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518B1 -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518B1
KR102599518B1 KR1020210102571A KR20210102571A KR102599518B1 KR 102599518 B1 KR102599518 B1 KR 102599518B1 KR 1020210102571 A KR1020210102571 A KR 1020210102571A KR 20210102571 A KR20210102571 A KR 20210102571A KR 102599518 B1 KR102599518 B1 KR 10259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ovement
disabled
unit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1210A (ko
Inventor
이운규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씨
Priority to KR102021010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2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4Stops for limiting movement of members, e.g. adjustable stop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7/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one single controlled member;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09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 A63B2071/0018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handicapped persons for wheelchair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장애인에 적합한 운동을 코치받으며 안전하게 할 수 있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2)에 의해 지원되는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운동부하 조절부(13)와, 힘을 가하는 방향의 운동만 허용하는 래칫(14)과, 래칫(14)의 록킹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하는 역방향 복귀수단(15)을 구비한 IoT 운동기구(1)를 이용하여 장애인 맞춤형 운동을 가정에서도 안전하게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IoT-based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Exercise Management of Disabled Person's Home Training}
본 발명은 가정에서도 장애인에 적합한 운동을 코치받으며 안전하게 할 수 있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헬스장, 트레이닝센터, 스포츠 센터 등의 운동 전문 시설이 아닌 일반 가정에서 홈 트레이닝으로 건강을 챙기려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맞춰 다양한 홈 트레이닝 기구가 제조 판매되어 적합한 운동을 원하는 소비자의 선택권도 확대되고 있다.
또한, 주로 재활 운동을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장애를 가진 장애인을 위한 트레이닝 기구도 제조 판매되기도 하여서, 일반 비장애인에 비해 가정에서 자주 수행할 수 있는 운동에 대한 욕구가 높은 장애인도 홈 트레이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장애인은 장애 유형에 따라 적합하게 프로그램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좋으나, 시중에 판매되는 홈 트레이닝 기구는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은 신체적 제약에 의해서 운동 중의 사고 위험이 일반인보다 높으므로, 장애인을 위한 홈 트레이닝 기구는 운동 중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보장하여야 하지만, 장애인의 사용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만 있어서 운동 중의 안정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 운동 안정성을 위한 장애인용 홈 트레이닝 기구는 제한적 운동만 할 수 있는 기구로 제조되어서, 장애인의 운동에 대한 선택권도 제한받고 있다.
KR 10-1285155 B1 2013.07.05. KR 10-2057071 B1 2019.12.1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홈 트레이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 중 불의의 사고도 방지하여 안전 운동을 지원할 수 있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애인이 힘을 가해 움직이며 운동하는 운동부(11)와, 운동부(1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2)와, 도르레(112, 113)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111)로 운동부(11)에 연결되며, 와이어(111)를 통해 운동부(11)에 가해지는 운동부하를 조절하게 한 운동부하 조절부(13)와,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부하를 조절하도록 운동부하 조절부(13)를 제어하고, 운동부(11)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량을 산출하며,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제어부(16)를 포함하는 운동기구(1);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16)에 접속되어,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운동량을 전달받아 운동량을 분석하여 수정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스마트 기기를 통해 운동량을 조회할 수 있게 한 서버(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르레(113)를 와이어(111)와 맞물리며 회전하게 구성한 후 래칫(14)를 결합하여, 운동부(11)의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운동을 방지하며 운동 방향의 이동량을 역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며 점진적으로 늘릴 수 있게 하고, 래칫(14)의 록킹을 해제하는 역방향 복귀수단(15)에 의해서 역방향 운동을 허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센서부(12)로 감지한 운동부(11)의 운동 방향 움직임이 기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시에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을 가동시켜 래칫(14)의 락킹를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래칫(14)은 도르레(113)에 동축으로 고정한 래칫휠(141)과, 운동부(11)의 운동 방향으로 당겨지는 와이어(111)에 의한 래칫휠(141)의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도록 래칫휠(141)의 톱니에 걸리게 하며 톱니에 걸리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을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으로 눌러 걸림 해제할 수 있게 한 폴(14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 부하 조절부(13)는 상기 와이어(111)를 수직으로 낙하시켜 단부에 무게추(133)를 고정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와이어 부분을 서보 실린더(132)로 올리는 힘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래칫(14)은 상기 와이어(111)를 상기 운동 부하 조절부(13)를 향해 수직으로 낙하시키도록 안내하는 도르레(113)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2)는 장애인별로 소유하는 태그의 식별자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제어부(16)는 태그를 태깅하여 얻는 식별자로 식별한 장애인의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서버(2)로부터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부하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서버(2)에서 지원하는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부하를 조절하여 안전 운동하도록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힘을 가하여 근 수축하는 중에 멈추는 불의의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운동기구가 멈춰 운동부하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받지 아니하여서, 근육 손상 또는 부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체적 장애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없이 안전하게 홈 트레이닝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IoT 운동기구(1)의 사시도.
도 3은 운동부하 조절부(13), 래칫(14) 및 역방향 복귀수단(15)이 설치된 부분의 투시 측면도.
도 4는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다양한 예시들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잘 알려진 부품, 기능, 방법, 전형적인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히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1의 구성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은 장애인이 운동할 수 있는 IoT 운동기구(1)와, IoT 운동기구(1)가 인터넷망(4)을 통해 접속하여 원격 지원을 받으며 운동 관리할 수 있게 하며 장애인의 운동 이력을 장애인의 스마트 기기(3)를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한 상기 서버(2)는 IoT 운동기구(1)를 구매한 장애인의 장애 유형, 장애인에게 배포한 태그(미도시)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회원 정보를 등록하여 회원관리하며, 장애 유형 및 운동량의 누적 현황에 따라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다.
예를 들어, 운동 프로그램은 상기 IoT 운동기구(1)로 할 수 있는 운동 종목의 운동부하, 세트 수, 세트별 반복 횟수, 운동 속도, 세트 사이 휴식 시간 등을 포함하는 운동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운동 방법을 일정별로 다르게 한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또한, 운동 프로그램은 근력 강화, 근 비대, 근 파워 강화, 지구력 강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 운동 목표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2)는 운동 프로그램을 장애 유형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장애 유형에 따라 선정하도록 프로로그램화하거나 또는 회원 등록한 장애인의 장애 유형, 신체 조건, 근력 상태 등에 따라 전문가가 선정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장애인이 스마트 기기(3)로 접속하여 운동 목표를 선택하는 경우, 장애 유형 및 운동 목표에 부합하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애인이 소지한 태그(미도시)를 읽어들여 획득한 태그의 식별자를 IoT 운동기구(1)가 전송할 시, 식별자로 구분한 장애인의 장애 유형에 따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2)는 장애인이 상기 IoT 운동기구(1)로 운동할 시의 운동량을 상기 IoT 운동기구(1)로부터 수집하여 운동량을 분석하고, 운동량 분석에 따라 운동 프로그램을 수정하여서 수정한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IoT 운동기구(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서버(2)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IoT 운동기구(1)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2는 IoT 운동기구(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IoT 운동기구(1) 중에 운동부하 조절부(13), 래칫(14) 및 역방향 복귀수단(15)이 설치된 부분을 투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된 구성요소들을 블록 구성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도르레(113)의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 폴(14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 일측 단부를 폴(142)에 일단을 스프링(1421)의 타단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구성, 및 역방향 복귀수단(15)을 폴(142)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구성, 및 역방향 복귀수단을 고정 설치할 구성은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구성이므로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IoT 운동기구(1)는 장애인이 힘을 가해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는 운동부(11)를 장애인이 용이하여 진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구조의 프레임에 설치하여서 장애인의 사용 편리성을 높이고, 안전운동을 위한 센서부(12), 운동부하 조절부(13), 래칫(ratchet, 14), 역방향 복귀수단(15) 및 제어부(16)를 구비한다.
예시적으로 각각의 상기 운동부(11)는 하나의 프레임에 설치된 개별 운동 기구로서 체스트 프레스 운동 및 랫풀다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2개만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운동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또한, 휠체어를 타야하는 장애 유형에 맞춰져 있으나, 이러한 장애 유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부(12)는 상기 운동부(11)에 설치되어서 상기 운동부(11)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12)는 설치된 운동부(11)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 센서, 모션 센서, 기울기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부하 조절부(13)는 와이어(111)에 의해서 상기 운동부(11)에 연결된다. 즉, 상기 와이어(111)는 일측 단부를 상기 운동부(11)에 고정하여 상기 운동부(11)의 움직임에 따라 당겨져 끌려가고, 상기 운동부(11)로부터 복수의 도르레(112, 113)에 의해 상기 운동부하 조절부(13)에 안내되어 타측 단부를 상기 운동부하 조절부(13)에 이르게 하며, 상기 운동부하 조절부(13)에서 타측 단부를 당기는 운동부하를 조절하며 가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운동부(11)는 장애인이 근육을 수축하기 위한 운동 방향으로 움직일 시에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운동부하가 가해진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도르레(112, 113) 중에 상기 운동부하 조절부(13)에 가장 가까운 도르레(113)는 와이어(111)를 하향으로 안내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부하 조절부(13)는 하향 안내 도르레(113)에 의해서 수직으로 낙하하도록 안내되는 와이어 부분의 단부에 고정한 무게추(133)와, 수직으로 낙하는 와이어 부분의 중간쯤에서 와이어(111)에 고정한 파지블록(131)과, 파지블록(131)을 상향으로 들어올리되 들어올리는 높이 및 들어올리는 힘을 조절하게 구성한 서버 실린더(1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무게추(133)의 중량은 일정하여 와이어(111)를 당길 시에 무게추(133)의 중량만큼 운동부하를 가하게 되지만, 상기 서버 실린더(132)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운동부하가 감소한다. 상기 서버 실린더(132)는 상기 제어부(16)에 의해 제어되어서 와이어(111)에 고정한 파지블록(131)을 통해 와이어(111)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한다.
상기 래칫(ratchet, 14)은 상기 하향 안내 도르레(113)와 결합되어서, 운동부(11)의 운동 방향으로 와이어(111)를 끌려가게 하지만 운동부(11)의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즉, 운동부하를 가하는 운동부하 조절부(13)를 향해서는 끌려가지 않게 한다.
이를 위한 상기 래칫(14)은 상기 하향 안내 도르게(113)와 동축으로 고정되며 복수의 톱니가 둘레방향을 따라 조성되어 잇는 래칫휠(ratchet wheel, 141)과, 스프링(1421)에 의해서 래칫휠(141)을 향해 회동하려는 힘을 받아 래칫휠(14)의 톱니 사이의 홈에 끼워지고 래칫휠(141)이 일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끼워지는 홈을 바꾸며 회전을 허용하고, 래칫휠(141)이 타방향으로 회전할 시에는 홈에 걸려 회전하지 않게 하는 폴(pawl, 142)을 포함한다. 래칫휠(141) 및 폴(142)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래칫(ratchet)을 차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므로 형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래칫휠(141)이 고정된 상기 하향 안내 도르레(113)와, 운동부(11)의 움직임에 따라 끌리는 와이어(11)의 전체 구간 중에 상기 하향 안내 도르레(113)와 접촉되는 와이어 구간은 서로 맞물려 헛돌지 않게 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하향 안내 도르레(113)를 체인 기어로 구성하고 접촉되는 와이어 구간만이라도 체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근육을 수축하여 운동부(11)를 움직이는 운동 방향으로 와이어(11)가 끌릴 시에 회전할 수 있고, 운동부(11)의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와이어(11)를 당길 시에는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래칫(14)을 상기 하향 안내 도르레(113)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운동부(11)의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운동을 방지하며 운동 방향의 이동량을 점진적으로 늘릴 수 있게 한다. 즉, 운동부(11)가 장애인에 의해서 운동 방향으로 이동 거리를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중에 이동을 멈추더라도 역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멈춰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장애인이 운동부(11)에 힘을 가하여 운동부(11)를 움직이는 운동을 하는 중에 가하던 힘을 주지 않거나 운동부(11)를 손에서 놓치더라도 운동부(11)가 멈춰 있어서, 운동부하에 가해지는 역방향의 강한 힘에 의한 근육 손상 또는 운동부(11)에 부딪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래칫휠(141)의 톱니 피치 범위 내에서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 거리가 제한되고 톱니 피치를 작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역방향 이동에 의한 근육 손상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142)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래칫휠(141)의 톱니 사이 홈에 끼워지는 부위와 반대되는 부위에 레버(1422)를 구비하여서, 레버(1422)를 누르면 래칫휠(141)의 톱니 사이 홈에서 빠짐은 물론이고 래칫휠(141)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어 역방향 회전을 허용하게 한다.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은 상기 폴(142)이 래칫휠(141)의 톱니 사이 홈에 끼워져 역회전을 방지하는 록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레버(1422)를 눌러 록킹 상태를 해제하게 한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은 회동하여 상기 레버(1422)를 눌러줄 캠과, 캠을 회동시키는 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동으로 상기 레버(1422)를 눌러줄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상기 제어부(16)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6)는 인터넷망(4)을 통해 상기 서버(2)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162)과, 운동 상황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모니터(163)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애인에 배포한 태그(미도시)를 인식할 태그 리더기(164)와, 운동 지원을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61)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모니터(16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하는 장애인을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에는 센서부(12)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 수단, 서보 실린더(132)를 가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및 역방향 복귀수단(15)을 가동시키기 위한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161)는 태그(미도시)를 소지한 장애인이 접근함에 따라 상기 태그 리더기(164)로 태그를 인식하여 태그의 식별자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자를 상기 서버(2)에 전송하여 식별자로 식별한 장애인에 맞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161)는 제공받은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 방법을 모니터(163)로 출력한다. 이때의 운동 방법은 운동부하, 세트 수, 세트별 반복 횟수, 운동 속도, 세트 사이 휴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컨트롤러(161)는 운동 방법의 운동부하가 가해지도록 상기 서보 실린더(132)를 제어하고, 운동에 의해 센서부(12)로 감지되는 운동부(11)의 움직임을 분석하여 운동량을 산출한다. 이때의 운동량은 수행한 세트 수, 세트별 반복 횟수, 운동 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운동 시작 후 누적량으로서 산출하여 운동 프로그램의 운동 방법과 비교하며 볼 수 있도록 모니터(163)에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산출한 운동량은 상기 서버(2)에 전송하여서, 운동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데 적용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센서부(12)로 감지한 운동부(11)의 운동 방향 움직임이 기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시에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을 가동시켜 래칫(14)의 락킹를 해제함으로써, 세트별 반복 횟수 및 세트의 운동을 반복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운동부(11)는 장애인의 운동에 따라 왕복 운동하게 되는데, 운동 방향의 움직임이 기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하면 역방향 운동을 자동적으로 허용되게 하여서, 반복 운동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랫풀다운 운동을 위한 운동부(11)는 장애인이 힘을 가하여 하강시킨 후 힘을 주지하면 운동부하에 의해서 상승하여야 하는 데, 이때, 기설정된 이동량에 해당되는 높이만큼 하강할 시에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을 가동시켜 상승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애인이 수동을 누르는 버튼(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을 작동시키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버튼은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운동을 중간에 멈출 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IoT 운동기구
11 : 운동부 111 : 와이어 112,113 : 도르레
12 : 센서부
13 : 운동부하 조절부 131 : 파지블록 132 : 서보 실린더
133 : 무게추
14 : 래칫 141 : 래칫휠 142 : 폴
1421 : 스프링 1422 : 레버
15 : 역방향 복귀수단
16 : 제어부
161 : 컨트롤러 162 : 통신모듈 163 : 모니터
164 : 태그 리더기
2 : 서버
3 : 스마트 기기
4 : 인터넷망

Claims (6)

  1. 장애인이 힘을 가해 움직이며 운동하는 운동부(11)와, 운동부(1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2)와, 도르레(112, 113)에 의해 안내되는 와이어(111)로 운동부(11)에 연결되며, 와이어(111)를 통해 운동부(11)에 가해지는 운동부하를 조절하게 한 운동부하 조절부(13)와,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부하를 조절하도록 운동부하 조절부(13)를 제어하고, 운동부(11)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량을 산출하며, 인터넷망에 연결되는 제어부(16)를 포함하는 운동기구(1);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16)에 접속되어, 장애인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운동량을 전달받아 운동량을 분석하여 수정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스마트 기기를 통해 운동량을 조회할 수 있게 한 서버(2);
    를 포함하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르레(113)를 와이어(111)와 맞물리며 회전하게 구성한 후 래칫(14)를 결합하여, 운동부(11)의 운동 방향과 반대되는 역방향 운동을 방지하며 운동 방향의 이동량을 역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며 점진적으로 늘릴 수 있게 하고, 래칫(14)의 록킹을 해제하는 역방향 복귀수단(15)에 의해서 역방향 운동을 허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어부(16)는 상기 센서부(12)로 감지한 운동부(11)의 운동 방향 움직임이 기설정된 이동량에 도달할 시에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을 가동시켜 래칫(14)의 락킹를 해제하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14)은
    도르레(113)에 동축으로 고정한 래칫휠(141)과, 운동부(11)의 운동 방향으로 당겨지는 와이어(111)에 의한 래칫휠(141)의 일방향 회전만 허용하도록 래칫휠(141)의 톱니에 걸리게 하며 톱니에 걸리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을 상기 역방향 복귀수단(15)으로 눌러 걸림 해제할 수 있게 한 폴(142)을 포함하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부하 조절부(13)는
    상기 와이어(111)를 수직으로 낙하시켜 단부에 무게추(133)를 고정하고, 수직으로 낙하하는 와이어 부분을 서보 실린더(132)로 올리는 힘을 조절하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14)은
    상기 와이어(111)를 상기 운동 부하 조절부(13)를 향해 수직으로 낙하시키도록 안내하는 도르레(113)에 결합되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는
    장애인별로 소유하는 태그의 식별자를 저장하여 두고,
    상기 제어부(16)는
    태그를 태깅하여 얻는 식별자로 식별한 장애인의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상기 서버(2)로부터 제공받은 후, 제공받은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부하를 조절하는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102571A 2021-08-04 2021-08-04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9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71A KR102599518B1 (ko) 2021-08-04 2021-08-04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571A KR102599518B1 (ko) 2021-08-04 2021-08-04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10A KR20230021210A (ko) 2023-02-14
KR102599518B1 true KR102599518B1 (ko) 2023-11-08

Family

ID=8522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571A KR102599518B1 (ko) 2021-08-04 2021-08-04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5333A (ko) * 2009-01-20 2010-07-29 (주)휴모닉 전자적으로 부하를 제어하는 부하 제어 장치
KR101240965B1 (ko) * 2011-04-19 2013-03-11 주식회사 맥스톤헬스케어 인버션 테이블
KR101285155B1 (ko) 2012-07-17 2013-07-16 박일남 장애인 및 비장애인 공용 운동기구
KR101607748B1 (ko) * 2014-04-09 2016-04-11 (주)에픽소프트 운동 기구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2057071B1 (ko) 2018-09-16 2019-12-18 (주)개선스포츠 장애인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1210A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1087B1 (en) Weights system
US8992385B2 (en) Tens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9827458B2 (en) Recumbent step exerciser with self-centering mechanism
US7819785B2 (en) Safety device for spotting a user of a barbell without a need for human intervention
US10814172B1 (en) Exercise equipment and systems
US9272179B2 (en) Tens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140228175A1 (en) Tens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050277524A1 (en) Bench press apparatus
US20160199698A1 (en) Machine for power exercise of a user
US8876664B2 (en) Weight-lifting exercise machine
US7811204B2 (en) Assisted rope climbing apparatus
EP2411099A1 (en) Automated weightlifting spotting machine
US201503750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rehabilitation and training of muscular system
CN115397525B (zh) 模块化和动态力的设备
KR102599518B1 (ko) IoT 기반 장애인 홈트레이닝 안전운동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724B1 (ko) 운동장치 및 운동관리시스템
EP3597275A1 (en) Exercise machine and method for performing exercises
RU2794297C1 (ru) Гимнастический тренажер для тяжелой атлетики
US20240139576A1 (en) Spotting system for weight lifting
WO2014144669A2 (en) Tens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20240100384A1 (en) Exercise equipment with integrated control system
KR20240001570A (ko) 근력 운동 기기
CN114340744A (zh) 举重体育器械
KR20240037431A (ko) 휠체어 탑승 장애인용 재활 운동 기구
WO2012108858A1 (en) Tens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