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583B1 -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583B1
KR102600583B1 KR1020200182334A KR20200182334A KR102600583B1 KR 102600583 B1 KR102600583 B1 KR 102600583B1 KR 1020200182334 A KR1020200182334 A KR 1020200182334A KR 20200182334 A KR20200182334 A KR 20200182334A KR 102600583 B1 KR102600583 B1 KR 10260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owder
pot
bind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1123A (ko
Inventor
전하영
Original Assignee
전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하영 filed Critical 전하영
Priority to KR1020200182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5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9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1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은 바인더, 분말 및 상토를 혼합하여 포트 조성물을 생성하는 조성물 생성단계; 상기 조성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A POT MADE FROM SOI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합성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토를 이용하여 포트를 제조함으로써, 포트에서 발아 성장된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어 분갈이의 번거로움 및 이식 재배에 따른 뿌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의 성장 속도가 증가하고 건강한 식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종(苗種, Nursery plant)이라 함은, 인류가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작물(作物, Crops)을 옮겨 심기 위하여 가꾼 씨앗의 싹을 말하며, 이러한 모종 심기는 작물마다 다르지만 대개 떡잎(Cotyledon)이 나오고 다음으로 새순(Bud)이 나와 잎사귀가 네댓 개 정도 되었을 때가 가장 적당하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모종을 키우는 목적은, 고추처럼 이른 2월이나 3월 초부터 파종(播種)을 해야 하는 작물의 경우 서리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도 있고, 또 씨앗이 작아 빗물 피해를 막기 위한 것도 있지만, 가장 큰 목적으로는 모종을 내어서 옮겨심으면 소출(所出)도 많고 더 튼튼히 성장하게 하기 위해서다.
한편, 모종을 가꾸는데에는, 작물의 씨앗과 함께 일정분의 상토(床土, Media, bed soil)를 채워넣을 수 있는 모종포트(Seedling pot / 또는 모종트레이)가 필요하게 되는 바, 지금까지의 모종포트는 대부분 폴리에틸렌수지로 된 것이어서, 모종이 어느 정도 자라났을 때 경작지(耕作地, Cultivated land, land of cultivation)에 내어다 제대로 옮겨심는 정식(定植) 이후 그대로 버려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원예용 포트는 비닐 포트로만 이루어져 있어, 식물을 정식 또는 조경공사 식재시 비닐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 식물 뿌리 활착률이 떨어져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상술한 정식 도중의 모종 훼손은 차치하더라도 수백 년 이상 자연분해가 되지 않는 합성수지소재의 그 특성상 후처리(폐기처분)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만 했다.
또한, 육묘를 포트상에서 일일이 분리해야 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로우면서 많은 일손이 소요되고, 또 육묘를 포트 상에서 분리시 대부분의 흙이 용탈되어 뿌리 손상 및 건조로 인해 식재 후 육묘가 고사하거나 생육발달이 멈춰 농작물의 경우 수확량이 크게 감소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폴리에틸렌수지 즉, 비닐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슬러지, 이불솜, 계란껍질 및 커피가루등과 같이 사용후 버려지는 물질들을 재활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정식 시 육묘를 포트상에서 일일이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육묘의 흙이 용탈되어 뿌리 손상 및 건조로 인해 식재 후 육묘가 고사하거나 생육발달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14-0006557호 (공개일자 2014년 01월 16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가루, 옥수수전분 및 물을 혼합한 바인더와 계란껍질분말, 커피가루 및 숯가루를 혼합한 분말을 상토에 혼합하여 생성된 조성물을 압착 성형기에 가압하여 성형한 후 건조시켜 포트를 제조함으로써,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육묘의 흙이 용탈되어 뿌리 손상 및 건조로 인해 식재 후 육묘가 고사하거나 생육발달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슬러지, 이불솜, 계란껍질 및 커피가루등과 같이 사용 후 버려지는 물질들을 재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은 바인더, 분말 및 상토를 혼합하여 포트 조성물을 생성하는 조성물 생성단계; 상기 조성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생성단계는 밀가루, 옥수수전분 및 철분과 미네랄이 용해된 물을 혼합하여 바인더를 생성하는 바인더생성공정; 계란껍질분말, 커피가루 및 숯가루를 혼합하여 분말을 생성하는 분말생성공정; 및 상기 바인더 및 상기 분말을 상토에 혼합한 후 반죽하여 조성물을 생성하는 조성물 생성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 단계는 기 조성물을 소분하는 소분 공정;
금형이 설치된 압착 성형기에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제1시트를 배치하는 제1시트배치공정; 기 제1시트 상단에 소분된 상기 조성물을 배치하는 조성물 배치공정; 기 조성물 상단에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제2시트를 덮는 제2시트 배치공정; 및 상기 조성물을 가압 성형하는 가압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밀가루 5%, 옥수수전분 5%, 커피가루 3%, 계란껍질분말 3%, 숯가루 2%, 상토 50% 및 면솜 충전재 30%로 구성되고, 유기바인더 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토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정식 시 육묘를 포트상에서 일일이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육묘의 흙이 용탈되어 뿌리 손상 및 건조로 인해 식재 후 육묘가 고사하거나 생육발달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포트를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슬러지, 이불솜, 계란껍질 및 커피가루등의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사용 후 버려지는 물질들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조성물 생성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성형 단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 생성단계(S100), 성형 단계(S200) 및 건조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조성물 생성단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 생성단계(S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더, 분말 및 상토를 혼합하여 포트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 생성단계(S100)는 바인더 생성 공정(S110), 분말 생성 공정(S120) 및 조성물 생성 공정(S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생성 공정(S110)은 밀가루, 옥수수전분 및 철분과 미네랄이 용해된 물을 혼합하여 바인더를 생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생성 공정(S110)은 밀가루, 옥수수전분 및 철분과 미네랄이 섞인 물을 혼합하여 바인더를 생성하는 공정으로, 밀가루 5% 및 옥수수전분 5%로 함유된 바인더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분말 생성 공정(S120)은 계란껍질분말, 커피가루 및 숯가루를 혼합한 분말을 생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말 생성 공정(S120)은 상기 바인더와 혼합되는 분말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계란껍질분말 3%, 숯가루 2% 및 커피가루 3%의 비율로 구성된 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생성 공정(S130)은 상기 바인더 및 상기 분말을 상토에 혼합한 후 반죽하여 조성물을 생성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 생성 공정(S130)은 상토에 상기 바인더 및 상기 분말을 혼합한 후 반죽하여 상기 상토 포트(1)를 구성하는 조성물을 생성하는 공정으로, 밀가루 5%, 옥수수전분 5%, 계란껍질분말 3%, 숯가루 2%, 커피가루 3% 및 상토 50%의 비율을 갖는 조성물을 철분과 미네랄이 용해된 물과 혼합한 후 일정한 텐션을 갖을 수 있도록 반죽하여 조성물을 생성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에 유기바인더를 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성형 단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성형 단계(S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 단계(S200)는 상기 조성물 생성 단계(S100)에서 생성된 조성물을 일정량 소분한 후 열압착기에 넣고 가압하여 포트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단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 단계(S200)는 소분 공정, 제1시트배치공정, 조성물 배치 공정, 제2시트 배치 공정 및 가압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분 공정(S210)은 조성물 생성 공정(S100)에서 반죽이 완료된 조성물을 포트 제작에 필요한 양만큼을 소분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제1시트 배치 공정(S220)은 금형이 설치된 압착 성형기에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제1시트를 배치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시트 배치 공정(S220)은 상기 소분 공정에 의해 소분된 조성물을 압착기에 배치시키기 전에 이루어지는 공정으로, 상기 조성물을 가압하는 압착 성형기에 제1시트를 배치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시트는 얇게 직조된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것으로 면솜 패딩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시트 배치 공정(S220)은 상기 성형기 저면에 얇게 편 면솜 패딩을 깔도록 하는 공정으로 상기 제1시트 상단에 상기 조성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배치 공정(S230)은 상기 제1시트 상단에 소분된 상기 조성물을 배치하는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제2시트 배치 공정(S240)은 상기 조성물 상단에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제2시트를 덮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시트 배치 공정(S240)은 상기 성형기에 배치된 조성물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제2시트를 덮는 공정으로, 상기 제2시트는 얇게 직조된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면솜 패딩일 수 있다.
상기 가압 공정(S250)은 상기 조성물을 가압 성형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 공정(S250)은 성형기의 저면에 상기 제1시트를 깔고 상기 제1시트 상단에 소분된 조성물을 배치하며, 상기 조성물 상단에 제2시트를 배치시킨 후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조성물을 가압하는 공정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공정(S250)은 반죽 상태로 된 조성물을 미세한 기공이 있는 금형을 설치한 압축 성형기에 놓고 성형시간 25 내지 125초 동안 가압 성형하여 포트를 제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 공정(S250)은 상기 조성물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트의 형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상기 상트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평단면이 원형 또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육각형,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공정(S250)은 상기 포트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포트 내부에 식재된 식물 뿌리가 뻗어나갈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포트의 두께는 3 내지 7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형 단계(S200)는 상기 반죽이 완료된 조성물을 일정한 양으로 소분한 후 성형기의 하단에 제1시트를 깔고 상기 제1시트 상단에 소분된 조성물을 배치시키며, 상기 조성물 상단에 제2시트를 배치시킨 후 성형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조성물이 포트의 형상을 갖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건조 단계(S300)는 상기 성형 단계(S200)를 마친 성형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토 포트(1)는 밀가루 5%, 옥수수전분 5%를 철분 및 미네랄이 섞인 물과 혼합하여 바인더를 만들고, 계란껍질분말 3%, 커피가루 3%, 숯가루 2%를 혼합하여 분말을 만들며, 상기 바인더와 상기 분말을 상토 50% 및 유기바인더 2%와 혼합하여 반죽한 후 일정한 텐션을 갖도록 하고, 포트 하나의 분량 만큼으로 소분하여 성형기에 넣고 압착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토 포트(1)는 상기 성형기의 저면에 얇게 직조된 면솜 패딩으로 구성된 제1시트를 바닥에 깔고, 소분된 조성물을 상측에 배치하며, 상기 조성물 상단에 패딩솜으로 구성된 제2시트를 덮은 후 압착 성형하여 포트의 형상으로 성형 후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토 포트는 식물을 키우는 다양한 형태의 화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은 식물을 키우는 다양한 형태의 화분의 제조 방법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따라서, 상기 상토 포트(1)는 작물의 씨앗과 함께 일정분의 상토를 채운 상태에서 트레이(10)에 배치되어 모종을 키우는 데 사용되며, 상기 모종이 경작지에 옮겨 정식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포트(1)에서 모종을 빼내어 정식하지 않고 포트에서 발아 성장된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분갈이의 번거로움 및 이식 재배에 따른 뿌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육묘의 정식이 용이하면서도 친환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토 포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종을 키우고 정식 후 버려지는 포트일 수 있으나, 일반적인 육묘를 키우는 화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상토 포트는 식물을 키우는 다양한 형태의 화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정식 시 육묘를 포트상에서 일일이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육묘를 포트와 함께 식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육묘의 흙이 용탈되어 뿌리 손상 및 건조로 인해 식재 후 육묘가 고사하거나 생육발달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트를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슬러지, 이불솜, 계란껍질 및 커피가루등의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사용 후 버려지는 물질들을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상토 포트 10 : 트레이
S100 : 조성물 생성 단계 S110 : 바인더 생성 공정
S120 : 분말 생성 공정 S130 : 조성물 생성 공정
S200 : 성형 단계 S210 : 소분 공정
S220 : 제1시트 배치 공정 S230 : 조성물 배치 공정
S240 : 제2시트 배치 공정 S250 : 가압 공정
S300 : 건조 단계

Claims (5)

  1. 바인더, 분말 및 상토를 혼합하여 포트 조성물을 생성하는 조성물 생성단계;
    상기 조성물을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 및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성물 생성단계는,
    밀가루, 옥수수전분 및 철분과 미네랄이 용해된 물을 혼합하여 바인더를 생성하는 바인더생성공정;
    계란껍질분말, 커피가루 및 숯가루를 혼합하여 분말을 생성하는 분말생성공정; 및
    상기 바인더 및 상기 분말을 상토에 혼합한 후 반죽하여 조성물을 생성하는 조성물 생성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 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소분하는 소분 공정;
    금형이 설치된 압착 성형기에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제1시트를 배치하는 제1시트배치공정;
    상기 제1시트 상단에 소분된 상기 조성물을 배치하는 조성물 배치공정;
    상기 조성물 상단에 면솜 충전재로 직조된 제2시트를 덮는 제2시트 배치공정; 및
    상기 조성물을 가압 성형하는 가압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밀가루 5%, 옥수수전분 5%, 커피가루 3%, 계란껍질분말 3%, 숯가루 2%, 상토 50% 및 면솜 충전재 30%로 구성되고,
    유기바인더 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따른 상토 포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토 포트.
KR1020200182334A 2020-12-23 2020-12-23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334A KR102600583B1 (ko) 2020-12-23 2020-12-23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334A KR102600583B1 (ko) 2020-12-23 2020-12-23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123A KR20220091123A (ko) 2022-06-30
KR102600583B1 true KR102600583B1 (ko) 2023-11-09

Family

ID=8221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334A KR102600583B1 (ko) 2020-12-23 2020-12-23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5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226A (ko) * 2006-11-09 2008-05-15 (주)네오엠씨씨 환경친화형 육묘포트
KR20110015487A (ko) * 2009-08-08 2011-02-16 서정수 생분해성 화분
KR101410470B1 (ko) 2012-07-06 2014-07-08 이정근 지렁이 분변토 포트
KR20150003846U (ko) * 2015-09-30 2015-10-21 서희동 생분해성 육묘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1123A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2226A (ko) 환경친화형 육묘포트
CN102907244A (zh) 一种八角短穗扦插的繁殖方法
CN101828492A (zh) 锥形含种压缩营养钵及其播种方法
CN102640677B (zh) 无土有机水稻育秧盘及其加工方法
JP2005333850A (ja) 植物育成床
KR102600583B1 (ko) 상토 포트 및 그 제조 방법
CN206227105U (zh) 一种花盆
KR101808908B1 (ko) 배양토몰드 포트화분
KR101042531B1 (ko) 킬레이트 화합물을 이용한 육묘용 압축 상토의 제조 방법및 이를 이용한 압축 성형 상토
CN105265222A (zh) 一种绿叶菜蔬菜穴盘育苗方法
KR102107719B1 (ko) 식생용 천연 포트
CN202145770U (zh) 植物育苗用土壤营养柱成型器
CN107637496A (zh) 番茄穴盘育苗方法
JP5525666B1 (ja) 栽培用土充填済みソイルブロックと、植物栽培方法と、ソイルブロック栽培植物
KR20040067612A (ko) 육묘용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3811802B2 (ja) 繊維製育苗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0470B1 (ko) 지렁이 분변토 포트
KR100422983B1 (ko) 파종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3721370B2 (ja) 緑樹の枝葉を原料とした育苗制御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育苗制御方法
CN202603273U (zh) 无土有机水稻育秧盘
KR960004332B1 (ko)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CN117770116A (zh) 一种基质栽培叶菜的生长调控方法
CN108293545A (zh) 一种油茶树的栽植方法
KR101408805B1 (ko) 생선껍질을 이용한 육묘용 컵 및 그 제조방법
CN2596738Y (zh) 植物栽培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