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482B1 -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 Google Patents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482B1
KR101705482B1 KR1020160041905A KR20160041905A KR101705482B1 KR 101705482 B1 KR101705482 B1 KR 101705482B1 KR 1020160041905 A KR1020160041905 A KR 1020160041905A KR 20160041905 A KR20160041905 A KR 20160041905A KR 101705482 B1 KR101705482 B1 KR 101705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lotion
mycelium
cream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백
경수현
김미경
박동철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04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4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8/97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uring method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active ingredients of a Ceriporia lacerata cultured material, and to atopy dermatitis alleviating lotion or cream containing mycelia culture medium exo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Mycelia dried materials, concentrates, exo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ultured by the Ceriporia lacerata is cultured by adjusting rpm for supplying and agitating air at 0-500. The lotion or cream uses Ceriporia lacerata as an active ingredient. A method for producing a Ceriporia lacerata mycelia culture medium and lotion or cream having a high atopy dermatitis alleviating effect by containing an extract thereof and a natural material deriv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are widely provided to people in the world.

Description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Ceriporia lacerata)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농축물. 이의 건조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ceropiola lucer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produced by Ceriporia lacerata.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mycelium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3-lipolylacerase comprising beta-glucan. As an active ingredient, an extract of a dried product thereof, or an extract of a culture product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lipopolysaccharide.

아토피 피부염은 유아기 혹은 소아기부터 만성적으로 재발성이 높은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과 피부건조증,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부터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나 무릎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성인은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가 나타나며 유 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 라는 보고도 있다.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highly recurrent inflammatory skin disease in infancy or childhood, accompanied by pruritus, dry skin, and eczema. In infancy, it starts with the face and limbs, but grows and appears as an eczema in the arms and knees. Adults are more likely to develop eczema on the face compared to early childhood, with thickening of the folding skin. Atopic dermatitis is a worldwide increasing trend and its prevalence is reported to be 20% of the population.

이는 고도의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스턴트식품의 지나친 섭취, 콘크리트, 주거공간의 변화, 미세먼지, 공업적 요인으로 인해 알레르기 물질이 증가 요인이 크다. 이로 인해 다양한 유전적, 면역학적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서 다양한 질병이 유발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아토피와 같은 면역질환을 포함한 피부질환이 늘어가고 있다. 특히 아토피는 피부건조증, 가려움증을 수반하는 만성 피부질환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As the industrialization progresses, allergic substances increase due to excessive consumption of instant food, changes in concrete, residential space, fine dust, and industrial factors. As a result, a variety of genetic and immunological abnormalities have occurred and various diseases have been induced. Among them, skin diseases including immunological diseases such as atopy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atopy is a chronic skin disease accompanied by dry skin and itching.

아토피 피부염 발병시 환자는 병·의원 및 약국에서 스테로이드의 연고 및 항히스타민제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내복약 등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색소침착, 탈모, 가려움증, 안면홍조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are treated with steroid ointments and antihistamines in illnesses, clinics and pharmacies. However, side effects such as pigmentation, hair loss, itching, and facial flushing have been reported when steroid medications are used continuously.

이뿐만 아니라 부신피질 기능 부전, 당뇨병, 위염, 우울증, 두통, 골다공증, 혈압상승 등을 유발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스테로이드계 연고를 사용할 경우 피부에 피부감염증, 스테로이드 좌창, 스테로이드 피부염, 그 밖에도 뇌하수체 부신피질계 기능 억제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가져오고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It is also known to cause cortical dysfunction, diabetes, gastritis, depression, headache, osteoporosis, and elevated blood pressure. In addi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when steroid ointment is used,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skin infections, steroid acne, steroid dermatitis, and other pituitary adrenal cortical functions are brought about.

이와 같은 피부에서의 염증 반응은 미생물의 감염, 호르몬의 과다분비, 피지 성분의 과잉분비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염증반응은 사이클로옥시기나아제-2의 작용으로 생성되는 프로스타글랜딘(prostaglandin) E2에 의한 매개반응이 알려져 있다. Such inflammatory reactions in the skin are caused by infection of microorganisms, excessive secretion of hormones, and excessive secretion of sebum components. The inflammatory response is known to be mediated by prostaglandin E2 produced by the action of cyclooxy or azet-2.

천연 물질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효과가 있는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다양한 효능을 연구하였다. 이는 항염 및 항균활성을 통해 강한 프로스타글랜딘 E2 저해활성 및 항균활성을 모두 보유함을 발견하고,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에 적용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a lotion or cream composition having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topic dermatitis using a natural substance, various effects of the three lipolylacerases have been studied. It has found that it possesses both a strong prostaglandin E2 inhibitory activity and an antimicrobial activity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ntimicrobial activity, and it has been found that it contains at least three kinds of active ingredients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을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tion or cream composition to people that has the effect of ameliorating atopic dermatitis.

지금까지 개발된 아토피 치료제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8135호: 백장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로갈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 있는데 이는 백장미로부터 피로갈롤물질을 추출하여 아토피를 치료하고자 하였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iseases developed so far include,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8135, which i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which contains, as an active ingredient, an extract of White roots or a pyrogallol compound isolated therefrom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by extracting pyrogallol material from white beans.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25094호: 새송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있는데 이는 새송이 버섯에서 아토피 치료용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이였다.Another technology is Korean Patent No. 10-1325094, which is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extract of mushroom mushroom, which is a method for extracting active ingredient for treating atopy in mushroom mushroom.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7758호는 처리된 굴참나무 목재 칩을 용매로 추출한 굴참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기술된 바 있다. 더불어 공개특허 10-2010-0094868호인 치마 버섯 다당류를 고수율로 대량 제조하기 위한, 개선된 치마 버섯 유래 다당류의 제조 방법 또한 선행기술된 바 있는데 이는 합성 배지를 사용하여 치마 버섯 다당류를 그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치마 버섯 유래 다당류를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하는 데 유용하며, 이렇게 생산된 치마 버섯 다당류는 기능성 비누, 로션 및 스킨 등의 화장품, 피부보호 및 다이어트 식품 등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다수의 기술이 선행기술로 기술된바 그러나 본원에서처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배지 조성 및 배양방법으로 개선하여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산업적으로 신속하고 대량으로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효과가 우수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을 제공하는 기술은 아직껏 그 어디에도 개시되지 않았다.Anoth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7758 disclos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an extract of Quercus variabilis extracted from a treated oyster oak wood chip as an active ingredient. In addition, a process for producing improved skim-mushroom-derived polysaccharides for mass-producing skimoric acid polysaccharides in high yield,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94868, has also been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is method is useful for mass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skim mushroom which can be produced at a high yield, but at a low cost. The thus produced skim mushroom polysaccharide is useful for development of cosmetics such as functional soaps, lotions and skins, skin protection, A number of techniques that can be utilized have been described in the prior art, however, as described herein, by improving the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method of the three lipolylaceratra to produc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myceli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3-lipolylacerase comprising beta-gluca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extract of mycelial cultures of the above-mentioned Sera lipolactacrata and cultivating it industrially rapidly and in a large amount, and a technology for providing atopy improve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Sera lipolactaclora excellent in effect Has not yet been launched anywhere.

본 발명의 비특허 문헌으로도 다수의 관련문헌을 엿볼 수 있는데 먼저 천연 염색 생물 유래 소재 기반 기능성 바이오 조성물(박태규 동향/연구보고서 건국대학교 2013년)이 이루어진 바 있다.The non-patent lit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limpse of a number of related documents. First, functional biomaterials based on natural dye-based biological materials (Park Tae Kyu Trend / Research Report, Konkuk University, 2013) have been made. 또 다른 문헌으로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을 통한 세포 외 다당체 생산 및 항 당뇨 효과(김지은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와 특성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또한, 흰 목이버섯 (Tremella fuciformis)의 균사체 액체배양을 통한 세포 외 다당체를 배양하는 방법(조은재 대구대학교 2007)이 선행되었다. In ad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tion and antidiabetic effect (Kim, Ji - Eun, Ph.D., Keimyung University, 2013) through the liquid cultivation of mycelium of Sella lipolas serratata mushroom. In addition, a method of culturing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liquid culture of mycelium of Tremella fuciformis (Cho Eun-Dae Daegu University 2007) was preceded. 더불어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복령과 후박의 항산화 및 항암 효과(손미예 경상대학교,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2207) 논문과 같이 버섯 유효 성분으로 생산되는 고분자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액체배양을 통한 대량생산으로 식품, 화장품 및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mushroom mycelia fermented by mushroom mycelium (Sangmye Yeo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Traditional Fermented Food Research Institute, 2207) As shown in the paper,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high molecular polysaccharides and beta - Can be utilized as food, cosmetics and functional materials. 특히, 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은 생물전환기술을 최적화함으로써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유용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서 경제성이 높다. 따라서 식용, 약용을 포함한 다양한 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생산에 따른 우수한 종균의 선별을 하며, 이를 이용한 생물전환기술의 최적화기술은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In particular, liquid cultivation of mycelium mycelium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effectively produce useful substances in a short time by optimizing biotransformation techniques. Therefore, research on cultivation of various mushroom mycelia including edible and medicinal materials, selection of excellent seeds according to production of various functional materials, and optimization technology of bioconversion technology using them are industrially useful.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액체배양을 생산 최적화 및 기능성 물질들을 개발함으로써 천연 물질을 통한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정하고,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특징으로 갖는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veloped a liquid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three lipolylacerase and developed a functional substance, thereby being stable without skin irritation through natural substances and having an effect of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seripositive liposarate ≪ / RTI >

아토피 피부질환은 환자에게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안겨 주지만, 현재 스테로이드(Steroid)제, 항히스타민(Histamine)제 등이 부작용이 있는 일시적 치료제뿐이며,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부작용이 없으며, 진피까지 침투하여 염증유발 물질을 제어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할 수 있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을 제공하는 것이다. Although atopic dermatologic diseases caus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only temporary remedies with side effects such as steroids and antihistamines are currently available, and alternatives are need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tion or cream for atopic dermatitis which is free from side effects and can infiltrate into the dermis to control inflammatory substances to improve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전술한바 대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배지 조성 및 배양방법으로 개선하여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농축액. 이의 건조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 생산성을 향상시켜 산업적으로 신속하고 대량으로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 제조 방법과 그의 추출물 및 유래의 천연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갖는 입욕제, 바디워시 및 이를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ulture medium and cultivation method of the cellulolytic enzyme, as described above, to produc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mycelium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of three lipolactacera containing beta-glucan. And a method for culturing the same in an industrially rapid and large-scale manner 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dried product thereof or the extract product of the mycelial culture product of the cellulolytica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cultured Mycelium lacticera mycelium, an extract of the same and a natural substance derived from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 bathing agent, a body lotion and an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lotion or cream composition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농축물. 이의 건조물 및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을 제조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produced by Sera lipolactacera.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lipopolysaccharide. And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an extract of the dried product and a culture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aforementioned lipopolysaccharide as an active ingredient.

또한,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다양한 배양방법, 즉 초기 및 배양 중의 pH, 공기 주입량, 배양 중에 산소 공급 및 배지 성분의 균일하게 하기 위해 배양물 교반할 수 있는 임펠러(Impeller) 속도에 따라 적정한 용존 산소(D O, Dissolved oxygen)유지 및 배지 성분을 균일한 확산시키며 이의 최적화에 따라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하였고, 이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various culturing of cerporolactaceratas, that is to say, during initial and during culture, depending on the pH, the amount of air injected, the oxygen supply during the culture, and the impeller speed at which the culture material can be agitated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O (Dissolved Oxygen) and uniformly diffusing the medium components, and industrially mass-produc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optimization, thereby preparing a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조성물은 피부 염증유발 세포의 감소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을 감소 효과를 통해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을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used for general use of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through reduction of atopic dermatitis through reduction of skin inflammatory cells.

본 발명에 따른 배지 조성으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농축물. 이의 건조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 제조 시 탄소 원, 질소원, 무기염류를 최적화하여 산업적으로 대량 배양할 수 있다.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produced by three lipolylacerate in the medium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mycelium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3-lipolylacerase comprising beta-glucan. A carbon source, a nitrogen source, and an inorganic salt can be optimally optimized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an extract of the dried product thereof or the mycelial culture product of the above-mentioned cellulolytic enzyme.

또한, 본 발명은 배양방법으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농축물. 이의 건조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 제조 시에 의하여 제조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produced by three lipolylaceratases by a culture method.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mycelium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3-lipolylacerase comprising beta-glucan. Or by preparing an extract of the dried product thereof or a mycelial culture product of the above-mentioned cellulolytic enzyme.

또한, 초기 및 배양 중의 pH, 공기 주입량, 배양 중에 산소 공급 및 배지 성분의 균일하게 하기 위해 배양물 교반할 수 있는 임펠러 속도에 따라 적정한 용존 산소유지 및 배지 성분을 균일한 확산시키는 방법을 최적화하여 산업적으로 대량 배양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optimize the method of uniformly diffusing the medium component and maintaining dissolved oxygen in accordance with the impeller speed at which the cultured material can be agitated in order to uniform the initial pH during the culture, the amount of air injected, the oxygen supply during cultivation, . ≪ / RTI >

더불어 배양중에 영양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균사체 양을 향상시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nutrients can be added to the culture to improve the amount of mycelium,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dried cellulolytic enzyme and the amou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product.

본원의 로션 또는 크림에 사용되는 균사체를 배양하는 방법으로는 고체 배양법과 액체 배양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고체배양법은 재배시간이 길고, 오염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배양이 완료된 후 균사체만을 회수하는 작업을 자동화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에 균사체의 액체 배양법은 고체 배양법에 비하여 오염가능성이 작고, 비교적 조밀한 공간에서 짧은 시간 동안에 대량 배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a method for culturing the mycelium used in the lotion or cre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id culture method and a liquid culture method can be used. In the solid culture method, the operation for collecting only the mycelium after the cultivation is completed and the culture time is long, The mycelial liquid culture method has a small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compared with the solid culture method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mass-cultured in a relatively compact space in a short time.

버섯의 균사체와 유용성분을 포함하는 액체 배양물을 대량으로 단기간에 생산하기 위해서는 배지 성분의 최적화 및 경제성이 있는 원료들의 사용이 요구된다. In order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a liquid culture containing mushroom mycelium and useful components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required to optimize the medium components and use economical raw materials.

버섯의 액체배양을 위한 영양성분으로 옥수수 침지액(Corn steep liquor),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펩톤(Peptone) 등의 부산물 유래 탄소 원과 고가의 질소원 등이 사용되고 있다.As nutrients for liquid culture of mushrooms, a carbon source derived from by-products such as corn steep liquor, yeast extract and peptone, and an expensive nitrogen source are used.

대부분의 균류는 진탕 배양 시 펠릿(Pellet) 또는 필라멘트(Filament) 균사를 형성하며, 특히 담자균류들은 다양한 크기의 균사응집체를 형성한다. 상기 균사응집체로 인하여 벽면 생육(Wall growth)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교반 및 통기에 의한 물질 전달이 어려워져 균사 생육 및 생성물의 생산도 저해된다. 그동안 상기 문제점으로 인해 에어-리프트 발효조(Air-lift fermenter)가 일부 사용하여 왔으나, 현재 산업적인 생산을 위한 대규모 에어-리프트 발효조의 이용은 미흡한 실정이다. Most fungi form pellets or filament hyphae during shaking culture, and especially bacillus species form hyphae aggregates of various sizes. Wall growth occurs due to the mycelial aggregat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ransfer the substance by stirring and aeration, thereby inhibiting mycelial growth and production of the product. Although the air-lift fermenter has been used for some time, the use of a large-scale air-lift fermenter for industrial production is insufficient.

따라서 발효조에서의 배양이 불가피하며, 또한 벽면 생육의 방지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기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대한 배양방법은 에어 리프트(Air lift) 방식의 배양기에서 온도, pH, CO2 농도, 조사되는 빛의 양, 배지 성분에 대한 보고는 있지만, 교반기가 부착되어 있는 생물반응기(Bioreactor)의적용이 거의 없으며, 특히 최적 배양 조건으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정 농도 이상의 용존산소량을 유지하는 방법인 교반기의 교반속도, 통기량 등을 이용한 배양 방법은 전무한 상태이다. Therefore, cultivation in a fermentation tank is inevitable, and measures for preventing wall growth must be taken. The method of culturing the existing three lipolylaceratra is reported in terms of temperature, pH, CO 2 concentration, amount of light to be irradiated, and medium component in an air lift type incubator.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ents of the mycelia, the amount of the dried product,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cell culture medium, There is no method of culturing using a stirring speed of a stirrer, aeration amount, or the like.

따라서, 천연 소재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배양 방법의 최적화를 통해 산업적 생산이 가능한 배양방법을 이용하여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development method that can improve production using a cultivation method capable of industrial production through optimization of a culturing method of a natural material, such as a cellulolytic enzyme.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액 추출물을 대상으로 예의 연구를 계속한 결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에 있어 배양조건에 따라 개선되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추출물 및 유래의 베타글루칸과 세포 외 다당체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의 피부염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tinued intensive studies on the extract of the culture medium of the mycelial L. serrata, and as a result, found that the culture of the L. serrata is improved according to the culture condition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by discovering that the extract of the culture medium and the resulting beta-glucan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have an excellent effect for improving the dermatitis of the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도 1은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일 실시 예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 시 초기 pH에 따른 균사체의 생장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일 실시 예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 시 배양시간에 따른 균사체 생산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에 있어 배양기 종류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일 실시 예에 있어 700 L 공기 부양식 배양기에서의 배양과 5,000 L 교반형 생물반응기의 최적 조건에서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일 실시 예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처리량에 따른 항염증활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일 실시 예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농축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고를 2개월간 사용한 아토피환자의 손의 사용전과 후의 사진이다.
도 7은 본원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일 실시 예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농축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연고를 2개월간 사용한 아토피환자의 다리의 사용전과 후의 사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growth of mycelium according to initial pH at the time of culturing three lipriac lactase in one embodiment of the atopic improve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the three lipolylacer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graph showing productivity of mycelium over time during culturing of three lipolactacerata cultures in one embodiment of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sensation containing the present lipolylacer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ulture of seripositive Lactacerata according to the kind of a culture medium in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sensation containing the present lipolylacerase.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ulturing in a 700 L air culture incubator and an optimal condition of a 5,000 L stirred bioreactor in one embodiment of an atopic recovery lotion or cream comprising the present granola lacerata. Graph.
FIG. 5 is a graph showing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ccording to the treatment amount of three lipolactaclata in one embodiment of atopic lotion-containing lotion or cream containing the present lipolylacerase.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pre-use and the post-treatment of atopic patients using ointment prepared by using three liprias lactacerate concentrates in one embodiment of the atopic improve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the three- It is a photograph afterwards.
FIG. 7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pre-use and the post-use of atopy patients using the ointment prepared by using the three lipriac lactacer concentrate in one embodiment of the atopic improve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the three lipolylacer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2 months It is a photograph afterward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terms used to appropriately expres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상기한바 대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에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함유하는 것을 본원의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s described above contains ceriplora lactaclorata.

본원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은 일정 농도 이상의 용존산소량(Dissolved oxygen)농도하에서 교반 및 통기 변화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액체배양 시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cultured in a liquid culture medium of Saporolylaceras due to stirring and aeration change under a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of a certain concentration or more, the amount of mycelium, Thereby improving the content of the exo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더불어 교반 속도를 조절하여 일정 농도 이상의 용존산소량을 유지하며, 교반속도에 의해 용존산소량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2단계로 통기를 조절하여 자 발효조(Jar fermenter) 시스템에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효율적으로 균사체와 건조물,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을 생산한다. In addition, if the dissolved oxygen amount is not controlled by the stirring speed by controlling the stirring speed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r more, the aeration is controlled in two stages to effectively remove the mycelium from the jar fermenter system in the jar fermenter system. And dried product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and beta-glucans.

본 발명은 이처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농축물. 이의 건조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produced by three lipolylacerase.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mycelium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3-lipolylacerase comprising beta-glucan. Or an extract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C. lipolascerata.

따라서,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포함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농축물. 이의 건조물 또는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로 제품화될 수 있다.Therefor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lipopolysaccharide. A mycelial culture of three lipolylaceras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 concentrate of mycelium of the above-mentione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3-lipolylacerase comprising beta-glucan.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dried extract of the plant or an extract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cellulolytic agent may be commercialized as a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에센스, 크림으로 제제화되는 경우,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중량 %이다. When formulated into a lotion, essence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the content of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is 0.01 to 10% by weight, preferably 0.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이때,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is suitably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according to the content of components contained in the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제형화를 위해 허용 가능한 원료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 업계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원료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The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ar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cceptable raw materials or additives can be used for the formulation of the atopic dermatitis improvement lotion or cream and any raw material or additive known to be usable in the art for the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 to be prepared can be used have.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크림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크림의 제형 화를 위해 허용 가능한 원료 또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 업계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원료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The lotion,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oduced in the art,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cceptable raw materials or additives can be used for the formulation of the atopic dermatitis improving cream and cream and any raw materials or additives known to be used in the art in the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s to be manufactured can be used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또는 0.1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며 아무 문제없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01 to 10% by weight or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의 핵심물질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액체배양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균사체의 최적화된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을 결정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termined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mycelia in order to establish a liquid culture method for the mass production of the cultured lipase of cereals, which is the core substance of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크림의 핵심물질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대량생산을 위한 액체 배양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균사체의 최적화된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을 결정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termined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and culture conditions of mycelium in order to establish a liquid culture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a cultivar, which is a core substance of lotion and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의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대량 생산방법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생산방법에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액체 배양용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얻는 단계,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는 단계, 액체 배양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taclo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a mycelium of ceriplora lactaclora for liquid culture from a ceriplora lactacerata in the production method of ceraplora lactaclora, Culturing the mycelium of Serratia in a liquid culture, and culturing the liquid cultured Mycelium lacticera mycelium by using a bioreactor.

(1) (One)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로부터From Rock Serata 액체 배양용  For liquid culture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를 얻는 단계. Step of obtaining mycelium.

액체 배양용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얻을 수 있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PDA(Potato dextrose agar) 배지(Culture medium 100 플라스틱 배양 구. Difco,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서 7~11일 정치 배양하였다. Sera lipolyacerata mycelia for liquid culture can be obtained from Sera lipolactacera. The cell lipolylacerase was cultured for 7 to 11 days in a PDA (Culture medium 100 plastic culture medium, Difco,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on a PDA (Potato dextrose agar) medium.

그런 다음 500 배플(Baffle])이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PDB(Potato dextrose broth) 배지(Difco) 200 를 조성한 후, PDA 배양 균주 1개를 넣고 7~11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이때 접종 원으로 투입될 균사체의 양은 배양할 용액의 양을 기준으로 0.3%(w/v)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n, a PDB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Difco) 200 was prepared in an Erlenmeyer flask equipped with a 500-baffle, and then one PDA culture was added and cultured for 7-11 days.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mycelium to be added to the inoculum is preferably about 0.3% (w / v) based on the amount of the solution to be cultured.

(2)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는 단계.(2) a step of liquid culturing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era.

상기 (1) 단계에 의해 얻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용 배양액에 접종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여 얻을 수 있다.And then culturing the mycelia of ceriplora lactacerata by inoculating the culture medium for liquid culture with the mycelium of cerifolia lactaclora obtained in the above step (1).

액체 배양용 배양액은 물에 탄소 원, 질소원, 비타민, 무기물을 포함하도록 하여 pH가 4.06.5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pH가 조절된 배양액에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배양액 부피 대비 0.1∼10%으로 배양액에 첨가하고, 20∼25℃에서 7∼11일 동안 액체 배양할 수 있다.The culture medium for liquid culture can be adjusted to pH 4.06.5 by including carbon source, nitrogen source, vitamin, and inorganic substance in water. Then,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taclora in the pH-adjusted culture medium can be added to the culture liquid at a concentration of 0.1 to 10% relative to the volume of the culture medium, and liquid culture can be performed at 20 to 25 ° C for 7 to 11 days.

상기에서 탄소 원은 말토오스(Maltose), 글루코오스(Glucose), 락토오스(Lactose), 전분(Starch), 덱스트린(Dextrin), 수크로스(Sucrose), 프럭토스(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당분(Oligosaccharid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arbon sourc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tose, Glucose, Lactose, Starch, Dextrin, Sucrose, Fructose, Galactose, Mannose, ), And oligosaccharide may be used.

상기에서 질소원은 대두분, 면실분, 아미노산(Amino acid), 펩톤(Peptone), The nitrogen source may be selected from soybean powder, cottonseed powder, amino acid, peptone,

콘 스티프 리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congestion liquor can be used.

상기 무기물은 일인산칼륨(KH2PO4), 이인산칼륨(K2HPO4), 탄산칼슘(CaCO3), 염화칼슘(CaCl2), 황산 마그네슘(MgSO4), 염화나트륨(NaCl), 황산 망간 (Mn SO4)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The inorganic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monophosphate (KH 2 PO 4 ), potassium diphosphate (K 2 HPO 4 ), calcium carbonate (CaCO 3 ), calcium chloride (CaCl 2 ), magnesium sulfate (MgSO 4 ), sodium chloride (MnSO4) can be used.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성분의 배양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하나의 일 실시한 예로서, 상기 배지는, 0.2~5% 포도당, 0.2~1% 펩톤, 0.05~0.25% 일인산칼륨(KH2PO4), 0.02~0.1% 황산 마그네슘(MgSO4)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도당 3 중량%, 펩톤 0.5 중량%, 일인산칼륨(KH2PO4) 0.1 중량%, 황산 마그네슘(MgSO4) 0.05 중량%가 바람직하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medium is prepared by mixing 0.2 ~ 5% glucose, 0.2 ~ 1% peptone, 0.05 to 0.25% potassium monophosphate (KH 2 PO 4 ), 0.02 to 0.1% magnesium sulfate (MgSO 4 ), and water. Preferably, 3 wt% of glucose, 0.5 wt% of peptone, 0.1 wt% of potassium monophosphate (KH 2 PO 4 ), and 0.05 wt% of magnesium sulfate (MgSO 4 ) are preferable.

(3) 생물반응기를 이용해 액체 배양된 (3) a liquid culture using a bioreactor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를 배양시키는 단계. Culturing the mycelium.

상기 (2) 단계에 의해 액체 배양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는 생물반응기 내의 배양액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을 제조할 수 도 있다.The mycelia of the ceripolial lactaceras cultured by the above step (2) may be inoculated into a culture solution in a bioreactor and cultured to produce a culture of ceriplora lactaclora.

그리고 생물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은 정제 수에 탄소 원, 효모추출물, 질소원, 비타민, 무기물을 포함하도록 하여 pH가 4.0~6.5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 culture medium inside the bioreactor can be adjusted to pH 4.0 to 6.5 by including carbon source, yeast extract, nitrogen source, vitamins and minerals in the purified water.

그런 다음 액체 배양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배양액 부피 대비 0.1∼10%으로 생물반응기 내의 배양액에 접종한 후, 0.02∼2 vvm(volume of air added to liquid volume per minute)의 공기를 생물반응기 내부로 공급하여 20∼25℃의 온도에서 7∼11일 동안 배양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을 제조할 수 있다. Then, the liquid cultured Sella lipolactacera mycelium is inoculated into the culture liquid in the bioreactor at a concentration of 0.1 to 10% of the volume of the culture liquid, and then air of 0.02 to 2 vvm (volume of air added to liquid volume per minute) And cultured at a temperature of 20 to 25 DEG C for 7 to 11 days to prepare a culture of ceriplora lactaclora.

상기 생물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에서, 탄소 원은 말토오스,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덱스트린, 수크로스, 프럭토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ulture medium inside the bioreactor, the carbon sourc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maltose, glucose, lactose, starch, dextrin, sucrose, fructose, galactose and mannose.

상기 생물반응기 내부의 배양액에서, 질소원은 대두분, 면실분, 아미노산, 펩톤, CS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culture medium inside the bioreactor, the nitrogen source may be selected from soybean powder, cottonseed powder, amino acid, peptone, and CSL.

상기에서 무기물은 일인산칼륨(KH2PO4), 이인산칼륨(K2HPO4), 탄산칼슘(CaCO3), 염화칼슘(CaCl2), 황산 마그네슘(MgSO4), 염화나트륨(NaCl), 황산 망간 (MnSO4)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The inorganic material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tassium monophosphate (KH 2 PO 4 ), potassium diphosphate (K 2 HPO 4 ), calcium carbonate (CaCO 3 ), calcium chloride (CaCl 2 ), magnesium sulfate (MgSO 4 ), sodium chloride Manganese (MnSO4) may be used.

본 발명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성분의 배양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prepare a culture solution of various constituents for liquid culture of mycelium of ceraria lacera.

바람직한 하나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배지는, 0.2~5% 포도당, 0.2~1% 펩톤, 0.05~0.25% 일인산칼륨(KH2PO4), 0.02~0.1% 황산 마그네슘(MgSO4)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도당 3 중량%, 펩톤 0.5 중량%, 일인산칼륨(KH2PO4) 0.1 중량%, 황산마그네슘(MgSO4) 0.05 중량% 이다.Preferred as one embodiment of the medium is 0.2 to 5% glucose, 0.2 ~ 1% of peptone, 0.05 ~ 0.25% one potassium phosphate (KH 2 PO 4), 0.02 ~ 0.1% of magnesium sulfate (MgSO 4) and water . ≪ / RTI > Preferably 3% by weight of glucose, 0.5% by weight of peptone, 0.1% by weight of potassium monophosphate (KH 2 PO 4 ) and 0.05% by weight of magnesium sulfate (MgSO 4 ).

본 발명에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대량 배양용 생물반응기로는 본원 관련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며,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생물반응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생물반응기의 일례로서 순환형(기포 통기형) 공기 부양식 생물반응기, 풍선형 공기 부양식 생물반응기, 칼럼형 공기부양식 생물반응기, 교반식 생물반응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ioreactor for large-scale cultivation of mycelia lacticera mycelium is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bioreactor capable of injecting air can be used. As an example of such a biorea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selected from a circulation type (air bubble type) air bioreactor, a balloon type air bioreactor, a column type air bioremediation bioreactor and an agitated bioreactor can be used .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에 의해 얻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추출물 혹은 건조물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lipolylacerase culture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of mass-producing the myelofibrosarcera mycelium. And an extract or a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medium of ceriplora lacerata.

(4) (4)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배양물로부터From the lactase culture 건조물, 추출물,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제조하는 단계. The step of preparing the dried product, the extract,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the beta-glucan.

본 발명의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from a cell culture supernata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은 (a)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액체 배지에서 배양하여 균사체 배양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및 배양물을 건조해 분말 화하는 단계, 및 (c) 균사체 배양물 분말을 용매로 추출하여 이로부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할 수 있다.Preferably,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is produced by culturing (a) a cellulolytic enzyme in a liquid medium to produce a mycelial culture, (b) culturing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era, Followed by drying and pulverizing, and (c) extracting the mycelial culture powder with a solvent to obtain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from the extract.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균사체 배양물을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시켜 분말화 할 수 있다. 상기의 건조는 유효물질의 소멸을 방지하기 위해 40℃ 이하의 온도, 보다 구체적으로는 30℃ 이하의 온도에서 48 내지 96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b) 단계에서의 건조는 증발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하는 진공건조기보다 진공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유효물질 함량 변화가 최소화됨이 바람직하다.In the step (b), the mycelial culture produced in the step (a) may be pulverized by vacuum drying or lyophilization. The dry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0 DEG C or lower, more specifically, at a temperature of 30 DEG C or lower for 48 to 96 hours in order to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active substance. The drying in the step (b) preferably uses a vacuum freeze dryer rather than a vacuum dryer in which the evaporation temperature is set to be relatively high, so that the change in effective substance content is minimized.

본 발명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은,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을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 추출, 초음파추출, 초 임계추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extract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culturing the mycelial culture of the above-mentioned mycelium of Cerporaria lactara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that is, by using ordinary solvents such as hot water extraction, Heating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the like.

이때 각 원료 유기농 식물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각각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each raw organic plant is preferably extracted using an extraction solvent, and then mixed and used.

구체적으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1,3-부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다. Specifically, a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 glycols having 1 to 6 carbon atoms, anhydrous or hydrated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acetone, ethyl acetate, chloroform, 1,3-butylene glycol,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v/v) 1,3-부틸렌 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때 추출 용매의 사용량은 원료 중량의 10 내지 30배 부피 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다.More preferably, 35 to 45% (v / v) 1,3-butylene glycol is extracted using as an extraction solvent. In this case, the amount of the extraction solvent used is 10 to 30 times the volume of the raw material, more preferably 20 times.

추출온도와 시간은 추출하고자 하는 시료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40 내지 100℃에서 3 내지 100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0 내지 70℃에서 1일 내지 5일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결과물을 여과 또는 정제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sample to be extra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raction is performed by heating at 40 to 100 ° C for 3 to 100 hours or at 50 to 70 ° C for 1 to 5 days. Or purification process.

또한, 본 발명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ract of the mycelial cul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powder form by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vacuum distill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상기 (c) 단계에서는 (b) 단계에서 얻은 균사체 배양물 건조물을 용매로 추출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을 분리, 제조한다. In step (c), the cultured mycelial body obtained in step (b) is extracted with a solvent, and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solated and prepared.

세포 외 다당체를 얻기 위해 건조 분말 1~10g에 증류수 100㎖를 첨가하여 잘 현탁한 후, 10,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이의 상등액에 그 양의 2 ~ 4배에 해당하는 95% 이상의 순도를 갖는 용매를 첨가하고 2 ~ 6℃의 냉장고에 넣어 12 ~ 18시간 정치시킬 수 있다. To obtain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100 mg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1 ~ 10 g of dry powder and suspended well. The suspension was centrifuged at 10,000 rpm for 20 minutes, and its purity was 95% or more And the mixture is allowed to stand in a refrigerator at 2 to 6 ° C for 12 to 18 hours.

상기의 정치 물을 10,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을 회수 및 동결건조하여 조(Crude) 세포 외 다당체를 제조할 수 있다. After centrifugation for 20 minutes at 10,000 rpm, the precipitate is collected and lyophilized to produce a crud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상기 세포 외 다당체는 40 ~ 60 중량%의 당과 30 ~ 40 중량%의 단백질, 40 ~ 50 중량%의 당과 32 ~ 38 중량%의 단백질, 또는 43 ~ 47 중량%의 당과 33 ~ 36 중량%의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45 중량%의 당과 약 34 중량%의 단백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Wherein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mprises from 40 to 60% by weight of sugar, from 30 to 40% by weight of protein, from 40 to 50% by weight of sugar and from 32 to 38% by weight of protein, or from 43 to 47% % Protein, more specifically about 45 wt% sugar and about 34 wt% protein.

베타-글루칸은 건조 분말 10g에 증류수 50㎖를 가하여 현탁시킨 다음 실온에서 20%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을 이용하여 pH를 10.0으로 조정한 후 10시간 정도를 방치하여 분말 시료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한다. 이 연화된 시료액에 고온에 안정한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를 가하여 60℃의 항온수조 내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처리를 한 후 실온으로 냉각한다. 이 액을 pH 5로 맞춘 다음 아밀로글루코시데이즈(Amyloglucosidase)로 60℃의 항온수조에서 2시간 동안 교반을 한다. The β-glucan is suspended in 10 g of dry powder by adding 5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 pH is adjusted to 10.0 using 20% sodium carbonate at room temperature, followed by allowing to stand for about 10 hours so that the powder sample is sufficiently softened. To this softened sample solution, α-amylase stable at high temperature is added, and the mixture is stirred for 2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60 ° C., treated with an enzyme,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is solution is adjusted to pH 5 and then stirred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60 ° C for 2 hours with amyloglucosidase.

그 다음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서 pH를 4.5로 맞춘 후, 5℃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냉각한다. 냉각한 추출액을 원심분리(30 Min, ×8000 rpm)하여 상등액만을 취한 후 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게 되고 이 농축액에 4배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4시간 정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는다. 이 침전물을 다시 물에 용해한 후 pH를 4.5로 맞춘 다음, 아밀로글루코시데이즈(Amyloglucosidase)로 58℃에서 2시간 동안 효소를 재처리한다. 처리 후 95℃에서 30분 동안 효소를 불활성 시킨 다음 냉각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에탄올로 재침전시켜 조(Crude) 베타-글루칸(β-glucan)을 제조할 수 있다.Then, the pH is adjusted to 4.5 to inactivate the enzyme, and the mixture is stirred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5 캜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The cooled extract is centrifuged (30 min, × 8000 rpm) to remove only the supernatant. The concentrate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a temperature of 40 ° C. Four times as much ethanol is added to the concentrate for 4 hours and centrifuged to obtain a precipitate. The precipitate is dissolved again in water, the pH is adjusted to 4.5, and the enzyme is reprocessed at 58 ° C for 2 hours with Amyloglucosidase. After the treatment, the enzyme is inactivated at 95 ° C for 30 minutes, and then cooled and centrifuged to obtain the supernatant, which is then reprecipitated with ethanol to prepare crude beta-glucan.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 예 및 시험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Test Examples.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xample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의 고체배양에서 배지 및 생장조건 결정. Determination of medium and growth conditions in solid culture of mycelium.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생장성이 가장 우수한 배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다양한 종류의 배지를 이용하여 균사생장과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최적의 생장 배지를 결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종류의 배지는 살균 전 pH 5.5로 조절되어 살균되었다. 정치배양을 위해서 24±2℃로 고정된 배양기에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10일간 배양한 후, 그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지름 및 균사밀도를 측정하여 생장성을 조사하였고 아래의 표로 나타내었다.The optimal growth medium was determined by measuring mycelial growth and density using various kinds of media described in the following Table 1 in order to determine the medium having the best growth properties of mycelia Lactarata mycelium. Specifically, each kind of medium was sterilized by adjusting pH to 5.5 before sterilization. After culturing the mycelium of C. liparcerata for 10 days in an incubator fixed at 24 ± 2 ℃ for the cultivation, the growth and viability of the mycelium and the diameter of the mycelium of C. lipa ceratata were measured, .

배지 종류에 따른 균사체 생장성 조사.Investigation of Mycelial Growth by Different Media Types. 배지badge PDAPDA YMYM NUNU YMGYMG LBLB MYPMYP MCMMCM 지름/mmDiameter / mm 7676 6767 5454 7070 6161 7171 6767 균사밀도Mycelial density ****** **** ** ****** **** **** **

균사밀도 : 우수(***), 양호(**), 보통(*)Mycelial density: excellent (***), good (**), moderate (*)

실험장소 : CL 바이오 기업 부설 연구소.Place: CL Bio Research Institute.

PDA : Potato 200g, Dextrose 20g, Agar 15g/LPDA: Potato 200g, Dextrose 20g, Agar 15g / L

Y M: Yeast extract 3g, Malt extract 3g, Peptone 5g, Dextrose 10g, Agar 15g/LY M: Yeast extract 3g, Malt extract 3g, Peptone 5g, Dextrose 10g, Agar 15g / L

NU : Peptone 5g, Beef extract 3g, Agar 15g/LNU: Peptone 5 g, Beef extract 3 g, Agar 15 g / L

YMG : Yeast extract 4g, Malt extract 10g, Glucose 4g, Agar 15g/LYMG: Yeast extract 4g, Malt extract 10g, Glucose 4g, Agar 15g / L

LB : NaCl 10g, Yeast extract 5g, Tryptone 10g, Agar 15g/LLB: 10 g of NaCl, 5 g of Yeast extract, 10 g of Tryptone, 15 g / L of Agar

MYP : Malt extract 30g, Yeast extract 2g, Peptone 1g, Agar 15g/LMYP: Malt extract 30 g, Yeast extract 2 g, Peptone 1 g, Agar 15 g / L

MCM : Glucose 20g, Yeast extract 2g, Peptone 3g, MgSO42O 0.5 g, K2HPO4 1g, KH2PO4 0.46 g, Agar 20 g/LMCM: Glucose 20g, Yeast extract 2g , Peptone 3g, MgSO 42 O 0.5 g, K 2 HPO 4 1g, KH 2 PO 4 0.46 g, Agar 20 g / L

그 결과,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DA, YMG, MYP 배지에서 대체로 우수한 생장성을 보였으며, 특히 PDA 배지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체의 생장성이 가장 우수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1, PDA, YMG, and MYP medium showed excellent growth performance. In particular, when the PDA medium was used, the mycelial growth was most excellent.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의 온도에 따른 생장성 측정. Measurement of Growth by Temperature of Mycelium.

본원의 핵심물진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고체 배지 배양온도에 따른 생장성 측정을 위하여, 가장 우수한 생장성을 나타낸 PDA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온도를 18℃, 20℃, 22℃, 24℃, 26℃으로 설정한 후, 10일간 배양하여 각 온도에 따른 균사체의 생장성을 조사하였다.In order to measure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mycelium of the cell culture medium, which is the cor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DA medium having the best growth characteristics, the cultur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8 ° C., 20 ° C., 22 ° C., 24 ° C. , And set at 26 DEG C, and then cultured for 10 days to examine the growth of mycelium according to each temperature.

배양 온도에 따른 균사체 생장성 조사.Investigation of Mycelial Growth by Temperature. 온도()Temperature() 1818 2020 2222 2424 2626 지름(mm)Diameter (mm) 3838 6464 8080 7575 7070 균사밀도Mycelial density ** **** ****** ****** ******

균사밀도 : 우수(***), 양호(**), 보통(*)Mycelial density: excellent (***), good (**), moderate (*)

실험장소 : CL 바이오 기업 부설 연구소.Place: CL Bio Research Institute.

그 결과, 위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2℃의 온도까지는 생장성이 증가하였지만,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가장 생장성이 우수한 온도는 22℃로 측정되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2, the growth was increased to a temperature of 22 ° C, but decreas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22 ° C, and the highest growth temperature was measured at 22 ° C.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의 액체 종 배양과  Liquid species culture of mycelium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의 초기 pH에 따른 생장성 조사. Investigation of the Growth Properties of Mycelium by Initial pH.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생장성이 가장 우수한 배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기 표 1에 생장성이 우수한 PDA 배지로 이것에 대한 액체배지인 PDB(Potato dextrose broth)에서 초기 pH에 따른 균사체 량을 조사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the medium having the best growth properties of the mycelial growth medium, the following table 1 shows the amount of mycelium in PDA (Potato dextrose broth) Respectively.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H 5에서 6 사이에서는 거의 유사한 균사체 양을 나타내었으며, pH 5.5에서 가장 우수한 균체 성장을 나타내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1, the amount of mycelium almost similar at pH 5 to 6 was exhibited, and the best cell growth was observed at pH 5.5.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의 배양시간에 따른 생장성 조사. Growth characterization of cultured mycelium over time.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본 배양완료 시점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시간에 따른 균사체 량을 조사하였다. 배양을 위해 PDA 고체 배지에서 12일 배양한 균사체를 믹서로 갈아 균질화 시킨 후 종 배양 액체배지에 접종하였다. 배양조건은 초기 pH 5.5와 22℃, 그리고 진탕 배양기에서 120 rpm으로 배양하였다. To investigate the completion time of cultivation of mycelia of Cerporaria lacera, cultured mycelium was investigated. For culturing, the mycelia cultured in the PDA solid medium for 12 days were homogenized by a mixer and inoculated into the seed culture broth. The culture conditions were initially incubated at pH 5.5 and 22 ° C and 120 rpm in shaking incubator.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양 3일 차까지는 균체 성장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4일 차부터는 급격한 균체가 성장하여 배양 9일 차부터 12일 차까지는 균체량이 유사하였지만 13일 차 이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최적 종 배양 시간은 9일부터 12일까지로 조사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2, there was almost no cell growth until the third day of cultivation. However, from the fourth day onwards, the cells grew rapidly, and the amount of cells was similar from day 9 to day 12, Respectively. The optimum seed culture time was from 9 to 12 days.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의 액상배양으로 생리활성물질 제조법. Produc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by liquid culture of mycelium.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PDA, 배지(100 플라스틱 배양구. Difco,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에서 10일 정치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500㎖ 배플이 있는 삼각플라스크에 PDB,배지(Difco) 200㎖를 조성한 후, PDA 배양 균주 1개를 넣고 10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그리고 포도당 3 중량%, 펩톤 0.5 중량%, 일인산칼륨(KH2PO4) 0.1 중량%, 황산 마그네슘(MgSO4) 0.05 중량%, 실리콘 거품제 0.2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2ℓ 액체 배양 배지를 5ℓ 배양기에서 살균한 후, 25℃로 냉각한 상태에서 접종액으로 사용할 PDB 배양 균주 200㎖를 접종하고, 교반속도 300 rpm, 공기를 0.5 vvm으로 통기 시키면서 25℃의 항온에서 7~11일간 액체 배양함으로써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을 제조하였다.The three lipolylacerases were incubated for 10 days in PDA, medium (100 plastic culture dishes, Difco,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Then, 200 ml of PDB and Difco (Difco) were prepared in an Erlenmeyer flask with a 500-ml baffle. One PDA culture was added and cultured for 10 days with shaking. And 2 L of liquid culture containing 3 wt% of glucose, 0.5 wt% of peptone, 0.1 wt% of potassium monophosphate (KH 2 PO 4 ), 0.05 wt% of magnesium sulfate (MgSO 4 ), 0.2 wt% of silicone foam, The medium was sterilized in a 5 L incubator, 200 mL of the PDB culture strain to be used as an inoculum was inoculated in a state cooled to 25 캜, and incubated at 25 캜 for 7 to 11 days with stirring at a stirring speed of 300 rpm and air at 0.5 vvm. Liquid culture was carried out to prepare a culture of mycelium of ceriplora lactaclorata.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배양물 건조분말(Dried Powder)의 제조. Preparation of Dried Powder.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을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35℃ 이하의 저온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합으로써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의 건조분말을 제조하였다.The cultured Mycelium lacticera mycelium prepared in Example 5 was lyophilized at a temperature of 35 ° C or lower for 48 hours using a vacuum freeze dryer to obtain dry granules of the cultured mycelium lacticera mycelium .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배양물로부터 세포 외 다당체(EPS)의 제조. Prepar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from cultures.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건조 분말 2g에 증류수 100㎖를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원심분리(10,000 rpm, 20분)한 다음 상등액에 그 양의 3배에 해당하는 에탄올을 첨가하고 냉장조건(2~8℃)에서 16시간 정치하였다. 상기의 정치 물에서 침전물을 취해 동결건조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물로부터 세포 외 다당체를 제조하였다. 100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2 g of the dried powder prepared in Example 6, stirred well, and centrifuged (10,000 rpm, 20 minutes). Ethanol equivalent to three times its amount was added to the supernatant, 2 to 8 占 폚) for 16 hours. The precipitate was taken out from the abovementioned lyophilizate and lyophilized to prepar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cultured mycelium lacticera mycelium.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배양물로부터 베타-글루칸의 제조. Preparation of beta-glucan from cultures.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건조 분말 10g에 증류수 50㎖를 가하여 현탁시킨 다음 실온에서 20%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을 이용하여 pH를 10.0으로 조정한 후 10시간 정도를 방치하여 분말 시료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하였다. 이 연화된 시료액에 고온에 안정한 알파아밀레이즈(α-amylase)를 가하여 60℃의 항온수조 내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처리를 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 액을 pH 5로 맞춘 다음 아밀로글루코시데이즈(Amyloglucosidase)로 60℃의 항온수조에서 2시간 동안 교반을 행하였다. 그 다음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서 pH를 4.5로 맞춘 후, 95℃의 항온수조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냉각하였다. 10 g of the dry powder prepared in Example 6 was suspended in 5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 pH was adjusted to 10.0 using 20% sodium carbonate at room temperature. After 10 hours, the powder sample was sufficiently softened Respectively. To this softened sample solution, α-amylase stable at high temperature was added and the mixture was stirred for 2 hours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60 ° C., treated with enzyme, and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is solution was adjusted to pH 5 and then stirred with a amyloglucosidase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60 ° C for 2 hours. Then, the pH was adjusted to 4.5 to inactivate the enzyme, followed by stirring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95 캜 for 30 minutes, followed by cooling.

냉각한 추출액을 원심분리(30 min ×8000 rpm)하여 상등액만을 취한 후 40℃의 온도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이 농축액에 4배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4시간 정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 침전물을 다시 물에 용해한 후 pH를 4.5로 맞춘 다음, 아밀로글루코시데이즈로 58℃에서 2시간 동안 효소를 재처리하였다. 처리 후 95℃에서 30분 동안 효소를 불활성 시킨 다음 냉각하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에탄올로 재침전시켜 조(crude) 베타글루칸(β-glucan)을 제조하였다.The cooled extract was centrifuged (30 min x 8000 rpm) to remove only the supernatant, and then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t a temperature of 40 ° C. To this concentrate, 4-fold amount of ethanol was added and allowed to stand for about 4 hours, followed by centrifugation to obtain a precipitate. The precipitate was dissolved in water again, the pH was adjusted to 4.5, and the enzyme was reprocessed with amyloglucosidase at 58 DEG C for 2 hours. After the treatment, the enzyme was inactivated at 95 ° C for 30 minutes, then cooled, centrifuged, and the supernatant was taken out and reprecipitated with ethanol to prepare crude beta-glucan.

생물반응기 형태에 따른 Depending on the type of bioreactor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상기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균사체 배양은 생물반응기 형태에 따라 균사체의 생장량에 차이가 있으므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대상으로 배양에 적합한 배양기 형태를 선발하기 위하여 교반형과 기포 통기형을 대상으로 균사체의 생장량과 건조물의 양,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 함량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5에 나와 있는 배지 조성 및 온도로 수행하였으며, 배양조건은 기포 통기형은 0.5vvm, 교반형은 300 rpm과 0.5 vvm이며 배양온도는 25℃로 수행하였다. 균사체의 생장량 측정하기 위하여 배양물을 8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증류수로 세척과 원심분리를 2회 반복하였다. 원심분리한 후 침전된 균사체를 105℃에서 건조한 후 건조된 균사체 양(DCW, dry cell weight)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 외 다당체와 베타글루칸은 각각 제조된 건조물에 대한 함량으로 측정하였다.Since mycelial cultiv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bioreactor differs in the amount of mycelial growth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ioreactor,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incubator type for the cultivation of the mycelium of the three lipolakarerata mycelium, The amount of growth, the amount of dried matter,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ained in the dried material and the content of beta glucan were compared. The culture conditions were as follows: 0.5 vvm bubble column type, 300 rpm and 0.5 vvm stirring type, and the incubation temperature was 25 ° C. To measure mycelial growth, cultures were centrifuged at 8000 rpm for 10 minutes, washed twice with distilled water and centrifuged twice. After centrifuging, the precipitated mycelia were dried at 105 ° C. and then the amount of dried mycelium (DCW, dry cell weight) was measured. In additio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 glucan were measured by the contents of the dried product, respectively.

각각의 배양기에서 생성된 균사체, 건조물, 세포 외 다당체, 베타글루칸은 도 3에 나와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사체랑 및 건조물량은 교반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와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공기 부양 식의 칼럼형과 교반형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Mycelium, dried matt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produced in each incubator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amount of mycelium and dry matter was the highest in the agitated type, but the contents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were similar in the column type and agitated type of the air floating type.

따라서 세포 외 다당체와 베타글루칸의 생성량은 공기 부양 식의 칼럼형과 교반형이 유사하지만 균사체 양 및 건조물의 양이 높은 교반형 배양기가 유리하다.Therefore,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are produced in an agitating type incubator which is similar to the column type and the agitation type of the air floating type, but the amount of the mycelium and the amount of the dried material is high.

교반형Stirring type 생물반응기에서의  In a bioreactor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배양 최적화. Culture optimization.

상기 실시예 5의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으로 초기 rpm에 따른 배양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농도, 건조물(Powder)의 농도,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의 측정 하였다. The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Example 5 were such that the concentrations of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tacerus, the concentration of the powder, and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erial, Respectively.

배양기 교반 속도는 0, 50, 100, 200, 300, 400, 500 rpm으로 배양 초기부터 배양완료 시점까지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 The agitation speed of the incubator was maintained at 0, 50, 100, 200, 300, 400 and 500 rpm from the beginning of culture to the completion of cultivation.

rpm에 따른 according to rpm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rpmrpm 생육정체기
(일)
A steady state of growth
(Work)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00 44 4.74.7 15.915.9 2.422.42 14.114.1 5050 55 6.76.7 26.526.5 3.783.78 20.120.1 100100 77 7.97.9 29.929.9 4.554.55 25.525.5 200200 99 8.88.8 34.234.2 5.015.01 29.229.2 300300 1010 8.58.5 31.031.0 4.974.97 28.628.6 400400 88 8.38.3 30.730.7 4.954.95 28.728.7 500500 55 3.93.9 12.812.8 1.721.72 11.411.4

실험장소 :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실(2015.09)Place: Lab. Of Food and Nutrition, Keimyung University (2015.09)

그 결과, 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농도, 건조물의 농도 및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와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낮은 rpm 인 100 이하에서는 낮게 나타났지만 높은 rpm 인 200부터 400까지는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3, the concentration of the mycelium of cerolaria lacera, the concentration of the dried material, and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were low at a low rpm of 100 or less, To 400 was somewhat higher.

그러나 높은 rpm 인 500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생육정체기 측면에서 낮은 rpm은 시기가 빠르게 나타났지만 배양 기간에 비해서는 균사체 농도, 건조물의 농도,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200부터 400까지의 rpm에서는 생육정체기 시점이 8일 이상으로 배양 후기까지 지속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배양기간을 고려할 경우 낮은 rpm보다는 효율성이 낮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초기 rpm 조절에 따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배양 성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기 교반을 하지 않거나, 낮은 rpm으로 시작하여 점차 상승시킬 경우 배양 성이 향상될 것으로 추정되었다.However, it decreased significantly at 500 rpm. In terms of the growth retardation period, the low rpm was faster, but the mycelial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dried material, and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 - 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were higher than the incubation period. However, at the rpm of 200 to 400, the point of stagnation of growth was more than 8 days, but the efficiency was lower than that of low rpm considering culture perio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cultivation of Sera lipolyceratata was changed by the initial rpm control. In addition, it was estimated that when the initial agitation was not performed, or starting from a low rpm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he culturing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공기 공급량(Aeration)에 따른 배양.Culture by air supply (Aeration).

상기 실시예 5의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으로 초기 공기 공급량에 따른 배양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농도, 건조물(Powder)의 농도,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배양기 교반 속도는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조사된 rpm 200으로 수행하였으며, 공기 공급량은 0, 0.01, 0.02, 0.05, 0.1, 0.2, 0.5, 1, 2 vvm으로 배양 초기부터 완료시점까지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The medium composi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Example 5 were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s of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tacerus, the concentration of the powder,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And the content thereof was measured. The agitation speed of the incubator was rpm 200, which was irradiated under the most favorable condition. The air supply was maintained at 0, 0.01, 0.02, 0.05, 0.1, 0.2, 0.5, 1, 2 vvm from the beginning to the completion.

공기 공급량에 따른 Depending on air supply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공기
공급량
(vvm)
air
flow
(vvm)
생육
정체기 (일)
Growth
Stagnation (days)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00 22 1.91.9 5.45.4 1.121.12 5.25.2 0.010.01 88 8.38.3 29.729.7 4.784.78 27.527.5 0.020.02 1010 8.68.6 30.830.8 4.894.89 28.828.8 0.050.05 1010 8.58.5 31.131.1 5.025.02 29.129.1 0.10.1 1010 8.58.5 30.930.9 5.015.01 29.029.0 0.20.2 1010 8.68.6 31.431.4 5.105.10 30.130.1 0.50.5 1010 8.48.4 30.630.6 4.984.98 29.429.4 1One 99 8.48.4 30.830.8 5.015.01 28.128.1 22 33 3.73.7 8.98.9 1.891.89 9.59.5

실험장소 :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실Place of Experiment: Laboratory of Food and Nutrition, Keimyung University

그 결과, 위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 배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공기 공급량이 0.01 vvm부터 1 vvm까지는 공기 공급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양 결과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2 vvm에서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농도, 건조물의 농도,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교반형 생물반응기에서 공기 공급량은 0.01 vvm부터 1 vvm까지가 배양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4, when air was not supplied, the culture was not performed. As the air supply from 0.01 vvm to 1 vvm was increased, the cultur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at 2 vvm, the concentration of myceliallacerase mycelium, the concentration of the dried material,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The content of beta-gluca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air supply amount from 0.01 vvm to 1 vvm was advantageous for the culture in the agitated bioreactor.

내압에 따른 배양.Culture according to pressure.

실시 예 5의 배지 조성 및 배양조건으로 초기 내압에 따른 배양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배양기 교반 속도는 상기 실시 예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으로 조사된 rpm 200으로 수행하였으며, 공기 공급량은 상기 실시 예에서 가장 유리한 조건인 0.2 vvm으로 하여 내압을 0.05, 0.1, 0.2, 0.5, 1, 1.5 kg/cm2으로 배양 초기부터 완료시점까지 유지하면서 배양하였다.The culture medium and the culture conditions of Example 5 were used to measure the content of the mycelium of ceriplora lactaceras, the amount of the dried material, and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according to the initial internal pressure. The agitation speed of the incubator was set to rpm 200, which was the most favorable con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ir supply amount was 0.2 vvm, which is the most favorable con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internal pressure was 0.05, 0.1, 0.2, 0.5, cm < 2 & gt ;.

내압에 따른 Pressure-dependent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내압
(kg/cm2)
Pressure
(kg / cm 2 )
생육
정체기
(일)
Growth
Congestion
(Work)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0.050.05 1010 8.58.5 28.928.9 4.954.95 28.128.1 0.10.1 1010 8.68.6 28.528.5 4.884.88 29.129.1 0.20.2 1010 8.58.5 29.129.1 4.894.89 28.728.7 0.50.5 1010 8.48.4 30.130.1 4.914.91 29.229.2 1One 1010 8.58.5 29.529.5 4.944.94 29.429.4 1.51.5 1010 8.68.6 29.929.9 4.924.92 29.329.3

실험장소 :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실Place of Experiment: Laboratory of Food and Nutrition, Keimyung University

그 결과, 위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반형 생물반응기의 내압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더라도 배양 성에 거의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배양에 있어 내압은 거의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5, even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gitated bioreactor was increased or decreased, there was almost no influence on the culture.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ressure resistance was negligible in culturing mycelia lactase.

용존산소량 조절에 따른 배양.Culture by dissolved oxygen control.

상기 실시예 등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교반형 생물반응기 배양 시 공기 공급량 혹은 내압보다는 rpm에 의한 영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above Examples and the lik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rpm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ir supply or the internal pressure when the agitated bioreactor was cultivated,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ltivation of the ceriplora lactaclor.

따라서 rpm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대표적인 것은 균사체에 대한 전단 응력(Shear strees)과 배양액에 대한 용존산소량이 있다. Therefore, there are shear stresses (mycelial shear stress) and dissolved oxygen content in the culture mediu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influence of rpm.

전단 응력 측면에서는 rpm이 증가함에 따라 균사체의 모양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에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되는 용존 산소량에 따른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 시 균사체 농도, 건조물의 농도,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In terms of the shear stress, the concentration of mycelium, the concentration of the dried material,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ells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in the culture of the three lipolylaceratta depending o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which are presumed to have a large influence on the mycelium, The contents of exopolysaccharide and beta - glucan were investigated.

초기 배양 조건은 rpm 50, 공기 공급량 0.2 vvm, 내압 0.5kg/cm2이며, 실험에 적용되는 용존산소량은 0, 5, 10, 20, 30, 40, 50, 70%로 수행하였다. 배양이 진행됨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용존산소량에 도달되었을 때부터 1차적으로 rpm을 조절하였으며, 목적으로 하는 용존 산소량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공기 공급량과 내압을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The initial culture conditions were rpm 50, air supply 0.2 vvm, internal pressure 0.5 kg / cm 2 , and the dissolved oxygen levels were 0, 5, 10, 20, 30, 40, 50 and 70%. As the culture progressed, the rpm was firstly controlled from the time when the target dissolved oxygen amount was reached, and when the target dissolved oxygen amount was not maintained, the air supply amount and the internal pressure were controlled to be constant.

용존 산소량에 따른 Depending o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DO
(%)
DO
(%)
생육정체기
(일)
A steady state of growth
(Work)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No controlNo control 44 4.34.3 12.612.6 2.132.13 13.313.3 55 1010 12.612.6 39.139.1 6.916.91 40.240.2 1010 1111 12.712.7 40.240.2 7.157.15 39.739.7 2020 1212 15.215.2 45.345.3 8.228.22 46.146.1 3030 1111 13.613.6 41.141.1 7.457.45 42.342.3 4040 1111 13.213.2 41.341.3 7.277.27 40.940.9 5050 99 8.98.9 30.230.2 5.235.23 31.131.1 7070 77 6.36.3 25.425.4 4.114.11 23.223.2

실험장소 :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실(2015.09)Place: Lab. Of Food and Nutrition, Keimyung University (2015.09)

그 결과, 위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균체 성장 측면에서 용존산소량 40%까지는 약간의 차이만 보일 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배양에 따른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현저히 상승하였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6,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was as small as 40% in terms of the growth of the cel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amount of mycelium, the amount of the dried material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the content of beta-glucan were remarkably increased.

그리고 용존 산소량 20% 유지 시에는 생육정체기는 12일, 균사체 양은 15.2g/L, 건조물의 양은 45.3g/L,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와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각각 8.22 mg/g Powder와 46.1mg/g Powder로 조사되었다.The amou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β-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was 8.22 mg / g Powder, and the amount of β-glucan was 12.2 mg / L. And irradiated with 46.1 mg / g Powder.

용존산소량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50% 이상 배양 성이 향상되었다. Cultivation was improved by more than 50%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consideration of dissolved oxygen.

따라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에 있어 일정농도의 용존산소량을 유지하기 위해 rpm, 공기 공급량, 내압을 조절하는 것이 유리함을 알수있었다.Therefore, it was found that it is advantageous to control the rpm, the air supply, and the internal pressure to maintain a certain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in the cultivation of ceraplora lucerata.

배양중 영양성분 첨가에 의한 배양.Cultivation by addition of nutrients during culture.

아울러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균사체를 배양할 경우 유용물질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배양 중에 영양성분을 첨가하기 때문에 균체 성장 및 유용물질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질소원과 탄소 원을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mycelium is cultured using a bioreactor, the nitrogen source and the carbon source, which affect the growth of the cell and the productivity of the useful substance, are added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useful substance.

그 결과 질소원의 첨가는 균체 성장에는 유리하였지만,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 함량은 감소하였다. As a result, the addition of nitrogen source was advantageous for cell growth, but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 - 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material was decreased.

따라서 유용물질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인 탄소 원의 첨가를 수행하였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나와 있는 조건에 따라 초기 조건 및 배지 조성과 배양중에 유지되는 용존 산소량을 20% 이상으로 하여 배양을 12일까지 수행하였다.Therefore, the addition of the carbon source, which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productivity of the useful substanc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s, the initial conditions and the composition of the medium and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retained during the culture were set to 20% Respectively.

첨가되는 탄소 원 종류에 따른 배양.Cultiva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carbon source added.

배양중에 첨가되는 탄소 원으로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만노오스(Mannose), 설탕(Sucrose), 엿당(Maltose), 전분(Soluble starch)을 배양 5일 차에 배양액 부피에 대해 3%가 되도록 일시 첨가하였으며, 전분은 20%, 나머지 탄소 원은 70%로 조제되었다. Glucose, fructose, mannose, sucrose, maltose and starch were added to the culture medium for 3 days at 5 days. The starch was 20% and the remaining carbon was 70%.

배양중에 첨가되는 탄소 원 종류에 따른 Depending on the type of carbon source added during the culture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탄소 원Carbon source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포도당
(Glucose)
glucose
(Glucose)
17.717.7 52.152.1 9.129.12 50.950.9
과당
(Fructose)
fruit sugar
(Fructose)
16.416.4 51.951.9 8.308.30 50.750.7
만노오스
(Mannose)
Mannoose
(Mannose)
18.118.1 55.255.2 9.259.25 54.854.8
설탕
(Sucrose)
Sugar
(Sucrose)
18.018.0 57.157.1 9.519.51 59.259.2
엿당
(Maltose)
Flesh
(Maltose)
16.716.7 49.749.7 8.668.66 47.347.3
전분
(Starch)
Starch
(Starch)
15.215.2 45.845.8 8.188.18 44.944.9

실험장소 :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실Place of Experiment: Laboratory of Food and Nutrition, Keimyung University

그 결과, 위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탄소 원을 첨가할 경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에 의한 배양 성이 향상되었다. 특히, 만노오스 혹은 설탕을 첨가할 경우 높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7 above, when the carbon source was added as a whole, the cultiv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by culturing Serrachia lacera. Especially, the addition of mannose or sugar increased the amount of mycelial lipid peroxidase, beta - glucan,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ained in the dried matter.

따라서 배양중에 탄소 원을 첨가할 경우 균사체 및 여러 유용물질의 생산성이 향상되며, 특히 만노오스와 설탕을 첨가할 경우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when the carbon source was added during the culture, the productivity of the mycelium and various useful materials was improved. Especially, when mannose and sugar were added, the productivity was improved.

배양중 유지되는 설탕 농도에 따른 배양 성 조사.Cultural characterization by sugar concentration maintained during culture.

상기 실시예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양중에 첨가되는 설탕으로 탄소 원을 첨가할 경우 배양 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첨가되는 최적 설탕의 농도를 조사하기 위해 배양 5일 차에 배양액 부피에 대비 0.1, 0.2, 0.5, 1, 2, 3, 4, 5%를 일 실시 예로 첨가하였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above examples, the addition of a carbon source to the sugar added during the culture improved the culturing 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ptimum sugar concentration to be added, 0.1, 0.2, 0.5, 1, 2, 3, 4, 5% relative to the culture volume was added to the culture solution for 5 days.

배양중에 첨가되는 탄소 원 농도에 따른 Depending on the carbon source concentration added during the culture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첨가농도
(%)
Addition concentration
(%)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00 14.714.7 44.244.2 8.168.16 45.145.1 0.10.1 15.415.4 47.647.6 8.918.91 48.248.2 0.20.2 15.915.9 48.248.2 9.119.11 47.947.9 0.50.5 16.716.7 50.750.7 9.239.23 51.551.5 1One 17.617.6 53.253.2 9.399.39 58.758.7 22 18.218.2 59.259.2 9.789.78 61.361.3 33 17.917.9 57.457.4 9.569.56 60.160.1 55 15.115.1 48.148.1 8.928.92 50.850.8

실험장소 :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실Place of Experiment: Laboratory of Food and Nutrition, Keimyung University

그 결과, 위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탕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보다는 첨가될 경우 배양 성이 향상되었으며, 첨가되는 설탕의 농도가 2%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s a result, as shown in the above Table 8, the addition of sugar did not increase the cultivation, but the concentration of added sugar increased up to 2%, but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따라서 설탕 2%를 첨가할 경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Therefore, when 2% of sugar was added, the amount of mycelial lipase, amount of dried matter,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 - glucan content contained in the dried material were increased.

배양기 크기에 따른 배양 성.Cultivability according to size of incubator.

상기 실시 예에서 수행한 교반형 생물반응기의 크기는 5 L로 산업적인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추후 산업적 생산을 위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대량배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배양기 크기에 따른 배양 성 조사가 필요하다. The size of the agitated bioreactor performed in the above example is 5 L, which i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In order to carry out large-scale cultivation of Sella lipolactacera for industrial production in the future, cultivation stud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cubator are required.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서 조사된 결과를 토대로 배양기 크기를 5, 10, 30, 100, 500, 5,000 L에서 배양을 수행하였다. 초기 배양 조건은 rpm 0, 공기 공급량 0.2 vvm, 내압 0.5kg/cm2이며, 용존산소량 20%를 유지하기 위해 1차적으로 rpm을 상승시킨 후, rpm이 최대치까지 도달하였을 때 2차적으로 공기 공급량과 내압을 상승시켜 조절하였다. 배양 5일 차에 설탕을 2%가 되도록 첨가하여 12일까지 배양하였다.Therefore, culturing was carried out at 5, 10, 30, 100, 500, and 5,000 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examples. The initial culture condition was rpm 0, air supply 0.2 vvm, internal pressure 0.5 kg / cm 2 , and the rpm was firstly increased to maintain the dissolved oxygen content 20%, and then when the rpm reached the maximum value, The internal pressure was raised to adjust. On the 5th day of fermentation, sugar was added to a concentration of 2% and cultured for 12 days.

배양기 크기에 따른 Depending on incubator size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Lacerata 균사체 배양. Mycelial culture. 배양기 크기
(L)
Size of incubator
(L)
균사체 양
(g/L)
Amount of mycelium
(g / L)
건조물의 양
(g/L)
Amount of dried matter
(g / L)
세포 외 다당체 함량
(mg/g Powd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content
(mg / g Powder)
베타글루칸 함량
(mg/g Powder)
Beta-glucan content
(mg / g Powder)
55 18.318.3 59.559.5 9.539.53 60.260.2 1010 18.518.5 60.160.1 9.519.51 59.359.3 3030 17.917.9 60.360.3 9.479.47 60.760.7 100100 18.218.2 58.958.9 9.609.60 60.760.7 500500 18.518.5 60.560.5 9.529.52 61.561.5 5,0005,000 18.418.4 60.760.7 9.619.61 61.761.7

실험장소 : 경북 바이오 산업연구원Place: Gyeongbuk Bio Industry Research Institute

그 결과,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양기 크기에 따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s a result, as shown in Table 9,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mycelium, the amount of dried matter, and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cellulolytic enzym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incubator.

따라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에 있어 배양기의 크기에 거의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incubator was not influenced by the cultivation of.

기존 배양과 최적화된 배양 비교.Comparison of existing and optimized cultures.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1605호에서는 공기 부양식 칼럼형 700 L 배양기를 사용하여 생산을 수행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교반형 배양기에서의 최적화된 배양조건을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In Korean Patent No. 10-1031605, production was carried out using an air-part column type 700 L incubator.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are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in an agitated incubator.

실험조건은 공기 부양식 칼럼형 700 L은 특허상에 나와 있는 조건 3 vvm, 25℃이며, 5,000 L 교반형 배양기에서는 25℃, 0 rpm, 공기 공급량 0.5 vvm, 내압 0.5kg/cm2의 초기 조건과 배양중에 용존산소량은 20% 이상 유지하고 배양 5일 차에 설탕을 2% 첨가하였다.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as follows: The conditions for the air column 700L were 3 vvm and 25 ℃ in the patented condition, and the initial condition of 25 ℃, 0 rpm, air supply 0.5 vvm and internal pressure 0.5 kg / cm 2 in the 5,000 L agitator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was maintained at 20% or more during the culture and 2% of sugar was added to the tea for 5 days.

그 결과 도 4에서처럼 보는 바와 같이 기존 배양 방식인 공기 부양식 700 L에서 보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양, 건조물의 양, 그리고 건조물에 포함되는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100% 이상 증가하였으며, 특히 균사체의 양은 150%까지 증가하였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the amount of mycelium, the amount of dried matter, and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cultivar were increased by more than 100% Especially the amount of mycelium increased to 150%.

따라서 공기 부양 식과 비교하여 rpm 등의 조절에 의한 용존 산소량 유지와 배양중에 탄소 원 첨가에 의한 교반형 생물반응기에서 배양 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compared to the air lifting type, the maintenance of the dissolved oxygen amount by the regulation of rpm and the cultivation performance in the agitation type bioreactor by the addition of the carbon source during the culture are improved.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의Rock Serrat 항균 및 항진균 시험.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test.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항균 및 항진균 시험을 위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2의 건조물을 시험 균주가 포함되어 있는 균체 액에 첨가하여 항균력과 항 진균력을 조사하였다. 실시예 6에서 제조된 시료 4.0 g을 96g의 정제 수에 녹인 후에 조제액으로 사용하였으며, 항균력에 사용한 시험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subsp . aureus ATCC 6538이며 항진균력에 사용한 시험 균주는 Candida albicans ATCC 11006와 Trichophyton rubrum ATCC 28188였다.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dried product of Example 2 were investigated by adding the dried product to the cell lysate containing the test strain as a method for the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test of Sellapora lacerata. 4.0 g of the sample prepared in Example 6 was dissolved in 96 g of purified water and used as a preparation. The test strain used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taphylococcus aureus subsp . aureus ATCC 6538. The test strains used for antifungal activity were Candida albican s ATCC 11006 and Trichophyton rubrum ATCC 28188.

시험 방법은 항균력에 사용하기 위한 시험 균주를 액체배지(Nutrient broth)에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배양된 균체를 생리 식염수로 희석하여 시험 균주 희석액(1×107 CFU/㎖)을 만든다. 시험 균주 희석액 0.5 ㎖에 0.5 ㎖의 실시예 2의 조제액을 첨가하였다. 1분, 5분, 10분 후에 현탁액 0.2 ㎖를 Nutrient 아가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를 계수하여 살균력을 관찰하였다. For the test method, the test strain used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is cultured in a nutrient broth at 37 ° C for 24 hours, and the cultured cells are dilu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to prepare a test strain dilution (1 × 10 7 CFU / ml). 0.5 ml of the preparation solution of Example 2 was added to 0.5 ml of the test strain dilution. After 1, 5, and 10 minutes, 0.2 ml of the suspension was plated on Nutrient agar plate medium and incubated at 37 ° C for 48 hours. The colonies were counted and the bactericidal activity was observed.

항 진균력에 사용한 시험 균주로 효모인 Candida albicans ATCC 11006의 생육은 YPD 액체배지에 2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된 균체를 생리 식염수 희석하여 시험 균주 희석액(1×107 CFU/㎖)을 만든다. 시험 균주 희석액 0.5 ㎖에 0.5 ㎖의 실시예 3의 조제액을 첨가하였다. 1분, 5분, 10분 후에 현탁액 0.2 ㎖를 YPD 아가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25℃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를 계수하여 살균력을 관찰하였다. 항 진균력에 사용한 시험 균주로 곰팡이인 Trichophyton rubrum ATCC 28188의 생육은 Sabourauds 액체배지에 25℃에서 72시간 배양하여 5㎖에 현탁하고, 원심분리(3,500 rpm) 하여 포자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포자를 멸균된 증류수와 트윈 20(Tween 20) 을 첨가하여 약 1×106 cell/㎖이 되도록 조정된 포자용액 0.5 ㎖에 실시예 2의 조제액 0.5 ㎖를 혼합하여, 1분, 5분, 10분 후에 현탁액 0.2 ㎖를 Sabourauds 아가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25℃에서 96시간 배양한 후 콜로니를 계수하여 살균력을 관찰하였다. 대조 구로는 식염수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12, 13 내지 14에 나타내었다.The test strain used for antifungal activity was Candida The growth of albican s ATCC 11006 is cultured in YPD liquid medium at 25 ° C for 48 hours, and the cultured cells are diluted with physiological saline to make diluted test solution (1 × 10 7 CFU / ml). 0.5 ml of the preparation solution of Example 3 was added to 0.5 ml of the test strain dilution. After 1 minute, 5 minutes, and 10 minutes, 0.2 ml of the suspension was plated on a YPD agar plate medium and incubated at 25 ° C for 48 hours. The colonies were counted and the bactericidal activity was observed. As a test strain used for antifungal activity , Trichophyton The growth of rubrum ATCC 28188 was incubated in Sabourauds liquid medium at 25 ° C for 72 hours, suspended in 5 ml, and centrifuged (3,500 rpm) to collect spores. The recovered spores were mixed with sterilized distilled water and Tween 20 to prepare 0.5 ml of the spore solution adjusted to have a concentration of about 1 x 10 6 cells / ml, 0.5 ml of the preparation solution of Example 2, After 10 minutes, 0.2 ml of the suspension was plated on a Sabourauds agar plate medium and cultured at 25 ° C for 96 hours. The colonies were counted and the bactericidal activity was observed. Saline was used as a control.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2 and 13 to 14 below.

항균력 실험 결과.Results of antibacterial test. 항균력 실험 결과/균주Results of Antimicrobial Activity / Strain 균체 수(CFU/㎖)Number of cells (CFU / ml) 1분1 minute 5분5 minutes 10분10 minutes 식염수Saline solution 7.5 106 7.5 10 6 3.5 106 3.5 10 6 2.8 106 2.8 10 6 Staphylococcus aureus subsp . aureus ATCC 6538 Staphylococcus aureus subsp . aureus ATCC 6538 1.5 105 1.5 10 5 2.7 103 2.7 10 3 100 이하Below 100

실험장소 : CL 바이오 기업 부설 연구소.Place: CL Bio Research Institute.

효모에 대한 항진균력 실험 결과.Antifungal activity test results on yeast. 효모에 대한 항진균력 실험 결과/균주Antifungal activity test results on yeast / strain 균체 수(CFU/㎖)Number of cells (CFU / ml) 1분1 minute 5분5 minutes 10분10 minutes 식염수Saline solution 7.5 106 7.5 10 6 3.5 106 3.5 10 6 2.8 106 2.8 10 6 Candida albicans ATCC 11006 Candida albican s ATCC 11006 2.5 105 2.5 10 5 3.4 102 3.4 10 2 100 이하Below 100

실험장소 : CL 바이오 기업 부설 연구소.Place: CL Bio Research Institute.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력 실험 결과.Antifungal activity test results against mold.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력 실험 결과/균주Antifungal activity test results against fungi / strain 균체 수(CFU/㎖)Number of cells (CFU / ml) 1분1 minute 5분5 minutes 10분10 minutes 식염수Saline solution 5.2 105 5.2 10 5 5.1 105 5.1 10 5 4.9 105 4.9 10 5 Trichophyton rubrum ATCC 28188 Trichophyton rubrum ATCC 28188 1.5 105 1.5 10 5 2.7 104 2.7 10 4 2.1 102 2.1 10 2

실험장소 : CL 바이오 기업 부설 연구소.Place: CL Bio Research Institute.

상기 표 12, 13 내지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염수를 사용한 대조 구에서는 균체 수가 약간의 감소를 제외하고는 일정하게 나타났으나, 실시예 3의 조제액을 첨가한 경우에는 모든 시험 균주에서 균체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경우 항균 및 항진균의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s 12 and 13 to 14, in the control group using saline, the number of cells was constant except for a slight decrease. In the case of adding the preparation of Example 3, Respectivel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is exhibited in the case of Sellapora lacera.

세리포리아Three Li Pori 락세라타에Rock Serratia 대한 항염증활성 실험. Anti-inflammatory activity test for Korean.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농축액, 건조물, 이의 추출물 베타글루칸, 세포 외 다당체에 대하여 항염효과를 측정하였다.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대식세포주인 U937 세포주에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인 포르볼 12-미리스테이트 13-아세테이트(phorbol 12-myristate 13-acetate)를 첨가하여 염증 매개 물질인 프로스타글랜딘 E2의 합성을 촉진했으며, 동시에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농축액, 건조물, 이의 추출물 베타글루칸, 세포 외 다당체를 농도별로 첨가하고 4시간 후 프로스타글랜딘 E2의 생합성량을 측정하여 억제효과를 특정한 결과, 도면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농도가 증가할수록 프로스타글랜딘 E2의 생합성이 억제되는 효과를 보였다.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above-mentioned culture medium, concentrate, dried product, its beta-glucan,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was measured. The synthesis of prostaglandin E2, an inflammation mediator, was induced by adding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which is an inflammatory substance, to human U937 cell line, ,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 E2 was measured after 4 hours after the addition of the culture medium, the concentrate, the dried product, the extract of betaglucan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to the concentration, 6, the biosynthesis of prostaglandin E2 was inhibit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erporolactaceratta.

아토피 개선 효능 실험.Atopy improvement efficacy experiment.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해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액, 농축액, 건조물, 세포 외 다당체, 베타글루칸 중 하나 이상의 함량이 1~4% 함유된 로션 또는 크림을 만들었다. 이외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To examine the effect on atopic dermatitis, a lotion or cream containing 1 to 4% of at least one of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e, dried product,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obtained in Example 3 was prepared. Other compositions were prepared as follow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아토피 피부염 진단기준에 의하여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총 10명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1개월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임상적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Atopic dermatitis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atopy. A total of 10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were evaluated. Clinical efficacy was evaluated by using it twice a day in the morning and evening for 1 month.

<로션><Lotion>

상기 제조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자가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디메치콘,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허브오일, 허브추출물, 스테아린산 , 미네랄 오일, 모노 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카보머, 트리에탄올아민,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열 냉각한 뒤 향료 미량을 투입하고,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 The above-mentioned emulsifiable concen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mixing the above-prepared three lipolactaceratas, cetostearyl alcohol, self emulsifying monostearic acid, dimethicone, monostearic acid sorbitan, herbal oil, herbal extract, stearic acid, mineral oil, polyethylene glycol monostearate, glycerin, - Butyleneglycol, carbomer, triethanolamine were heated and injected and emulsified. After the emulsification was completed, the mixture was thermally cooled to 50 DEG C with stirring using an agitator, and a small amount of fragrance was added thereto. The mixture was cooled to 25 DEG C and then aged.

아토피 개선용 로션 임상 효능 평가 결과.Clinical efficacy evaluation of lotion for improvement of atopy.
물질별 함유
아토피 로션

Contains by substance
Atopy lotion

피부
가려움증

skin
Itching

보습력

Moisture power

피부염증

Skin inflammation
배양물Culture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농축물Concentrate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건조물Building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세포 외 다당체Extracellular polysaccharide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베타글루칸Beta Glucan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 : 매우 좋음, ++ : 좋음, + : 개선효과, - : 변화없음)(+++: very good, ++: good, +: improvement effect, -: no change)

<크림> <Cream>

상기 제조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카르복시폴리머,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정제 수, 스테아린산, 허브오일, 허브추출물,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하였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까지 냉각한 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켰다.The above prepared triglycerol lactase, carboxy polymer, butylene glycol, glycerin and purified water, stearic acid, herbal oil, herbal extract, glyceryl monostearate and capric triglyceride were heated and injected and emulsified. After completion of the emulsification, the mixture was cooled to 35 DEG C with stirring using an agitator, cooled to 25 DEG C and then aged.

아토피 개선 크림의 임상 효능 평가 결과.Clinical efficacy evaluation of atopy cream.
물질별 함유
아토피 크림

Contains by substance
Atopic Cream

피부 가려움증

Itchy skin

보습력

Moisture power

피부염증

Skin inflammation
배양물Culture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농축물Concentrate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건조물Building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세포 외 다당체Extracellular polysaccharide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베타글루칸Beta Glucan 1개월 후After 1 month ++ ++ ++ 2개월 후Two months later ++++ ++ ++

(+++ : 매우 좋음, ++ : 좋음, + : 개선효과, - : 변화없음)(+++: very good, ++: good, +: improvement effect, -: no change)

표 15,16 및 17로부터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을 사용 하였을 때, 농도에 따라 피부염증 및 가려움증 개선에 대해서 높은 효과를 내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It can be seen from Tables 15, 16 and 17 that when the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duct having a high effect on improvement of skin inflammation and itchin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구체적인 임상례. Specific clinical cases.

1) 연령, 성별 및 직업: 10대, 여, 학생1) Age, sex and occupation: teenagers, female students

사용 기간 : 실시예 에서 제조된 농축액을 1일 2회 2개월간 아토피 피부염 부위에 바르게 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상 대상자는 아토피 피부염 부위에 바르기 시작한 날부터 14일이 지나면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2개월 후에는 80% 이상이 아토피 피부염증이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가 있었다. Period of use: The concentrate prepared in the Example was applied twice a day to the atopic dermatitis site for 2 months. As shown in FIG. 6, the clinical subject began to show effects 14 days after the application to the atopic dermatitis site, and 80% or more of the atopic skin inflammation decreased after 2 months.

2) 연령, 성별 및 직업: 40대, 남, 회사원 2) Age, sex and occupation: 40s, male, office worker

사용 기간 : 실시예 에서 제조된 농축액을 1일 2회 2개월간 아토피 피부염 부위에 바르게 하였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상 대상자는 아토피 피부염 부위에 바르기 시작한 날부터 10일이 지나면서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2개월 후에는 80% 이상이 아토피 피부염증이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가 있었다. Period of use: The concentrate prepared in the Example was applied twice a day to the atopic dermatitis site for 2 months. As shown in FIG. 7, the clinical subjects began to show effects on the atopic dermatitis area 10 days after the application, and after 2 months, 80% or more of atopic skin inflammation decreased.

본원은 전술한바 대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 이의 건조물과 농축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이 상기 제품에 함유된 것을 본원의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in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culturing a three-lipolylacerase culture, a dried product and a concentrate there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derived from three lipolylaceratara, And the like.

더불어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법은 고체배양과 액체 종 배양을 거친 후 대량 본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배양한 배양법은 교반형 생물반응기를 사용하게된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ultivar Lacerata cultur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culturing a solid culture medium and a liquid seed culture medium followed by a large volume culture, and a culture method using cultured three-lipoa lactaclora will use an agitated bioreactor.

그리고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배양물, 이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 및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이 상기 로션 또는 크림에 함유되되.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배양한 균사체 건조물 및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은 배양 단계에서 공기 공급 및 교반을 위한 rpm은 0~500으로 조절하도록 한다.And the culture, the dried product or concentrate thereof,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the beta-glucan derived from the cellulolytic enzyme are contained in the lotion or cream.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derived from the mycelial body cultured with the above-mentioned cultivar lucerata and the cellulolytic enzyme, and the beta-glucan are adjusted to 0-500 rpm for air supply and agitation in the culture step.

더불어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배양한 균사체 건조물 및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의 배양 단계에서 공기 공급량을 0.01~10vvm으로 조절하며 본 배양 단계에서 내압을 0.5~1.5kg/cm2으로 조절하며 상기 본 배양 단계에서 배양 중 탄소원을 첨가하며 배양 단계에서 탄소원 첨가시 배양액 1 L당 탄소원을 0.1 ~ 10% 첨가하여 배양한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air supplied was controlled to 0.01 to 10 vvm in the step of culturing the mycelial body cultured from the cultured mycelium and th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derived from the cell lipolactacera, 1.5 kg / cm 2 , and the carbon source is added during the culturing in the main culturing step. When the carbon source is added in the culturing step, 0.1 to 10% of carbon source is added per liter of the culture liquid.

더불어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추출물, 농축물, 건조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has a constitu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r at least one of the mycelial culture, extract, concentrate and dried product of the above-mentioned Sellapora lactacrata.

또한,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액체 배양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농축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건조물.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의 건조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함량을 증가시키게한다.In addition,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y, which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granulocyte lucerata as an active ingredient, is a cultured lipolylacerase culture liquid cultured. Concentrate of culture of S. lipolytica. The dried product of the culture of Sellapora lacera. Thereby increasing the conte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glucan contained in the dried product of the above-mentioned culture lipase.

더불어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추출물, 농축물, 건조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가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5~ 5중량 % 가 함유되는 것을 구성으로 하며 본원에서는 수치에 대한 한계나 제어를 본원에서는 받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 농축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 50중량 %가 함유되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 건조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가 함유하며, 세포 외 다당체 또는 베타-글루칸 조성물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5중량 %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을 바람직한 예로 든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comprises 0.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at least one or at least one of the mycelial culture, extract, concentrate and dried product of the above- By weight, preferably 0.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at least one or at least one of the mycelial cultures and concentrates of the above-mentioned granulocyte lucerata, wherein the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rein the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es 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at least one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or beta - Glucan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0.05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lotion or cream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of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ngredients: Atopic improvement lotions or creams are preferred examples.

아울러 상기 로션 또는 크림은 항균, 항진균, 항염증 및 가려움증을 완화 시키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의 효과를 갖고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 이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 및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유래한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 제조를 위한 배양에서, 탄소원은 말토오스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덱스트린, 수크로스, 프럭토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당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질소원은 대두분, 면실분, 아미노산, 펩톤, 콘 스티프 리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투입되는 구성을 갖는다.In addition, the lotion or cream has an effect of improving atopic dermatitis that alleviates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inflammatory and itching, and i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the above-mentioned cultivar laceratta culture, its dried or concentrated product, and cells derived from the cell lipolactacera In the culture for preparing the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the carbon sourc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mong maltose glucose, lactose, starch, dextrin, sucrose, fructose, galactose, mannose and sugar, and the nitrogen source is soybean powder, cottonseed powder, amino acid, , And a cone-shaped liquor.

본원은 이처럼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함유된 아토피 개선제의 제조방법으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아토피 개선제에 비하여 우수하고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피부 개선에 대해서 높은 효과를 나타냄을 여러 실시 예에서 알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n atopic dermatitis suppressant containing three lipolylaceratases, which is superior to general atopic dermatologic agents currently marketed in the market, has excellent effects, has few side effects, and has a high effect on skin improvement. Could know.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세정제품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에 함유시켜, 피부염증 및 가려움증을 개선에 유용한 유효물질로써 이용할 수 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use of ceripolial lactacerate as an active substance useful for improving skin inflammation and itching can be achieved by incorporating it into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which is a cleaning product.

본 발명자들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세정제품인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크림에 함유시켜, 피부염증 및 가려움증을 개선에 유용한 유효물질로써 이용할 수 있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use of the three lipolylaceras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substance for improving skin inflammation and itching by containing the lipolytic enzyme in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laims (15)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에 있어 상기 로션 또는 크림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제조함에 있어,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로부터 액체 배양용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얻는 단계,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액체 배양하는 단계, 액체 배양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배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를 본 배양하는 단계에서 교반형 생물반응기를 사용하며 교반속도를 0~500rpm으로 조절하여 제조된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배양물, 이의 건조물과 농축물, 이로부터 유래한 세포 외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을 상기 로션 또는 크림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In the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the lotion or cream is produced by using the mycelium of Seripolya lacera as an active ingredient,
A step of obtaining a three-lipolylacerase mycelium for liquid culture from the three lipolylacerase, a step of liquid culture of the myelofibrosarcera mycelia, a step of culturing the mycelia of the cultured three-lipolylacerase by a bioreactor And culturing the cells.
The culture medium of the above-mentioned cultivar L. serrata is cultivated in an agitation type bioreactor and the culture medium is adjusted to 0 to 500 rpm.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and beta-glucan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lotion or cream.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균사체의 본 배양 단계에서 100 L 이상의 교반형 배양기에서 배양하며 배양 중 탄소원을 배양액 1 L 당 탄소원을 0.1 ~ 10% 첨가하여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y which comprises the above-mentioned granulocyte lucerata as an active ingredient is cultured in an agitating type incubator of 100 L or more in the main cultivation step of mycelium lacticera mycelium, and the carbon source during culturing is carbon source 0.1 to 10%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형 배양기에서 배양중에 첨가되는 탄소원은 말토오스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덱스트린, 수크로스, 프럭토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당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질소원은 대두분, 면실분, 아미노산, 펩톤, 콘 스티프 리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양 5일 차에 배양액 전체중량에 대해 0.1~ 5% 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arbon source to be added in the culture in the stirring type incubato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maltose glucose, lactose, starch, dextrin, sucrose, fructose, galactose, mannose and sugar, and the nitrogen source is soybean powder, cottonseed powder, amino acid, Wherein th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rip Liquor is added in an amount of 0.1 to 5%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ulture solution on the 5th day of the culture.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균사체 배양물의 추출물, 건조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가 함유되며 상기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은 그람음성균 및 그람양성균에 대한 항균,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opic dermatitis improving lotion or cream comprises 0.1 to 20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the atopic dermatitis improving lotion or the atopic dermatitis improving lotion is at least one of extracts and dried extracts of the mycelium culture of the above- Wherein the lotion or cream has an effect of antifungals against yeasts and fungi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and Gram-positive bacteria, and a lotion or cream for improving atop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41905A 2016-04-05 2016-04-05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KR101705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05A KR101705482B1 (en) 2016-04-05 2016-04-05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905A KR101705482B1 (en) 2016-04-05 2016-04-05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482B1 true KR101705482B1 (en) 2017-02-09

Family

ID=5815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905A KR101705482B1 (en) 2016-04-05 2016-04-05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48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50B1 (en) * 2017-03-29 2018-06-14 (주)퓨젠바이오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lium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25611B1 (en) 2019-05-15 2019-11-05 김병천 A composition comprising a culture of Ceriporia lamarit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topic dermatitis
KR20210073265A (en) 2019-12-10 2021-06-18 이진선 Lotion utilizing room temperature emulsify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01707A (en) 2020-02-10 2021-08-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드숨비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lactobacillus salivari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f atopic dermatitis
WO2022039572A1 (en)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마이셀랩 Mycelial culture of novel porostereum sp. strain (kctc18837p)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KR20240007817A (en) 2022-07-07 2024-01-17 김안희 Natural cream with the fuction of improving the condition of atopic dermatit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868A (en) 2009-02-19 2010-08-27 경북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ocess for preparing polysaccharides from schizophyllum commune
KR101227758B1 (en) 2010-09-29 2013-01-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 of Quercus variabilis which is extracted from wood chip of Quercus variabilis obtained by steam explosion treatment
KR101325094B1 (en) 2011-03-04 2013-11-06 (주)머쉬토피아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for treating or preventing atopic dermatitis
KR101528135B1 (en) 2013-06-07 2015-06-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y dermatis comprising an extract of white rose flower or the pyrogallol isolated from thereof
US20160015734A1 (en) * 2013-02-11 2016-01-21 Glycanova As Basidiomycete-Derived Cream f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868A (en) 2009-02-19 2010-08-27 경북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ocess for preparing polysaccharides from schizophyllum commune
KR101227758B1 (en) 2010-09-29 2013-01-30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 of Quercus variabilis which is extracted from wood chip of Quercus variabilis obtained by steam explosion treatment
KR101325094B1 (en) 2011-03-04 2013-11-06 (주)머쉬토피아 A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for treating or preventing atopic dermatitis
US20160015734A1 (en) * 2013-02-11 2016-01-21 Glycanova As Basidiomycete-Derived Cream f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KR101528135B1 (en) 2013-06-07 2015-06-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topy dermatis comprising an extract of white rose flower or the pyrogallol isolated from thereof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더불어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복령과 후박의 항산화 및 항암 효과(손미예 경상대학교,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2207) 논문과 같이 버섯 유효 성분으로 생산되는 고분자 다당체 및 베타-글루칸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액체배양을 통한 대량생산으로 식품, 화장품 및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문헌으로는 세리포리아 락세라타 버섯의 균사체 액체 배양을 통한 세포 외 다당체 생산 및 항 당뇨 효과(김지은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와 특성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또한, 흰 목이버섯 (Tremella fuciformis)의 균사체 액체배양을 통한 세포 외 다당체를 배양하는 방법(조은재 대구대학교 2007)이 선행되었다.
본 발명의 비특허 문헌으로도 다수의 관련문헌을 엿볼 수 있는데 먼저 천연 염색 생물 유래 소재 기반 기능성 바이오 조성물(박태규 동향/연구보고서 건국대학교 2013년)이 이루어진 바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의 액체배양을 생산 최적화 및 기능성 물질들을 개발함으로써 천연 물질을 통한 피부에 자극이 없이 안정하고,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함유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를 특징으로 갖는 로션 또는 크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은지 등,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4, pp.438-445 (2015)* *
특히, 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은 생물전환기술을 최적화함으로써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유용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서 경제성이 높다. 따라서 식용, 약용을 포함한 다양한 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및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생산에 따른 우수한 종균의 선별을 하며, 이를 이용한 생물전환기술의 최적화기술은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850B1 (en) * 2017-03-29 2018-06-14 (주)퓨젠바이오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submerged culture of ceriporia lacerata mycellium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25611B1 (en) 2019-05-15 2019-11-05 김병천 A composition comprising a culture of Ceriporia lamarit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topic dermatitis
KR20210073265A (en) 2019-12-10 2021-06-18 이진선 Lotion utilizing room temperature emulsify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101707A (en) 2020-02-10 2021-08-1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미드숨비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lactobacillus salivari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f atopic dermatitis
WO2022039572A1 (en) * 2020-08-20 2022-02-24 주식회사 마이셀랩 Mycelial culture of novel porostereum sp. strain (kctc18837p)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ame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KR20240007817A (en) 2022-07-07 2024-01-17 김안희 Natural cream with the fuction of improving the condition of atopic dermatiti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482B1 (en) The Atopic dermatitis treatment lotion or cream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s
KR101826145B1 (en) Saccharomyces cerevisiae HEH EHWA and Autolysis Extract Manufactured Using Thereof
Xu et al. Effect of chemicals on production,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lysaccharides of Inonotus obliquus
Fitrotin et al.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sesame milk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Dad 13
KR101482873B1 (en) Fermentation metabolite of Dendropanax morbiferus produced by liquid-state fermentation and manufacturaring process for the same
KR100438009B1 (en)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Grifola frondosa
CN114456943B (en) Inonotus obliquus and extract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181269B1 (en) Exopolysaccharides with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produced by Bacillus sp.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a fermented korean food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1349678A (en) Extraction method of rape pollen polysaccharide and extraction product
KR101578581B1 (en) A novel bacterium Chryseobacterium sp. THG-C4-1, and a method for producing gypenoside 17 using the same
KR20170114574A (en) The soap composition containing Ceriporia lacerata for improving atopic dematitis
KR101784101B1 (en) The ladies genital area cleanser cosmetic composition for comprising the mixture of Ceriporia lacerata
KR102361015B1 (en) Use of Sphingomonas olei to improve skin condition
KR20180125354A (en) The ointment treating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complex mushroom for improving atopic dematitis
KR100467068B1 (en) Lactococcus lactis CBT-19,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lture broth concentration and the cosmetic preparation
CN112842951B (en) Secondary fermented birch juice and its application in skin external composition
KR101750619B1 (en) Preparation method of osmotic enzyme fermentation product using momordica charantia and houttuynia cordata, the fermentation product prepared thereby and cosmetic, food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2155716B1 (en) A carrot fermentation method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ami-1103 strain
KR20180119940A (en) Method for extract of manufacturing fermentated tea and extract of fermentated tea prepared therefrom
KR102025611B1 (en) A composition comprising a culture of Ceriporia lamaritu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atopic dermatitis
KR101894874B1 (en) Anti-inflammation Composition Using Streptomyces fragili
KR20210101707A (en)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lactobacillus salivari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f atopic dermatitis
CN101711775B (en) Fermentation composition for fermenting Agaricus blazei Murrill through probiotics
KR102598869B1 (en) Selective antimicrobial use of Micrococcus luteus
KR20170114603A (en) Mask pack sheet of Ceriporia lacerata and the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