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72B1 -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72B1
KR102598472B1 KR1020210133419A KR20210133419A KR102598472B1 KR 102598472 B1 KR102598472 B1 KR 102598472B1 KR 1020210133419 A KR1020210133419 A KR 1020210133419A KR 20210133419 A KR20210133419 A KR 20210133419A KR 102598472 B1 KR102598472 B1 KR 10259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treated
ozone
main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0115A (ko
Inventor
이인용
Original Assignee
이인용
워터알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용, 워터알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인용
Priority to KR102021013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5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0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4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bathing facilities, e.g. swimming p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본류 파이프와; 상기 본류 파이프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우회 진입 파이프와;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인젝터 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와 연결되고 바디 일 영역에서 상기 인젝터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대상 물과 상기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 파이프와; 상기 혼합 파이프의 타측과 연결되고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상기 본류 파이프로 다시 전달하는 우회 진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WATER TREATMENT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을 이용하여 물의 살균 등을 처리하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이나 폐수속에 포함된 유기 용매 또는 무기 용매를 제거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고도 산화 공정이다.
고도 산화 공정(A.O.P : Advanced Oxidation Process)은 넓은 의미로는, OH라디칼을 이용한 산화반응을 통해서 물이나 폐수 속의 유기용매를(또는 가끔은 무기용매를) 제거하는 화학적 처리 방법을 의미하는데, 실제로 폐수처리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오존(O3)과, 과산화수소(H2O2) 또는 UV 광선을 쓰는 화학 공정 중의 일부를 나타낸다.
고도산화공정은 매우 반응성이 높은 하이드록실 라디칼(OH)들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화학종들은 현존하는 가장 강한 산화제로서 사실상 물에 녹아있는 그 어떤 화합물도 산화시킬 수 있으며, 종종 확산 제어 반응 속도로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OH가 생성되는 순간 오염물질들과 무차별적으로 반응하며, 매우 빠르고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작은 무기분자들로 분해하는 장점이 있다.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주 산화제(예를 들어 오존, 과산화수소, 산소 등)또는 에너지원이나 촉매(자외선, 이산화 티타늄 등)로부터 생성되는데 ,잘 조정된 반응 조건에서는 고도산화공정으로 적어도 5ppb에서 수백 ppm까지 오염물질의 농도를 줄이면서, 총유기탄소량과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수돗물, 지하수 등을 인위적으로 저장 및 순환하여 이용하는 분수, 연못, 폭포, 실개천 등의 인공시설물 중 일반인에게 개방되어 이용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여 물놀이를 하도록 설치하는 시설들이 급증하고 있는데, 이러한 물놀이 시설에 이용되는 물에 소독을 실시하기 위해 상술한 A.O.P 방식이 도입될 수 있는데, 지금까지는 이러한 A.O.P 방식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또는 유연한 제어를 위해 수단이 제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21096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경 시설물에서 이용되는 물에 대한 살균, 소독,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제거 등을 위해 A.O.P 방식을 사용함에 있어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 및 상황별 유연한 제어를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본류 파이프와; 상기 본류 파이프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우회 진입 파이프와;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인젝터 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와 연결되고 바디 일 영역에서 상기 인젝터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대상 물과 상기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 파이프와; 상기 혼합 파이프의 타측과 연결되고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상기 본류 파이프로 다시 전달하는 우회 진출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류 파이프의 일 영역에는 상기 본류 파이프를 관통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1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의 바디 일 영역에는 상기 본류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본류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진행 반대 방향으로 90도 꺾인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우회 진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본류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진행에 수직 방향인 직선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파이프와 상기 교반부가 맞닿는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타공된 와류 가속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류 가속판은 원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 가속판에는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큰 통공이 복수 개 타공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소정의 연결 통공이 두 개 형성된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본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와;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우회 진입 파이프의 일측을 상기 연결 통공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본류 파이프 내부로 삽입 장착하는 단계와; 수처리 대상 물과 소정의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 파이프의 일측을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의 타측과 연결하고, 상기 혼합 파이프의 바디 일 영역에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인젝터 파이프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파이프의 타측을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교반부의 일측과 연결하는 단계와; 우회 진출 파이프의 일측을 상기 교반부의 타측과 연결하고, 상기 교반부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이 상기 본류 파이프로 다시 전달되도록 상기 우회 진출 파이프의 타측을 상기 본류 파이프의 연결 통공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삽입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O.P 작용에 의해 물에 살균/소독 작용, 난분해성 유기물질 산화분해 처리, 표면 활성화작용 및 발암성 물질(THM)의 생성 억제 작용, 생성 OH 라디칼에 의한 산화 제거 작용이 수행됨에 있어서, 그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본류 파이프와 우회 진입 파이프에 구비된 각각의 밸브에 의해 최적의 오존 농도가 결정될 수 있어서,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혼합 파이프와 교반부 사이에 와류 가속판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교반부 진입 이전부터 와류 발생을 통해 오존이 물에 더 잘 녹을 수 있도록 하여 오존 용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본류 파이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들이 본류 파이프 내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수처리 대상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와류 가속판이 구비된 외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혼합 파이프와 교반부 사이에 삽입되는 와류 가속판의 일 예이고,
도 8은 본류 파이프, 우회 진입 파이프, 우회 진출 파이프에 각각 밸브가 구비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1)의 전체적인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1)은 본류 파이프(100), 우회 진입 파이프(200), 인젝터 파이프(300), 혼합 파이프(400), 교반부(500), 우회 진출 파이프(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이해를 돕기 위해 본류 파이프(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구성들이 본류 파이프(100) 내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수처리 대상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서는 편의상 본류 파이프(100)의 제1 밸브(110)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우선, 본류 파이프(100)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일종의 관으로서, 예를 들어 수영장에서 사용되거나 사용될 물이 살균, 소독을 위해 통과하는 파이프일 수 있다.
이러한 본류 파이프(100)의 일 영역에는 본류 파이프(100)를 관통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1 밸브(1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밸브(110)의 잠금 정도에 따라 본류 파이프(100)를 통과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 및 유속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소정의 관을 흐르는 유체에 대해 적용되는 밸브의 구조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회 진입 파이프(200)는 본류 파이프(100)의 일측과 연결되고,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일종의 관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진입 파이프(200)의 일단은 본류 파이프(100)의 내부에서 수처리 대상 물의 진행 반대 방향으로 90도 꺾인 형태로 되어 있어서 수처리 대상 물의 일부가 우회 진입 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우회 진입 파이프(200)의 바디 일 영역에는 본류 파이프(100)로부터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2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류 파이프(100)를 흐르던 수처리 대상 물이 우회 진입 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되는 양을 이러한 제2 밸브(210)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데, 실질적으로는 제2 밸브(210) 단독으로 조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제1 밸브(110)와 함께 조절될 수 있다.
즉, 제1 밸브(110)를 이용하여 본류 파이프(100) 내부를 흐르는 수처리 대상 물의 유속을 일차적으로 조절하고, 그 후에 제2 밸브(210)를 이용하여 실제 우회 진입 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밸브(1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우회 진입 파이프(200)의 제2 밸브(210)를 아무리 조절한다 하여도 본류 파이프(100) 내부를 흐르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 또는 유속에 따라 아무리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밸브(11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밸브(210)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우회 진입 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이 상당히 작을 수 있고, 더 나아가 제2 밸브(210)의 개방 정도에 따라 우회 진입 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의 변화량이 극히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밸브(110)와 제2 밸브(210)가 함께 구비되어 이들의 개방 정도에 대한 상호 조합을 통해 우회 진입 파이프(200) 내부로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인젝터 파이프(300)는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일종의 관인데, PVDF(Polyvinylidene fluoride :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존은 불소 다음으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것으로서, 살균, 탈취, 탈색, 유/무기물과의 반응성은 모두 강력한 산화력에 기인한다.
오존은 3개의 산소원자가 4가지 형상의 공명 구조로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며, 오존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산소보다 수배 ~ 수십 배 크지만 온도와 압력에 큰 영향을 받는다.
산소원자 2개인 산소가 자외선이나 전자기파 등의 에너지에 의하여 산소원자 3개의 불안정한 상태의 분자가 오존이다.
오존의 발생은 주로 산소에 물리, 화학적인 자극으로 에너지를 가해 오존으로 변화 시키는 것인데 무성 방전법, 전해법, 광화학법, 고주파 전계법, 방사선 조사법 등이 있으나 산업 쪽에서는 무성방전방식이 에너지 효율면, 성능의 안정성, 조작 및 제어의 편리성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이처럼 오존 발생 원리 및 그 장치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젝터 파이프(300)는 일측이 이러한 오존 발생 장치(미 도시함)와 연결되어 오존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오존을 타측으로 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혼합 파이프(400)는 일측이 우회 진입 파이프(200)와 연결되고 바디 일 영역에서 인젝터 파이프(300)와 연결되어, 수처리 대상 물과 오존을 혼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 파이프(400)는 우회 진입 파이프(200)와 연결됨은 물론이고, 인젝터 파이프(300)의 타측이 혼합 파이프(400) 바디의 일 영역(예를 들어 중간 부위 영역)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혼합 파이프(400) 내에서는 우회 진입 파이프(200)를 통해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과 인젝터 파이프(300)를 통해 유입되는 오존이 만나 혼합되는 것이다.
교반부(500)는 혼합 파이프(400)의 타측과 연결되고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투명한 UPVC(Unplasticizer Polyvinyl Chloride)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교반부(500)(Static Mixer)는 구동부가 없는 독특한 타입의 정지형(Static) 혼합기로서, 혼합기내에 들어간 유체는 엘리먼트(상술한 날개 구조)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교반 혼합될 수 있다. 엘리먼트는 직사각형의 판을 마치 선풍기 날개와 같이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180도)만큼 비틀어 놓은 것으로, 꼬임의 방향에 의해 왼쪽 엘리먼트와 오른쪽 엘리먼트로 나뉠 수 있다.
교반부(5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즉, 수처리 대상 물)는 Element를 통과할 때 양분되는데, 분할 수는 Element 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교반부(5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는 엘리먼트 내의 꼬임면에 따라서 관중앙부에서 벽부에, 관벽부에서 중앙부로 순차적으로 교환되고, 1 엘리먼트마다 회전 방향이 바뀌어 급격한 관성력의 반전을 받아 난류 교반 될 수 있다.
이처럼 교반부(500) 내부에서 분할 작용, 전환 작용, 반전 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처리 대상 물과 오존이 잘 섞이게 되는 것이다.
우회 진출 파이프(600)는 교반부(500)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본류 파이프(100)로 다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관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류 파이프(100)를 통과하던 수처리 대상 물의 일부는 우회 진입 파이프(200)로 유입되고, 혼합 파이프(400)내에서 인젝터 파이프(300)를 통해 유입된 오존과 혼합되면서 교반부(500)를 거치게 되고, 이렇게 오존이 잘 용해된 수처리 대상 물은 우회 진출 파이프(600)를 통해 다시 본류 파이프(100)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 경우 본류 파이프(100)를 내를 흐르는 전체 수처리 대상 물은 유입된 오존에 의해 살균 처리 등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우회 진입 파이프(200)로부터 시작하여 우회 진출 파이프(600)까지의 내부를 흐르는 수처리 대상 물은 오존을 잘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오존에 의한 살균 등의 작용은 본류 파이프(100)를 흐르는 수처리 대상 물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진출 파이프(600)의 일단은 본류 파이프(100)의 내부에서 수처리 대상 물의 진행에 수직 방향인 직선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우회 진입 파이프(200)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서, 오존이 용해된 물이 본류 파이프(100) 내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우회 진출 파이프(600)의 끝단이 우회 진입 파이프(200)와 같이 90도로 꺾인 형태를 갖는 경우 유출 부하가 발생하여 오히려 수처리 대상 물의 우회 진입 파이프(200)로의 진입 자체에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우회 진입 파이프(200)를 통해 유입된 수처리 대상 물과 오존이 교반부(500)를 통과하는 동안에 잘 섞이는 것이 물에 대한 살균 처리 등과 관련하여 중요한데,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혼합 파이프(400)와 교반부(50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된 와류 가속판(700)을 추가할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와류 가속판(700)이 설치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7은 이러한 와류 가속판(7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와류 가속판(700)은 혼합 파이프(400)와 교반부(500)가 맞닿는 곳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혼합 파이프(400)와 교반부(500)의 단면과 같은 형태인 원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와류 가속판(700)에는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더 큰 통공이 복수 개 타공될 수 있다.
즉, 와류 가속판(7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혼합 파이프(400)에서 오존과 섞인 수처리 대상 물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와류 가속판(700)의 면에서 1차적으로 작은 와류가 형성되고, 또한 통공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와류의 크기가 서로 다르도록 함으로써, 와류에 의해 오존과 수처리 대상 물이 더 잘 섞이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와류 가속판(700)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에 가까울수록 더 작은 통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교반부(500)에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이 중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많아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교반부(500) 내에서 오존과 수처리 대상 물의 혼합이 더 잘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처리 시스템(1)은 물을 이용하는 다양한 곳(일 예로 놀이시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공 순서의 일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의 연결 통공이 두 개 형성된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본류 파이프(100)를 설치한다.
이어서,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우회 진입 파이프(200)의 일측을 연결 통공 중 하나를 통해 본류 파이프(100) 내부로 삽입 장착한다.
그리고 수처리 대상 물과 소정의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 파이프(400)의 일측을 우회 진입 파이프(200)의 타측과 연결하고, 혼합 파이프(400)의 바디 일 영역에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인젝터 파이프(300)를 연결한다.
이어서 혼합 파이프(400)의 타측을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교반부(500)의 일측과 연결하고, 우회 진출 파이프(600)의 일측을 이러한 교반부(500)의 타측과 연결하고, 교반부(500)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이 본류 파이프(100)로 다시 전달되도록 우회 진출 파이프(600)의 타측을 본류 파이프(100)의 연결 통공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삽입 장착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류 파이프(100)와 우회 진입 파이프(200)에만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진출 파이프(600')에도 밸브(610')가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우회 진입 파이프(200') 대신에 우회 진출 파이프(600')에만 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수처리 시스템 100 : 본류 파이프
200 : 우회 진입 파이프 300 : 인젝터 파이프
400 : 혼합 파이프 500 : 교반부
600 : 우회 진출 파이프 700 : 와류 가속판
110 : 제1 밸브 210 : 제2 밸브

Claims (6)

  1.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본류 파이프와;
    상기 본류 파이프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우회 진입 파이프와;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인젝터 파이프와;
    일측이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와 연결되고 바디 일 영역에서 상기 인젝터 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대상 물과 상기 오존을 혼합하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는 혼합 파이프와;
    상기 혼합 파이프의 타측과 연결되고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부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상기 본류 파이프로 다시 전달하는 우회 진출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 파이프와 상기 교반부가 맞닿는 면에는 복수 개의 통공이 타공된 와류 가속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와류 가속판은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혼합 파이프 단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와류 가속판에 타공된 통공은 상기 와류 가속판의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더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류 파이프의 일 영역에는 상기 본류 파이프를 관통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1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의 바디 일 영역에는 상기 본류 파이프로부터 유입되는 수처리 대상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2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본류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진행 반대 방향으로 90도 꺾인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우회 진출 파이프의 일단은 상기 본류 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수처리 대상 물의 진행에 수직 방향인 직선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소정의 연결 통공이 두 개 형성된 수처리 대상 물이 통과하는 본류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와;
    수처리 대상 물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는 우회 진입 파이프의 일측을 상기 연결 통공 중 하나를 통해 상기 본류 파이프 내부로 삽입 장착하는 단계와;
    수처리 대상 물과 소정의 오존을 혼합하는 원통형 구조의 혼합 파이프의 일측을 상기 우회 진입 파이프의 타측과 연결하고, 상기 혼합 파이프의 바디 일 영역에 외부의 오존 발생장치와 연결되어 오존을 분출하는 인젝터 파이프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 파이프의 타측을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을 비틀어진 적어도 하나의 날개 구조에 의해 교반시키는 교반부의 일측과 연결하되, 상기 혼합 파이프와 상기 교반부가 맞닿는 면에는 상기 혼합 파이프 단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그 중심점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더 큰 반경을 가지는 통공이 복수개 타공된 원형판 구조의 와류 가속판을 배치하는 단계와;
    우회 진출 파이프의 일측을 상기 교반부의 타측과 연결하고, 상기 교반부를 통과한 오존이 혼합된 수처리 대상 물이 상기 본류 파이프로 다시 전달되도록 상기 우회 진출 파이프의 타측을 상기 본류 파이프의 연결 통공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삽입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210133419A 2021-10-07 2021-10-07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598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19A KR102598472B1 (ko) 2021-10-07 2021-10-07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3419A KR102598472B1 (ko) 2021-10-07 2021-10-07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115A KR20230050115A (ko) 2023-04-14
KR102598472B1 true KR102598472B1 (ko) 2023-11-06

Family

ID=859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3419A KR102598472B1 (ko) 2021-10-07 2021-10-07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38B1 (ko) * 2007-02-22 2007-11-28 주식회사 엔케이 벤추리형혼합기와 오존공급장치를 갖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2101959B1 (ko) * 2019-07-31 2020-05-29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오존을 이용한 선박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2299975B1 (ko) * 2021-02-09 2021-09-09 전영수 Oh라디칼 생성을 기반으로 하는 고도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234B1 (ko) * 2005-09-20 2007-05-15 주식회사 젠트로 기체혼화관 및, 이를 이용하는 수조, 양식장 및 수처리장치
KR102109693B1 (ko) 2019-08-23 2020-05-12 이민재 상수관로 탁질제거를 위한 수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38B1 (ko) * 2007-02-22 2007-11-28 주식회사 엔케이 벤추리형혼합기와 오존공급장치를 갖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KR102101959B1 (ko) * 2019-07-31 2020-05-29 주식회사 신우이앤티 오존을 이용한 선박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
KR102299975B1 (ko) * 2021-02-09 2021-09-09 전영수 Oh라디칼 생성을 기반으로 하는 고도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0115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5815B2 (en) Oxygenating apparatus, method for oxygenating water therewith, and applications thereof
JP3108025B2 (ja) 気液処理装置
US202100243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xidative treatment of organic contaminants in waste water
JP5097024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818996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마이크로 버블, 저농도 오존과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고도처리 시스템
KR100785703B1 (ko) 수질 개선 장치
CA23441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or intermittent supply of ozonated water
CA2942222C (en) Continuous flow water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EP2675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 contaminated fluid
JP2009262008A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824240B1 (ko) 미세기포 발생용 기체용해장치를 포함한 고밀도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2598472B1 (ko) 수처리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28355B1 (ko) 고도산화기반의 수처리장치
EP3202721A1 (en) Ozone-bas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20070034565A1 (en) Method for treating a contaminated fluid
JP5079620B2 (ja) 水処理装置
US20060283788A1 (en) Tri-clone system
JP2009028666A (ja) ナノバブル含有磁気活水製造装置およびナノバブル含有磁気活水製造方法
EP1846333A1 (en) Method for treating liquids
KR101421345B1 (ko) 활성화된 전자 및 이온을 이용하는 폐수 처리 장치
JP3107857B2 (ja) 気液接触装置
JP2009000677A (ja) 水処理用反応槽、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TW2009365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containing water
JP2002273451A (ja) 浄化装置
JP2004188240A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14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822

Effective date: 2023101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