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826B1 - 전지 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826B1
KR102600826B1 KR1020180068914A KR20180068914A KR102600826B1 KR 102600826 B1 KR102600826 B1 KR 102600826B1 KR 1020180068914 A KR1020180068914 A KR 1020180068914A KR 20180068914 A KR20180068914 A KR 20180068914A KR 102600826 B1 KR102600826 B1 KR 10260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ing member
battery
management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981A (ko
Inventor
진가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6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82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전지 커넥터 모듈은 전지 관리 유닛과 내장형 전지에 적용되며, 전지 커넥터 모듈은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고정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전지 관리 유닛에 설치되고, 제2 커넥터는 플러그 인과 아웃이 가능하게 제1 커넥터와 연결되고 내장형 전지에 적용된다.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의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며,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고정시킨다.

Description

전지 커넥터 모듈{BATTERY CONNECTOR MODULE}
본 발명은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 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전지(embedded battery)와 전지 관리 유닛(Battery Management Unit, BMU) 사이는 대응되는 두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 연결되고, 내장형 전지의 커넥터와 전지 관리 유닛의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비록 내부에 대응되는 구조가 두 커넥터의 상대적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할 수는 있으나 두 커넥터는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서로에서 벗어날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전기적 연결이 끊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지 커넥터 모듈을 제공하고 두 커넥터 사이의 연결 강도를 제고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전지 커넥터 모듈은 전지 관리 유닛(Battery Management Unit, BMU)과 내장형 전지(embedded battery)에 적용되며, 전지 커넥터 모듈은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고정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는 전지 관리 유닛에 설치되고, 제2 커넥터는 플러그 인(in)과 아웃(out)이 가능하게 제1 커넥터와 연결되고 내장형 전지에 적용된다.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의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며,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 옆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제2 커넥터 옆에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제2 고정부재는 제1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 중 하나는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후크에 대응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벽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연장하고 지브(jib)형을 이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에 핀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에 대해 회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대해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벽면에 형성되는 거친 구역(rough reg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거친 구역에 가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어셈블리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 중의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측 혹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을 집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커넥터 모듈은 고정어셈블리를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설치함으로써,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고정시키고, 제1 커넥터가 더욱 안정되고 강력하게 제2 커넥터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 커넥터 모듈은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서로가 쉽게 분리되는 확률을 낮출 수 있고, 안정되고 양호한 전기적 연결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고정어셈블리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연결 안정성을 강화하였고 이에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정확하지 않게 연결되는 확률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또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제1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전지 관리 유닛 혹은 제2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내장형 전지가 불량한 것으로 판정되는 확률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전지 관리 유닛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지 관리 유닛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지 관리 유닛의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지 관리 유닛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2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징과 이점들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지 커넥터 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전지 관리 유닛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 커넥터 모듈(100)은 예를 들면 전지 관리 유닛(110)(Battery Management Unit, BMU)과 내장형 전지(120)(embedded battery)에 적용된다. 물론, 전지 커넥터 모듈(100)은 기타 전지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전지 커넥터 모듈(100)이 적용되는 장치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와 같이, 전지 커넥터 모듈(100)은 제1 커넥터(112), 제2 커넥터(122) 및 고정어셈블리(130)를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2)는 전지 관리 유닛(110)에 설치된다. 제2 커넥터(122)는 플러그 인(in)과 아웃(out)이 가능하게 제1 커넥터(112)에 연결되고 내장형 전지(120)에 설치된다.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는 외형상으로 대응되며 제2 커넥터(122)가 제1 커넥터(112)에 연결될 때, 전지 관리 유닛(110)은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를 통하여 내장형 전지(120)에 전기적 연결된다.
여기서, 비록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 사이에 대응되는 구조가 존재하여 양자의 연결상태에서 서로가 어느 정도 고정되기는 하지만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가 대응되는 고정구조의 고정효과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심지어 특정된 추락 테스트는 통과할 수 없다. 즉, 제1 커넥터(112)를 구비하는 제품(예를 들면, 전지 관리 유닛(110))과 제2 커넥터(122)를 구비하는 제품(예를 들면, 내장형 전지(120))가 서로 연결되는 정황 하에서 특정된 높이에서 추락시킨 후, 제1 커넥터(112)가 제2 커넥터(122)로부터 이탈되고, 혹은 제1 커넥터(112)가 제2 커넥터(122)와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게 된다.
제품 출하시 운송 과정 중 혹은 제품의 운행 과정에서 이동하는 물체 상에 놓일 수 있는데, 제2 커넥터(122)가 제1 커넥터(112)에 연결될 때 진동이나 흔들림을 피할 수 있도록, 또한 제2 커넥터(122)가 쉽게 이탈하거나 혹은 느슨해서 떨어지거나 제1 커넥터(112)와 불완전하게 연결되어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 사이에 전기적 연결 중단 혹은 전기적 전도가 불안정한 상황을 초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고정어셈블리(130)는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2 커넥터(122)가 제1 커넥터(112)에 연결될 때, 고정어셈블리(130)는 제1 커넥터(112)를 제2 커넥터(122)에 고정시켜,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어셈블리(130)는 제1 커넥터(112) 옆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132) 및 제2 커넥터(122) 옆에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134)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122)가 제1 커넥터(112)에 연결될 때, 제2 고정부재(134)는 제1 고정부재(132)에 고정되어,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132)와 제2 고정부재(134) 중 하나는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후크에 대응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132)는 후크를 포함하고, 제2 고정부재(134)는 후크에 대응되는 슬롯을 포함하며, 슬롯은 예를 들면 제2 커넥터(122)의 한 벽면에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제1 고정부재(132)는 제1 커넥터(112)에서부터 연장하고, 지브(jib)형을 이루며 후크는 지브의 말단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고정부재(132)와 제1 커넥터(112)는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전지 커넥터 모듈(100)은, 제1 고정부재(132)가 슬롯을 포함하고, 제2 고정부재(134)가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기타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132)와 제2 고정부재(134)의 형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132)가 지브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먼저 제1 고정부재(132)를 밖으로 향해 조금 밀어내고,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을 연결시킨 후, 다시 제1 고정부재(132)를 놓아준다. 제1 고정부재(132)가 원위치로 돌아온 후 제1 고정부재(132)(지브의 말단에 위치하는 후크)가 제2 고정부재(134)(제2 커넥터(122)의 벽면의 슬롯)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테스트를 통해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가 서로 연결되고 고정어셈블리(13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전지 커넥터 모듈(100)은 추락 테스트에서 풀려서 떨어지거나 하지 않았다.
이하, 다른 실시 형태의 전지 커넥터 모듈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지 관리 유닛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전지 관리 유닛(110a)과 도 2의 전지 관리 유닛(110)의 다른 점은,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132a)는 제1 커넥터(112)에 핀 연결되고, 제1 커넥터(112)에 대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132a)는 회전축(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1 커넥터(112)에 설치된다. 사용 시, 사용자는 먼저 제1 고정부재(132a)를 밖으로 회전시키고,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도 1을 참조)를 연결시킨 후 제1 고정부재(132a)를 원래대로 회전시키며 제2 커넥터(122)에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지 관리 유닛을 부분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전지 관리 유닛(110b)과 도 2의 전지 관리 유닛(110)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132b)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는 예를 들면 클램프이고, 제2 커넥터(122)가 제1 커넥터(112)에 연결될 때 제1 고정부재(132b)는 제2 커넥터(122)의 외측벽면을 가압하고, 고정 및 지지의 힘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 커넥터(122)는 특정된 구조로 설계할 필요가 없고, 제2 커넥터(122)가 제1 고정부재(132b)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면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고정어셈블리는 전지 관리 유닛(110)에 설치된 제1 고정부재(132b)(예를 들면 클램프의 형식)만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고정어셈블리는 내장형 전지(120)(도 1을 참조)의 클램프에만 설치될 수 있고, 클램프는 제1 커넥터(112)의 외측을 집는다. 고정어셈블리의 설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은 도 6의 전지 관리 유닛과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의 제2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2 고정부재(134b)는 제2 커넥터(122b)의 벽면에 형성된 거친 구역(rough region)을 포함한다. 제1 커넥터(112)와 제2 커넥터(122b)가 연결될 때, 제1 고정부재(132b)는 제2 커넥터(122b)의 거친 구역에 대해 가압하며, 거친 구역은 제1 고정부재(132b)에 대해 비교적 큰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1 커넥터(112)가 쉽게 제2 커넥터(122b)와 분리되지 않게 한다. 거친 구역의 형성 방식은, 예를 들면 제2 커넥터(122b)의 벽면에서 연마하고, 제2 커넥터(122b)의 벽면상에 모래 분사를 하거나 제2 커넥터(122b)의 벽면에 조각을 새겨 자국을 내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전지 커넥터 모듈은 고정어셈블리를 통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고정하고, 제1 커넥터가 안정되게 제2 커넥터에 고정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전지 커넥터 모듈은 흔들림이나 진동에 의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쉽게 서로를 벗어나 분리되는 확률을 유효적으로 낮추었고, 나아가서는 양호한 전기적 연결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커넥터 모듈의 고정어셈블리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켜 유효적으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는 확률을 낮추며, 또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음으로 인해 제1 커넥터를 구비한 전지 관리 유닛 혹은 제2 커넥터를 구비한 내장형 전지가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확률을 낮출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해당 분야의 기술업자들은 본 발명의 취지와 사상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형과 개선을 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며 본 발명은 첨부되는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100:전지 커넥터 모듈
110, 110a, 110b:전지 관리 유닛
112:제1 커넥터
120:내장형 전지
122, 122b:제2 커넥터
130:고정어셈블리
132, 132a, 132b:제1 고정부재
134, 134b:제2 고정부재
135:회전축

Claims (10)

  1. 전지 관리 유닛과 내장형 전지에 적용되는 전지 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지 관리 유닛에 설치되는 제1 커넥터,
    플러그 인(in)과 아웃(out)이 가능하게 상기 제1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내장형 전지에 적용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 옆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커넥터 옆에 설치되어 있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제2 커넥터에 고정하며,
    상기 제1 고정부재는 2개의 가압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부의 상기 제2 단부간 거리가 상기 제1 단부간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1 커넥터에 상기 제2 커넥터가 연결될 때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2 고정부재에 대해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측을 집으며,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커넥터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커넥터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연장하고 지브(jib)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커넥터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벽면에 형성되는 거친 구역(rough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거친 구역에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커넥터 모듈.
  10. 삭제
KR1020180068914A 2018-06-15 2018-06-15 전지 커넥터 모듈 KR10260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914A KR102600826B1 (ko) 2018-06-15 2018-06-15 전지 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914A KR102600826B1 (ko) 2018-06-15 2018-06-15 전지 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81A KR20190141981A (ko) 2019-12-26
KR102600826B1 true KR102600826B1 (ko) 2023-11-09

Family

ID=6910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914A KR102600826B1 (ko) 2018-06-15 2018-06-15 전지 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60A (ja) * 1998-07-17 2000-02-02 Omron Corp コネクタ
KR101264854B1 (ko) 2011-05-04 2013-05-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모듈의 전압센싱 커넥터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846A (ko) * 2012-06-26 2014-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의 검사 방법
KR102544058B1 (ko) * 2014-12-09 2023-06-16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배터리용 커넥터 어셈블리, 배터리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60A (ja) * 1998-07-17 2000-02-02 Omron Corp コネクタ
KR101264854B1 (ko) 2011-05-04 2013-05-15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배터리모듈의 전압센싱 커넥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81A (ko) 2019-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6373B2 (ja) ポークインコネクタ
CN106299777B (zh) 卡缘连接器与卡缘连接器组合
TW201019542A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40127107A1 (en) Electrical connector in the form of a socket contact having a special lamellar construction
KR20190061351A (ko)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US20140322958A1 (en) Resilient mounting member and connector having resilient mounting member
US20140370760A1 (en) Contact terminal for card socket
CN101022193A (zh) 连接器和安装方法
KR102600826B1 (ko) 전지 커넥터 모듈
US20080074850A1 (en) Mounting apparatus for expansion card
US11503730B2 (en) Connector with memory card
JP2004296439A (ja) 端子安定化デバイス
CN205447137U (zh) 相机快装座
US8414305B2 (en) Connector assembly
US20080120998A1 (en) Laundry Device
US20140153180A1 (en) Expansion card module
JP2004015958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付設電気接続箱との連結構造
KR20200006876A (ko) 압력 분산 지지형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장치
CN208489477U (zh) 一种两芯高压互锁甩线连接器
CN103176245B (zh) 一种小型lc插头
WO2019072109A1 (zh) 用于洗衣机的网口插座和包括该网口插座的洗衣机
KR20120069013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JP2004253392A (ja) 整合安定化機構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を安定して整合させる方法
KR100969115B1 (ko) 커넥터 결합장치
CN216698835U (zh) 一种usb座以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