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906A -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906A
KR20200081906A KR1020180171905A KR20180171905A KR20200081906A KR 20200081906 A KR20200081906 A KR 20200081906A KR 1020180171905 A KR1020180171905 A KR 1020180171905A KR 20180171905 A KR20180171905 A KR 20180171905A KR 20200081906 A KR20200081906 A KR 2020008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anel
sliding panel
guide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676B1 (ko
Inventor
이정용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80171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Abstract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는 상호 중첩되어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패널 및 슬라이딩패널과, 양단이 각각 고정패널과 슬라이딩패널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가이드부는 슬라이딩패널의 좌우 양측 근방에 절개 형성된 가이드홀과,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슬라이딩패널에 마련된 레일면과, 고정패널의 양단에서 슬라이딩패널을 향해 1차 벤딩된 단차부와, 단차부의 단부에서 2차 벤딩되어 수평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홀을 통해 레일면에 지지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SLIDE APPARATUS FOR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전자기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중첩되어 있는 한 쌍의 부재가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방되도록 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는 바타입(bar type), 플립타입(flip type), 플립업타입(flip-up type), 폴더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타입(slide type), 가로보기타입 등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다.
최근에는 바타입, 플립타입, 플립업타입 등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은데 반하여 폴더타입, 슬라이드타입, 가로보기타입 등은 여전히 인기리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을 더 슬림하고 콤팩트하게 만들기 위한 기술도 많이 연구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자기기는 상술한 각 타입의 특성에 맞는 슬라이드 장치들을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일례로 슬라이드타입의 경우는 상하 몸체 사이에 레일을 포함하는 수동 슬라이드 장치를 마련하여 상대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동 슬라이드 장치는 폭 방향 양단에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단면 'ㄷ'자 형태의 레일부를 구비하므로 성형성 한계로 인하여 전자기기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50074호(2013.05.15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전자기기의 슬림한 두께를 구현할 수 있는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중첩되게 마련되며,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패널 및 슬라이딩패널과,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슬라이딩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좌우 양측 근방에 절개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상기 슬라이딩패널에 마련된 레일면과, 상기 고정패널의 양단에서 상기 슬라이딩패널을 향해 1차 벤딩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단부에서 2차 벤딩되어 수평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레일면에 얹혀져 지지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폭방향 일부를 덮도록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좌우 양단부를 벤딩시켜 접히도록 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폭방향 일부를 덮도록 상기 슬라이딩패널에 포개지도록 결합되는 패널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패널이 이동 시 상기 가이드리브와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마찰저감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상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중 하나의 중앙영역은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에는 마찰저감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상대 이동 시 좌우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와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홀 내면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되는 폼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에는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이동 시 상기 탄성체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되어 상기 탄성체가 노출되는 간섭방지홀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면은 상기 가이드홀을 향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변은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두께를 형성하는 단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슬라이딩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전체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두 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열림 위치에서의 슬라이딩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두 부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20)는 상호 적층 결합되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부재(10,11)가 상대적으로 수동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슬라이딩장치(20)는 제1 및 제2 부재(10,11) 내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부재(10,11)가 상대 이동함에 따라 내부 대향면이 상대적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제1 부재(10)와 제2 부재(11) 중 어느 하나는 LCD, TFT, 터치패널 등으로 마련되어 각종 화상정보를 입축력하는 표시창이 마련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각종 문자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일면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열림 위치에서의 슬라이딩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딩장치(20)는 상호 중첩되게 마련되어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패널(30) 및 슬라이딩패널(40)과,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0) 및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상대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체(6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의 슬라이딩장치(20)는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0) 구조를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슬림한 형태의 슬라이딩장치를 구현하도록 마련된다.
고정패널(30)은 얇은 두께를 갖는 장방형의 패널형태로 이루어지고, 고정패널(30)의 폭방향 양단에는 슬라이딩패널(40)과 연계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되기 위한 가이드부(50)가 마련된다.
고정패널(30)에 구비된 가이드부(50)는 고정패널(30)의 상하에서 각각 좌우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50)는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거동 안정성을 위해 전체적으로 4개소 구비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패널(30)의 좌우 양단에 2개소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패널(30)에 구비된 가이드부(50)는 고정패널(30)의 양단에서 슬라이딩패널(40)을 향해 1차 벤딩된 단차부(31)와, 단차부(31)의 단부에서 2차 벤딩되어 수평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리브(32)를 포함한다.
고정패널(30)의 상하 좌우 근방에는 슬라이딩패널(40)의 이동 시 탄성체(6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크기로 절개된 간섭방지홀(34)이 형성된다.
간섭방지홀(34)은 고정패널(30)과 상대 이동하는 슬라이딩패널(40)의 동작구간에서 탄성체(60)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고정패널(30)에 절개 형성되고, 탄성체(60)는 간섭방지홀(34)을 통해 노출되도록 함에 의해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중첩 시 탄성체(60)로 인한 두께 증가요인을 제거하여 슬라이딩장치(20)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패널(30)의 중앙에는 슬라이딩패널(40)을 향해 소정깊이 함몰된 함몰부(35)가 형성된다. 함몰부(35)는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며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이 중첩되는 경우 서로 맞닿는 부분을 형성한다.
함몰부(35)에 의해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이 맞닿는 부분에는 이동 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마찰저감부재(70)가 마련된다. 마찰저감부재(70)는 마찰계수가 낮은 테프론 시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함몰부(35)는 고정패널(30)의 중앙에 마련된 예를 도시하나, 고정패널(30) 대신 슬라이딩패널(4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슬라이딩패널(40)은 고정패널(30)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장방형의 패널형태로 마련된다. 슬라이딩패널(40)에는 고정패널(30)의 가이드리브(3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리브(32)와 상대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홀(41)과 레일면(42)을 갖는 가이드부(50)가 마련된다.
슬라이딩패널(40)의 상하 좌우 양측 근방에는 상하로 길이가 긴 장방형 슬롯 형태로 절개된 가이드홀(41)이 형성되고, 슬라이딩패널(40)의 좌우 양단과 각각 인접한 가이드홀(41)의 폭방향 일부에는 가이드리브(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일면(42)이 마련된다.
가이드홀(41)의 상하 연장길이는 슬라이딩패널(40)의 상하 동작구간을 허용하도록 가이드리브(32)의 상하 연장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레일면(42)은 가이드홀(41)의 폭방향 일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고, 슬라이딩패널(40)의 표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면(42)은 상하로 길이가 긴 장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네 변 중 가이드홀(41)을 향하는 변은 개방되고, 다른 세 변은 슬라이딩패널(40)의 두께를 형성하는 단면(40a)에 의해 막힌 상태로 둘러 싸여질 수 있다.
슬라이딩패널(40)에 형성된 레일면(42)은 도 6과 같이 슬라이딩패널(40)의 좌우 양단을 헤밍(hemming) 공법을 통해 벤딩시켜 접히도록 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8과 같이, 슬라이딩패널(40)에 형성된 레일면(42)은 별도의 패널부재(80)가 가이드홀(41)의 폭방향 일부를 덮도록 슬라이딩패널(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이 상호 중첩되는 경우, 고정패널(30)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2)는 가이드홀(41)을 통해 돌출되어 레일면(42)에 얹혀지게 된다. 레일면(42)에 걸쳐진 가이드리브(32)는 슬라이딩패널(40)이 고정패널(3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경우 레일면(4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 이러한 레일면(42)에는 가이드리브(32)의 이동 시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마찰저감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찰저감부재(70)는 테프론 시트를 포함한다.
탄성체(60)는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 간의 상호 슬라이딩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탄성체(60)는 일단이 슬라이딩패널(40)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타단이 고정패널(30)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체(60)는 일단이 슬라이딩패널(40)에 리벳 결합된 리벳부(43)에 지지되어 나선형태로 감기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가이드리브(32) 근방의 고정패널(30)에 리벳 결합된 리벳부(33)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60)에 의해 슬라이딩패널(40)은 일정 동작구간까지는 슬라이딩패널(40)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동작하고, 일정 동작구간을 넘어가게 되면 가해진 외력에 대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동작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탄성체(60)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체(60)는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 상호간의 상대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라면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홀(41) 근방에는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상대 이동 시 좌우 폭방향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폼(POM)부재(90)와, 슬라이딩패널(40)의 이동 시 상하 동작구간에 대한 상부위치와 하부위치에서 슬라이딩패널(40)과 고정패널(30)의 충돌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완충부재(95)가 마련될 수 있다.
폼부재(90)는 내마모성 및 슬라이딩 성질이 우수한 Polyoxymethylene 또는 acetal 소재로 이루어진 장방형태로 형성되고, 가이드홀(41)에서 노출된 고정패널(30)의 표면(36)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패널(30)에 결합된 폼부재(90)는 폭방향 양단이 각각 고정패널(30)의 단차부(31)와 슬라이딩패널(40)에 형성된 가이드홀(41)의 내면(41a)(단차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폭방향 유동을 억제시킨다.
또한 폼부재(90)는 고정패널(30)과 슬라이딩패널(40)의 상대 이동 시 가이드홀(41)의 내면(41a)과 슬라이딩 접촉함에 따라 마찰저항을 저감시킨다.
완충부재(95)는 가이드홀(41)의 상단과 하단에서 가이드홀(41)의 내주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슬라이딩패널(40)의 상하 동작구간 중 최상단과 최하단에서 고정패널(30) 또는 폼부재(90)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본 실시 예의 슬라이딩장치(20)의 가이드부는 기존 'ㄷ'자 형태의 레일구조를 적용함에 따른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두께를 최소화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슬림한 두께의 전자기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부재, 11: 제2 부재,
20: 슬라이딩장치, 30: 고정패널,
31: 단차부, 32: 가이드리브,
34: 간섭방지홀, 35: 함몰부,
40: 슬라이딩패널, 41: 가이드홀,
41a: 내면, 42: 레일면,
50: 가이드부, 60: 탄성체,
70: 마찰저감부재, 80: 패널부재,
90: 폼부재, 95: 완충부재.

Claims (9)

  1. 상호 중첩되게 마련되며, 좌우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부를 따라 상호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패널 및 슬라이딩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슬라이딩 동작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에 연결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좌우 양측 근방에 절개 형성된 가이드홀과, 상기 가이드홀과 인접하게 상기 슬라이딩패널에 마련된 레일면과, 상기 고정패널의 양단에서 상기 슬라이딩패널을 향해 1차 벤딩된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의 단부에서 2차 벤딩되어 수평면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레일면에 얹혀져 지지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폭방향 일부를 덮도록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좌우 양단부를 벤딩시켜 접히도록 함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폭방향 일부를 덮도록 상기 슬라이딩패널에 포개지도록 결합되는 패널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패널이 이동 시 상기 가이드리브와의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한 마찰저감부재가 마련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패널 및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상하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중 하나의 중앙영역은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접촉면을 형성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에는 마찰저감부재가 마련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상대 이동 시 좌우유동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와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홀 내면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고정패널에 결합되는 폼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에는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이동 시 상기 탄성체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되어 상기 탄성체가 노출되는 간섭방지홀이 마련되는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면은 상기 가이드홀을 향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변은 상기 슬라이딩패널의 두께를 형성하는 단면에 의해 둘러싸인 전자기기용 슬라이딩장치.
KR1020180171905A 2018-12-28 2018-12-28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10218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05A KR102180676B1 (ko) 2018-12-28 2018-12-28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05A KR102180676B1 (ko) 2018-12-28 2018-12-28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06A true KR20200081906A (ko) 2020-07-08
KR102180676B1 KR102180676B1 (ko) 2020-11-20

Family

ID=7160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905A KR102180676B1 (ko) 2018-12-28 2018-12-28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4916A (zh) * 2021-06-30 2021-10-22 中车大连电力牵引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带有减震设计的数据采集模块及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365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 휴대폰
KR101027813B1 (ko) * 2009-12-09 2011-04-12 정현기 탄성체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조립체, 그리고 슬라이딩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KR20110096823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다이아벨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30050074A (ko)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365A (ko) * 2009-05-26 2010-12-06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슬라이드 휴대폰
KR101027813B1 (ko) * 2009-12-09 2011-04-12 정현기 탄성체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조립체, 그리고 슬라이딩 조립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KR20110096823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다이아벨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30050074A (ko)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4916A (zh) * 2021-06-30 2021-10-22 中车大连电力牵引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带有减震设计的数据采集模块及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676B1 (ko)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9745B2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端末機
EP1530345B1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08534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US8620396B2 (en) Slide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EP2228973B9 (en) Roller assembly for a slid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9105868A (ja) 相対移動付勢装置並びに相対移動付勢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200081906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JP3159545U (ja) 電子機器用のスライド式ばね機構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999999B1 (ko) 슬라이딩 장치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236709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5019229B2 (ja) スライド機構及び電子機器
KR200442455Y1 (ko) 휴대폰용 곡면 슬라이더 조립체
KR101066041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78516B1 (ko)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100958818B1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4188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1266376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660940B1 (ko) 레일을 따라 가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154420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83529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KR100964276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20035323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