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248B1 -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248B1
KR102598248B1 KR1020230104813A KR20230104813A KR102598248B1 KR 102598248 B1 KR102598248 B1 KR 102598248B1 KR 1020230104813 A KR1020230104813 A KR 1020230104813A KR 20230104813 A KR20230104813 A KR 20230104813A KR 102598248 B1 KR102598248 B1 KR 10259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ime
dovetail
measureme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훈
송승훈
Original Assignee
(주)영진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진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영진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3010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2Die constructions enabling assembly of the die parts in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일지점에 수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에 구비된 한 쌍의 더브테일(11331)이 마련되고, 피가공물의 밴딩 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형상을 구비한 금형몸체블럭(110), 일면에 상기 더브테일(11331)과 대응되는 더브테일홈(121)이 구비되고, 대칭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및 상기 금형몸체블럭(110) 및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사이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을 상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Press mold device with dovetail structure}
본 발명은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브테일 구조를 적용하여 이형 형상이 포함된 제품을 가공할 수 있고, 제품 및 금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RESS 금형 구조는 금형 펀치를 이용하여 철판 소재의 면적과 면적을 쓸어내려 형상을 구현하는 소성가공의 한 형태이다. 이 경우 소재의 면적이 확보되지 않고, 이형 형상(포밍 또는 일자 형태가 아닐 시)이 제품에 포함될 경우 일반적인 PRESS 금형 구조로는 형상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이형 형상이 포함된 피가공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피가공물(A)은 중앙부가 약간 절곡된 이형 형상(B)이 포함되어 프레스로 굽힘 가공 후 피가공물(A)이 금형에 걸려 피가공물A)과 금형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더브테일 구조를 적용하여 이형 형상이 포함된 제품을 가공할 수 있고, 제품 및 금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52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브테일 구조를 적용하여 이형 형상이 포함된 제품을 가공할 수 있고, 제품 및 금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부가 마련되어 금형 위 피가공물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여 프레스가 동작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모니터링부가 마련됨으로써, 센서 고장 및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일지점에 수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에 구비된 한 쌍의 더브테일(11331)이 마련되고, 피가공물의 밴딩 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형상을 구비한 금형몸체블럭(110), 일면에 상기 더브테일(11331)과 대응되는 더브테일홈(121)이 구비되고, 대칭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및 상기 금형몸체블럭(110) 및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사이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을 상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프레스가 하강하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하강하고, 프레스가 상승하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상승하여 폭을 좁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상기 금형몸체블럭(110)은, 중앙부(111), 일단부(112) 및 더브테일부(113)로 구성되고, 상기 더브테일부(113)는, 상기 중앙부(111) 일면에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메인블럭(1131), 상기 메인블럭(1131)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블럭(1131)과 제1방향(X) 길이가 동일하며, 제2방향(Y) 길이는 더 짧게 마련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기둥블럭(1132) 및 상기 기둥블럭(1132) 상면에 마련되고, 밑면이 제1방향(X) 길이는 상기 메인블럭(1131) 및 기둥블럭(1132)의 제1방향(X) 길이와 동일하며, 밑면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기둥블럭(1132)의 제2방향(Y)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는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경사블럭(1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일단부(112)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형성하는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일단부(112)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형성하는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상기 금형몸체블럭(110)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111) 위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구비한 센서부(140) 및 상기 센서부(140)에서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공정 상태를 전송하는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측정센서에 공급하는 공급전압, 소비전류 및 출력전압을 수집하는 센서정보수집부(141), 상기 센싱 데이터의 측정값 변화율이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시각인 비교 대상 시각을 추출하는 센서 오류측정부(142) 및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의 비교 대상 시각을 주기적으로 상기 센서모니터링부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142)는, 상기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시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센싱 데이터 내 n개의 임의의 시각에 대응하는 센싱 데이터를 비교 대상 시각으로 추출하고,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 동일한 센서를 비교센서로 구비하며,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는, 상기 측정센서 및 상기 비교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 및 비교 대상 시각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센서 고장 확률(STR)을 산출하며,
[수학식 1]
(여기서, STR은 센서 고장 확률, Tms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2는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3은 제3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cst1은 제1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t2는 제2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3는 제3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n은 제n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msav는 측정센서의 평균 측정값, SE는 측정센서의 효율 편차를 의미함)
상기 측정센서의 효율 편차(SE)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출하고,
[수학식 2]
(여기서, SEav는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 SEi는 측정센서의 초기 효율을 의미함)
상기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여기서, WIN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 WIN2은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2은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 WIN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을 의미함)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더브테일 구조를 적용하여 이형 형상이 포함된 제품을 가공할 수 있고, 제품 및 금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센서부가 마련되어 금형 위 피가공물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여 프레스가 동작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센서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모니터링부가 마련됨으로써, 센서 고장 및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이형 형상이 포함된 제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의 더브테일블럭이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의 더브테일블럭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라 동작하는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금형몸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100)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더브테일(dovetail)은 슬라이드면의 끼워맞춤 형식의 일종으로, 양자 중 비둘기 꼬리형 돌기부(凸)를 더브테일, 홈이 팬 부분(凹)을 더블테일 홈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의 더브테일블럭이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의 더브테일블럭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프레스 금형 장치(100)는, 금형몸체블럭(110),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및 탄성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금형몸체블럭(110)은 일지점에 수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에 구비된 한 쌍의 더브테일(11331)이 마련되고, 피가공물의 밴딩 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형몸체블럭(110)은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금형몸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금형몸체블럭(110)은 중앙부(111), 일단부(112) 및 더브테일부(1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더브테일부(113)는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부(113)는, 메인블럭(1131), 기둥블럭(1132) 및 경사블럭(1133)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블럭(1131)은 상기 중앙부(111) 일면에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럭(1131)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기둥블럭(1132)은 상기 메인블럭(1131)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블럭(1131)과 제1방향(X) 길이가 동일하며, 제2방향(Y) 길이는 더 짧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경사블럭(1133)은 상기 기둥블럭(1132) 상면에 마련되고, 밑면이 제1방향(X) 길이는 상기 메인블럭(1131) 및 기둥블럭(1132)의 제1방향(X) 길이와 동일하며, 밑면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기둥블럭(1132)의 제2방향(Y) 길이보다 긴 사다리꼴 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블럭(1133)의 양측면은 수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을 형성할 수 있고, 양측면이 이루는 각은 약 70°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는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단부(112)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형성하는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일단부(112)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형성하는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은 일면에 상기 더브테일(11331)과 대응되는 더브테일홈(121)이 구비되고,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더브테일블럭(120)은 도 7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블럭(120)은 일면에 더브테일홈(1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더브테일블럭(120)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더브테일블럭(120)의 일면은 상기 경사면과 수직면으로부터 동일한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브테일블럭(120)은 대칭 형상으로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탄성체(130)는 상기 금형몸체블럭(110) 및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사이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을 상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0)는 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130)는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각각에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프레스 금형 장치(100)는, 센서부(140) 및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상기 금형몸체블럭(110)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111) 위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40)가 피가공물의 안착 여부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프레스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40)는 도 8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센서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센서부(140)는, 센서 정보수집부(141), 센서 오류측정부(142) 및 데이터 전송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정보수집부(141)는, 상기 언급된 측정센서에 공급하는 공급전압, 소비전류 및 출력전압을 수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140)는, 측정센서의 전원공급선과 출력선에 전압 측정센서를 더 마련하여 전원으로부터 공급받는 공급전압, 소비전류 및 출력전압을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센서부(140)에서 언급된 측정센서를 의미하며,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 동일한 센서(동일한 모델의 센서)가 비교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반경은, 상기 측정센서의 중심위치로부터 10mm 내지 500mm 반경 내의 위치가 이상적이며, 측정센서와 근접할수록 비교 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142)는, 측정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의 측정값 변화율이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시각인 비교 대상 시각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25% 내지 30%의 비율 설정될 수 있으며, 측정센서의 종류와 주변 환경에 따라 최소 10%에서 최대 90%까지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데이터의 측정값 변화율을 산출하는 방법은, 상기 센서 정보수집부(141)에서 수집한 센싱 데이터의 시간 범위 내 t2시각에 측정한 측정값 Tt2에서 ta시간 간격인 t1시각에 측정한 측정값 Tt1을 차감한 값에 Tt1 측정값을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절대값을 취한 값을 측정값 변화율로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142)는, 상기 측정값 변화율이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시각이 존재하지 않아 추출되지 않는 경우, 센싱 데이터 내 무작위 n개의 임의의 시각에 대응하는 센싱 데이터를 비교 대상 시각으로 추출하여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센서모니터링부는 상기 센서부(140)에서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공정 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데이터 내 무작위 n개의 시각을 추출하는 방법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적용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래밍 언어는 파이썬(python), 자바(Java), C언어, C++,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고(Go), 루비(Ruby), 스위프트(Swift), 코틀린(Kotlin), PHP, C#(C Sharp)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파이썬을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 내 무작위 n개의 시각을 추출하는 방법은, Random 모듈과 Datetime 모듈을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 내 센서가 동작하는 시간 범위를 설정한 후 무작위 n개의 시각을 추출하거나, Numpy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 데이터 내 n개의 시각을 무작위로 추출하는 또 다른 방법은 피셔-예이츠 셔플(Fisher-Yates shuffle) 알고리즘을 상기 센싱 데이터의 시간범위에 적용하여 센싱 데이터 내 n개의 시각을 무작위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142)에서 추출되는 n개의 시각에서 n은 사용자가 설정한 운용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자연수를 의미하며, 상기 임의의 시각에 대한 의미는 센싱 데이터에서 수집된 전체 시간 중 규칙성이 없는 랜덤(Random) 형식으로 추출한 시각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143)는, 센서 오류측정부(142)의 비교 대상 시각을 주기적으로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송부(143)는, 상기 센서 정보수집부(141)에서 수집된 측정센서의 공급전압, 소비전류 및 출력전압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센서부(140)는, 다수 개의 측정센서로부터 수집한 측정값의 집합인 센싱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에도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설정간 시간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센싱 데이터의 변화율이 기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지 않는 구간을 '표준상태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기설정된 변화율을 초과하는 구간을 '이상상태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140)에서 수집된 센싱 데이터의 '이상상태 구간'이 사용자가 설정한 '이상상태 구간'의 최대 시간 범위를 초과하거나 상기 '이상상태 구간'이 발생한 횟수가 일정 횟수를 초과되는 경우, 해당 센서가 위치된 공정의 공정중지, 시스템 일시정지, 전원차단 등이 자동 수행되도록 설정하여 이상현상 발생에 대한 빠른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센서부(140)는, 측정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진단한 현재 공정 환경 상태를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 및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공정 환경을 파악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측정값 상한치 및 하한치를 기준하여 측정값이 해당 값을 벗어난 값으로 측정되는 경우도 '이상상태 구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140)에서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환경상태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은, 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 유선 또는 무선통신과 입출력 신호전송이 가능한 전자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는, 측정센서 및 비교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 및 비교 대상 시각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센서 고장 확률(STR)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여기서, STR은 센서 고장 확률, Tms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2는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3은 제3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cst1은 제1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t2는 제2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3는 제3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n은 제n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msav는 측정센서의 평균 측정값, SE는 측정센서의 효율 편차를 의미함)
이때, 상기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SEav)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여기서, SEav는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 SEi는 측정센서의 초기 효율을 의미함)
상기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여기서, WIN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 WIN2은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2은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 WIN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을 의미함)
이때,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에서 언급된 n시각은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에서 추출한 센싱 데이터의 측정값 변화율이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복수 개의 시각 또는 랜덤 추출된 시각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는, 상기 측정센서와 비교센서의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반영한 하기 [수학식 1-2]에 따라, 센서 고장 확률(STR)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2]
(여기서, Dv는 측정센서와 비교센서의 거리 가중치를 의미함)
이때, 상기 측정센서와 비교센서의 거리값 가중치(D-v)는, 사용자가 설정한 가중치에 대응하여 적용되며, 상기 가중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는, 상기 센서부(140)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의 고장 확률(STR)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를 통해 산출된 고장 확률(STR)이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센서의 고장알림, 교체 알림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 확률(STR)의 기설정된 비율은 기본적으로 4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와 민감도에 따라 사용자가 0 내지 99% 사이로 비율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인 프레스 금형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금형몸체블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레스가 하강하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하강하고, 프레스가 상승하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상승하여 폭을 좁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스 금형 장치(100)에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되어서 금형과 피가공물이 분리될 수 있는 폭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면, 더브테일 구조를 적용하여 이형 형상이 포함된 제품을 가공할 수 있고, 제품 및 금형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는, 센서부가 마련되어 금형 위 피가공물의 안착 여부를 판단하여 프레스가 동작함으로써, 불필요한 동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센서부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모니터링부가 마련됨으로써, 센서 고장 및 오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프레스 금형 장치
110: 금형몸체블럭
111: 중앙부
112: 일단부
113: 더브테일부
1131: 메인블럭
1132: 기둥블럭
1133: 경사블럭
11331: 더브테일
120: 더브테일블럭
121: 더브테일홈
130: 탄성체
A: 피가공물
B: 이형 형상
X: 제1방향
Y: 제2방향

Claims (5)

  1. 일지점에 수직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에 구비된 한 쌍의 더브테일(11331)이 마련되고, 피가공물의 밴딩 조건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형상을 구비한 금형몸체블럭(110);
    일면에 상기 더브테일(11331)과 대응되는 더브테일홈(121)이 구비되고, 대칭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및
    상기 금형몸체블럭(110) 및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 사이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을 상방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130);
    를 포함하고,
    프레스가 하강하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하강하며,
    프레스가 상승하면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상승하여 폭을 좁히도록 마련되고,
    상기 금형몸체블럭(110)은,
    중앙부(111), 일단부(112) 및 더브테일부(113)로 구성되고,
    상기 더브테일부(113)는,
    상기 중앙부(111) 일면에 결합되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메인블럭(1131);
    상기 메인블럭(1131)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메인블럭(1131)과 제1방향(X) 길이가 동일하며, 제2방향(Y) 길이는 더 짧게 마련되는 사각기둥 형상의 기둥블럭(1132); 및
    상기 기둥블럭(1132) 상면에 마련되고, 밑면이 제1방향(X) 길이는 상기 메인블럭(1131) 및 기둥블럭(1132)의 제1방향(X) 길이와 동일하며, 밑면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기둥블럭(1132)의 제2방향(Y)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는 사다리꼴 기둥 형상의 경사블럭(1133);
    을 포함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는 동일하고,
    상기 일단부(112)의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하강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형성하는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일단부(112)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하고,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상승하였을 때 상기 한 쌍의 더브테일블럭(120)이 형성하는 제2방향(Y) 길이는 상기 중앙부(111) 및 더브테일부(113)의 제2방향(Y)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몸체블럭(110)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111) 위에 피가공물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구비한 센서부(140); 및
    상기 센서부(140)에서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사용자 단말에 공정 상태를 전송하는 센서모니터링부(미도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측정센서에 공급하는 공급전압, 소비전류 및 출력전압을 수집하는 센서정보수집부(141);
    상기 센싱 데이터의 측정값 변화율이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시각인 비교 대상 시각을 추출하는 센서 오류측정부(142); 및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142)의 비교 대상 시각을 주기적으로 상기 센서모니터링부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오류측정부는,
    상기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시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센싱 데이터 내 n개의 임의의 시각에 대응하는 센싱 데이터를 비교 대상 시각으로 추출하고,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 동일한 센서를 비교센서로 구비하며,
    상기 센서모니터링부는,
    상기 측정센서 및 상기 비교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 및 비교 대상 시각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센서 고장 확률(STR)을 산출하며,
    [수학식 1]

    (여기서, STR은 센서 고장 확률, Tms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2는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3은 제3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ms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의 측정값, Tcst1은 제1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t2는 제2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3는 제3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csn은 제n 시각에서 비교센서의 측정값, Tmsav는 측정센서의 평균 측정값, SE는 측정센서의 효율 편차를 의미함)
    상기 측정센서의 효율 편차(SE)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산출하고,
    [수학식 2]

    (여기서, SEav는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 SEi는 측정센서의 초기 효율을 의미함)
    상기 측정센서의 평균 효율은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수학식 3]

    (여기서, WIN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1은 제1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 WIN2은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2은 제2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 WIN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에 공급되는 전력, WOUTn은 제n 시각에서 측정센서가 센싱한 측정값을 전기신호로 출력 시 측정되는 전력을 의미함)
KR1020230104813A 2023-08-10 2023-08-10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KR10259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813A KR102598248B1 (ko) 2023-08-10 2023-08-10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813A KR102598248B1 (ko) 2023-08-10 2023-08-10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248B1 true KR102598248B1 (ko) 2023-11-03

Family

ID=8874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813A KR102598248B1 (ko) 2023-08-10 2023-08-10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2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294740U (zh) * 2014-09-12 2015-04-29 苏州勤德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折弯模具
CN105057453A (zh) * 2015-08-04 2015-11-18 苏州吴江春宇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脱模的折弯模具
KR101575213B1 (ko) 2015-06-25 2015-12-07 이형찬 프레스 금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CN209998213U (zh) * 2019-05-09 2020-01-31 东莞市铭科精技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翻边模具
CN210632764U (zh) * 2019-09-11 2020-05-29 无锡太湖学院 负角折弯成型模具
KR20220094130A (ko) * 2020-12-28 2022-07-05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 및 다이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294740U (zh) * 2014-09-12 2015-04-29 苏州勤德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折弯模具
KR101575213B1 (ko) 2015-06-25 2015-12-07 이형찬 프레스 금형 장치 및 프레스 성형 방법
CN105057453A (zh) * 2015-08-04 2015-11-18 苏州吴江春宇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脱模的折弯模具
CN209998213U (zh) * 2019-05-09 2020-01-31 东莞市铭科精技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翻边模具
CN210632764U (zh) * 2019-09-11 2020-05-29 无锡太湖学院 负角折弯成型模具
KR20220094130A (ko) * 2020-12-28 2022-07-05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이 및 다이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49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ranging sensors to monitor merchandise conditions at or near shelves
JP7017775B2 (ja) プレス製造条件収集システム
US114917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ress based on wedge drive tool spring condition
US9776799B2 (en) Conveyor belt system with integrated sensor and method of using same
MXPA06013110A (es) Sistema y metodo de deteccion de ancho de prensado para ambientes de temperatura elevada.
JP2008176573A5 (ko)
WO2019040721A3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health in animal populations
KR102598248B1 (ko) 더브테일 구조가 적용된 프레스 금형 장치
EP4034375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tablettiermaschine bevorzugt im laufenden betrieb mittels einer an einem pressstempel angebrachten messeinrichtung
CN206569890U (zh) 载人运输工具的监测装置
CN109557146B (zh) 一种金刚线断线检测装置及其断线预测方法
CN107530996B (zh) 冲压系统以及冲压系统的控制方法
CN104777525A (zh) 基于压力传感器来检测床上是否有人的方法及系统
KR101310012B1 (ko) 복합형 다축센서
WO2017183107A1 (ja) 非定常検出装置、非定常検出システムおよび非定常検出方法
KR20160103899A (ko) 철강 플랜트의 경향 감시 장치
EP3643669A3 (en) Health monitoring for elevator and escalator systems
KR101402862B1 (ko) 재료 감별 장치
CN114557572A (zh) 婴儿的生理特征监测方法和智能床垫
Hudák et al. Analysis of forces in deep drawing process
US10088374B2 (en) Reversible force measuring device
KR102615805B1 (ko) 계측제어용 초음파센서의 거리측정치 오차를 식별하는 표준거리 교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816561U (zh) 级进冲压模具
KR102555189B1 (ko) 센서를 이용한 극판 두께 측정이 가능한 납축전지 극판 두께 측정장치
KR101661029B1 (ko) 전자저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