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622B1 -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622B1
KR102598622B1 KR1020220008070A KR20220008070A KR102598622B1 KR 102598622 B1 KR102598622 B1 KR 102598622B1 KR 1020220008070 A KR1020220008070 A KR 1020220008070A KR 20220008070 A KR20220008070 A KR 20220008070A KR 102598622 B1 KR102598622 B1 KR 10259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creen
display panel
flexible display
chai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974A (ko
Inventor
홍성천
김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엠텍
Priority to KR102022000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62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굴곡 변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이를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화면의 확장 또는 축소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화면확장위치에서 과도한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부품의 내구성 및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고정본체와, 고정본체에 대하여 화면확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본체와, 일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면에 지지되어 고정끝단이 고정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이동본체의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끝단이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확장부분을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와, 이동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및 받침체인조립체가 항상 이동본체의 굴곡지지부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Roll-Slide Type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테블릿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반도체, 소프트웨어 및 통신분야의 발전으로 편리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이 지속적으로 추가되거나 개선되어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굴곡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을 이용하여 본체의 크기를 크게하거나 작게할 수 있는 폴딩(folding) 타입과 롤-슬라이드(roll-slide) 타입의 휴대단말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폴딩 타입 휴대단말기는, 본체를 제1 본체와 제2 본체로 분할 형성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힘위치와 펼침위치 사이에서 상호 연동되게 구성한 것으로, 접힘위치에서는 본체의 크기를 축소시켜 휴대가 편리하고, 펼침위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을 크게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본체를 고정본체와 이동본체로 분리 형성하고, 고정본체에 대하여 이동본체를 화면축소위치와 화면확장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화면축소위치에서는 본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을 축소시켜 휴대가 편리하고, 화면확장위치에서는 본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이 확장되어 화면을 더욱 크게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런데, 폴딩 타입은 제1 및 제2 본체의 폴딩 동작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중간 부분(폴딩부)만 굴곡 변형되고, 롤-슬라이드 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고정본체에 대하여 이동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화면을 축소 또는 확장시키는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굴곡구간'이라 함.)이 굴곡 변형하므로 폴딩 타입에 비하여, 굴곡 변형하는 길이가 길고, 또한 상기 굴곡구간은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굴곡 변형된다.
따라서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굴곡구간에서 굴곡 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은 화면 전체의 평면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적 및 기능적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KR 10-1792692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굴곡 변형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이를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하여 화면의 확장 또는 축소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확장 또는 축소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이를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에 스프링력을 작용시켜 안정된 굴곡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화면 전체의 평면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화면확장위치에서 과도한 스프링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해 부품의 내구성 및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는,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에 설치되어 고정본체에 대하여 화면확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화면확장방향 끝단에 굴곡지지부가 구비된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의 굴곡지지부에 감싸여져 굴곡 설치되고, 일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면에 지지되어 고정끝단이 고정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이동본체의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끝단이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이동본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굴곡지지부에 대응하여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확장부분을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 상기 고정본체와 이동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이동본체와 받침체인조립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및 받침체인조립체가 항상 이동본체의 굴곡지지부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본체에 대하여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고정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본체에 대하여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의 양측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가이드측판을 고정 설치하고, 고정본체의 측부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인조립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확장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 받침바와, 상기 각 받침바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인접한 다른 받침바와 상호간에 굴곡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인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인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에 받침체인조립체의 수평부와 굴곡변형부에 대응하는 궤적홈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체인조립체의 각 연결부재에는 상기 궤적홈에 끼워져 안내되는 궤적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텐션수단은, 일단은 상기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본체의 저면에 위치한 받침체인조립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텐션아암; 및 상기 이동본체와 텐션아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체인조립체의 힌지결합 부분이 항상 화면축소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의 힌지결합위치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에 의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이를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함께 굴곡 변형하게 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받침체인조립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롤-슬라이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능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동작시 텐션수단에 의한 인장력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과 받침체인조립체에 작용하여 안정된 굴곡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고, 화면의 확장 또는 축소시 화면의 전체 평면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확장위치에서 텐션수단의 인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지 않게 함으로써 부품의 내구성 및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부품을 손상시키지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축소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확장위치를 나타낸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이동본체와 텐션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부 확대도.
도 8은 도 5에서 상부케이스의 내측을 나타낸 일부절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받침체인조립체 및 이의 가이드구조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축소위치에서 텐션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이동본체의 저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확대위치에서 텐션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이동본체의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화면축소위치와 화면확장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본체(10), 이동본체(2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을 구비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이동본체(20)를 고정본체(10)에 대하여 이격시키는 화면확장방향(X1)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화면이 확장되어 큰 화면을 볼 수 있고, 이동본체(20)를 고정본체(10)에 대하여 근접시키는 화면축소방향(X2)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화면이 축소되면서 본체의 크기가 작아져 휴대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조와 이동본체(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고정본체(10)는 상호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2)와,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중간판(13)으로 이루어진다.
중간판(13)은 상부케이스(11)에 고정된 지지브라켓(14) 상에 놓여져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 사이의 중간지점에 위치되는 것으로, 중간판(13)의 상면과 상부케이스(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중간판(13)의 하면과 하부케이스(12) 사이에도 공간이 형성된다.
이동본체(20)는 상기 고정본체(10)에 설치되어 고정본체(10)에 대하여 화면축소위치와 화면확장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으로, 상부케이스(11)와 중간판(13)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상부이동판(21)과, 중간판(13)과 하부케이스(12)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이동판(22)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이동판(21)과 하부이동판(22)은 화면확장방향 끝단부가 상호 고정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상부이동판(21)과 하부이동판(22)의 고정된 끝단부는 하나의 반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굴곡지지부(20a)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과 받침체인조립체(60)의 굴곡변형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이동본체(20)는 상부이동판(21)과 하부이동판(22)의 굴곡지지부(20a)를 외부와 차단하는 선단커버(23)를 구비한다. 선단커버(23)는 양측에 구비된 연장커버(23a)가 하부이동판(22)의 양측 가이드측판(43)에 고정되고, 굴곡지지부(20a)와의 사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된다.
이동본체(20)는 고정본체(10)에 대하여 안정되고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 가이드수단에 의해 안내된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20)의 하부이동판(22)에 구비된 가이드레일(41)과, 고정본체(10)의 상부케이스(11)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1)에 안내되는 가이드블럭(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블럭(42)은 상부케이스(11) 내측에 형성한 고정부(11a)에 고정된다.
제2 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20)의 양측에 가이드부재(44)를 구비한 가이드측판(43)을 고정 설치하고, 고정본체(10)의 상부케이스(11) 측부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재(44)가 안내되는 가이드홈(45)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은 사용자가 고정본체(10)에 대하여 이동본체(20)를 화면확장위치로 잡아당겨 수행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수단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은, 사용자가 특정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터치스크린의 경우 화면의 특정부분을 터치하거나, 이동본체(20)를 화면확장방향(X1) 또는 화면축소방향(X2)으로 조금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고,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구동수단을 제어되게 하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본체(10)의 상부케이스(11)와 이동본체(20)의 하부이동판(22)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부이동판(22)에 슬라이드 이동방향으로 구비된 래크기어(51)와, 상기 래크기어(51)에 이맞물됨된 피니언기어(52)와, 상기 고정본체(10)의 상부케이스(11)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기어(5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니언기어(52)와 구동모터(53)는 복수개 구비하여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것이 좋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은, 이동본체(20)의 굴곡지지부(20a)를 감싸도록 굴곡 설치되고, 일부는 고정본체(10)의 상부케이스(11) 상면에 지지되어 고정끝단(31)이 상부케이스(11)의 화면축소방향 끝단부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이동본체(20)의 하부이동판(22)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끝단(32)이 하부이동판(22)의 화면축소방향 끝단부에 위치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은 이동본체(20)의 화면축소위치(도 3의 위치)에서 상부케이스(11)의 상면에 지지되어 수평면을 유지하고, 이동본체(20)의 화면 확장위치(도 4의 위치)에서 화면이 확장된 부분은 받침체인조립체(60)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면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받침체인조립체(60)는 이동본체(2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 사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체인조립체(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폭방향(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다수개의 받침바(61)와, 상기 다수개의 받침바(61)의 양끝단에 각각 고정되어 인접한 받침바(61)를 상호간에 굴곡변형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62)로 이루어진다.
연결부재(62)에는 체인돌기(63)와 체인홈(64)이 형성되어 인접한 연결부재(62)의 체인돌기(63)와 체인홈(64)이 상호 끼워져 연결되고, 체인돌기(63)와 체인홈(64)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받침바(61)가 이동본체(20)의 굴곡지지부(20a)에서 굴곡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받침체인조립체(60)는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화면이 확장 또는 축소될 때 체인가이드수단에 안내되어 일정한 궤적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수평유지 및 굴곡 변형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체인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20)의 제2 가이드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측판(43)을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이드측판(43) 내측에 이동본체(20)의 굴곡지지부(20a)의 반원형상과 이동본체(20)의 상부이동판(21) 및 하부이동판(22)의 수평형상에 대응하는 궤적홈(65)을 형성하고, 받침체인조립체(60)의 연결부재(62)에는 상기 궤적홈(65)에 끼워져 안내되는 궤적돌기(66)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본체(20)와 받침체인조립체(60) 사이에 설치되어 항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 및 받침체인조립체(60)가 이동본체(20)에 밀착 지지되게 하는 텐션수단을 구비한다.
텐션수단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아암(71)과 탄성부재(72)로 이루어진다.
텐션아암(71)은 소정길이의 바형태로 형성되어 일단(71a)은 이동본체(20)의 하부이동판(22)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71b)은 하부이동판(22) 저면에 위치한 받침체인조립체(60)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받침바(61)와 연결된 지지플레이트(60a)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힌지결합된다.
탄성부재(72)는 이동본체(20)의 하부이동판(22)과 텐션아암(7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체인조립체(60)가 항상 화면 축소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는 스프링력을 부여하게 된다.
탄성부재(72)로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하부이동판(22)에 걸림유지시키고, 타단은 텐션아암(71)에 걸림유지시킴으로써 하부이동판(22)과 텐션아암(71)의 힌지결합위치에 대해 받침체인조립체(60)와 텐션아암(71)의 힌지결합위치가 멀어질 때 토션스프링이 압축되게 하여 받침체인조립체(60)를 항상 화면축소방향으로 당기는 스프링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면축소위치(도 1 및 도 3 참조)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화면을 터치하거나, 이동본체(20)를 조금 잡아당기는 등의 조작으로 구동모터(53)가 제어되어 구동하면, 도 5,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구동모터(53)에 의해 피니언기어(52)가 회전하여 래크기어(51)를 화면확장방향으로 직선이동시키고, 이로인해 이동본체(20)의 상부이동판(21), 하부이동판(22) 및 선단커버(23)가 고정본체(10)에 대하여 화면확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1 가이드수단인 상부케이스(11)의 가이드블럭(42)에 하부이동판(22)의 가이드레일(41)이 안내되고, 또한 제2 가이드수단인 하부이동판(22)의 가이드측판(43)에 구비된 가이드부재(44)가 상부케이스(11)의 가이드홈(45)에 안내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2중 안내구조에 의해 흔들림 없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동본체(20)가 화면확장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본체(20)의 상부이동판(21)과 하부이동판(22)의 선단인 굴곡지지부(20a)가 받침체인조립체(6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을 밀어내게 된다. 이로 인해 받침체인조립체(6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은 상부케이스(11)에 고정끝단(31)이 고정되고, 이동끝단(32)은 고정되지 않고 하부이동판(22) 저면에 위치한 것이므로, 이동끝단(32)이 화면확장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부이동판(21) 상에 지지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화면이 이동본체(20)의 이동길이(a)만큼 확장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을 지지하고 있던 받침체인조립체(60)도 함께 확장된다(도 2 및 도 4 참조).
이와 같이 확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과 받침체인조립체(60)는 상부케이스(11)에 대하여 화면확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부이동판(21) 상에 지지되어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화면확장시 받침체인조립체(60)는 도 9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받침바(61)가 연결부재(62)에 연결되어 수평과 굴곡이 자유롭고, 연결부재(62)의 체인돌기(63)가 이동본체(20)의 가이드측판(43)에 형성된 체인홈(64)에 안내되어 일정한 궤적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확장부분에 대한 수평유지를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고, 굴곡지지부(20a)에서의 굴곡 변형도 항상 일정하고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시 하부이동판(22)이 화면확장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a)보다 받침체인조립체(60)의 끝단이 화면 확장방향으로 이동하는 길이(b)가 더 길다.
이는 받침체인조립체(60)가 이동본체(20)의 반원형상 굴곡지지부(20a)에 감겨져 있기 때문이고, 굴곡지지부(20a)의 반경이 클수록 이에 비례하여 받침체인조립체(60) 끝단의 이동 길이(b)는 더 길어진다.
따라서, 도 12에서와 같이 화면축소위치에서는 텐션수단의 텐션아암(71)과 힌지결합되는 하부이동판(22)의 힌지결합위치와 받침체인조립체(60) 끝단의 힌지결합위치가 화면확장방향에 대하여 근접한 상태에서, 도 13에서와 같이 이동본체(20)가 화면확장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이동판(22)의 힌지결합위치가 이동한 길이(a)보다 받침체인조립체(60) 끝단의 힌지결합위치가 이동한 길이(b)는 더 길어지게 되므로, 텐션아암(71)은 하부이동판(22)의 힌지결합위치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고, 이로인해 탄성부재(72)는 압축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탄성부재(72)에 의해 받침체인조립체(60)의 끝단에는 화면축소방향으로 당겨지는 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받침체인조립체(60) 및 이에 받쳐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은 굴곡지지부(20a)에 밀착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의 화면이 확장되는 동안 화면 전체를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화면확장위치(도 2 및 도 4 참조)에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의 특정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화면을 터치하거나, 이동본체(20)를 화면축소방향으로 조금 누르는 등의 조작으로 구동모터(53)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면, 피니언기어(52)는 화면확장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인해 래크기어(51)가 화면축소방향으로 직선이동하므로, 이동본체(20)의 상부이동판(21), 하부이동판(22) 및 선단커버(23)가 고정본체(10)에 대하여 화면축소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도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수단에 의한 2중 안내구조에 의해 흔들림 없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본체(20)가 화면축소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본체(20)의 상부이동판(21)과 하부이동판(22)의 선단인 굴곡지지부(20a)로부터 받침체인조립체(6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가 이격되려고 하지만, 받침체인조립체(60) 끝단은 압축된 텐션수단의 탄성부재(72)에 의해 화면축소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받고 있는 것이므로, 받침체인조립체(60)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은 지속적으로 굴곡지지부(20a)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확장위치에서 화면축소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화면을 팽팽하게 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화면축소시에도 받침체인조립체(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가이드수단에 의해 일정한 궤적으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30)을 항상 일정하고 안정되게 화면축소위치로 원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텐션수단은 도 11 및 도 13에서와 같이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시 하부이동판(22)이 화면확장방향으로 이동한 길이(a)보다 받침체인조립체(60)의 끝단이 화면 확장방향으로 이동한 길이(b)가 더 길다는 것을 감안하여 텐션아암(71)의 일단(71a)은 하부이동판(22)과 힌지결합하고, 타단(71b)은 받침체인조립체(60)의 끝단에 힌지결합함으로써 화면축소위치와 화면확장위치 사이에서 탄성부재(72)가 탄성변형하는 변위길이(c)를 최대한 감소시켰다.
이는 텐션아암(71)의 일단(71a)을 고정본체(10)의 하부케이스(12)에 힌지결합 경우, 텐션부재가 탄성변형하는 변위길이는 받침체인조립체(60)의 끝단이 이동한 길이(b)와 같게 되므로 그 만큼 탄성부재(72)가 탄성변형하는 변위길이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재(72)가 탄성변형하는 변위길이(c)가 길수록 화면확장위치에서 과도한 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되고, 과도한 스프링력은 이동본체(20)의 슬라이드 이동시 큰 부하로 작용하여 구동수단에 무리를 줄 수 있고, 또한 탄성부재(72)가 과도한 탄성변형과 탄성복원 동작을 장기간 반복하게 되면, 탄성부재(72)의 탄성기능이 점차 약화되어 기능을 상실하므로, 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본체 11 : 상부케이스
12 : 하부케이스 20 : 이동본체
20a : 굴곡지지부 21 : 상부이동판
22 : 하부이동판 30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31 : 고정끝단 32 : 이동끝단
41 : 가이드레일 42 : 가이드블럭
43 : 가이드측판 44 : 가이드부재
45 : 가이드홈 60 : 받침체인조립체
61 : 받침바 62 : 연결부재
65 : 궤적홈 66 : 궤적돌기
71 : 텐션아암 72 : 탄성부재

Claims (6)

  1. 고정본체;
    상기 고정본체에 설치되어 고정본체에 대하여 화면확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화면확장방향 끝단에 굴곡지지부가 구비된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의 굴곡지지부에 감싸여져 굴곡 설치되고, 일부는 상기 고정본체의 상면에 지지되어 고정끝단이 고정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고정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이동본체의 저면에 지지되어 이동끝단이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이동본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굴곡지지부에 대응하여 굴곡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확장부분을 받쳐지지하는 받침체인조립체;
    상기 고정본체와 이동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이동본체와 받침체인조립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 및 받침체인조립체가 항상 이동본체의 굴곡지지부에 밀착하는 방향으로 스프링력을 작용시키는 텐션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텐션수단은,
    일단이 상기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본체의 저면에 위치한 받침체인조립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에 힌지결합되는 텐션아암 및
    상기 이동본체와 텐션아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체인조립체의 힌지결합부분이 항상 화면축소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스프링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텐션아암이 상기 이동본체의 화면축소방향 끝단의 힌지결합위치를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에 대하여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에 고정된 가이드레일과, 고정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블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에 대하여 이동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의 양측에 가이드부재를 구비한 가이드측판을 고정 설치하고, 고정본체의 측부 내측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안내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인조립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확장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된 받침바와, 상기 각 받침바의 양끝단에 고정되어 인접한 다른 받침바와 상호간에 굴곡변형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체인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체인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체인가이드수단은 이동본체에 받침체인조립체의 수평부와 굴곡변형부에 대응하는 궤적홈을 형성하고, 상기 받침체인조립체의 각 연결부재에는 상기 궤적홈에 끼워져 안내되는 궤적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6. 삭제
KR1020220008070A 2022-01-19 2022-01-19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259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70A KR102598622B1 (ko) 2022-01-19 2022-01-19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070A KR102598622B1 (ko) 2022-01-19 2022-01-19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974A KR20230111974A (ko) 2023-07-26
KR102598622B1 true KR102598622B1 (ko) 2023-11-07

Family

ID=8742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070A KR102598622B1 (ko) 2022-01-19 2022-01-19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6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032B1 (ko) * 2014-09-04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556654B1 (ko) * 2018-12-14 2023-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힌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81347B1 (ko) * 2019-09-27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10106306A (ko) * 2020-02-20 2021-08-30 (주)에이유플렉스 화면의 크기가 조절되는 슬라이딩 디스플레이장치
KR20210150178A (ko) * 2020-06-03 2021-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974A (ko)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946B1 (ko) 모바일 디바이스
KR101346146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CN108829187B (zh) 显示系统
EP2325717B1 (en) Electronic device
KR20190004618A (ko)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JP4731587B2 (ja) 移動通信端末機
CN112732021B (zh) 电子设备
KR20190043613A (ko)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 장치 및 플렉서블 스크린
KR101604826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20220147103A1 (en) Flexible display
CN111683166A (zh) 电子设备
KR102598622B1 (ko)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CN114424141A (zh) 铰链机构及具有铰链机构的可折叠设备
KR102322915B1 (ko)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CN114373383A (zh) 可折叠显示设备
CN113890915A (zh) 电子装置
WO2023226982A1 (zh) 电子设备
KR100652644B1 (ko) 슬라이딩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US20110007469A1 (en) Slider actuator
CN111667772A (zh) 卷曲结构和显示装置
KR20200081906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CN210183368U (zh) 一种弯折装置和柔性装置
CN113383380A (zh) 一种弯折装置和柔性装置
CN114546035A (zh) 一种电子设备
CN214202973U (zh) 可折叠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