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460B1 -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 Google Patents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460B1
KR102600460B1 KR1020210111517A KR20210111517A KR102600460B1 KR 102600460 B1 KR102600460 B1 KR 102600460B1 KR 1020210111517 A KR1020210111517 A KR 1020210111517A KR 20210111517 A KR20210111517 A KR 20210111517A KR 102600460 B1 KR102600460 B1 KR 10260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module
axis
stag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248A (ko
Inventor
이규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스피 filed Critical (주)에스에스피
Priority to KR102021011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4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4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lifting arrangement, e.g. lift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19Arrangement of the bump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컨트 시스템(Wafer level solder ball placement system)에서 플럭스(Flux) 프린팅 공정 및 솔더볼(Solder ball) 로딩 공정을 통해, 웨이퍼(Wafer)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마이크로 솔더볼을 마운팅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을 다축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틸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웨이퍼의 중심점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스테이지모듈의 평탄도(Flatness)를 쉽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과 제어가 같은 비율로 이루어지는 리니어방식이 아니라, 기준높이를 중심으로 중앙부분은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계지점인 상하부에서는 미세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더라도 보다 더 향상된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반도체 분야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 분야, 특히 웨이퍼 레벨 칩 스케일 패키지(WLCSP) 기반의 제조 분야 및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Wafer stage device with adjustable height using cam module}
본 발명은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컨트 시스템(Wafer level solder ball placement system)에서 플럭스(Flux) 프린팅 공정 및 솔더볼(Solder ball) 로딩 공정을 통해, 웨이퍼(Wafer)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마이크로 솔더볼을 마운팅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을 다축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틸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웨이퍼의 중심점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스테이지모듈의 평탄도(Flatness)를 쉽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분야의 기술은 소형화 및 집적화를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IT기기들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저전력의 고성능 칩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개발에 의한 반도체 칩 패키지 중 하나인 플립칩(Flip chip)은, 다이(Die)라고도 불리는 반도체 유닛(Unit)을 기판에 탑재할 때 금속리드(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납 재질의 범프볼(Bump ball)인 솔더볼(Solder ball)을 이용하여 기판에 직접 부착시키는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 와이어리스(Wireless) 반도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웨이퍼가 보다 얇아지고 입출력(I/O) 단자가 늘어나는 등 전자기기의 고성능, 저전력, 경박단소 추세가 계속되면서, 최근에는 범프볼인 솔더볼을 웨이퍼에 직접 부착하여 패키지를 제조하는 방식인 WLCSP(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 방식의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솔더볼을 어태칭(Attaching)하기 위한 시스템을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Solder ball placement system)이라고 한다.
한편, 솔더볼을 기판이나 웨이퍼에 직접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판이나 웨이퍼에 플럭스(Flux)를 프린팅한 후, 그 위에 솔더볼을 부착하게 된다.
이때, 마스크(Mask)의 일종인 금속박판 형태의 스텐실(Stencil)을 이용하게 되는데, 스텐실의 하부에 웨이퍼를 위치시키고 스텐실의 상부에서 플럭스를 도포하거나 솔더볼을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은 웨이퍼를 스텐실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웨이퍼를 상승시켜 스텐실의 저면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로딩이라고 하며, 이 반대과정을 언로딩이라고 한다.
이러한 웨이퍼의 로딩 및 언로딩 과정, 특히 웨이퍼의 로딩 과정에서 웨이퍼와 스텐실이 평행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만약, 웨이퍼와 스텐실의 평행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할 경우, 플럭스가 정확하게 프린팅되지 못하거나 솔더볼의 어태칭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반도체의 수율(Yield)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907호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가 있다.
선행기술은 Z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3개(3축)의 팅팅모듈을 이용하여,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 모듈의 경사도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웨이퍼의 중심점이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선행기술은 스테이지 모듈의 평탄화과정을 거친 후에 웨이퍼의 중심점을 조정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8907호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컨트 시스템(Wafer level solder ball placement system)에서 플럭스(Flux) 프린팅 공정 및 솔더볼(Solder ball) 로딩 공정을 통해, 웨이퍼(Wafer)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마이크로 솔더볼을 마운팅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는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을 다축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틸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웨이퍼의 중심점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스테이지모듈의 평탄도(Flatness)를 쉽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과 제어가 같은 비율로 이루어지는 리니어방식이 아니라, 기준높이를 중심으로 중앙부분은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계지점인 상하부에서는 미세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더라도 보다 더 향상된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는,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에 구성되어 웨이퍼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있어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 및 상기 스테이지모듈을 업다운시키는 다축 업다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축 업다운 모듈은, 상기 웨이퍼의 중심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스테이지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가상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틸팅시키켜 상기 스테이지모듈의 경사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축 업다운 모듈은, 각 축 별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업다운 캠 모듈; 및 상기 업다운 캠 모듈 중 어느 한 축의 업다운 캠 모듈은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축의 업다운 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업다운 캠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 캠 모듈은,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업다운 캠을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편향되도록 업다운 캠에 형성된 캠축; 및 상기 캠축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컨트 시스템(Wafer level solder ball placement system)에서 플럭스(Flux) 프린팅 공정 및 솔더볼(Solder ball) 로딩 공정을 통해, 웨이퍼(Wafer)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마이크로 솔더볼을 마운팅하는 과정에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WLCSP 방식의 반도체 제조 공정 중 플럭스(Flux) 프린팅 공정이나 솔더볼 어태칭(Attaching) 공정에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의 평탄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스텐실과 웨이퍼가 수평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공정에서의 신뢰성 및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을 다축 업다운 모듈을 이용하여 틸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웨이퍼의 중심점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스테이지모듈의 평탄도(Flatness)를 쉽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나 랙,피니언 구조와 같이 직선형태로 제어하는 리니어방식의 경우, 구동과 제어가 같은 비율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는 중요한 부분에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구동과 제어가 같은 비율로 이루어지는 리니어방식이 아니라, 기준높이를 중심으로 중앙부분은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계지점인 상하부에서는 미세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성능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더라도 보다 더 향상된 정밀제어가 가능(예를 들어, 랙 및 피니언 구조에 비하여)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플럭스 프린팅 및 솔더볼 어태칭에 대한 정밀도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반도체 분야 및 반도체 패키지 제조 분야, 특히 웨이퍼 레벨 칩 스케일 패키지(WLCSP) 기반의 제조 분야 및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다축 업다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업다운 캠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난 다축 업다운 모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업다운 캠 모듈의 동작에 따른 제어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에 구성되어 웨이퍼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A)는 스테이지모듈(100) 및 다축 업다운 모듈(200)을 포함한다.
스테이지모듈(100)은 웨이퍼가 놓여지는 곳으로, 진공을 이용하여 웨이퍼를 흡착함으로써, 웨이퍼의 움직임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웨이퍼를 평면상태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웨이퍼의 휘어짐 등으로 인해 솔더볼을 어태칭(Attaching)하는 공정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다축 업다운 모듈(200)은 스테이지모듈(100)을 틸팅시키는 것으로, 서로 다른 네 방향에서 스테이지모듈(100)을 틸팅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다축 업다운 모듈(200)은 스테이지모듈(100)에 놓여지는 웨이퍼의 중심이 유지된 상태에서, 중심을 지나는 직교하는 두 개의 가상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스테이지모듈(100)을 틸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웨이퍼의 중심이 유지된다는 것은, 탑뷰(Top view)상에서 웨이퍼의 중심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3차원 상에서는 웨이퍼의 중심점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더라도 평면상에서의 이동하는 것은 제한하면서 스테이지모듈(100)을 틸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A)는, 스테이지모듈(100)을 평면상에서 회전시키는 회동모듈(300)과, 스테이지모듈(100)을 평면상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동모듈(300) 및 이동모듈(400)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결합관계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다축 업다운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축 업다운 모듈(200)은 4개의 업다운 캠 모듈(210)이 웨이퍼(W)의 중심을 기준으로 90° 간격으로 방사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업다운 캠 모듈(210)의 동작은 업다운 캠 제어부(22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업다운 캠 제어부(22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테이지모듈(100)에 놓여지는 웨이퍼의 중심이 유지된 상태에서, 중심을 지나는 직교하는 두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스테이지모듈(100)을 틸팅시키도록 해당 업다운 캠 모듈(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다운 캠 제어부(220)는 4개의 업다운 캠 모듈(210) 중 마주보는 어느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예를 들어, 도 2에서 좌우에 위치한 업다운 캠 모듈)은 정지한 상태에서,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예를 들어, 도 2에서 상하에 위치한 업다운 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좌우방향을 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웨이퍼(W)를 틸팅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업다운 캠 제어부(220)는 다른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210)은 정지한 상태에서, 어느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201)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상하방향을 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웨이퍼(W)를 틸팅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업다운 캠 제어부(220)는 어느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210)과 다른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201)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웨이퍼(W)에 대하여 상하좌우의 방향은 물론 대각선 방향으로의 틸팅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업다운 캠 모듈(210)은 웨이퍼(W)의 중심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그 동작이 제어되므로, 웨이퍼(W)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더라도 웨이퍼(W) 중심점의 오차를 최소화하면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업다운 캠 모듈의 구성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업다운 캠 모듈(210)은 구동모터(214)의 동작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축(211), 회동축(211)에 의해 회동되는 업다운 캠(215), 회동축(211)에 편향되도록 업다운 캠(215)에 형성된 캠축(212), 그리고 캠축(212)의 원운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모터(214)에 의해 업다운 캠(215)이 회동되면, 업다운 캠(215)에 편향되도록 구성된 캠축(212)이 원운동을 하면서 승하강유닛(213)을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승하강유닛(213)을 캠방식으로 이동시키는 이유는, 앞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기준높이(회동축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를 중심으로 중앙부분은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한계지점인 상하부에서는 미세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에서 동일한 각도(θ)로 이동한다 하더라도, 중앙부분에서의 이동거리(D1)에 비해 상부에서의 이동거리(D2)가 현저하게 작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캠축(212)이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0°)에서 0.81°를 회전하게 되면 0.001㎛가 상승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동거리는 회동축(211)과 캠축(212)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며, 두 축간의 거리는 해당 시스템 또는 장치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달라지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의 다축 업다운 모듈(200)의 업다운 캠 모듈(210)은 동일한 각도를 회전하더라도, 어느 위치에서 회전하느냐에 따라 스테이지모듈(100)이 이동하는 거리가 가변되는 방식으로 적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가변방식의 높이조절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축(211)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유닛(213)의 최고위치와 취하위치의 간격(D) 내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해당 간격(D)의 중앙부에서는 단위회전각에서 많은 이동거리를 이동하고, 해당 간격(D)의 상하부에서는 단위회전각에서 미세한 이동거리를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스테이지모듈(100)의 신속한 이동과 미세한 조정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A)가 구성되는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에는, PRS(Pattern Recognition System)를 통해 웨이퍼의 중심을 확인하는 웨이퍼 중심 확인용 비전(도시하지 않음)과, 네 개의 업다운 캠 모듈(21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웨이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네 개의 거리측정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은 거리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스테이지모듈(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지모듈(100)의 높이 또는 스테이지모듈(100)에 놓여진 웨이퍼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네 개의 업다운 캠 모듈(210)을 동시에 제어하여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네 개의 거리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스테이지모듈(100) 또는 웨이퍼의 평균 높이가 원하는 높이에 도달한 경우, 네 개의 업다운 캠 모듈(210)에 의한 상승 또는 하강 동작을 중지하고, 네 개의 거리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거리에 따라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어느 한 쌍의 업다운 캠 모듈(210)을 제어하여, 스테이지모듈(100) 또는 웨이퍼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100 : 스테이지모듈
200 : 다축 업다운 모듈
210 : 업다운 캠 모듈 211 : 회동축
212 : 캠축 213 : 승하강유닛
214 : 구동모터 215 : 업다운 캠
220 : 업다운 캠 제어부
300 : 회동모듈
400 : 이동모듈

Claims (3)

  1. 웨이퍼 레벨 솔더볼 플레이스먼트 시스템에 구성되어 웨이퍼를 로딩 및 언로딩하는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에 있어서,
    웨이퍼가 놓여지는 스테이지모듈; 및
    상기 스테이지모듈을 업다운시키는 다축 업다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다축 업다운 모듈은,
    상기 웨이퍼의 중심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스테이지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가상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틸팅시키켜 상기 스테이지모듈의 경사도 및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다축 업다운 모듈은,
    각 축 별로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업다운 캠 모듈; 및
    상기 업다운 캠 모듈 중 어느 한 축의 업다운 캠 모듈은 정지한 상태에서, 다른 한 축의 업다운 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업다운 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업다운 캠 모듈은,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업다운 캠을 회동시키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에 편향되도록 업다운 캠에 형성된 캠축; 및
    상기 캠축의 원운동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하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1517A 2021-08-24 2021-08-24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KR102600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517A KR102600460B1 (ko) 2021-08-24 2021-08-24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517A KR102600460B1 (ko) 2021-08-24 2021-08-24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48A KR20230029248A (ko) 2023-03-03
KR102600460B1 true KR102600460B1 (ko) 2023-11-10

Family

ID=8551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17A KR102600460B1 (ko) 2021-08-24 2021-08-24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4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9639B2 (ja) * 2005-05-31 2010-06-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Z軸調整機構及び微動ステー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349A (ja) * 1990-12-25 1992-08-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ギャングボンディング装置
KR100355878B1 (ko) * 1999-12-31 2002-10-12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레티클 스테이지의 자동 기울기 조정장치
KR102563272B1 (ko) * 2016-08-26 2023-08-03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틸팅 스테이지 시스템
KR101868907B1 (ko) 2017-03-15 2018-07-20 (주)에스에스피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9639B2 (ja) * 2005-05-31 2010-06-2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Z軸調整機構及び微動ステー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48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4622B2 (en) Method of adjusting moving position of transfer arm and position detecting jig
US8149005B2 (en) Jig for detecting position
US7597234B2 (en) Method for mounting a flip chip on a substrate
KR101868907B1 (ko) 경사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KR101096927B1 (ko) 다이본더의 본드헤드를 정렬시키는 방법
US11217475B2 (en) Wafer table with dynamic support pins
JP4848162B2 (ja) 導電性ボールを搭載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05474379A (zh) 用于半导体晶片调平、力平衡和接触感测的装置和方法
CN116153820A (zh) 一种多类型芯片全自动混合贴装设备及贴装方法
KR102600460B1 (ko) 캠 모듈을 이용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US20240153931A1 (en)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of bonding workpieces
KR20200142953A (ko) 레이저 본딩장치
JP5104127B2 (ja) ウェハ移載装置と、これを有する半導体製造装置
US2020027375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onding semiconductor elements
JP7178782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KR102476987B1 (ko) 평탄도 자동 보상이 가능한 볼 스크류 구동 웨이퍼 스테이지 장치
JP3024277B2 (ja) ダイスボンダーヘッド装置
JP2010161293A (ja) マスクを用いた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1015533A (ja) ペレット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その装置に用いられるペレット取出し機構
KR200249359Y1 (ko) 스텝퍼의 웨이퍼 홀더
KR20230077665A (ko) 접합 장치 및 접합 방법
KR20220014447A (ko) 반도체 소자 본딩 설비에서 본딩 평탄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399610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1212446A (ja) 半導体ペレットのマウント方法
KR20030055301A (ko) 칩실장장치에서의 얼라인먼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