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62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621B1
KR102599621B1 KR1020230024120A KR20230024120A KR102599621B1 KR 102599621 B1 KR102599621 B1 KR 102599621B1 KR 1020230024120 A KR1020230024120 A KR 1020230024120A KR 20230024120 A KR20230024120 A KR 20230024120A KR 102599621 B1 KR102599621 B1 KR 10259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sertion groove
waste disposal
disposal devi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나원
최지연
Original Assignee
(주) 유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원테크 filed Critical (주) 유원테크
Priority to KR102023002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 면적을 넓혀서 2차 사출 시 접착력을 상승시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투입구와의 사이를 밀폐시켜주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사출에 의해 투입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개폐부재; 2차 사출에 의해 개폐부재의 제1삽입홈 및 삽입홈에 삽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부재를 포함하며, 투입구의 내면을 마주보는 돌출부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링 형태의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돌출부의 내부에는 1차 사출에 의해 제1,2삽입홈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패킹부재는 2차 사출에 의해 연결구멍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되되, 제2삽입홈에서 돌출되어 투입구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폐부가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Cover for a food wast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해주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는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된다.
그래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안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 및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교반시켜 하수도로 배출하는 제2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싱크대에 설치되어 물 및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고정부; 칼날부; 및 상기 칼날부와 연결되어 상기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칼날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칼날부는, 돌출칼날 및 에지칼날이 구비된 제1 회전부; 회전하지 않는 고정칼날부; 및 상기 고정칼날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 회전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돌출칼날 및 에지칼날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칼날은, 상기 제1 회전부의 테두리에서 제1 회전부의 일면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돌출된 외측칼날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식물 쓰레기 처리유닛은,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였다.
여기서, 특허문헌1의 커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차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제1,2몸체(3)(4)가 포함되었다.
하지만, 상기 제1,2몸체(3)(4)는 접촉 면적이 협소해서 2차 사출 시, 접착력이 부족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크기가 크거나 단단한 성질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가 절단 및 분쇄될 때, 진동이 발생되면서 제1,2몸체(3)(4)의 사이에는 상기 진동에 의해 틈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제1,2몸체(3)(4)의 사이에는 2차 사출 시, 온도차에 의해서 틈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될 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틈새로 유입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고정부의 입구와 커버의 사이가 밀폐되지 않아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작동될 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역류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1814189호(2017.12.26.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접촉 면적을 넓혀서 2차 사출 시 접착력을 상승시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투입구와의 사이를 밀폐시켜주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해주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있어서, 1차 사출에 의해 투입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되, 개폐부재는 투입구에 삽입되어 걸림부에 걸리는 몸체; 몸체의 테두리에서 걸림부의 반대편으로 링 형태로 돌출되며, 투입구의 내면과 수직을 이루는 외면에 링 형태의 제1삽입홈이 형성된 돌출부; 돌출부의 안쪽에 형성되며, 돌출부에 인접한 외면에 제1삽입홈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손잡이부가 포함되며, 2차 사출에 의해 제1삽입홈 및 삽입홈에 삽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구의 내면을 마주보는 돌출부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링 형태의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돌출부의 내부에는 1차 사출에 의해 제1,2삽입홈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패킹부재는 2차 사출에 의해 연결구멍 및 제2삽입홈에 삽입되되, 제2삽입홈에서 돌출되어 투입구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폐부가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개폐부재의 삽입홈 및 연결구멍 및 제1,2삽입홈에 패킹부재가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접착력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한 충격을 패킹부재의 탄성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개폐부재와 패킹부재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개폐부재와 패킹부재의 사이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주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가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의 사이가 밀폐부에 의해 밀폐되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작동 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역류하여, 싱크대가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패킹부재의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개폐부재의 끼움홈과 끼움돌기에 끼워지기 때문에, 접촉 면적이 더 넓어지면서 접착력이 더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킹부재와 개폐부재가 서로 맞물린 형태로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이 더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작동 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개폐부재와 패킹부재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의 걸림홈이 투입구의 걸림부에 걸리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작동 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가 투입구에서 회전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작동 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가 투입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부딪힐 때, 패킹부재의 쿠션부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를 잡을 때, 패킹부재의 쿠션부로 편안함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의해 투입구 폐쇄되면, 자석의 자성을 감지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자동으로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투입구에 유입된 물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의 배수구멍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물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고이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폐부재가 투명 PC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폐부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설치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개폐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개폐부재의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개폐부재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선 단면도 및 D-D선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의 부분 확대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는 싱크대(1)의 배수구(1a)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투입구(2a)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는 배수구(1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는 투입구(2a)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2a)를 통해 투입되는 수박, 오이 등과 같은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분쇄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2b); 상기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2b)로부터 공급관(2c)을 통해 절단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아 미생물로 분해해주는 음식물 쓰레기 미생물 처리기(2d)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2a)의 내면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가 걸리는 걸림부(2a')가 상기 투입구(2a)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는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1차 사출에 의해 투입구(2a)의 걸림부(2a')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개폐부재(1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00)는 투입구(2a)에 삽입되어 걸림부(2a')에 걸리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에서 걸림부(2a')의 반대편으로 링 형태로 돌출되며, 투입구(2a)의 내면과 수직을 이루는 외면에 링 형태의 제1삽입홈(121)이 형성된 돌출부(120); 상기 돌출부(120)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0)에 인접한 외면에 제1삽입홈(121)과 연결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된 손잡이부(1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30)는 평면상 일자 형태로 형성되지만, +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는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2차 사출에 의해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부재(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끼움홈(122)(132) 및 끼움돌기(123)(133)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122) 및 끼움돌기(123)는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제1삽입홈(121)에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132) 및 끼움돌기(133)는 손잡이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삽입홈(131)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홈(122)(132) 및 끼움돌기(123)(133)는 평면상 도트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 맞닿는 패킹부재(200)의 외면에는 2차 사출에 의해 끼움홈(122)(13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0)와, 끼움돌기(123)(133)가 끼워지는 끼움홈(220)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돌기(210) 및 끼움홈(220)은 끼움홈(122)(132) 및 끼움돌기(123)(133)의 수 및 위치에 맞게 대응하도록 패킹부재(200)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2a)의 내면을 마주보는 돌출부(120)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링 형태의 제2삽입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내부에는 1차 사출에 의해 제1,2삽입홈(121)(124)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1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멍(125)은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부(120)의 내부에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200)는 2차 사출에 의해 연결구멍(125) 및 제2삽입홈(124)에 삽입되되, 상기 제2삽입홈(124)에서 돌출되어 투입구(2a)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폐부(230)가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제2삽입홈(124)과 연결되면서 걸림부(2a')가 끼워지는 걸림홈(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111)은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200)는 2차 사출에 의해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서 돌출되는 쿠션부(240)가 외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홈(121)에는 1차 사출에 의해 고정홈(126)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26)은 끼움홈(122) 및 끼움돌기(123)와 겹치지 않도록 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제1삽입홈(121)에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는 2차 사출 전에 제1삽입홈(121)에 삽입되어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자석(3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2a)의 외면에는 자석(300)의 자성을 감지하는 리드 스위치 등과 같은 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는 자석(300)의 자성을 감지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배수구멍(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멍(112)은 돌출부(120)에 인접하도록 몸체(1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멍(112)의 주변에는 상기 배수구멍(112)으로 물을 안내해주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00)는 투명 PC(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사출로 개폐부재(100)를 제조한 뒤, 자석(300)을 상기 개폐부재(100)의 제1삽입홈(121)으로 삽입하면서 고정홈(126)에 끼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 사출로 패킹부재(200)를 개폐부재(100)와 일체로 결합시켜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200)는 돌출부(120)의 제1삽입홈(121)에 넓은 면적으로 삽입되고, 손잡이부(130)의 삽입홈(131)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120)의 연결구멍(125)을 통해 제2삽입홈(124)에 넓은 면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00)의 끼움돌기(210) 및 끼움홈(220)은 제1삽입홈(121)에 형성된 끼움홈(122) 및 끼움돌기(123)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삽입홈(131)에 형성된 끼움홈(132) 및 끼움돌기(133)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개폐부재(100)와 패킹부재(200)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00)의 밀폐부(230)는 돌출부(120)의 제2삽입홈(124)에서 링 형태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00)의 쿠션부(240)는 돌출부(120)의 제1삽입홈(121)과 손잡이부(130)의 삽입홈(131)에서 돌출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1a)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투입구(2a)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투입구(2a)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로 폐쇄한다.
그러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걸림홈(111)에는 투입구(2a)의 걸림부(2a')가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200)의 제2삽입홈(124)에 삽입된 패킹부재(200)는 걸림부(2a')에 압착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밀폐부(230)는 투입구(2a)의 내면에 밀착된다.
즉, 상기 투입구(2a)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사이는 밀폐부(230)에 의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2a)에 설치된 감지센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자석(300)을 감지하게 되면서, 감지신호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제어부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는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2b)에서 크기가 크거나 단단한 성질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가 절단 및 분쇄될 때 진동이 발생되며, 상기 진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재(200)는 돌출부(120)의 제1삽입홈(121) 및 손잡이부(130)의 삽입홈(131) 및 상기 돌출부(120)의 연결구멍(125)을 통해 제2삽입홈(124)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개폐부재(100)와 상기 패킹부재(200)의 사이에는 진동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00)의 끼움돌기(210) 및 끼움홈(220)은 개폐부재(100)의 끼움홈(122)(132) 및 끼움돌기(123)(133)에 끼워져서 더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재(100)와 패킹부재(200)의 사이에는 진동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진동에 의한 충격을 패킹부재(200)의 탄성으로 줄여주기 때문에, 상기 패킹부재(200)와 개폐부재(100)의 사이에는 진동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230)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가 작동될 때, 투입구(2a)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사이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및 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걸림홈(111)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가 작동될 때, 투입구(2a)의 걸림부(2a')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2a)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물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1000)의 배수구멍(112)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로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개폐부재 110 : 몸체
111 : 걸림홈 112 : 배수구멍
120 : 돌출부 121 : 제1삽입홈
122 : 끼움홈 123 : 끼움돌기
124 : 제2삽입홈 125 : 연결구멍
126 : 고정홈 130 : 손잡이부
131 : 삽입홈 132 : 끼움홈
133 : 끼움돌기 200 : 패킹부재
210 : 끼움돌기 220 : 끼움홈
230 : 밀폐부 240 : 쿠션부
300 : 자석 10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Claims (8)

  1. 싱크대(1)의 배수구(1a)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의 투입구(2a)를 개폐해주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에 있어서,
    1차 사출에 의해 상기 투입구(2a)의 걸림부(2a')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개폐부재(100)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재(100)는 투입구(2a)에 삽입되어 걸림부(2a')에 걸리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테두리에서 걸림부(2a')의 반대편으로 링 형태로 돌출되며, 투입구(2a)의 내면과 수직을 이루는 외면에 링 형태의 제1삽입홈(121)이 형성된 돌출부(120); 상기 돌출부(120)의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0)에 인접한 외면에 제1삽입홈(121)과 연결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된 손잡이부(130)가 포함되며,
    2차 사출에 의해 상기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 삽입되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끼움홈(122)(132) 및 끼움돌기(123)(133)가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 맞닿는 패킹부재(200)의 외면에는 2차 사출에 의해 끼움홈(122)(13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10)와, 끼움돌기(123)(133)가 끼워지는 끼움홈(220)이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2a)의 내면을 마주보는 돌출부(120)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링 형태의 제2삽입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0)의 내부에는 1차 사출에 의해 제1,2삽입홈(121)(124)을 연결해주는 연결구멍(125)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패킹부재(200)는 2차 사출에 의해 연결구멍(125) 및 제2삽입홈(124)에 삽입되되, 상기 제2삽입홈(124)에서 돌출되어 투입구(2a)의 내면에 밀착되는 밀폐부(230)가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제2삽입홈(124)과 연결되면서 걸림부(2a')가 끼워지는 걸림홈(11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200)는 2차 사출에 의해 제1삽입홈(121) 및 삽입홈(131)에서 돌출되는 쿠션부(240)가 외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121)에는 1차 사출에 의해 고정홈(126)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2차 사출 전에 제1삽입홈(121)에 삽입되어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자석(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면에는 1차 사출에 의해 배수구멍(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100)는 투명 PC(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KR1020230024120A 2023-02-23 2023-02-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KR10259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20A KR102599621B1 (ko) 2023-02-23 2023-02-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4120A KR102599621B1 (ko) 2023-02-23 2023-02-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621B1 true KR102599621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4120A KR102599621B1 (ko) 2023-02-23 2023-02-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6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741A (ja) * 2005-04-01 2006-10-19 Max Co Ltd 生ゴミ投入装置
JP2008012482A (ja) * 2006-07-07 2008-01-24 Max Co Ltd 蓋体
KR20100089148A (ko) * 2009-02-03 2010-08-12 (주)케이티씨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의 안전뚜껑 결합구조
CN202316485U (zh) * 2011-10-31 2012-07-11 台州登尚机电有限公司 食物垃圾处理器之投料口盖
KR101443009B1 (ko) * 2014-02-05 2014-09-24 윤용춘 음식물 쓰레기용 분쇄기
KR101814189B1 (ko) 2017-02-13 2018-01-04 주식회사 세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54396A (ko) * 2018-11-09 2020-05-20 엔피씨(주) 캔커버
CN112031098A (zh) * 2020-08-07 2020-12-04 佛山市扎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碎渣下水器安全启动机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0741A (ja) * 2005-04-01 2006-10-19 Max Co Ltd 生ゴミ投入装置
JP2008012482A (ja) * 2006-07-07 2008-01-24 Max Co Ltd 蓋体
KR20100089148A (ko) * 2009-02-03 2010-08-12 (주)케이티씨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의 안전뚜껑 결합구조
CN202316485U (zh) * 2011-10-31 2012-07-11 台州登尚机电有限公司 食物垃圾处理器之投料口盖
KR101443009B1 (ko) * 2014-02-05 2014-09-24 윤용춘 음식물 쓰레기용 분쇄기
KR101814189B1 (ko) 2017-02-13 2018-01-04 주식회사 세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54396A (ko) * 2018-11-09 2020-05-20 엔피씨(주) 캔커버
CN112031098A (zh) * 2020-08-07 2020-12-04 佛山市扎尔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碎渣下水器安全启动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1629B (zh) 水再循环食物垃圾处理器系统
EP1988223B1 (en) Food waste disposal unit
KR102599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BR0305440A (pt) Vedação axial para eixos
EP1803857A2 (en) Splash guard for a garbage disposal unit
JP5058811B2 (ja) 食料廃棄処理機の防振システム
KR1025996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덮개
KR101237506B1 (ko) 음식물 분쇄기용 커버
CN106687648A (zh) 用于食物垃圾处理器的磁性挡环及磁性阻挡件
KR101301569B1 (ko) 이중 분쇄날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장치
JP2008051314A (ja) プラグ
US20050242219A1 (en) Batch-feed food waste disposer having a baffle
KR20140144591A (ko) 음식물 처리장치
PL1621804T3 (pl) Konstrukcja uszczelniająca
KR10130995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3181322A (ja) ディスポーザ及びシンクの排水口の覆い蓋
US2828084A (en) Garbage disposer
JP3644154B2 (ja) ディスポーザ
WO2007044080A3 (en) Volumetric sealing system
KR20130003335U (ko) 싱크대설치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6342944A (ja) バキュームブレーカ
KR102458328B1 (ko) 저소음 회전날부를 이용한 디스포저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JP2006239606A (ja) ディスポーザ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流し台
CN213233670U (zh) 一种厨余垃圾处理器及应用该垃圾处理器的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