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676B1 -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676B1
KR102599676B1 KR1020220117047A KR20220117047A KR102599676B1 KR 102599676 B1 KR102599676 B1 KR 102599676B1 KR 1020220117047 A KR1020220117047 A KR 1020220117047A KR 20220117047 A KR20220117047 A KR 20220117047A KR 102599676 B1 KR102599676 B1 KR 10259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leak
connector
coupl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광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솔루션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1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676B1/ko
Priority to PCT/KR2023/011872 priority patent/WO202405843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3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fixed si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4Surfaces cylindrical from outsid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센서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WATER LEAK DETECTION DEVICE WITH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매년 물의 사용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은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매설된 배관은 충격, 노후화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한다. 누수 발생 지점을 찾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연구가 있어 왔지만, 여전히 누수가 발생하는 지점을 정확히 찾는 것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현재 지하메 매설된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한 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은 음향 검출법, 상관식 탐지법 등이 있다.
여기서, 상관식 탐지법은 지하에 매설된 배관의 양측에 각각 누수 진동 음파를 센싱하는 한 쌍의 누수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배관의 누수 지점에서 누수 진동 음파가 발생하는 경우, 배관의 누수 지점으로부터 각각 한 쌍의 누수 검출 장치에 마련된 누수센서로 도달한 누수 진동 음파의 시간 차이를 통해 배관의 누수 지점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때, 누수센서가 측정한 진동 음파 데이터는 누수센서가 내장된 하우징에 연결된 커넥터에 결합된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은 하우징과 커넥터 사이에 틈새를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하우징에 내장된 누수센서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공보 제10-2233736호(2021.03.2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센서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가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환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기밀 유지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돌출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센서가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보조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기밀 유지하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보조 실링부재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견인 와이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와 상기 견인볼트는 동일 평면 또는 서로 상이한 평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배관에 접촉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를 검출하여, 배관의 누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하우징(10), 누수센서(20), 커넥터(30), 안테나(40) 및 실링부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은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의 내부 공간보다 그 크기가 더 크다. 따라서, 하우징(10)의 내부에 더욱 많은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배터리(60), 통신부(70), 제어부(80), 결합 플레이트(12), 누수센서(20) 및 고정 플레이트(14)가 내장될 수 있다.
배터리(60)는 결합 플레이트(12)에 마련되어, 통신부(70), 누수센서(20) 및 제어부(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60)는 각형 전지나 파우치형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70)는 결합 플레이트(12)에 마련되어, 누수센서(20)에서 검출한 누수 데이터를 제어부(8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통신부(70)는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결합 플레이트(12)에 마련되며, 누수센서(20)에서 검출한 누수 데이터를 통신부(70)를 통해 수신받아 커넥터(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80)는 누수센서(20)와 통신부(70)의 작동 여부와 고장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80)는 누수센서(20)와 통신부(70)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 알람음을 방출할 수 있다.
결합 플레이트(1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배터리(60), 통신부(70), 제어부(80) 및 누수센서(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결합 플레이트(12)의 상면에는 배터리(60), 통신부(70) 및 제어부(80)가 결합될 수 있고, 결합 플레이트(12)의 하면에는 센서 플레이트(22)가 결합될수 있다. 또한, 결합 플레이트(12)의 외측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내측 둘레에는 결합 플레이트(12)의 외측 둘레의 나사산이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플레이트(12)가 하우징(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누수센서(2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누수센서(20)는 센서 플레이트(22)와 피에조 소자(24)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22)는 피에조 소자(24)를 지지하며, 결합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센서 플레이트(22)의 상면 중앙에는 피에조 소자(24)가 지지될 수 있고, 센서 플레이트(22)의 상면 테두리는 결합 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플레이트(22)의 외측 둘레와 하우징(10)의 내면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오링(26)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플레이트(22)의 외측 둘레에는 오링(26)이 삽입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피에조 소자(24)는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어, 피에조 소자(24)는 평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평판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에 결합되며 누수센서(20)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고정 플레이트(14)의 상면에는 누수센서(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14)의 하면에는 자력 결합 가능한 재질의 배관에 자력 결합되기 위한 마그넷(90)이 마련될 수도 있다.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일 영역에 결합되며 제어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0)는 누수센서(20)에서 검출한 누수 데이터를 통신부(70)와 제어부(80)를 통해 수신받아 안테나(40)로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40)는 커넥터(30)에 결합되며, 누수센서(20)로부터 커넥터(30)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안테나(40)는 누수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누수 데이터는 외부의 서버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수치화 그래프나, 누수 유무 여부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실링부재(50)는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실링부재(5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며,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틈새에 충진될 수 있다. 실링부재(50)는 하우징(10)과 커넥터(30) 사이의 틈새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2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돌출부(16), 돌출부 커버(100), 보조 실링부재(110), 플레이트 커버(120) 및 견인볼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6)는 커넥터(30)가 수용되며 하우징(10)으로부터 환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6)와 커넥터(30) 사이에는 돌출부(16)에 커넥터(30)를 고정하는 결합편(32)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50)는 돌출부(16)와 커넥터(3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돌출부 커버(100)는 돌출부(16)와 커넥터(30) 사이를 기밀 유지하며 돌출부(1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 커버(100)는 돌출부(16)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조 실링부재(110)는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 실링부재(11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며,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의 틈새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실링부재(110)는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며 마련되어, 하우징(10)과 고정 플레이트(14) 사이의 틈새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2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플레이트 커버(120)는 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 커버(120)는 배관에 밀착되는 경우, 배관에서 논슬립되도록 논슬립부재로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논슬립부재는 논슬립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논슬립 재질은 복수의 유기계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에 결합되며, 견인 와이어(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견인볼트(130)는 누수를 검출할 배관(4)이 지하에 매설된 경우에 누수 검출 장치를 누수를 검출할 배관(4)으로 안전하게 접근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수를 검출할 배관(4)이 지하에 매설된 경우, 견인볼트(130)에 견인 와이어(2)를 결합한 후, 견인 와이어(2)의 권취 해제를 통해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4)으로 접근 및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견인볼트(1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이볼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30)와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의 동일 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커넥터(30)와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일 실시예와 달리, 커넥터(30)와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의 서로 상이한 평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커넥터(30)는 하우징(10)의 외측 둘레에 마련될 수 있고, 견인볼트(130)는 하우징(1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누수를 검출할 배관이 지하에 위치하고 지하의 천장과 배관 사이의 상하 간격이 협소할 경우에 해당 협소한 공간에 누수 검출 장치를 설치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가 지하에 매설된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지상에서 누수 검출 장치의 견인볼트(130)에 견인 와이어를 결합한다. 이때, 견인 와이어는 권양기로부터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권양기로부터 견인 와이어를 권취 해제하여 누수 검출 장치를 지하에 매설된 배관으로 접근시킨다.
이어서, 누수 검출 장치의 고정 플레이트(14)가 배관에 접촉된 후, 누수 검출 장치의 누수센서(20)가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배관의 누수를 검출한다.
이 후, 안테나(40)가 누수센서(20)로부터 커넥터(30)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이 때, 실링부재(50)와 보조 실링부재(110)가 하우징(10)의 모든 틈새를 실링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0)의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20)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누수센서(20)의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하우징(10)은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우징(10)은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하우징
12: 결합 플레이트
14: 고정 플레이트
16: 돌출부
20: 누수센서
22: 센서 플레이트
24: 피에조 소자
26: 오링
30: 커넥터
32: 결합편
40: 안테나
50: 실링부재
60: 배터리
70: 통신부
80: 제어부
90: 마그넷
100: 돌출부 커버
110: 보조 실링부재
120: 플레이트 커버
130: 견인볼트

Claims (8)

  1.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어, 지하에 매설된 배관에서 발생하는 진동 음파에 의거하여, 상기 배관의 누수를 검출하는 누수센서;
    상기 하우징의 일 영역에 결합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센서로부터 상기 커넥터를 통해 수신받은 누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실링부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누수센서가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보조 실링부재;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사이를 기밀 유지하며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커버;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견인 와이어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견인볼트;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상기 누수센서의 고장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누수센서의 고장이 발생하면 알람음을 방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견인볼트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는 상기 배관에 밀착될 때, 상기 배관에서 논슬립되도록 논슬립부재로 코팅되며,
    상기 논슬립부재는 복수의 유기계 비드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센서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센서 플레이트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피에조 소자와, 상기 센서 플레이트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단턱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삽입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환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실링하는,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사이를 기밀 유지하며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돌출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보조 실링부재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20117047A 2022-09-16 2022-09-16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KR10259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47A KR102599676B1 (ko) 2022-09-16 2022-09-16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PCT/KR2023/011872 WO2024058435A1 (ko) 2022-09-16 2023-08-10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47A KR102599676B1 (ko) 2022-09-16 2022-09-16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676B1 true KR102599676B1 (ko) 2023-11-07

Family

ID=88746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047A KR102599676B1 (ko) 2022-09-16 2022-09-16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9676B1 (ko)
WO (1) WO20240584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48B1 (ko) * 2017-09-29 2018-07-12 김장기 누수검출 시스템
US20190316983A1 (en) * 2011-08-12 2019-10-17 Mueller International, Llc Enclosure for leak detector
KR20200042784A (ko) * 2018-10-16 2020-04-24 박근배 원격 무선 누수 감지 시스템
KR102233736B1 (ko) 2020-06-15 2021-03-30 주식회사 위플랫 배관 삽입형 누수음 탐지 장치
KR20210153223A (ko) * 2020-06-10 2021-12-17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16983A1 (en) * 2011-08-12 2019-10-17 Mueller International, Llc Enclosure for leak detector
KR101877948B1 (ko) * 2017-09-29 2018-07-12 김장기 누수검출 시스템
KR20200042784A (ko) * 2018-10-16 2020-04-24 박근배 원격 무선 누수 감지 시스템
KR20210153223A (ko) * 2020-06-10 2021-12-17 나광윤 누수 검출 디바이스
KR102233736B1 (ko) 2020-06-15 2021-03-30 주식회사 위플랫 배관 삽입형 누수음 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435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6280B2 (en) Explosion proof communications relay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09008196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rnal antenna system for use in hazardous locations
TWI676373B (zh) 資料通訊裝置、系統及方法
US11611201B2 (en) Fluid injection system with smart injection and receiver tanks
JP5634435B2 (ja) 漁網管理システム
CN106410308B (zh) 检漏报警装置、方法及电池模组
KR101658734B1 (ko) 광산 및 지하 폐쇄지역에 적합한 통합 안전관리 장치
JP2005134125A (ja) タイヤ圧力測定手段及び該手段を利用したrfidシステム
KR102024323B1 (ko) 지하 구조물 모니터링이 가능한 맨홀 뚜껑
JP4936923B2 (ja) 静止誘導機器および静止誘導機器監視装置
JP7389327B2 (ja) マリンホースの流体漏れ検知システム
KR102599676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누수 검출 장치
KR101352520B1 (ko)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반 조립체 및 전력설비용 극초단파 부분 방전 센서 조립체
EP3487080B1 (en) Radio equipment which improves the sensitivity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JP2009075823A (ja) ガス漏れ検出通信システム、及びガス漏れ検出通信装置
JP2008109556A (ja) マンホールアンテナ
JP6888016B2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のための取付構造体
CN111397443B (zh) 防爆型无人机预警诱骗基站
US20130248171A1 (en) Subsea multiple annulus sensor
KR20110030735A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CN205606081U (zh) 一种管道修补器组件
JP2008154193A (ja) タイヤ内蔵型アンテナ装置
KR102606364B1 (ko) 접합층을 구비한 누수 검출 장치
JP4838050B2 (ja) 無線lan防爆型中継器、防爆型スイッチングハブ、防爆型無線通信手段、防爆型無線通信手段付きスイッチングハブ及び危険地区における通信システム
JP4469288B2 (ja) 無線lan防爆型中継器及び危険地区における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