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915B1 -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 Google Patents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915B1
KR102322915B1 KR1020200004280A KR20200004280A KR102322915B1 KR 102322915 B1 KR102322915 B1 KR 102322915B1 KR 1020200004280 A KR1020200004280 A KR 1020200004280A KR 20200004280 A KR20200004280 A KR 20200004280A KR 102322915 B1 KR102322915 B1 KR 102322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oving part
band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926A (ko
Inventor
박순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넥
Priority to KR1020200004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915B1/ko
Priority to CN202120063138.1U priority patent/CN214504835U/zh
Publication of KR20210090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클로즈 상태 또는 오픈 상태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3 이동부; 휨 변형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고, 일측의 제1 면과 타측의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이동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3 이동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 사이의 제2 면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감싸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면을 곡면 상태로 지지하는 제2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ROLLABLE MOBILE DEVICE WITH AN INTERCONNECTED MOVING POR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종류로서, 인 폴딩 방식과 아웃 폴딩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인 폴딩 방식은 최근 삼성전자가 출시한 것으로서,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의 안쪽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접힘선을 기준으로 마치 종이가 접히듯이 작은 곡률 반경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는 방식이다. 인 폴딩 방식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접었을 때 디스플레이 접힘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서 접힘 부분에 주름이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웃 폴딩 방식은 삼성전자, 중국의 화웨이, 로욜이 선보인 것으로서,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가 접히고, 바깥쪽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큰 곡률 반경으로 휘어지는 방식이다. 아웃 폴딩 방식은 펼쳤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가 서로 평행하므로 길이가 동일하다. 그러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선이 제1 본체부의 회전 중심과 제2 본체부의 회전 중심의 바깥쪽에 있다. 따라서, 아웃 폴딩 방식은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를 접었을 때, 본체부보다 바깥쪽에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체 길이가 모자랄 수 있다.
본 발명은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부가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동부에 결합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롤러블 방식으로 길이 또는 폭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클로즈 상태 또는 오픈 상태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3 이동부; 휨 변형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고, 일측의 제1 면과 타측의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이동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3 이동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 사이의 제2 면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감싸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면을 곡면 상태로 지지하는 제2 이동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힘부가 없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본체부에 대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클로즈 상태 또는 오픈 상태가 자연스럽게 연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의 클로즈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모바일 장치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로즈 상태의 힌지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오픈 상태의 힌지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로즈 상태의 모바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오픈 상태의 모바일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레일 유니트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제3 이동부, 제1 밴드, 및 제2 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체부와 도 8의 구성을 함께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장치는, 본체부(50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 이동부(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500)는 모바일 장치의 메인 보드, 배터리 등을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이 설치되며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체부(500)의 길이 또는 폭 이하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노출되는 클로즈 상태가 도시된다. 모바일 장치는 도 1과 같은 클로즈 상태에서 노출 화면이 최소가 되며 전체 크기가 최소로 되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휴대 간편성을 위하여 평소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가 본체부(500) 내부에 수납된 클로즈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주요부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측면 커버(102)는 제거되었다. 측면 커버(102)는 레일 유니트(200)를 덮어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본체부(500) 내부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며, 방수 또는 방오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픈 상태가 도시된다. 클로즈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본체부(500)의 측면 방향으로 제1 이동부(110)를 잡아당기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본체부(500)의 측면 방향으로 밀면 제1 이동부(110)가 직선 이동하면서 오픈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본체부(500)로부터 펼쳐질 수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본체부(500)의 길이 또는 폭보다 길게 펼쳐진 오픈 상태가 되며,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오픈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노출된 면적은 최대가 되며 본체부(500) 내부에 수납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최소화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쉽게 휘어지므로 화면 형성을 위하여 평면 상태로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제1 이동부(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에지 화면 구현을 위하여 제1 이동부(110)의 단부는 곡면일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는 에지 부분의 예와 같이 부분적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곡면으로 지지하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넓은 면적을 평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도 1의 클로즈 상태로부터 도 2의 오픈 상태로 펼쳐지면 본체부(500)의 적은 사이즈에 불구하고 대화면 구현이 가능하다. 종래의 인 폴딩 또는 아웃 폴딩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딩 방식 또는 롤러블 방식에 의하면, 대화면 구현시 화면의 주름이 원천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본체부(500)의 회전 중심이 사라지므로 폴딩 방식에서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 길이가 모자란 문제점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는 본체부(500)의 전면(501)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는 본체부(500)에 설치되며 제1 이동부(11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 제2 이동부(120), 제3 이동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양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동부(110, 120, 130)의 이동 정밀도를 위하여 레일 유니트(200)는 본체부(50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유격이 제거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전체 면적은 오픈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본체부(500)의 전면(501)에 노출되는 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즈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남는 부분은 본체부(500) 내부에 롤러블 상태 또는 슬라이딩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롤러블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본체부(500) 내부에 수납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접히는 종래의 폴딩 방식에 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접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부(110)는 가요성이 없는 평판이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휨 변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없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휘어지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곡선 이동되는 제2 이동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본체부(500)의 전면(501)으로부터 후면(502)을 향하여 곡선 이동되거나 본체부(500)의 후면(502)으로부터 전면(501)을 향하여 곡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의 단부는 제1 이동부(110)의 단부에 대면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 사이에 틈이 생기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지지 상태가 단절되거나 들뜸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이동부(110) 및 제2 이동부(120)는 단차없이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이동부(12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마련하면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레일 유니트(200)를 공통의 안내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의 직선 이동은 물론 제2 이동부(12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는 휨 변형 없이 평면 상태로 본체부(500)에 대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나머지 일부는 휨 변형되므로, 본체부(500)의 측면에 곡면 상태로 감길 수 있다. 이 부분은 제2 이동부(120)가 휨 변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휨 변형없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반대쪽 평면을 지지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여유분이 많거나 제1 이동부(110)의 신축량이 큰 경우 반대쪽 평면의 지지 수단이 더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500)의 후면(502)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지지하는 제3 이동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이동부(130)는 본체부(500)의 후면(502)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를 연결하며 곡선 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500)의 슬림화 및 구조의 간편화를 위한 공통의 안내 수단인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한편, 제2 이동부(120)의 곡선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일부는 휨 변형 없는 상태이며, 본체부(500)에 대하여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에 의하여 지지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나머지 일부에는 휨 변형이 발생하며, 본체부(500)의 측면에 곡면 상태로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부(110, 120, 130)는 모터나 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지만, 저전력화, 슬림화, 고장 요인 차단을 위하여 반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순수한 수동 방식에 의하면 클로즈 상태나 오픈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쉽게 흔들릴 수 있다.
반자동 동작을 위하여 힌지 스프링(106)이 본체부(500) 및 제1 이동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은 본체부(500)에 대하여 이동부(110, 120, 13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의 설치 위치는 제1 이동부(110)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이동부(12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이 제2 이동부(12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마련되면, 제2 이동부(120) 또는 제3 이동부(130)를 탄성적으로 밀어주고 제1 이동부(110)에 간접적인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과 같이 제1 이동부(110) 및 본체부(500)가 포개진 상태를 클로즈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제1 이동부(110)가 본체부(500)로부터 펼쳐진 상태를 오픈 상태라 정의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이 최대로 압축되는 위치를 전환점이라 정의할 때, 전환점이 클로즈 상태 및 오픈 상태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전환점에서 힌지 스프링(106)이 벌어진 간격인 전환점 스프링 간격은 참조 부호 L0 이다.
도 3 및 도 4에서 힌지 스프링(106)으로서 토션 스프링이 도시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 스프링(106)은 압축 코일 스프링,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은 전환점으로부터 클로즈 상태를 향하는 방향 또는 오픈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은 클로즈 상태가 되도록 이동부(110, 120, 130)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클로즈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106)이 벌어진 간격인 클로즈 스프링 간격은 참조 부호 L1 이다. 전환점 스프링 간격 L0 가 최소이므로 클로즈 스프링 간격 L1 은 전환점 스프링 간격 L0 보다 클 수 있다.
힌지 스프링(106)은 전환점으로부터 오픈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이동부(110)를 탄력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오픈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106)이 벌어진 간격인 오픈 스프링 간격 L2 는 전환점 스프링 간격 L0 보다 클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본체부(50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이 되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곡면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복수의 체인 블록(12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인 블록(122)은 레일 유니트(200)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이동 궤적이 곡선이므로, 하나의 체인 블록(122)은 다른 체인 블록(122)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는 본체부(500)의 전면(501)에서 직선 이동되고, 제3 이동부(130)는 본체부(500)의 후면(502)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는 제1 이동부(110)와 제3 이동부(130)를 연결하며 본체부(500)의 측면에서 곡선 이동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는 제1 이동부(110)를 안내하는 직선 궤도의 제1 레일(210), 제2 이동부(120)를 안내하는 곡선 궤도의 제2 레일(220), 제3 이동부(130)를 안내하는 직선 궤도의 제3 레일(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은 본체부(500)의 전면(501)에 인접하며, 제2 레일(220)은 본체부(500)의 측면에 인접하고, 제3 레일(230)은 본체부(500)의 후면(502)에 인접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에는 제1 이동부(110)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2 레일(220)에는 제2 이동부(120)가 곡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제3 레일(230)에는 제3 이동부(130)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는 평판 형상이므로 제1 레일(210) 및 제3 레일(230)은 공통이 되면 이동 거리가 짧아지는 단점이 예상된다. 제2 이동부(120)는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 사이를 연결하므로, 제2 레일(220)은 제1 레일(210)의 연장된 부분이거나 제3 레일(230)의 연장된 부분이 되는 것이 슬림화 및 구조 간편화에 유리하다.
도 7에 의하면, 제1 이동부(110)의 긴 이동 거리 확보를 위하여 제2 레일(220) 및 제3 레일(23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레일(220) 및 제3 레일(230)은 제1 레일(210)과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의 이동 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1 레일(210)은 본체부(500)의 제1 측면부(510)로부터 제2 측면부(520)에 걸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레일(220)을 제3 레일(230)과 연결시키는 것이 레일의 형성 개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다음은 조립성 향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부(500)에 제1 이동부(110)를 조립할 때, 본체부(500)의 측면 일측에 해당하는 제1 측면부(510)로부터 본체부(500)의 측면 타측에 해당하는 제2 측면부(520)를 향하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이동부(110)가 레일 유니트(200)에 끼워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이동부(110)가 끼워지는 시작점인 제1 레일 개구(211)는 본체부(500)의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레일(210)은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한 제1 레일 개구(211)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곡선 궤도인 제2 레일(220)에 의하여 본체부(500)의 측면 타측인 제2 측면부(520)가 막힐 수 있다. 본체부(500)에 제3 이동부(130)를 조립할 때, 제3 이동부(130)도 제1 측면부(510)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레일 유니트(200)에 끼워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3 이동부(130)가 끼워지는 시작점인 제3 레일 개구(231)는 본체부(500)의 측면 일측에 해당하는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레일(230)은 제1 측면부(510)에 위치한 제3 레일 개구(231)를 시작점으로 제1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레일 개수 최소화를 위하여 제2 레일(220)은 제3 레일(23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부(120)는 제3 레일 개구(231)를 시작점으로 제1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3 레일 개구(231)에 끼워진 제2 이동부(120)는 직선 구간인 제3 레일(230)을 지나서 곡선 구간인 제2 레일(220)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 및 제3 이동부(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동부(110)가 본체부(500)에 끼워지는 제1 레일 개구(211)가 레일 유니트(200)에 마련되고, 제3 이동부(130)가 본체부(500)에 끼워지는 제3 레일 개구(231)가 레일 유니트(20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일 개구(211) 및 제3 레일 개구(231)는 레일 유니트(200)의 일측에 몰려서 개방 또는 노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일측의 제1 면(301)과 타측의 제3 면(3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301)은 제1 이동부(110)에 밀착 고정되고, 제3 면(303)은 제3 이동부(130)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1 면(301)과 제3 면(303) 사이의 제2 면(302)은 본체부(500)의 측면 또는 제2 측면부(520)를 감쌀 수 있다. 제2 면(302)은 휨 변형되므로 제2 이동부(120)와 접착 고정되면 잔류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20)가 복수의 체인 블록(122)으로 된 경우, 각각의 체인 블록(122)의 표면에 제2 면(302)을 접착시키면 체인 블록(122)의 연결부에서 제2 면(302)이 급격히 접히는 무늬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면(302)의 국부적인 급격한 곡률 변화를 줄이고 연속적으로 부드러운 곡면 형성을 위하여 제2 면(302)은 제2 이동부(120)의 표면에 비접착 또는 비고정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에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를 조립하면,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의 단부는 상호 접촉 상태가 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이동부(110, 120, 130)를 미는 경우, 인접한 이동부(110, 120, 130)도 밀 수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이동부(110, 120, 130)를 당기는 경우, 인접한 이동부(110, 120, 130)를 끌어당기는 수단이 필요하다. 각각의 체인 블록(122)도 하나의 집합체처럼 당길 수 있어야 한다.
한편, 레일 유니트(200)에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를 조립한 후 제1 이동부(11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체인 블록(122)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비고정 상태일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에 대한 힘 전달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동부(110, 120, 130)를 본체부(500)에 조립시, 제3 이동부(130)를 제1 이동부(110)에 바짝 접근시키거나 각 부품 사이가 압착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고정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장력이 작용할 수 있고 각각의 이동부(110, 120, 130) 사이 또는 각각의 체인 블록(122) 사이가 울퉁불퉁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조립후. 제1 이동부(110)를 당기면 불규칙한 요철이 더 확대되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에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제1 이동부(110)를 당길 때 요철을 방지하려면 각 부품 사이에 적당한 간격이 있거나 느슨하게 밀착되도록 조립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간격이 있으면 클로즈 상태를 위하여 제1 이동부(110)를 밀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압축력은 전달하기 어려우므로 이음부의 불규칙한 요철 및 응력 집중이 생길 수 있다.
이와 별개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들뜸없이 팽팽한 상태로 이동부(110, 120, 130)에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별한 대책을 수립하였다.
첫째, 각 부품 사이가 압착되지 않고 적당한 간격이 있거나 느슨한 상태로 조립된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이동부(110)를 당길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인장력 전달에 의하여 각 부품은 문제없이 끌려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3 이동부(130)와 제1 이동부(110)를 제1 밴드(410)로 연결할 수 있다. 조절부에 의하여 제1 이동부(110)에 대한 제3 이동부(130)의 상대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부(110)를 제2 측면부(520) 방향으로 밀 때, 제1 밴드(410)가 제3 이동부(130)를 제1 측면부(510)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가 압축력을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해결하였다.
한편, 조절부는 제3 이동부(130)를 제1 측면부(510) 방향으로 당기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느슨한 조립 상태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비접착 부위의 들뜸 방지를 위하여 제2 이동부(120) 또는 각각의 체인 블록(122)을 본체부(500)의 바깥쪽으로 밀어주거나 비접착 부위를 밀착시키는 탄성 수단으로서 제2 밴드(420)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동부(120) 또는 각각의 체인 블록(122)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 사이의 불규칙한 요철 또는 들뜸 요인은 제거될 수 있다.
둘째, 조립 중에 각 부품이 과도하게 압착되어 연결부가 울퉁불퉁한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고정하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제2 밴드(420)는 제1 이동부(110)와 제2 이동부(120) 사이에 탄성력을 작용하거나 각각의 체인 블록(122) 사이에 탄성력을 작용하므로, 각 부품이 일정한 힘으로 배열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밴드(410), 제2 밴드(420) 또는 조절부에 의하여 각 부품간 접촉력이 고르게 분산된 상태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문제가 완화될 수 있다.
조절부는 제1 이동부(110)에 대한 제3 이동부(130)의 상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에 의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조절부는, 제1 밴드(410)와, 피니언 기어(417)와 래크(418)와 구속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밴드(410)의 일측은 제1 밴드 고정부(411)에 의하여 제1 이동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밴드(410)의 타측은 제3 이동부(130)에 고정되며 고정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피니언 기어(417)가 제1 밴드(4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417)는 회전 가능하게 기어 블록(412)에 고정될 수 있다. 기어 블록(412)은 제1 밴드(410)의 타측의 절곡부(416)에 끼워질 수 있다. 기어 블록(412)은 제3 이동부(130)의 슬롯(4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417)에 맞물리도록 제3 이동부(130)에 래크(418)가 형성될 수 있다. 래크(418)의 하단부에 슬롯(413)이 위치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417)를 돌리면 피니언 기어(417)가 장착된 기어 블록(412)이 이동될 수 있다. 기어 블록(412)은 제1 밴드(410)의 타측이 제3 이동부(130)에 고정되는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 위치의 조절이 완료되면 구속 수단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417)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구속 수단은 피니언 기어(417)의 중심에 형성된 나사 구멍(414)과, 여기에 끼워지는 구속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 나사를 죄면 피니언 기어(417)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제2 밴드(420)는 제2 이동부(120)에 대면될 수 있다. 제2 밴드(420)의 일측은 제1 이동부(110)에 고정되고 제2 밴드(420)의 타측은 자유단으로서 구속없이 제3 이동부(130)에 접촉될 수 있다. 일측만 제1 이동부(110)에 고정되는 제2 밴드(420)는 벤딩 탄성력을 작용하는 외팔보가 될 수 있다. 제2 밴드(420)는 제2 이동부(120) 또는 각각의 체인 블록(122)에 탄성력을 고르게 작용하고, 제2 이동부(120) 또는 각각의 체인 블록(122)을 밀어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의 제2 면(302)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면(302)의 들뜸이 방지되거나, 각각의 체인 블록(122)의 울퉁불퉁한 접촉 상태가 평균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제1 밴드(410) 또는 제2 밴드(420)는 휨 변형을 줄이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펼쳐지는 판 스프링일 수 있다.
본체부(500)는 제1 이동부(110)가 돌출되는 제1 측면부(510)와 제2 이동부(120)가 구부러지며 이동되는 제2 측면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밴드(410)는 제1 측면부(510)를 감싸며, 제1 측면부(510)를 지지점으로 하여 각 부품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밴드(410)의 구부러진 부분에 베어링(530)이 삽입되며 마찰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2 밴드(420)는 제2 측면부(520)를 감싸고, 제2 이동부(12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밴드(410)는 제1 측면부(510)를 지지점으로 하여 제3 이동부(130)를 제1 이동부(110) 쪽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제1 밴드(410)는 제1 측면부(510) 또는 베어링(530)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이동부(110) 또는 제3 이동부(130)에 인장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밴드(410)는 제1 측면부(510) 또는 베어링(530)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1 이동부(110) 또는 제3 이동부(130)를 제1 측면부(51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2 밴드(420)는 제2 이동부(120)를 상기 제2 측면부(520)의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2 밴드(420)가 관통되는 밴드 구멍(123)이 체인 블록(122)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유니트(200)의 직선 레일 또는 곡선 레일은 제1 레일(210), 제2 레일(220), 제3 레일(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제1 밴드(410)의 탄성력 또는 제2 밴드(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이동부(110), 제2 이동부(120) 및 제3 이동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직선 레일 또는 곡선 레일에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레일과 여기에 끼워지는 이동부(110, 120, 130)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여도 이동부(110, 120, 130)는 이 틈새에서 랜덤하게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 공차를 일정하게 한 방향으로 수렴시킬 수 있다. 즉, 각 이동부(110, 120, 130)는 제1 측면부(510)의 바깥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되거나, 제2 측면부(520)의 바깥쪽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이동부(110, 120, 130)가 지지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00)도 흔들림없이 일정한 조립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102...측면 커버 106...힌지 스프링
110...제1 이동부 120...제2 이동부
122...체인 블록 123...밴드 구멍
130...제3 이동부 200...레일 유니트
210...제1 레일 211...제1 레일 개구
220...제2 레일 230...제3 레일
231...제3 레일 개구 300...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01...제1 면 302...제2 면
303...제3 면 410...제1 밴드
411...제1 밴드 고정부 412...기어 블록
413...슬롯 414...나사 구멍
416...제1 밴드의 타측의 절곡부 417...피니언 기어
418...래크 420...제2 밴드
500...본체부 501...본체부의 전면
502...본체부의 후면 510...제1 측면부
520...제2 측면부 530...베어링

Claims (12)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서 클로즈 상태 또는 오픈 상태로 직선 이동되는 제1 이동부;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서 직선 이동되는 제3 이동부;
    휨 변형 가능한 가요성을 가지고, 일측의 제1 면과 타측의 제3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이동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제3 이동부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 사이의 제2 면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감싸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2 면을 곡면 상태로 지지하는 제2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및 제3 이동부가 끼워지는 직선 레일 및 곡선 레일이 형성된 레일 유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동부 및 제3 이동부는 상기 직선 레일에 끼워지고,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곡선 레일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및 제3 이동부는 상기 레일 유니트를 따라 직선 이동 및 곡선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레일 유니트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및 제3 이동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부분은 상기 레일 유니트인 모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노출되는 면적은 상기 클로즈 상태에서 최소이고 상기 오픈 상태에서 최대이며,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바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이동부 또는 상기 제3 이동부에 고정되는 힌지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 스프링은 상기 제1 이동부 또는 상기 제3 이동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클로즈 상태 또는 상기 오픈 상태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모바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에 대한 상기 제3 이동부의 상대 위치 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로부터 상기 제3 이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밴드와, 상기 제1 밴드의 일측을 상기 제1 이동부에 고정시키는 제1 밴드 고정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밴드의 타측을 상기 제3 이동부에 고정시키는 고정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모바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밴드의 일측은 상기 제1 이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밴드의 타측은 상기 제3 이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밴드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도록 상기 제3 이동부에 형성된 래크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를 연결하는 제1 밴드, 상기 제2 이동부에 대면되는 제2 밴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 또는 상기 제2 밴드는 휨 변형을 줄이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펼쳐지는 판 스프링인 모바일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이동부가 돌출되는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이동부가 구부러지며 이동되는 제2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측면부를 감싸며,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2 측면부를 감싸는 모바일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이동부가 돌출되는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이동부가 구부러지며 이동되는 제2 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밴드는 상기 제1 측면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제3 이동부를 상기 제1 이동부 쪽으로 끌어당기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제2 이동부를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하는 모바일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부는 복수의 체인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가 관통되는 밴드 구멍이 상기 체인 블록에 형성된 모바일 장치.
  12. 삭제
KR1020200004280A 2020-01-13 2020-01-13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KR10232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80A KR102322915B1 (ko) 2020-01-13 2020-01-13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CN202120063138.1U CN214504835U (zh) 2020-01-13 2021-01-11 移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280A KR102322915B1 (ko) 2020-01-13 2020-01-13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926A KR20210090926A (ko) 2021-07-21
KR102322915B1 true KR102322915B1 (ko) 2021-11-05

Family

ID=7714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280A KR102322915B1 (ko) 2020-01-13 2020-01-13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2915B1 (ko)
CN (1) CN214504835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942A (ko) * 2021-09-29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3417B1 (ko) * 2022-10-12 2024-05-08 주식회사 파인엠텍 반자동 롤-슬라이드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KR102389189B1 (ko) *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504835U (zh) 2021-10-26
KR20210090926A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915B1 (ko) 상호 연결된 이동부를 구비한 롤러블 모바일 장치
WO2018214656A1 (zh) 柔性显示装置
JP4731587B2 (ja) 移動通信端末機
EP2063541A2 (en)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US20060162871A1 (en) Screen device
WO2008083361A1 (en) Folding electronic device with continuous display
US2022008310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100237550A1 (en) Elastic member, slide device using the elastic member, and electric device using the slide device
CN101278488A (zh) 具有能够伸展和收缩的弹簧的链接组件和用于具有链接组件的滑动型移动电话的滑动器组件
CN101720549A (zh) 适于沿两个方向滑动的电子装置滑动机构
KR10227367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EP1783983B1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EP1662754B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2322916B1 (ko) 롤러블 모바일 장치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34661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96944B1 (ko)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TWI395452B (zh) 行動電話的滑移式開啟及關閉機構
KR102598622B1 (ko) 롤-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
KR100822694B1 (ko)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200081906A (ko)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장치
KR20050118908A (ko)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JP4370236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伸縮構造
KR101419692B1 (ko) 롱 스트로크 힌지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