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869B1 -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 Google Patents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869B1
KR102598869B1 KR1020230093436A KR20230093436A KR102598869B1 KR 102598869 B1 KR102598869 B1 KR 102598869B1 KR 1020230093436 A KR1020230093436 A KR 1020230093436A KR 20230093436 A KR20230093436 A KR 20230093436A KR 102598869 B1 KR102598869 B1 KR 102598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ccus luteu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strain
ly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3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우
최병준
김원덕
박장호
박민지
신수경
Original Assignee
큐티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큐티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큐티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9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8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8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65Micrococ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용도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해한 포도상구균, 특히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균 조성물로 화장품, 의약외품, 피부 외용제나 의약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elective antibacter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A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used to comba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especially Staphylococcus aureus ( Since it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ways as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such as cosmetics, quasi-drugs,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medicines. .

Description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선택적 항균 용도{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본 발명은 유해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에 대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의 선택적 항균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이의 용해물(lysate),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elective antibacter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sp .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selective antibacterial use of a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occus luteus,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사람의 피부 표면에는 각질, 땀, 피지 등의 노폐물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면서 피부 상재균총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skin microbiome)을 형성하고 있다. 피부 상재균총에는 유익균과 유해균이 서로 공생하고 있으며, 건강한 피부일수록 유익균의 분포도가 더 크고, 아토피나 여드름성 피부의 경우 유해균의 분포가 더 크다. 따라서, 피부에 존재하는 상재균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Since the surface of human skin contains a lot of waste products such as dead skin cells, sweat, and sebum, various microorganisms live there and form the skin microbiome, which is the skin flora. Beneficial and harmful bacteria coexist in the flora of the skin. Healthier skin has a greater distribution of beneficial bacteria, and in the case of atopic or acne-prone skin, the distribution of harmful bacteria is greater. Therefore, it is known that maintaining the balance of flora existing on the skin helps maintain a healthy skin condition (Patent Document 1).

정상적으로 피부에 상주하는 피부 상재균은 다른 더 해로운 미생물(병원균)의 침투를 막아주는 피부 장벽을 형성하며, 피부 면역작용에 도움을 준다. 피부 유익균과 유해균의 불균형은 피부 장벽 기능 붕괴 및 피부의 면역 반응 저하를 초래할 수 있고,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유익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해균의 활성만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면 여러 가지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kin flora that normally resides on the skin forms a skin barrier that prevents the penetration of other more harmful microorganisms (pathogens) and helps with skin immunity. An imbalance between beneficial and harmful skin bacteria can result in a breakdown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and a decrease in the skin's immune response, and can act as a cause of various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acne, and psoriasis. Therefore, if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inhibit the activity of harmful bacteria without affecting beneficial skin bacteria, it will be helpful in treating various skin diseases.

본 발명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해 연구한 결과,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가 유해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research on skin flora, it was confirmed that Micrococcus luteus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sp. ,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한국특허공보 제2297406호(공개일: 2021.09.07)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297406 (Publication Date: 2021.09.07)

이에,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sp .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ntibacterial quasi-drug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ntibacterial external skin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ntibacterial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본 발명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n antibacte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본 발명은 수탁번호 KACC 81251BP로 기탁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Micrococcus luteus strain deposited with accession number KACC 81251BP.

본 발명은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of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ing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는 생균(살아있는 균)이거나 사균(죽어있는 균)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사균은 열처리에 의한 사균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coccus luteus may be live (living bacteria) or dead (dead bacteria). More specifically, the dead cells may be dead cells caused by heat treatment.

일 구체예에 있어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는 수탁번호 KACC 81251BP로 기탁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Micrococcus luteus may be a Micrococcus luteus strain deposited under accession number KACC 81251BP.

본 명세서에서 용어 "용해물"은 깨진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와 같은 미생물의 세포의 수성 배지 내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의미한다. 세포 용해물은, 예를 들어 DNA, RNA, 단백질, 펩타이드, 탄수화물, 지질 등과 같은 거대 분자 및/또는, 아미노산, 당, 지방산 등과 같은 미소분자, 또는 그의 분획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해물은 매끈하거나 과립 구조일 수 있는 세포 잔해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lysate” refers to a solution or suspension in an aqueous medium of cells of a microorganism such as Micrococcus luteus. Cell lysates include, for example, macromolecules such as DNA, RNA, proteins, peptides, carbohydrates, lipids, etc., and/or micromolecules such as amino acids, sugars, fatty acids, etc., or fractions thereof. The lysate also contains cell debris, which may be smooth or granular in structure.

상기 미생물의 세포 용해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생물의 세포 용해를 달성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포 개방/파괴는 효소에 의해, 화학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효소 및 효소 혼합물의 비제한적 예는 프로테이나아제 K와 같은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또는 글리코시다아제이고; 화학물질의 비제한적 예는 이온투과담체, 황산 도데실 나트륨과 같은 세제, 산 또는 염기이고; 물리적 수단의 비제한적 예는 프렌치 프레싱과 같은 고압, 삼투압, 열 또는 추위와 같은 온도이다. 또한, 단백질 분해 효소 이외의 효소, 산, 염기 등의 적절한 조합을 사용하는 방법 또한 사용될 수 있다. A variety of known methods can be used to achieve cell lysis of the microorganism, and any method that can achieve cell lysis of the microorganism can be used. For example, cell opening/disruption can be accomplished enzymatically, chemically, or physically. Non-limiting examples of enzymes and enzyme mixtures are proteases such as proteinase K, lipases or glycosidases; Non-limiting examples of chemicals are ion permeable carriers, detergents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 acids or bases; Non-limiting examples of physical means are high pressure such as French pressing, osmotic pressure, and temperature such as heat or cold. Additionally, a method using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enzymes other than proteolytic enzymes, acids, bases, etc. can also be used.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배양액"은 "배양 상층액", "조건 배양액" 또는 "조정 배지"와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가 시험관 내에서 성장 및 생존할 수 있도록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배지에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를 일정기간 배양하여 얻는 상기 미생물, 이의 대사물,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전체 배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을 배양하여 얻은 균체 배양액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양액 중 균체를 제거한 액체를 "상등액"이라고도 하며, 배양액을 일정시간 가만히 두어 하층에 가라앉은 부분을 제외한 상층의 액체만을 취하거나, 여과를 통해 균체를 제거하거나,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하부의 침전을 제거하고 상부의 액체만을 취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균체"는 본 발명의 미생물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피부 샘플 등으로부터 분리하여 선별한 미생물 자체 또는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여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을 포함한다. 상기 균체는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하층에 가라앉은 부분을 취하여 획득할 수 있고, 또는 중력에 의해 배양액의 하층으로 가라앉으므로 일정 시간동안 가만히 두었다가 상부의 액체를 제거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culture medium”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culture supernatant,” “conditioned culture medium,” or “conditioned medium,” and can be used to provide nutrients for Micrococcus luteus to grow and survive in vitro. It may refer to the entire medium containing the microorganism, its metabolites, extra nutrients, etc. obtained by culturing Micrococcus luteus in the mediu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dditionally, the culture medium may refer to a culture medium obtained by removing the bacterial cells from the bacterial culture medium obtained by culturing microorganisms. On the other hand, the liquid from which the bacteria have been removed from the culture medium is also called "supernatant", and the culture medium is left alon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only the liquid in the upper layer excluding the part that has settled in the lower layer is taken, the bacteria are removed through filtration, or the culture medium is centrifuged to remove the lower layer. It can be obtained by removing the precipitation and taking only the upper liquid. The "bacteria" refers to the microorganism itself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microorganisms isolated and selected from skin samples, etc., or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culture medium by culturing the microorganisms. The bacterial cells can be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culture medium and taking the part that has sunk to the lower layer. Alternatively, since they sink to the lower layer of the culture medium by gravity, they can be obtained by leaving them stil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n removing the upper liquid.

일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배양물은 미생물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중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한 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코커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예컨대 MH(Mueller Hinton broth) 배지 또는 TSB(Tryptic soy broth)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배양물은 상기 미생물 배양 배지에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를 접종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미생물 배양 방법(예를 들어, 정치 배양 등)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culture of Micrococcus lute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a medium easi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the purpose among the media used for microbial culture, and specifically, a medium used for Micrococcus culture, such as MH. (Mueller Hinton broth) medium or TSB (Tryptic soy broth)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ulture of Micrococcus lute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inoculating Micrococcus luteus into the microbial culture medium and using a microbial culture method known in the art (e.g., stationary culture, etc.). You can.

상기 배양액은 미생물을 배양하여 수득된 배양액 자체, 그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 또는 배양액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여 수득된 배양 상층액, 그의 농축물 또는 동결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lture medium may include the culture medium itself, its concentrate, or freeze-dried product obtained by cultivating microorganisms, or the culture supernatant obtained by remov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its concentrate, or freeze-dried product.

상기 배양액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를 적절한 배지(예를 들면, MH 배지)에서 10℃내지 40℃ 중 어느 온도에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4 내지 50시간 동안 배양하여 수득된 것일 수 있다. The culture medium may be obtained by culturing Micrococcus luteus in an appropriate medium (e.g., MH medium) at any temperature from 10°C to 40°C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4 to 50 hours.

일 구체예에서, 미생물의 배양 상층액은 미생물 배양액을 원심분리나 여과시켜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crobial culture supernatant may be obtained by centrifuging or filtering the microbial culture solution to remove the microorganisms.

다른 구체예에서, 농축물은 상기 미생물 배양액 자체, 또는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수득된 상층액을 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centrate may be obtained by concentrating the microbial culture medium itself or the supernatant obtained after filtering the culture medium using centrifugation or a filter.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용 배지 및 배양 조건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하게 선택하거나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culture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for culturing Micrococcus luteus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or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은 상기 용해물, 배양액 또는 그의 농축액으로부터 추출한 것을 의미하며,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이를 분획한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from the lysate, culture medium, or concentrate thereof, and includes extract, diluted or concentrated liquid of the extract,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or crude or purified product thereof, or fraction obtained from the same. It can be included.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0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0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미생물,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is 0.00001% by weight to 80% by weight, for example, 0.00001% by weight to 60% by weight, 0.00001% by weight to 40% by weight, 0.00001% by weight to 30% by weight, 0.00001% by weight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0.00001% to 10% by weight, 0.00001% to 5% by weight, 0.05% to 60% by weight, 0.05% to 40% by weight, 0.05% to 30% by weight, 0.05% to 20% by weight, 0.05% to 10% by weight, 0.05% to 5% by weight, 0.1% to 60% by weight, 0.1% to 40% by weight, 0.1% to 30% by weight, 0.1% to 20% by weight, 0.1% by weight % to 10% by weight, or 0.1% to 5% by weight of microorganisms, or lysates, cultures, or extrac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은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로 상기 미생물,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이 첨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약물전달 및 안정화 등을 위하여 다양한 성분을 부성분으로 첨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포뮬레이션 (formulation)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that the microorganism,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is added to the extent that it can exhibit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ingredients are added as sub-ingredients for drug delivery and stabilization. This means that it is formulated into various forms by adding .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균"은 (i)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 감소 또는 방지하거나; (ii) 박테리아가 대상에서 감염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거나; 또는 (iii) 박테리아가 환경에서 증식하거나 감염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활성을 가짐을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bacterial” means (i) inhibits, reduces, or prevents the growth of bacteria; (ii) inhibits or reduces the ability of bacteria to cause infection in a subject; or (iii) has the activity of inhibiting or reducing the ability of bacteria to multiply or remain infective in the environment.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유해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는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만 무해한 피부 유익균에는 항균 활성이 약하거나 영향을 주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can selective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sp . Specifically, Micrococcus luteus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but has weak or no effect on harmless beneficial skin bacteria.

상기 유해한 포도상구균이라 함은 숙주의 피부표면 혹은 조직에 침투하여 피부 발진, 감염(농양, 고름, 붉은발적 등) 등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포도상구균을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스타필로코커스 속 박테리아(포도상구균) 중에서 유해한 포도상구균, 예를 들어 피부 질환 유발 박테리아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피부 유익균인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약한 편이고, 피부 유익균인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Staphylococcus homini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Staphylococcus sp.가 아닌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he harmful staphylococci refer to staphylococci that infiltrate the host's skin surface or tissue and cause skin rashes and infections (abscesses, pus, redness, etc.). The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includes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among bacteria of the genus Staphylococcus (Staphylococcu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 a skin disease-causing bacteria, an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It ma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has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a skin-beneficial bacteria, and h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hominis , a skin-beneficial bacteri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lmost no activity. In addition, the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is Staphylococcus sp. It was confirmed that it showed litt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is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It may selective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crococcus luteus, or a lysate, culture or extract thereof, is selectiv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It ma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손세정제,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및 시트를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 등의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es lotion (skin lotion), ski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al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al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hand sanitizer, and foundation. , essence, nutritional essence, pack, soap,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body cleanser, suspension, gel, powder, paste, mask pack, and sheet. Compositions of this dosage form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methods conventional in the art. The amount of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the above-mentioned moisturizer can be easily select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urpos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정제수, 점증제, 방부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계면활성제, 담체, 향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토코페릴아세테이드,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등), 방부제(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클로르페네신 등), 착색제, pH 조절제(트리에탄올아민, 씨트릭애씨드,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 보습제(글리세린, 솔비톨,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 글라이콜, 헥실렌 글라이콜, 디글리세린, 베타인, 글리세레스-26, 메칠글루세스-20 등), 윤활제 등의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disclosed 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functional additives and ingredients included in general cosmetic compositions, including commonly used purified water, thickeners, preservatives, stabilizers, solubilizers, surfactants, carriers, It may further include fragranc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functional additive may include ingredi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polymer peptides, polymer polysaccharides, sphingolipids, and seaweed extract. Examples of the carrier include alcohol, oil, surfactant, fatty acid, silicone oil, wetting agent, humectant, viscosity modifier, emulsion, stabilizer, ultraviolet scattering agent, ultraviolet absorber, coloring agent, fragrance, etc. Compounds/compositions that can be used as alcohols, oils, surfactants, fatty acids, silicone oils, wetting agents, moisturizers, viscosity modifiers, emulsions, stabilizers, UV scattering agents, UV absorbers, coloring agents, and fragrances are already known in the art. Therefor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material/composition.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contain sunscreen, antioxidants (butylhydroxyanisole, propyl gallate, elisorbic acid, tocopheryl acetate, butylated hydroxytoluene, etc.), and preservatives (methylparaben, butylparaben) as necessary. , propylparaben, phenoxyethanol, imidazolidinyl urea, chlorphenesin, etc.), colorants, pH adjusters (triethanolamine, citric acid, citric acid, sodium citrate, malic acid, sodium malate, fmal acid, sodium fmalate, succinic acid) , sodium succinate, sodium hydroxide, sodium monohydrogen phosphate, etc.), moisturizers (glycerin, sorbit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hexylene glycol, diglycerin, betaine, glycereth-26, methyl glue) Additional ingredients such as Seth-20, etc.) and lubricants can be added.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성분들을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배합 성분 및 방법은 통상의 기술에 따를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Additionally, in each type of cosmetic composition, appropriate ingredients can be selected and mixed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the cosmetic. Since the mixing ingredients and methods may be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technique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quasi-drug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selectivel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이때,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 그리고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and extract, and 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is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섬유ㆍ고무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으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병을 막기 위한 살균ㆍ살충제 등이 이에 포함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quasi-drug" refers to products that have a milder effect than pharmaceuticals among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improving, alleviating, treating, or preventing diseases in humans or animal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quasi-drugs Excluding articles used for pharmaceutical purposes, textile and rubber products use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seases in humans and animals; items that have a minor or no direct effect on the human body; items that are not instruments or machines and similar items; infectious diseases; This includes disinfectants and pesticides to prevent .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의 종류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붕대, 거즈, 탈지면, 반창고, 소독 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 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또는 필터 충진제 등일 수 있다.The type or formulation of the quasi-dru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bandage, gauze, cotton wool, bandage, disinfectant cleaner, shower foam, gargle, wet tissue, detergent soap, hand wash, humidifier filler, mask, or filter filler. there is.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선택적 항균 용도로 의약외품에 포함시킬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포함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의약외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미생물,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a quasi-drug for selective antibacterial purposes, the composition can be used as is or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 ingredients, and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and the quasi-drug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1% to 20% by weight of microorganisms, their lysates, cultures, or extrac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external skin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이때,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 그리고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and extract, and 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피부 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제,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The external skin preparation may be a cream, gel, ointment, skin emulsifier, skin suspension, transdermal patch, lo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s include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external skin preparations such as cosmetics and medicines, such as aqueous ingredients, oil-based ingredients, powder ingredients, alcohols, moisturizers, thickeners, ultraviolet absorbers, whitening agents, preservatives, antioxidants, surfactants, and fragrances. , colorants, various skin nutri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appropriately mixed according to need. The skin external preparations include metal sequestrants such as disodium edetate, trisodium edetate, sodium citrate, sodium polyphosphate, sodium metaphosphate, and gluconic acid, caffeine, tannin, belafamil, licorice extract, glablidin, and calin. Hot water extract of fruit, various herbal medicines, drugs such as tocopherol acetate, glytylitinic acid, tranexamic acid and its derivatives or salts, vitamin C, magnesium ascorbate phosphate, ascorbate glucoside, arbutin, kojic acid, glucose, fructose, Sugars such as trehalose can also be appropriately mixed.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중량% 내지 80 중량%의 미생물,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external application for s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0.00001% to 80% by weight of microorganisms, their lysates, cultures, or extract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상기 피부는 얼굴, 손, 팔, 다리, 발, 가슴, 배, 등, 엉덩이, 및 두피를 포함하는 신체의 모든 피부 부위를 포함한다.The skin includes all skin areas of the body, including the face, hands, arms, legs, feet, chest, stomach, back, buttocks, and scalp.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sp.)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bacterial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ing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sp. to provide.

이때,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 그리고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and extract, and 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is as described above.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명세서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can be prepared by using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In general, when manufacturing food or beverage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s.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및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건강기능식품의 종류 중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pills, gels, jelli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tea bags, leached teas, and health drinks. Includes all health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Among the types of health functional foods, beverage compositions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ordinary beverages.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또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또한,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또는 그 조합을 함유할 수 있다.The natural carbohydrates includ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As a sweetener,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or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can be used. The health food composition also contain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and carbonated beverages. It may contain the carbonating agent used,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also contain pulp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 vegetable beverage,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ibacte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이때,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 그리고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and extract, and 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is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학 조성물"은, 대상체로의 투여 시에 몇몇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는 분자 또는 화합물을 지칭할 수 있다. 유리한 효과는 진단적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개선; 질병, 증상,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 및 일반적으로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대응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refer to a molecule or compound that imparts some beneficial effect upon administration to a subject. Beneficial effects include enabling diagnostic decisions; Improvement of a disease, symptom, disorder or condition; Reducing or preventing the onset of a disease, symptom, disorder or condition; and generally responding to a disease, symptom, disorder or condition.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prevention)"은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 또는 재획득을 막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피부 손상, 또는 증상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prevention” refers to partially or completely delaying or preventing the onset or recurrence of a disease, disorder, or its secondary symptoms, preventing the acquisition or re-acquisition of a disease or disorder, or preventing the development or recurrence of a disease or disorder. It refers to a method of reducing the risk of acquisition. For example, the above prevention refers to all actions that suppress or delay the occurrence of skin damage or symptoms by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경감 또는 제거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treatment” includes inhibiting, alleviating, or eliminating the development of a disease.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이란 상태의 완화 도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improvement” may refer to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the severity of symptom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alleviation or treatment of a condition.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항균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의약 용도를 갖는 유효 성분의 보조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잘 알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can be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or can be used as an adjuvant for an active ingredient with medicinal us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Nasal), 흡입, 안구 및 피하와 같은 경구 이외의 투여경로를 통한 투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n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depending on the desired method, and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preparation.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mean administration through routes of administration other than oral, such as rectal, intravenous, peritoneal, muscular, arterial, transdermal, nasal, inhalation, ocular, and subcutaneous. 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medicine, it may additionally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that exhibit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additionally contain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can be saline solution,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solu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a mixture of one or more of these ingredients, and if necessary, antioxidants and buffer solutions. Other common additives such as bacteriostatic agents can be added. In addition,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can be additionally added to formulate injectable formulations such as 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etc.,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Furthermore, it can be preferably formulated according to each disease or ingredient using an appropriate method in the art.

상기 약학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리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When formulat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is prepared using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Prepar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sion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s a base for suppositories,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Liurinji, glycerogeratin, etc. can be used.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탄수화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s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sucrose or dextran,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or glutathione, chelating agents, and low molecular weight proteins to increase stability or absorption. Alternatively, other stabilizers may be used as ag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거나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상태를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 condition of a subject comprising administering or apply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o the subject.

상기 개체의 상태는 항균 치료를 필요로 하는 상태일 수 있다.The condition of the subject may be a condition requiring antibacterial treatment.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하는", "적용하는", "도입하는", 및 "이식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 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administering,” “applying,” “introducing,” and “implanting”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are used interchangeably with a method or route that results in at least partial localization of a composition to a desired si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may refer to the arrangemen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to an object by.

투여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예를 들면, 정맥내, 근육내, 경구, 경피 (transdermal), 점막, 코안 (intranasal), 기관내 (intratracheal) 또는 피하 투여와 같은 경로로, 임의의 수단에 의하여 개체로 직접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전신적으로 또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Administration can be done by methods known in the art.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directly to the subject by any means, such as, for example, intravenous, intramuscular, oral, transdermal, mucosal, intranasal, intratracheal 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You can. The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systemically or locally.

상기 개체는 포유동물, 예를 들면, 사람, 소, 말, 돼지, 개, 양, 염소, 또는 고양이일 수 있다. 상기 개체는 항균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일 수 있다.The subject may be a mammal, such as a human, cow, horse, pig, dog, sheep, goat, or cat. The subject may be an individual in need of antibacterial treatment.

상기 투여는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을 개체당 일당 0.000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면, 0.00001 mg 내지 500 mg, 0.00001 mg 내지 100 mg, 0.00001 mg 내지 50 mg, 0.00001 mg 내지 25 mg, 1 mg 내지 1,000 mg, 1 mg 내지 500 mg, 1 mg 내지 100 mg, 1 mg 내지 50 mg, 1 mg 내지 25 mg, 5mg 내지 1,000 mg, 5 mg 내지 500 mg, 5 mg 내지 100 mg, 5 mg 내지 50 mg, 5 mg 내지 25 mg, 10mg 내지 1,000 mg, 10 mg 내지 500 mg, 10 mg 내지 100 mg, 10 mg 내지 50 mg, 또는 10 mg 내지 25 mg을 투여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일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 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으며, 매일 또는 2 내지 5일 간격으로 총 투여 일수는 한번 치료 시 1일에서 30일까지 투여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적정 시기 이후에 동일한 치료를 반복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kg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The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0.00001 mg to 1,000 mg, for example, 0.00001 mg to 500 mg, 0.00001 mg to 100 mg, 0.00001 mg to 50 mg, 0.00001 mg to 25 mg, 1 mg to 1 mg per day. 1,000 mg, 1 mg to 500 mg, 1 mg to 100 mg, 1 mg to 50 mg, 1 mg to 25 mg, 5 mg to 1,000 mg, 5 mg to 500 mg, 5 mg to 100 mg, 5 mg to 50 mg, 5 mg to 25 mg, 10 mg to 1,000 mg, 10 mg to 500 mg, 10 mg to 100 mg, 10 mg to 50 mg, or 10 mg to 25 mg may be administered. However, the dosage may be prescrib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ethod, patient's age, weight, gender,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action sensitivity, and the technolog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dosage by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can be once a day or more than twice within the range of clinically acceptable side effects, and can be administered at one or two or more locations, daily or at intervals of 2 to 5 days. The number of days of administration can be from 1 to 30 days per treatment. If necessary, the same treatment can be repeated after an appropriate period. For animals other than humans, the dosage per kg is the same as for humans, or the above dosage is converted into, for example, the volume ratio (e.g., average value) of the organs (heart, etc.) between the target animal and human. One dose can be administ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로 균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lective antibacterial treatment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comprising treating the bacteria with Micrococcus luteus, or a lysate, culture or extract thereof.

이때,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및 추출물, 그리고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and extract, and 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is as described above.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로 균을 처리하는 방법은 항균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의 처리 양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method of treating bacteria with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can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various fields requiring antibacterial properties. The amount of treatment of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can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수탁번호 KACC 81251BP로 기탁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crococcus luteus strain deposited under accession number KACC 81251BP.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서열번호 3의 16S rRNA를 포함하는 균주일 수 있다.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may be a strain containing 16S rRNA of SEQ ID NO: 3.

상기 균주는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만 무해한 피부 유익균에는 항균 활성이 약하거나 영향을 주지 않는다. The strain can selective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Specifically,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but has weak or no effect on harmless skin beneficial bacteria.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스타필로코커스 속 박테리아(포도상구균) 중에서 유해한 포도상구균, 예를 들어 피부 질환 유발 박테리아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피부 유익균인 표피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약한 편이고, 피부 유익균인 스타필로코커스 호미니스(Staphylococcus hominis)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Staphylococcus sp.가 아닌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includes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among Staphylococcus genus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 a skin disease-causing bacteria,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opy. It ma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capitis , but is not limited thereto. However,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was found to have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epidermidis , a skin-beneficial bacteria, and no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hominis , a skin-beneficial bacteria. Additionally,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is Staphylococcus sp. It was confirmed that it does not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is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It may selective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may selective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provides a lysate, culture, or extract of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 이의 용해물 및 배양액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Description of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its lysate, and culture medium are as described above.

상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은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 함은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다.The lysate, culture, or extract of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may selectively exhibi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Here, the fact that it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for the Micrococcus luteus strai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해한 포도상구균, 특히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므로 항균 조성물로 화장품, 의약외품, 피부 외용제나 의약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A composition containing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reventing harmful Staphylococcus aureus, especially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ince it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capitis , it can be usefully used as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in cosmetics, quasi-drugs, external skin preparations, and medicin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경우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한 성장 억제능력을 측정한 결과이다(N-CNT: 음성 대조군; 세포 용해물: 균주 균질물).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경우 Staphyylococcus aureus의 생물막(biofilm) 생성 정도를 WST-8 assay를 통해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 PBS, 0% 세포 용해물; 실험군: 용해물, 20% 세포 용해물).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균주의 균질물로 처리한 경우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생존 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 10% PBS; 실험군: 10% 세포 용해물).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균주 균질물에 열을 가하거나 프로타제 K로 처리한 후, 이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에 처리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균주 균질물의 유효 물질이 어떠한 성질을 지닌 성분인지 파악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열처리: 95℃ 10분, 프로타제 K; 1mg/mL)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Micrococcus luteus CBN009 균주 균질물과 이의 표준 균주인 Micrococcus luteus ATCC 4698로 처리한 경우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한 성장 억제능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Figure 1 shows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 (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when treated with strain homoge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N-CNT: negative control; cell lysate: strain homogenate).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bsorbance through WST-8 assay to determine the degree of biofilm formation of Staphyylococcus aureus when treated with a strain homoge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group: PBS, 0% Cell lysate; Experimental group: lysate, 20% cell lysate).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cell viability of human keratinocytes when treated with a homogenate of the stra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 group: 10% PBS; experimental group: 10% cell lysate) .
Figure 4 shows the properties of the effective substance of the strain homogenate by applying heat or treating it with protease K to the strain homogen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reating it with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to measu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This is the result of an experime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a component (heat treatment: 95℃ 10 minutes, protase K; 1mg/mL)
Figure 5 shows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 (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when treated with Micrococcus luteus CBN009 strain homogen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standard strain, Micrococcus luteus ATCC 4698 . This i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growth inhibition ability against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실시예 1. 균주 분리 및 동정Example 1. Strai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건강한 한국인의 피부로부터 검체를 채취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용액에 넣고 혼합한 뒤 연속희석법(Serial dilution)을 통해 LB(Luria-Berani) 배지에 접종하였다. 34℃ 배양기에서 63시간동안 배양하여 평판상에 형성된 박테리아 콜로니를 선별하고 동일한 배지와 조건에서 획선 도말법 (Streaking)을 이용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균주의 분자계통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증폭은, 95℃에서 30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 45초씩 32회 반복 실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72℃에서 5분간 처리하였다. 이때 박테리아 공통 유전자의 특이적인 반응을 하도록 고안된 프라이머(서열번호 1 및 2)를 사용하였다. PCR 증폭 산물을 정제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하였고(마크로젠, 대한민국), 해당 서열은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의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등록된 다른 균주들과 비교였을 때 염기서열 상동성 99% 이상을 갖는 종을 근연종으로 결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된 균주는 서열번호 3(complementary DNA)의 16S rRNA 서열을 가지며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로 동정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Micrococcus luteus CBN009로 명명하고 2023년 1월 3일자로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ACC 81251BP를 부여받았다.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kin of healthy Koreans, mixed in a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solution, and then inoculated into LB (Luria-Berani) medium through serial dilution. Bacterial colonies formed on a plate were selected by culturing in an incubator at 34°C for 63 hours, and purified using streaking under the same medium and conditions. To confirm the molecular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d strain,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was performed.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was repeated 32 times at 95°C for 30 seconds, 55°C for 30 seconds, and 72°C for 1 minute and 45 seconds, and finally at 72°C for 5 minutes. At this time, primers (SEQ ID NOs: 1 and 2) designed to specifically react with common bacterial genes were used. The PCR amplification product was purified and the base sequence was confirmed (Macrogen, Korea), and the sequence was analyzed using the BLAST program of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When compared with other previously registered strains, species with more than 99% base sequence homology were determined to be related species. The strain isolated in this example had the 16S rRNA sequence of SEQ ID NO: 3 (complementary DNA) and was identified as Micrococcus luteus . The present inventors named the strain Micrococcus luteus CBN009 and deposited it with the Agricultural Genetic Resources Center on January 3, 2023, and received accession number KACC 81251BP.

실시예 2. 균주의 배양 및 균질화Example 2. Culture and homogenization of strains

실시예 1에서 분리된 균주를 MH(Mueller Hinton broth) 배지에서 30℃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생장 곡선상 성장 단계(exponential phase)의 최종 시점에서 균체를 채집하였다. 균체의 경우 8,000 rpm에서 30분동안 원심 분리하여 PBS(Phosphate-Buffered Saline)로 1회 washing하였다. 해당 균체를 PBS에 풀어 Sonication을 통해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균주 균질물은 0.2μm 필터를 통해 균체를 제거하였으며, bradford assay를 통해 2mg/ml으로 정량화하여 향후 평가 및 활성 분석에 사용하였다. 평가 및 활성 분석에 사용시 제조 후 1일을 넘지 않게 진행하였다.The strain isolated in Example 1 was cultured in MH (Mueller Hinton broth) medium in an incubator at 30°C, and cell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onential phase according to the growth curve. In the case of bacterial cells, they were centrifuged at 8,000 rpm for 30 minutes and washed once with PBS (Phosphate-Buffered Saline). The cells were dissolved in PBS and homogenized through sonication. The homogenized strain homogenate was filtered through a 0.2μm filter, quantified at 2mg/ml using the bradford assay, and used for future evaluation and activity analysis. When used for evaluation and activity analysis, it was carried out no more than 1 day after manufacture.

실험예 1. 항균 활성Experimental Example 1. Antibacterial activity

실시예 2에서 얻은 균주 균질물이 유해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It was analyzed whether the strain homogenate obtained in Example 2 exhibit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rains.

구체적으로, 항균 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q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해당 균주들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TSB 혹은 MH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세균은 34℃ 호기성 챔버(aerobic chamber)에서, 효모는 30℃ 호기성 챔버에서 키웠다. 생장 곡선상 성장 단계(exponential phase)의 최종 시점에서 1/100(seed/media)가 되도록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을 통해 생장 곡선상 성장 단계(exponential phase)의 초입에 도달한 세포주를 OD600 0.01로 희석한 희석용액을 준비하여 항균능력을 평가하였다.Specifical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 (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quum, Pseudomonas aerug. inosa ATCC10145 , and Escherichia coli DH5α was tested on. First, the strains were cultured in TSB or MH medium to be used in experiments. Bacteria were grown in an aerobic chamber at 34°C, and yeast was grown in an aerobic chamber at 30°C. It was subcultured to 1/100 (seed/media) at the end of the exponential phase according to the growth curve. A diluted solu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a cell line that had reached the beginning of the exponential phase on the growth curve through subculture to an OD 600 of 0.01, and its antibacterial ability was evaluated.

상기 균주 균질물의 항균 활성은 다음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먼저 MH 한천 플레이트(Agar plate) 위에 항균 활성을 평가할 상기 10가지의 균주(S. aureus, MRSA, S. epidermidis, S. hominis, S. capitis, M. luteus, C. albicans, C. propinquum, P. aeruginosa, E. coli)의 희석물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2회에 걸쳐 펴바른(spreading) 후, 지름 0.8 cm의 원형으로 Agar 구덩이를 만들었다. Agar 구덩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균주 균질물 150 μL를 접종한 후, 30℃ 배양기에서 24시간 및 48시간동안 키워 생성되는 클리어존(clear zone)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train homogenate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the above 10 strains ( S. aureus, MRSA, S. epidermidis, S. hominis, S. capitis, M. luteus, C. albicans, C. propinquum, P aeruginosa, and E. coli ) was spread twice using a sterilized cotton swab, and then a circular agar pit with a diameter of 0.8 cm was created. After inoculating 150 μL of the strain homogenate prepared in Example 2 into the agar pit, it was grown in an incubator at 30°C for 24 and 48 hours to observe the resulting clear zon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1. .

도 1은 실시예 2의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경우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한 성장 억제능력을 측정한 결과이다(N-CNT: 음성 대조군; Cell lysate(세포 용해물): 균주 균질물).Figure 1 shows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 (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agation when treated with the strain homogenate of Example 2. uum, Th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growth inhibition ability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N-CNT: negative control; Cell lysate: strain homogenate).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균주 균질물이 처리된 S. aureus ATCC 25923, MRSA, S. epidermidis, 및 S. capitis에서 클리어존이 형성되었다. 구체적으로, 피부 유해균인 S. aureus ATCC 25923, MRSA 및 S. capitis에서 클리어존이 형성되므로 항균 활성이 있으며, 피부 유익균인 S. epidermidis에서는 피부 유해균인 S. aureus ATCC 25923, MRSA 및 S. capitis에 비해 클리어존이 줄어들고 희미하게 나타나므로 비교적 항균 활성이 약한 편이고, 피부 유익균인 Staphylococcus hominis에서는 클리어존이 거의 형성되지 않아 항균 활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Staphylococcus sp.가 아닌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서는 실시예 2의 균주 균질물을 처리하여도 클리어존이 거의 형성되지 않으므로 항균 활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2의 균주 균질물이 유해한 포도상구균, 특히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As shown in Figure 1, clear zones were formed in S. aureus ATCC 25923 , MRSA, S. epidermidis , and S. capitis treated with the strain homogenate of Example 2. Specifically, it has antibacterial activity as a clear zone is formed in S. aureus ATCC 25923 , MRSA, and S. capitis , which are harmful to the skin, and S. epidermidis , a beneficial bacteria for the skin, is effective against S. aureus ATCC 25923 , MRSA, and S. capitis , which are harmful to the skin. Compared to this, the clear zone is reduced and appears faint, so the antibacterial activity is relatively weak. In Staphylococcus hominis , a skin-beneficial bacteria, almost no clear zone is formed, so it has almost no antibacterial activity. Additionally, Staphylococcus sp. However, in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a clear zone was hardly formed even when the strain homogenate of Example 2 was treated, showing that there was almost no antibacterial 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train homogenate of Example 2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especially 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shows.

실험예 2. 생물막 생성 억제능Experimental Example 2. Inhibition of biofilm formation

실시예 2에서 얻은 균주 균질물이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의 생물막(biofilm) 생성능력을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train homogenate obtained in Example 2 inhibits the biofilm production a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구체적으로 먼저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균주 냉동 스탁을 MH 배지에 접종하여 34℃에서 17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해당 균주를 다시 신선한 MH 배지에 접종하고, 30℃에서 계대배양하여 생장 곡선상 성장 단계(exponential phase)의 초입에 도달하게 생장시켰다.Specifically, first, frozen stock of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strain was inoculated into MH medium and cultured at 34°C for 17 hours. Afterwards, the strain was inoculated again into fresh MH medium, subcultured at 30°C, and grown to reach the beginning of the exponential phase according to the growth curve.

실험에 앞서 96웰 플레이트의 모든 가용 웰에 포도당 1%가 첨가된 MH 배양액을 160 μL 넣어주었다. 이들 중 절반의 가용 웰에는 PBS 40 μL를 처리하였고, 나머지 절반의 가용 웰에는 2mg/ml 단백질 농도의 세포균질물을 각각 40ul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이후 모든 웰에 S. aureus 계대배양액을 2 μL씩 첨가하여 30℃ 200 rpm에서 24시간 생장시켰다. 이때, PBS가 처리된 웰은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Prior to the experiment, 160 μL of MH culture medium containing 1% glucose was added to all available wells of a 96-well plate. Half of these wells were treated with 40 μL of PBS, and the other half of the wells were treated with 40 μL of cell homogenate with a protein concentration of 2 mg/ml. Then, 2 μL of S. aureus subculture was added to all wells and grown at 30°C and 200 rpm for 24 hours. At this time, wells treated with PBS were used as a negative control.

이후, 웰을 증류수로 2회 세척하고, 건조하여 생물막을 고정시킨 후, 0.1%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용액으로 웰을 염색하였다. 이후 증류수로 웰을 3회 세척하였으며, 30% 아세트산 용액으로 생물막을 용해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6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Afterwards, the wells were washed twice with distilled water, dried to fix the biofilm, and then stained with a 0.1% crystal violet solution. Afterwards, the wells were washed three times with distilled water, and the biofilm was dissolved with a 30% acetic acid solution. Absorbance at 560 nm was measured using a microplate read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2.

도 2는 실시예 2의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경우 Staphyylococcus aureus의 생물막(biofilm) 생성 정도를 WST-8 assay를 통해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 PBS, 0% 세포 용해물; 실험군: 용해물, 20% 세포 용해물).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absorbance of Staphyylococcus aureus biofilm through WST-8 assay when treated with the strain homogenate of Example 2 (control group: PBS, 0% cell lysate; Experimental group: lysate, 20% cell lysate).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S. aureus는 PBS로 처리한 실험군에 비해 S. aureus의 생물막 생성량이 27.4%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이로부터 상기 균주 균질물은 S. aureus의 생물막 형성을 현저히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biofilm production of S. aureus treated with strain homogenate was reduced to 27.4%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PBS.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ain homogenate can significantly inhibit biofilm formation of S. aureus .

실험예 3. 세포 독성 평가(Relative cell viability)Experimental Example 3. Cytotoxicity evaluation (Relative cell viability)

실시예 1에서 분리된 균주가 세포에 대하여 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포 생존능을 테스트하였다. Cell viability was tested to determine whether the strain isolated in Example 1 was toxic to cells.

구체적으로, 먼저 인간 각질형성 세포주(Human epidermal keratinocyte cell line, HaCaT)를 10% 소혈청(FBS, Fetal bovine serum)을 함유하는 DMEM 배지(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에서 2.5 x 104 cells/well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여 밤새 배양하고, FBS가 제거된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pecifically, first,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was grown in DMEM medium (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containing 10% bovine serum (FBS) at a density of 2.5 x 10 4 cells/well. were inoculated into a 24-well plate, cultured overnight, and cultured in DMEM medium without FBS for 24 hours.

균주의 균질물에 대한 세포독성은 WST 분석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배양된 세포주에 상기 단백질농도 2mg/ml의 균주 균질물을 배양액의 10% 농도로 처리하거나 PBS를 10% 농도로 처리하여 동일 조건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10% PBS 처리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각 웰당 전체 부피 500μL로 진행하였다. 배양배지를 제거한 후, 세포를 1X PBS로 1회 세척하고, WST-8 시약을 함유하는 DMEM 배지를 첨가하여 37℃에서 0.5~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50/62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Cytotoxicity of the strain homogenate was evaluated using the WST assay. The cultured cell lines were treated with the strain homogenate with a protein concentration of 2 mg/ml at a concentration of 10% of the culture medium or with PBS at a concentration of 10% and cultured for 24 hours under the same conditions. At this time, the 10% PBS treatment grou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the total volume was 500 μL per well. After removing the culture medium, the cells were washed once with 1X PBS, DMEM medium containing WST-8 reagent was added, and cultured at 37°C for 0.5 to 4 hours. Afterward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450/625 nm using a microplate read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3.

도 3은 실시예 1에서 분리한 균주의 균질물 처리에 따른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생존 능력을 WST 분석으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대조군: 10% PBS; 실험군: 10% 세포 용해물).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viability of human keratinocytes by WST analysis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homogenate of the strain isolated in Example 1 (control group: 10% PBS; experimental group: 10% cell lysat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v/v)의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경우 PBS로 처리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생존 능력에 별다른 차이가 없으므로, 상기 균주 균질물은 세포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균주의 균질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안전함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ure 3, when treated with 10% (v/v) of the strain homogenat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ability of human keratinocytes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treated with PBS, so the strain homogenate was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no cytotoxicity.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omogenate of this strain is safe when applied to the skin.

실험예 4. 항생 물질의 탐색Experimental Example 4. Search for antibiotics

실시예 2에서 얻은 균주 균질물에 열을 가하거나,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타제 K(Protase K)로 처리하였을 때, S. aureus ATCC 25923에 대한 항균 활성의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When the strain homogenate obtained in Example 2 was heated or treated with Protase K, a proteolytic enzyme, it was observed whether changes in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TCC 25923 occurred.

구체적으로, 앞서 실험예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균주 균질물은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aphylococcus aureus, 및 Staphylococcus capitis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활성이 어떠한 물질로부터 비롯되었는지를 추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과 동일한 실험방법을 사용하였으며, S. aureus ATCC 25923를 항균 표적 균주로 이용하였다. 균주 균질물은 실시예 2를 거쳐 제조한 후, 1.5mL씩 소분하여 3개의 E-tube에 나누어 담았고, 각 튜브는 이후의 처리과정을 거쳤다. 하나의 튜브는 그대로 아이스 버킷에 보관하고, 하나의 튜브는 95℃에서 10분간 처리하였으며, 하나의 튜브에는 프로타제 K를 1m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각 처리과정이 완료된 균주 균질물을 한천 구덩이에 150 μL 접종하고 30℃ 배양기에서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성되는 클리어존을 관찰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as previously seen in Experimental Example 1, the strain homogenate of Example 2 show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aphylococcus aureus , and Staphylococcus capitis . It was estimated from what substance this activity came from. To this e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same experimental method as Experimental Example 1 was used, and S. aureus ATCC 25923 was used as the antibacterial target strain. The strain homogenate was prepared through Example 2, then divided into 1.5 mL portions and placed in three E-tubes, and each tube underwent subsequent processing. One tube was stored in an ice bucket as is, one tube was treated at 95°C for 10 minutes, and one tube was treated with Protase K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Strain homogenates after each treatment process were placed in an agar pit at 150 °C. After inoculating μL and culturing for 24 and 48 hours in an incubator at 30°C, the clear zone created was observ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4.

도 4는 균주 균질물에 열을 가하거나 프로타제 K로 처리한 후, 이를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에 처리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균주 균질물의 유효 물질이 어떠한 성질을 지닌 성분인지 파악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열처리: 95℃ 10분, 프로타제 K; 1mg/mL)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to determine what properties the active substance of the strain homogenate has by applying heat to the strain homogenate or treating it with Protase K and then treating it with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to measu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Heat treatment: 95℃ 10 minutes, Protase K; 1mg/mL)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균주 균질물을 열 처리하거나 혹은 프로타제 K로 처리한 경우 클리어존이 희미해지거나 사라지므로, 항균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고, 특히 프로타제 K로 처리한 경우 클리어존이 완전히 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추어 볼 때, 상기 균주 균질물에서 확인되는 항균 활성은 임의의 단백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As shown in Figure 4, when the strain homogenate is heat-treated or treated with protease K, the clear zone fades or disappears, showing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is suppressed, and in particular, when treated with protease K, the clear zone is cleared. It was confirmed that John had completely disappeared. In light of this, it is assume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confirmed in the strain homogenate is caused by a random protein.

실험예 5. 표준 균주와의 항균 활성 비교Experimental Example 5.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y with standard strains

본 실험에서는 실시예 2에서 얻은 Micrococcus luteus CBN009 균주 균질물과 이의 표준 균주인 Micrococcus luteus ATCC 4698의 항균활성을 비교하였다.In this experimen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Micrococcus luteus CBN009 strain homogenate obtained in Example 2 and its standard strain, Micrococcus luteus ATCC 4698, were compared.

구체적으로, 항균 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q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해당 균주들을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TSB 혹은 MH배지에서 배양하였으며, 세균은 34℃ 호기성 챔버(aerobic chamber)에서, 효모는 30℃ 호기성 챔버에서 키웠다. 생장 곡선상 성장 단계(exponential phase)의 최종 시점에서 1/100(seed/media)가 되도록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을 통해 생장 곡선상 성장 단계(exponential phase)의 초입에 도달한 세포주를 OD600 0.01로 희석한 희석용액을 준비하여 항균능력을 평가하였다.Specifically,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 (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quum, Pseudomonas aerug. 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First, the strains were cultured in TSB or MH medium to be used in experiments. Bacteria were grown in an aerobic chamber at 34°C, and yeast was grown in an aerobic chamber at 30°C. It was subcultured to 1/100 (seed/media) at the end of the exponential phase according to the growth curve. A diluted solu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a cell line that had reached the beginning of the exponential phase on the growth curve through subculture to an OD 600 of 0.01, and its antibacterial ability was evaluated.

상기 균주 균질물의 항균 활성은 다음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먼저 MH 한천 플레이트 위에 항균 활성을 평가할 상기 10가지의 균주(S. aureus, MRSA, S. epidermidis, S. hominis, S. capitis, M. luteus, C. albicans, C. propinquum, P. aeruginosa, E. coli)의 희석물을 멸균된 면봉을 이용하여 2회에 걸쳐 펴바른 후, 지름 0.8 cm의 원형으로 Agar 구덩이를 만들었다. Agar 구덩이에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균주 균질물 150 μL를 접종한 후, 30℃ 배양기에서 24시간 및 48시간동안 키워 생성되는 클리어존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train homogenate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the above 10 strains ( S. aureus, MRSA, S. epidermidis, S. hominis, S. capitis, M. luteus, C. albicans, C. propinquum, P. aeruginosa, and After spreading the dilution of E. coli twice using a sterilized cotton swab, a circular agar pit with a diameter of 0.8 cm was created. After inoculating 150 μL of the strain homogenate prepared in Example 2 into the agar pit, it was grown in an incubator at 30°C for 24 and 48 hours to observe the resulting clear zon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5.

도 5는 실시예 2에서 얻은 Micrococcus luteus CBN009 균주 균질물과 이의 표준 균주인 Micrococcus luteus ATCC 4698로 처리한 경우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및 Escherichia coli DH5α에 대한 성장 억제능력을 측정한 결과이다.Figure 5 shows that when treated with the Micrococcus luteus CBN009 strain homogenate obtained in Example 2 and its standard strain, Micrococcus luteus ATCC 4698,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USA 300 (MRSA), Staphylococcus epidermidis ATCC 12228 , Staphylococcus hominis, This i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growth inhibition ability against Staphylococcus capitis, Micrococcus luteus, Candida albicans SC5314, Corynebacterium propinguum, Pseudomonas aeruginosa ATCC10145, and Escherichia coli DH5α.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Micrococcus luteus CBN009의 균주 균질물로 처리한 S. aureus ATCC 25923, MRSA, S. epidermidis, S. capitis에서 클리어존이 형성되었으며, 이의 표준 균주인 Micrococcus luteus ATCC 4698의 균질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에 비추어 볼 때, 유해한 포도상구균에 대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의 선택적인 항균활성은 Micrococcus luteus CBN009 균주의 특이적 특성이 아닌,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종이 가지는 독특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5, a clear zone was formed in S. aureus ATCC 25923 , MRSA, S. epidermidis, and S. capitis treated with the strain homogenate of Micrococcus luteus CBN009, and the homogenate of Micrococcus luteus ATCC 4698, its standard strain. The same result was also shown. In light of these experimental results, the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of Micrococcus luteus against harmful staphylococci can be seen a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Micrococcus luteus species, not a specific characteristic of the Micrococcus luteus CBN009 strain.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ACC)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Microbial Bank (KACC) KACC81251BPKACC81251BP 2023010320230103

Claims (14)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또는 이의 용해물(lysate),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Contains Micrococcus luteus , or its lysate, culture medium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 Staphylococcus capitis ) An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that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는 수탁번호 KACC 81251BP로 기탁된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인,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The antibacterial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Micrococcus luteus is a Micrococcus luteus strain deposited under the accession number KACC 81251BP.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An antibacterial quasi-drug composition that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An antibacterial external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that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An antibacterial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that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또는 이의 용해물, 배양액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항균용 약학 조성물.Contains Micrococcus luteus, or its lysate, culture o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An antibacteri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at selectively exhib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수탁번호 KACC 81251BP로 기탁되고,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및 스타필로코커스 카피티스(Staphylococcus capitis)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Deposited under accession number KACC 81251BP, Staphylococcus aureus , Methicillin resistance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Staphylococcus capitis A Micrococcus luteus strain that exhibits selectiv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청구항 11에 따른 균주의 용해물.A lysate of the strain according to claim 11. 청구항 11에 따른 균주의 배양액.Culture medium of the strain according to claim 11. 청구항 11에 따른 균주의 추출물.
Extract of the strain according to claim 11.
KR1020230093436A 2023-07-18 2023-07-18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KR1025988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436A KR102598869B1 (en) 2023-07-18 2023-07-18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3436A KR102598869B1 (en) 2023-07-18 2023-07-18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869B1 true KR102598869B1 (en) 2023-11-08

Family

ID=8874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3436A KR102598869B1 (en) 2023-07-18 2023-07-18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8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406B1 (en) 2021-01-22 2021-09-07 주식회사 커스토젠 Composition for controlling dermatological microorganisms
KR20220096261A (en)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Micrococcus luteus strain and its use for improving hair or scalp cond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261A (en) * 2020-12-30 2022-07-07 코스맥스 주식회사 Micrococcus luteus strain and its use for improving hair or scalp condition
KR102297406B1 (en) 2021-01-22 2021-09-07 주식회사 커스토젠 Composition for controlling dermatological microorganis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233B1 (en) Micrococcus luteus strain and skin condition improving uses of thereof
KR102273232B1 (en) Micrococcus lylae strain and skin condition improving uses of thereof
KR101705482B1 (en)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KR102273950B1 (en) Cutibacterium acnes subsp. acnes strain and skin condition improving uses of thereof
KR102011240B1 (en) Novel Lactobacillus paracasei SKB1192 strain and its products with light protection
KR102117218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beauty comprising extract of fermented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cristatus strain
KR101911349B1 (en) Novel Actinokineospora sp. R434 having anti-bacterial, anti-oxidant, skin-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
KR102361015B1 (en) Use of Sphingomonas olei to improve skin condition
KR102361014B1 (en) Use of Dermacoccus nishinomiyaensis to improve skin condition
KR102598869B1 (en)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KR20130074825A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bifidobaterium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and extract of germinated soybean
KR102406594B1 (en) Lactobacillus sakei AMP 5104 strain and uses thereof
KR102273234B1 (en) Kocuria varians strain and skin condition improving uses of thereof
KR100467068B1 (en) Lactococcus lactis CBT-19,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lture broth concentration and the cosmetic preparation
KR20170114574A (en) The soap composition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 for improving atopic dematitis
KR102411243B1 (en) Use of Calidifontibacter indicus to improve skin condition
KR102411242B1 (en) Use of Klebsiella aerogenes to improve skin condition
KR102411240B1 (en) Use of Phycicoccus jejuensis to improve skin condition
KR102430927B1 (en) Lactobacillus plantarums BCRC-L43 strain derived from Centella asiatica and its use for anti-inflammation, anti-allergy, skin microorganism regulation and skin soothing
KR101784101B1 (en) The ladies genital area cleanser cosmetic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mixture of Ceriporia lacerata
KR102411241B1 (en) Use of Corynebacterium sanguinis to improve skin condition
KR101729654B1 (en) A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carex humilis
KR102390839B1 (en) Staphylococcus-derived antibacterial substance mixtur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uses thereof
KR102558085B1 (en) Bifidobacterium animalis subsp. lactis strain and its use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KR102621450B1 (en) Novel Latilactobacillus curvatus M21F011 strain,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