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312B1 -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312B1
KR102600312B1 KR1020210005841A KR20210005841A KR102600312B1 KR 102600312 B1 KR102600312 B1 KR 102600312B1 KR 1020210005841 A KR1020210005841 A KR 1020210005841A KR 20210005841 A KR20210005841 A KR 20210005841A KR 102600312 B1 KR102600312 B1 KR 10260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el syndrome
irritable bowel
extract
yulcho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352A (ko
Inventor
손의동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3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율초 추출물은 대장 과민성에 따라 증가된 배변 배출, 위 배출 또는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를 감소시키고, 대장 내장근의 과도한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따른 증상을 개선시키는 바, 이를 이용하여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예방, 치료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COMPRISING HUMULUS JAPONICUS EXTRACT}
본 발명은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이란, 다른 질환이나 해부학적 이상 없이 대장 근육의 과민해진 수축 운동으로 인한 기능 장애로 발생하는 복통 또는 복부 불편감, 배변 장애 등을 동반하는 기능성 장 질환이다. 소화기 증상을 주소로 방문하는 환자의 28%가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진단될 만큼 흔한 질환으로,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주요 증상은 배변 양상의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이다. 대장이 과민해져 대장의 운동이 지나치게 활발해져서 설사가 유발되거나 움직임이 급격히 감소한 경우 변비가 발생하며 설사와 변비가 반복되기도 한다. 또한, 내장 민감도가 증가하여 위장관 내 대변 또는 가스에 복부통증이나 불편감을 쉽게 느낄 수 있다. 이 외에도 복부팽만은 흔한 증상이며 속쓰림, 연하곤란 등의 상부위장관 증상과 전신피로, 두통 등의 전신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으며, 대장의 운동이상, 감각이상, 뇌-장관 상호작용, 감염 후에도 지속되는 저 등급 염증, 면역체계 이상, 장내 미생물 무리의 변화, 유전 소인, 정신사회적 요인 등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생화학적, 구조적 이상으로 설명할 수 없으므로 어떤 한 가지 특수 검사로 진단할 수 없다.
아직까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효과적인 단독 치료법 또한 없으며, 증상에 따른 약물과 생활습관 변화를 통하여 치료하고 있다. 약물은 증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다. 음식에 따른 통증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식전에 진경제를 투여하며, 설사형 과민성 대장증후군일 경우 합성아편제를 투여하여 장 통과를 지연시키고 장의 수분 흡수와 괄약근을 강화한다. 세로토닌 촉진제도 사용하기는 하지만 합병증 때문에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보다 효과적인 과민성 대장 증후군 치료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1707호 (2009.07.2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대한 치료 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율초 추출물은 대장 과민성에 따라 증가된 배변 배출, 위 배출 또는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를 감소시키고, 대장 내장근의 과도한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따른 증상을 개선시키는 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예방, 치료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수분 회피 스트레스(Water Avoidance Stress, WAS)로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을 유도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라 유도된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배변 배출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위 운동 능력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결장 투과성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5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전기장 자극(EFS)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7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세로토닌 (5-HT)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의 변화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수분 회피 스트레스(Water Avoidance Stress, WAS) 로 유도된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로 대장 과민성에 따라 증가된 배변 배출, 위 운동능력, 결장 수분 투과도 및 대장 내장근의 과도한 수축 등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따른 증상 개선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율초(Humulus japonicus)"란 삼과 또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환삼덩굴", "한삼덩굴" 등으로 불리기도 하여, 이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율초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또는 메탄올 수용액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율초 추출물은 대장 과민성에 따라 증가된 배변 배출, 위 배출(gastric emptying) 또는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colon permeability)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과도한 대장 내장근 수축을 억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르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동물모델에서 증가한 배변 과립 수(Fecal Pellet (No.))가 율초 추출물 투여에 의해 양성 대조군인 로페라미드(Loperamide)와 유사하게 또는 보다 효과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에 의해 증가된 위 운동능력의 이상 변화가 개선되었으며,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에 의해 증가된 결장 수분 투과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동물모델에서 전기장 자극,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등의 신경전달물질 등에 의해 과도하게 증가된 대장 내장근 수축이 율초 추출물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한 것은 하기 실험예에서 후술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율초 추출물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따른 증상들로부터 보호,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변비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이들 혼합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담체와 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부형제, 희석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결합제, 붕해제, 용제 등을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상기 약학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적절한 담체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율초 추출물의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비경구형 제형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 중 고형 제형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솔비톨, 만니톨, 셀룰로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고,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캡술제형의 경우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구형 제형 중 액상 제형은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제형은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를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치료 효능의 증진을 위해 칼슘이나 비타민 D3 등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 용량 수준은 사용 목적,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 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동물에 투여할 수 있고, 상기 동물은 예를 들어,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말, 개 등의 가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제제 형태에 따른 적당한 투여 경로로 투여될 수 있고,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은 특히 한정할 필요 없이,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기관지내 흡입,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수술 또는 다른 약물 치료 등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율초 추출물은 대장 과민성에 따라 증가된 배변 배출, 위 배출(gastric emptying) 또는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colon permeability)를 개선시킬 수 있고, 과도한 대장 내장근 수축을 억제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율초 추출물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따른 증상들로부터 보호,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바,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는 특징들은 상술된 부분에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건강기능식품이 취할 수 있는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의미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및 각종 드링크,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과일통조림, 잼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햄, 베이컨 등), 빵류 및 면류, 쿠키 및 스낵류, 유제품(버터, 치즈 등) 등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 첨가제 및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보조 성분은 예를 들어,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감미제, 비타민, 전해질,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보조제로 섭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율초( Humulus japonicus ) 추출물 제조
율초 400g을 메탄올 6L에 넣고 3일 간 추출한 후, 추출물을 거즈로 1차 여과하고 3000×g에서 3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을 취하여 0.2㎛ 필터(Nalgene, New York, USA)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증발기(Rotary evaporator, EYELA, Tokyo, Japan)로 동결 건조하여 28.81g의 율초 추출물 분말을 획득하였으며, 사용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율초 추출물의 수율은7.20%이며, 생체 외(in vitro) 실험에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생체 내(in vivo) 실험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WAS(Water Avoidance Stress) 유도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 모델은 수분 회피 스트레스 (Water avoidance stress, WAS) 방법에 의해 유발되며, 방법은 도 1과 같이 주변이 물로 가득찬 제한된 장소에서 1시간 동안 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 과정을 10일 동안 반복하여 지속적 스트레스를 통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 모델을 유도하였다.
<실험예 1>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배변 배출 변화 확인 (Fecal Pellet (No.))
수분 회피 스트레스(Water Avoidance Stress, WAS) 로 유도된 과민성 대장 증후군 동물모델에 대하여 율초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배변 배출 감소 효과를 관찰하였다.
배변 과립 수(Fecal Pellet (No.))는 대변의 배출량을 평가하는 지표로써 소화관 중 대장의 과민성의 정도를 관찰할 수 있다. 대변 과립의 수를 1시간 동안 WAS 상태에서 기록(10일간)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모델군(WAS 군)에서 Fecal Pellet (No.)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율초 추출물의 양성 대조군으로써 지사제로 사용되는 로페라미드(Loperamide, 5mg/kg)를 WAS 1시간 전 10일간 투여했을 때 유의미하게 Fecal Pellet (No.)을 감소시켰으며, 율초 추출물(HJE) 0.25ml/kg 및 0.5ml/kg으로 WAS 1시간 전 10일간 투여했을 때 또한 Fecal Pellet (No.)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율초 추출물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인한 대장 과민성 증상의 감소에 치료 효과를 보임을 뒷받침한다.
<실험예 2>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위 운동능력 변화 확인 (Gastric emptying)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동물모델에 대하여, 율초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위의 운동능력 회복 효과를 관찰하였다.
위 배출(Gastric emptying, %)은 소화관의 운동능력을 평가하는 지표 중의 하나로, 소화관 중 위의 운동능력 감소와 회복 정도를 평가하기에 적합하다. WAS 로 인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발시 운동능력이 증가하여, Gastric emptying (%)가 위의 운동능력 이상을 파악하는 지표가 된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유도한 모델에서 Gastric emptying (%)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율초 추출물의 양성 대조군으로써 지사제로 사용되는 로페라미드(5mg/kg)를 WAS 1시간 전 10일간 투여했을 때 유의미하게 증가한 위의 운동능력이 감소되었으며, WAS로 증가된 위의 운동능력이 율초 추출물 0.25ml/kg 및 0.5ml/kg으로 WAS 1시간 전 10일간 투여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율초 추출물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인한 위의 운동능력 이상 변화에 치료 효과를 보임을 뒷받침한다.
<실험예 3>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결장 투과성 변화 확인 (Colon permeability)
본 발명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결장 투과성 증가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장 투과도(Colon permeability)의 증가는 설사를 포함한 장 기능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어 과민성 대장 증후군 모델에 대한 보호 효과 평가 지표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일정시간에서 에반스 블루(Evans blue)의 결장에 대한 염색 정도가 결장의 투과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본 실험예에서는 이의 염색 정도를 610nm의 흡광도로 측정함으로써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모델의 결장 투과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모델군은 정상 군에 비해 결장 투과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로페라미드(5mg/kg) 및 율초 추출물 처리군은(0.25ml/kg 및 0.5ml/kg) WAS에 의한 증가된 결장 투과성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로 율초 추출물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유도 모델에서 증가된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를 개선하여 과민성 대장 증후군 질환에 대해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전기장 자극(EFS)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 변화 확인
본 발명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로 인한 전기장 자극(EFS)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기장 자극 (EFS 1, 2, 4, 6Hz)을 사용하여 결장조직의 수축을 유도하였고 변화하는 수축정도를 각 그룹별로 비교한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WAS 군은 정상 군에 비해 EFS 유도 수축 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로페라미드 (5mg/kg)를 WAS 1시간 전 10일간 전처리한 군은 EFS 유도 수축 반응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율초 추출물 (0.25ml/kg 및 0.5ml/kg) 전처리한 군 또한 WAS로 인한 EFS 수축 반응을 크게 감소시켰다 (도 5A).
로페라미드 (10μM)와 율초 추출물(1μL/ml 및 5μL/ml)을 별도의 organ bath에서 EFS 자극 15분 전에 WAS 결장 평활근 스트립에 전처리한 결과도 WAS 군은 정상 군에 비해 EFS 유발 수축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로페라미드 및 율초 추출물의 전처리는 WAS로 인한 수축 증가를 크게 감소시켰다 (도 5B).
이것은 율초 추출물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 모델에서 과도하게 증가된 대장 내장근의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율초 추출물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실험예 5>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 변화 확인
본 발명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로 인한 아세틸콜린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 변화를 관찰하였다. 율초 추출물의 과도하게 증가되는 대장 내장근 근수축 억제 효과가 콜린성 물질 유도에 관련된 근수축에도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세틸콜린으로 대장 내장근 조직의 수축을 유도하여 율초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WAS 군은 정상 군에 비해 아세틸콜린 유도 수축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WAS 1시간 전 로페라미드(5mg/kg) 전 처리한군은 WAS로 인한 수축 증가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WAS 1시간 전 율초 추출물(0.25ml/kg 및 0.5ml/kg)을 10일간 전처리한 군도 WAS군에 비해 아세틸콜린 유도 대장 내장근 조직의 수축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도 6A).
또한, 로페라미드(10μM)와 율초 추출물(1μL/ml 및 5μL/ml)를 별도의 organ bath에서 아세틸콜린으로의 처리 15분 전에 WAS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유도된 결장 평활근 스트립에 직접 전처리한 결과, 정상 군에 비해 WAS 군에서는 아세틸콜린 유도 수축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로페라미드(10μM) 및 율초 추출물(1μL/ml 및 5μL/ml)을 15분 전 전처리한 군은 WAS 군에 비해 수축 반응을 크게 감소시켰다 (도 6B).
이것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모델에서 과도하게 증가된 대장 내장근의 수축이 콜린성 신호와 관련이 있으며, 율초 추출물이 콜린성 신호로 인한 과도하게 증가된 근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결과는 본 발명의 율초 추출물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실험예 6> 율초 추출물 투여에 따른 세로토닌 (5-HT)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 변화 확인
본 발명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율초 추출물로 인한 세로토닌 유도 대장 내장근 수축 반응 변화를 관찰하였다.
세로토닌 (5-HT)을 사용한 결장 수축을 유도하여 WAS 유도 과민성 대장 증후군 모델에서 세로토닌 신호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율초 추출물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WAS 군에서 정상 군에 비해 5-HT 유발 수축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WAS 1시간 전 로페라미드(5mg/kg) 10일간 전처리한 군은 WAS로 인한 수축 증가를 크게 감소시켰고, WAS 1시간 전 율초 추출물(0.25ml/kg 및 0.5ml/kg) 10일간 전처리한 군 또한 WAS 군에 비해 5-HT 유도 수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도 7A).
또한, 로페라미드(10μM) 및 율초 추출물(1μL/ml 및 5μL/ml)를 별도의 organ bath에서 5-HT 처리 15분 전에 결장 평활근 스트립에 사전 처리한 결과, 로페라미드(10μM) 및 율초 추출물(1μL/ml 및 5μL/ml)의 전처리는 WAS로 인한 5-HT 유도 수축 반응 증가를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도 7B).
이 결과는 이것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 모델에서 과도하게 증가된 대장 내장근의 수축이 세로토닌성 신호와 관련이 있으며 율초 추출물이 세로토닌 신호로 인한 과도하게 증가된 근 수축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결과는 본 발명의 율초 추출물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8)

  1.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변 배출, 위 배출(gastric emptying),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colon permeability) 또는 대장 내장근 수축이 증가된 환자의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율초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장 내장근 수축은,
    아세틸콜린 또는 세로토닌에서 선택된 신경전달물질 또는 전기장 자극에 의해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수분 회피 스트레스(Water Avoidance Stress, WAS)로 유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8. 율초(Humulus japonic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배변 배출, 위 배출(gastric emptying), 결장에서의 수분 투과도(colon permeability) 또는 대장 내장근 수축이 증가된 환자의 설사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005841A 2021-01-15 2021-01-15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41A KR102600312B1 (ko) 2021-01-15 2021-01-15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841A KR102600312B1 (ko) 2021-01-15 2021-01-15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52A KR20220103352A (ko) 2022-07-22
KR102600312B1 true KR102600312B1 (ko) 2023-11-09

Family

ID=8260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841A KR102600312B1 (ko) 2021-01-15 2021-01-15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08095A (zh) * 2023-06-29 2023-09-29 安徽绿加硒农业生态科技发展有限公司 青钱柳提取物在制备用于治疗肠易激综合征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1707A (ko) 2008-01-25 2009-07-29 김인숙 과민성 대장증후군 증상을 억제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식약저널, 환삼덩굴 율초 (2020.09.2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352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8123B2 (en) Use of 2,3,5-substituted thiophene compound to prevent, ameliorate, or treat breast cancers
KR101695848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간 질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0312B1 (ko) 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2168855B (zh) 一种用于肠道准备和治疗便秘的组合物
JP6062065B2 (ja) 過敏性腸症候群を治療するためのアルピニア種抽出物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EP1690519A1 (en) Alpha-glucosidase activity inhibitor
KR100456281B1 (ko) 방광기능개선제 또는 배뇨장애치료제, 및 방광기능개선용또는 배뇨장애치료용 음식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2110113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KR102421601B1 (ko)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4588180B (zh) 五倍子乙醇提取物和秦皮苷在制备治疗注意缺陷多动障碍的药物中的用途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2427769B1 (ko) 다발성 경화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4174B1 (ko) 알파피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메스암페타민 중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8612B1 (ko) 인지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220331285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pathic pain, containing syringaresinol
KR102136662B1 (ko) 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장폐색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8267B1 (ko) 제독유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656187B1 (ko)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585342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ac03 균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223039B1 (ko) 워터코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0943B1 (ko)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학요법유발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09797B2 (ja) 腸管内における短鎖脂肪酸の生成促進剤
KR101968398B1 (ko) 면역계 부작용이 억제된 암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