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로 랩핑된 반도체성 탄소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로 랩핑된 반도체성 탄소 나노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성 탄소 나노 튜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559B1 (ko) * 2012-02-23 2014-08-14 한국원자력연구원 질화붕소나노튜브의 정제 및 표면처리 방법
WO2015024115A1 (en) * 2013-08-20 2015-02-26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Process for purifying semiconducting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JP7029465B2 (ja) 2016-11-29 2022-03-03 ビイエヌエヌティ・エルエルシイ 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の精製方法
KR102113219B1 (ko) * 2017-10-25 2020-05-21 광주과학기술원 단일벽탄소나노튜브의 선택적 분리를 위한 공액 고분자
WO2020010458A1 (en) 2018-07-11 2020-01-16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Process and apparatus for purifying bnnt
US20200231439A1 (en) 2019-01-17 2020-07-23 College Of William & Mar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highly purified boron nitride nanotub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830A (ja) * 2006-03-01 2007-09-13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の精製方法
KR101548008B1 (ko) 2015-03-14 2015-08-2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로 랩핑된 반도체성 탄소 나노 튜브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로 랩핑된 반도체성 탄소 나노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성 탄소 나노 튜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856A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usefi et al. Polymeric nanocomposite material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tar-shaped PbS nanocrystals and their influence on the thermal stability of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copolymer
Li et al. Buckybowls: Corannulene and its derivatives
Yan et al. Nitrogen-rich graphitic carbon nitride: controllable nanosheet-like morphology, enhanced visible light absorption and superior photocatalytic performance
Hoheisel et al. Nanostructured carbonaceous materials from molecular precursors
Papailias et al. Effect of processing temperature on structure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g-C3N4
Van Khai et al. Significant enhancement of blue emiss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N-doped graphene
Wu et al. Preparation of functionalized water-soluble photoluminescent carbon quantum dots from petroleum coke
Kairi et al. Recent trends in graphene materials synthesized by CVD with various carbon precursors
Rao et al. Nanotubes and nanowires
Steurer et al. Functionalized graphenes and thermoplastic nanocomposites based upon expanded graphite oxide
Pal et al. Phosphorus induced crystallinity in carbon dots for solar light assisted seawater desalination
Gardolinski et al. Intercalation of benzamide into kaolinite
JP6307064B2 (ja) 金属性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半導体性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との分離方法
Lu et al. Preparation of MoO 3 QDs through combining intercalation and thermal exfoliation
Das et al. Formation of onion-like fullerene and chemically converted graphene-like nanosheets from low-quality coals: application in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2-nitrophenol
Gashi et al. Tuning the C/N Ratio of C‐Rich Graphitic Carbon Nitride (g‐C3N4) Materials by the Melamine/Carboxylic Acid Adduct Route
JP2013141631A (ja) 半導体単層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抽出分離法
Chen et al. Preparation of single-handed helical carbonaceous nanotubes using 3-aminophenol-formaldehyde resin
KR102601243B1 (ko)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방법 및 질화붕소나노튜브 정제 조성물
Hernandez et al. 8.16—Graphene and Its Synthesis
Grimsdale et al. New carbon-rich materials for electronics, lithium battery, and hydrogen storage applications
JP4670100B2 (ja) 窒化ホウ素ナノチューブの精製方法
Budiarso et al. Carbon nitride-and graphene-based materials fo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emerging water pollutants
WO2014128316A1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a dispersión uniforme de plaquetas de grafeno en un líquido y producto así obtenido
Zhi et al. Boron carbonitride nanotu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