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327B1 -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 Google Patents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327B1
KR102600327B1 KR1020230054450A KR20230054450A KR102600327B1 KR 102600327 B1 KR102600327 B1 KR 102600327B1 KR 1020230054450 A KR1020230054450 A KR 1020230054450A KR 20230054450 A KR20230054450 A KR 20230054450A KR 102600327 B1 KR102600327 B1 KR 102600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ail
door panel
fram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단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단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단열
Priority to KR102023005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3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거나 환기가 필요할 때에 창문이 자동 개방되게 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 틀 형상으로 된 창틀; 둘 이상의 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의 내측 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전방창문; 상기 전방창문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둘 이상의 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의 내측 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후방창문; 및 상기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는 창문개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전방문짝과 후방문짝을 연결하여 이들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연결부재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을 개폐시키게 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리니어액추에이터는 상기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Sliding double windows for smoke exhaust and ventilation with built-in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s}
본 발명은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거나 환기가 필요할 때에 창문이 자동 개방되게 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되, 창문의 자동 개방을 위한 장치가 내장된 구조를 갖도록 한 슬라이딩 이중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40599호(2023.03.23. 공개)의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창호프레임, 상기 창호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자동개폐장치, 상기 창호프레임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창문을 포함하고, 상기 창호프레임은 상기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전방에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세로길이보다 긴 세로길이로 형성되는 개방홈과 상기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하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부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이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어 무한궤도로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궤도 내측에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개폐장치의 스프라켓은 하측으로 연결부재재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한 쌍의 창문 중 어느 하나의 창문과 결합되며, 상기 자동개폐장치는 양단부에 결합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브라켓이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자동개폐장치가 상기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자동개폐장치가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창호의 매관을 해치지 않을 뿐 아니라 커튼 및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자동개폐장치가 창호프레임의 내부 중공 부위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자동개폐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호프레임의 일측을 떼어내 개방시켜야 함으로써 자동개폐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이중 창호에 적용할 경우 내측 창문 외측 창문에 각각 자동개폐장치를 연결해야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40599호(2023.03.23.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환기가 필요할 때에 창문이 자동 개방되게 하여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되,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고, 창문개폐장치가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간섭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창문개폐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이중으로 된 창문을 하나의 창문개폐장치로 자동 개폐할 수 있도록 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는, 사각 틀 형상으로 된 창틀; 둘 이상의 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의 내측 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전방창문; 상기 전방창문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둘 이상의 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의 내측 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후방창문; 및 상기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을 자동 개폐시키는 창문개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전방문짝과 후방문짝을 연결하여 이들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연결부재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을 개폐시키게 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와 리니어액추에이터는 상기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창틀의 내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창틀의 내측 상면과 내측 하면에는 각각 창틀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창문은 상기 제1레일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전방문짝과, 상기 제2레일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전방문짝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창문은 상기 제3레일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후방문짝과, 상기 제4레일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후방문짝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상기 좌측전방문짝과 좌측후방문짝의 사이, 또는 상기 우측전방문짝과 우측후방문짝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창틀의 내측 상면과 내측 하면에는 각각 창틀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창문은, 상기 제1레일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전방문짝, 상기 좌측전방문짝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일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전방문짝, 그리고 상기 좌측전방문짝과 우측전방문짝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레일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전방문짝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창문은, 상기 제3레일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후방문짝, 상기 좌측후방문짝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3레일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후방문짝, 그리고 상기 좌측후방문짝과 우측후방문짝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4레일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후방문짝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상기 좌측전방문짝과 좌측후방문짝의 사이, 그리고 상기 우측전방문짝과 우측후방문짝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창틀은, 창틀의 중간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2레일과 제3레일이 형성된 중앙프레임부; 창틀의 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레일이 형성된 전방프레임부; 창틀의 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4레일이 형성된 후방프레임부; 상기 중앙프레임부와 전방프레임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전방단열프레임부; 및 상기 중앙프레임부와 후방프레임부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후방단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는 상기 중앙프레임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프레임부의 내측 상면 또는 내측 하면에는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수직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각 걸림부에 걸리어 고정되는 두 대응걸림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두 수직돌출부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의 상면 또는 하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수평돌출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하거나 환기가 필요할 때에 창문개폐장치에 의해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자동 개방되어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개폐장치가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창틀에 내장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창호의 외관이 미려하고, 창문개폐장치가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간섭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개폐장치가 창틀의 내측에 설치되되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연동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창문개폐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을 하나의 창문개폐장치로 자동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상단부를 발췌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6에서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평면 구성도.
도 9는 도 8에서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요부에 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고,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 및 명칭은 사전적인 의미가 아닌 구성의 형상이나 작용, 역할 등에 의해 함축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방향에 관한 설명은 최초로 제시된 도면으로부터 최초로 제시한 방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위치에 관한 설명은 각 구성의 중간 또는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외가 결정된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나 명칭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면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구성의 구체적인 구조, 형상, 모양, 배치, 크기, 등과, 도면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구성의 작동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도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고, 구성 간의 결합을 위해 적용되는 볼트, 용접부위, 구멍 등은 요지를 흐릴 수 있어 도면에서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측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상단부를 발췌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는, 창틀(100), 전방창문(200), 후방창문(300) 및 창문개폐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100)은 사각 틀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의 중간부를 이루는 중앙프레임(110), 창틀(100)의 전단부를 이루는 전방프레임(120), 창틀(100)의 후단부를 이루는 후방프레임(130),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와 전방프레임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전방단열프레임부(140), 그리고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와 후방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후방단열프레임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중앙프레임(110),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30)은 알루미늄 압출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단열프레임(140) 및 후방단열프레임(150)은 합성수지 등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프레임(110), 전방프레임(120) 및 후방프레임(130)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프레임(130)의 후단에는 방충망(500)을 설치하기 위한 방충망지지레일(132)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창문(200)은 둘 이상의 전방문짝(210)(2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00)의 내측 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후방창문(300)은 둘 이상의 후방문짝(310)(3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00)의 내측 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후방창문(300)은 상기 전방창문(200)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은 이중창을 이루게 된다.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자동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전방문짝과 후방문짝을 연결하여 이들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연결부재(410),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410)와 결합되어 연결부재(410)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개폐시키게 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10)와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창틀(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창문개폐장치(4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 또는 내측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창문개폐장치(400)가 전방창문(200) 및 후방창문(300)의 상단에 설치될 경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창틀(100)의 내측 상면에 장착되고, 창문개폐장치(400)가 전방창문(200) 및 후방창문(300)의 하단에 설치될 경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창틀(100)의 내측 하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의하면 리니어액추에이터(420)에 의해 상기 중앙프레임부(110), 전방프레임부(120) 및 후방프레임부(130) 간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410)는, 상기 전방창문(200)에 결합되는 전방결합부(411), 상기 후방창문(300)에 결합되는 후방결합부(412), 그리고 상기 전방결합부(411)와 후방결합부(412)를 연결하는 연결부(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410)를 통해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 간에 열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410)는 합성수지 등 단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창틀(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우징(422), 상기 하우징(4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스크루(423), 상기 볼스크루(423)에 결합되어 볼스크루(4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4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퇴 동작되는 진퇴부재(424), 그리고 상기 볼스크루(423)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422)에 설치되어 볼스크루(423)를 회전시키는 모터(4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퇴부재(424)는 상기 하우징(422)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410)의 연결부(413)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은 상기 진퇴부재(424)가 상기 모터(425)의 작동에 의해 진퇴 동작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하게 된다.
상기 모터(425)는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실내에 구비된 화재감지센서 및/또는 공기질측정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각 센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의 내측 상면 또는 내측 하면에는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수직돌출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113)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113)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각 걸림부(114)에 걸리어 고정되는 두 대응걸림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113)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113)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수평돌출부(11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대응걸림부(421)가 상기 걸림부(114)에 걸리어 고정되도록 리니어액추에이터(420)를 창틀(10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리니어액추에이터(420)를 창틀(10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가 창틀(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이 상기 수평돌출부(115)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리니어액추에이터(4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장착구조는 상기 걸림부(114) 및 대응걸림부(421)를 적용한 구조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설치된 이중 창호에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별도의 브래킷에 의해 창틀(100)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하거나 환기가 필요할 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문개폐장치(400)에 의해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이 자동 개방되어 연기 및 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창문개폐장치(400)가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창틀(100)에 내장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창호의 외관이 미려하고, 창문개폐장치(400)가 커튼이나 블라인드와 간섭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문개폐장치(400)가 창틀(100)의 내측에 설치되되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이 연동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창문개폐장치(400)의 설치가 용이하고,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하나의 창문개폐장치(400)로 자동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과 내측 하면에는 각각 창틀(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 레일(121)(111)(112)(13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창문(200)은 상기 제1레일(121)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전방문짝(210)과 상기 제2레일(11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전방문짝(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창문(300)은 상기 제3레일(112)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후방문짝(310)과 상기 제4레일(13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후방문짝(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방창문(200)은 2개의 전방문짝(210)(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창문(300)은 2개의 후방문짝(310)(3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레일(121)은 상기 전방프레임부(120)에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111)과 제3레일(112)은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에 형성되며, 상기 제4레일(131)은 상기 후방프레임부(130)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좌측후방문짝(310)의 사이, 또는 상기 우측전방문짝(22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과 내측 하면에는 각각 창틀(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 레일(121)(111)(112)(13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창문(200)은, 상기 제1레일(121)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전방문짝(210), 상기 좌측전방문짝(210)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일(12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전방문짝(220), 그리고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우측전방문짝(220)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레일(111)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전방문짝(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창문(300)은, 상기 제3레일(112)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후방문짝(310), 상기 좌측후방문짝(310)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3레일(112)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후방문짝(320), 그리고 상기 좌측후방문짝(31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4레일(131)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후방문짝(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방창문(200)은 3개의 전방문짝(210)(220)(2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창문(300)은 3개의 후방문짝(310)(320)(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전방문짝(230)의 좌우 길이는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우측전방문짝(220)의 좌우 길이의 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중앙후방문짝(330)의 좌우 길이는 상기 좌측후방문짝(31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좌우 길이의 합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좌측후방문짝(310)의 사이, 그리고 상기 우측전방문짝(22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의 좌우 문짝을 모두 개폐하거나 좌우 문짝 중 어느 한쪽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전방창문과 후방창문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방창문(200)은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이 상호 연동되게 설치된 셋 이상의 전방연동문짝(2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창문(300)은 개폐를 위한 슬라이딩 동작이 상호 연동되게 설치된 셋 이상의 후방연동문짝(340)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은 슬라이드식 연동문이 이중으로 설치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창틀 110 : 중앙프레임부
111 : 제2레일 112 : 제3레일
113 : 수직돌출부 114 : 걸림부
115 : 수평돌출부 120 : 전방프레임부
121 : 제1레일 130 : 후방프레임부
131 : 제4레일 132 : 방충망지지레일
140 : 전방단열프레임부 150 : 후방단열프레임부
200 : 전방창문 210 : 좌측전방문짝
220 : 우측전방문짝 230 : 중앙전방문짝
240 : 전방연동문짝 300 : 후방창문
310 : 좌측후방문짝 320 : 우측후방문짝
330 : 중앙후방문짝 340 : 후방연동문짝
400 : 창문개폐장치 410 : 연결부재
411 : 전방결합부 412 : 후방결합부
413 : 연결부 420 : 리니어액추에이터
421 : 대응걸림부 422 : 하우징
423 : 볼스크루 424 : 진퇴부재
425 : 모터 500 : 방충망

Claims (6)

  1. 사각 틀 형상으로 된 창틀(100);
    둘 이상의 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00)의 내측 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전방창문(200);
    상기 전방창문(200)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둘 이상의 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00)의 내측 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후방창문(300); 및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자동 개폐시키는 창문개폐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전방문짝과 후방문짝을 연결하여 이들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연결부재(410); 및
    상기 연결부재(410)와 결합되어 연결부재(410)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개폐시키게 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410)와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창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과 내측 하면에는 각각 창틀(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 레일(121)(111)(112)(13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창문(200)은 상기 제1레일(121)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전방문짝(210)과, 상기 제2레일(11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전방문짝(220)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창문(300)은 상기 제3레일(112)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후방문짝(310)과, 상기 제4레일(13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후방문짝(320)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좌측후방문짝(310)의 사이, 또는 상기 우측전방문짝(22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창틀(100)은,
    창틀(100)의 중간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2레일(111)과 제3레일(112)이 형성된 중앙프레임부(110);
    창틀(100)의 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레일(121)이 형성된 전방프레임부(120);
    창틀(100)의 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4레일(131)이 형성된 후방프레임부(130);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와 전방프레임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전방단열프레임부(140); 및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와 후방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후방단열프레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의 내측 상면 또는 내측 하면에는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수직돌출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113)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113)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각 걸림부(114)에 걸리어 고정되는 두 대응걸림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113)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113)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수평돌출부(11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2. 사각 틀 형상으로 된 창틀(100);
    둘 이상의 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00)의 내측 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전방창문(200);
    상기 전방창문(200)의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것으로서, 둘 이상의 후방문짝으로 이루어져 상기 창틀(100)의 내측 후부에 여닫을 수 있게 설치된 후방창문(300); 및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자동 개폐시키는 창문개폐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전방문짝과 후방문짝을 연결하여 이들의 개폐 동작이 연동되게 하는 연결부재(410); 및
    상기 연결부재(410)와 결합되어 연결부재(410)를 진퇴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을 개폐시키게 되는 리니어액추에이터(42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410)와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전방창문(200)과 후방창문(3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창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창틀(100)의 내측 상면과 내측 하면에는 각각 창틀(100)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열된 제1 내지 제4 레일(121)(111)(112)(131)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창문(200)은, 상기 제1레일(121)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전방문짝(210), 상기 좌측전방문짝(210)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1레일(121)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전방문짝(220), 그리고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우측전방문짝(220)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레일(111)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전방문짝(230)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창문(300)은, 상기 제3레일(112)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후방문짝(310), 상기 좌측후방문짝(310)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제3레일(112)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후방문짝(320), 그리고 상기 좌측후방문짝(31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사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4레일(131)의 중앙에 설치된 중앙후방문짝(330)을 포함하고,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상기 좌측전방문짝(210)과 좌측후방문짝(310)의 사이, 그리고 상기 우측전방문짝(220)과 우측후방문짝(32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창틀(100)은,
    창틀(100)의 중간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2레일(111)과 제3레일(112)이 형성된 중앙프레임부(110);
    창틀(100)의 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1레일(121)이 형성된 전방프레임부(120);
    창틀(100)의 후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제4레일(131)이 형성된 후방프레임부(130);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와 전방프레임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전방단열프레임부(140); 및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와 후방프레임부(130)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후방단열프레임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는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프레임부(110)의 내측 상면 또는 내측 하면에는 상호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두 수직돌출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113)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113)의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1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각 걸림부(114)에 걸리어 고정되는 두 대응걸림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두 수직돌출부(113)의 단부에는 두 수직돌출부(113)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리니어액추에이터(420)의 상면 또는 하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수평돌출부(115)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54450A 2023-04-26 2023-04-26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KR102600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450A KR102600327B1 (ko) 2023-04-26 2023-04-26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450A KR102600327B1 (ko) 2023-04-26 2023-04-26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327B1 true KR102600327B1 (ko) 2023-11-09

Family

ID=8874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450A KR102600327B1 (ko) 2023-04-26 2023-04-26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3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319A (ko) * 2008-11-14 2010-05-25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KR101228584B1 (ko) * 2012-04-25 2013-01-31 주식회사 신성하우징 단열성을 높인 미세기 창과 그 미세기 창틀 조립체
KR101896214B1 (ko) * 2018-03-15 2018-09-06 이춘용 이중 창문 동시 개폐장치
KR20180110399A (ko) * 2017-03-29 2018-10-10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가 구비된 창호
CN110656720A (zh) * 2019-10-31 2020-01-07 广州行盛玻璃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节玻璃内外温差的双层联动启闭幕墙
KR20230040599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대륙기업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319A (ko) * 2008-11-14 2010-05-25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KR101228584B1 (ko) * 2012-04-25 2013-01-31 주식회사 신성하우징 단열성을 높인 미세기 창과 그 미세기 창틀 조립체
KR20180110399A (ko) * 2017-03-29 2018-10-10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가 구비된 창호
KR101896214B1 (ko) * 2018-03-15 2018-09-06 이춘용 이중 창문 동시 개폐장치
CN110656720A (zh) * 2019-10-31 2020-01-07 广州行盛玻璃幕墙工程有限公司 一种可调节玻璃内外温差的双层联动启闭幕墙
KR20230040599A (ko)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대륙기업 창호프레임의 내부에 자동개폐장치가 설치된 배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633B2 (en) Construction product having a frame with multi-functional thermal break
US5553420A (en) Casement window
US8464467B2 (en) Sash for sliding door or window
US8112941B2 (en) Construction product having a moveable element with multi-functional thermal break
JP6154697B2 (ja) 窓の防火構造
US4309845A (en) Thermally insulated hinged windows and doors
JP6258634B2 (ja) 窓の防火構造
KR102600327B1 (ko) 창문개폐장치가 내장된 배연 및 환기용 슬라이딩 이중 창호
JP2006241740A (ja) ブラインドおよび建具
US4327796A (en) Shutter assembly
US4727797A (en) Secondary window ventilators
KR100677937B1 (ko) 탈출이 용이한 공동주택용 회전방범창
KR102329603B1 (ko) 창짝 간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창
KR102215732B1 (ko) 복수개의 창호가 연동되는 미닫이 창호의 자동개폐작동시 비상멈춤장치
KR102186400B1 (ko) 창문 개폐 정도에 따라 기밀성이 조절되는 창호 구조체
KR100535279B1 (ko) 도어 래치
GB2239309A (en) Window/door ventilators of modular construction
CA1184058A (en) Ventilation unit
KR200359154Y1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US6612358B2 (en) Dual track storm door
JP2001303873A (ja) 閉鎖装置
DE102009004352A1 (de) Wärmegedämmte Wandelementeinheit für Gebäudefassaden
KR0139868Y1 (ko) 방충망 창짝구조
JP2000073664A (ja) 二重窓
CN210598668U (zh) 双轨三扇推拉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