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98B1 - Concrete mixer - Google Patents

Concrete mix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98B1
KR102597898B1 KR1020230076128A KR20230076128A KR102597898B1 KR 102597898 B1 KR102597898 B1 KR 102597898B1 KR 1020230076128 A KR1020230076128 A KR 1020230076128A KR 20230076128 A KR20230076128 A KR 20230076128A KR 102597898 B1 KR102597898 B1 KR 102597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nk
scraper
spoon
lif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창호
Original Assignee
강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창호 filed Critical 강창호
Priority to KR102023007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B28C5/0856Supporting frames or structures, e.g. suppor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223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discontinuously operating mixing devices, e.g. with consecutiv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10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 B28C5/12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 B28C5/14Mixing in containers not actuated to effect the mixing with stirrers sweeping through the materials, e.g. with incorporated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or with oscillating stirrers the stirrers hav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or substantially horizont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믹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재료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부; 및 상기 재료를 믹싱하도록 상기 혼합 공간에 배치되는 믹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mixer, comprising: a tank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mixing concrete materials; and a mixer unit disposed in the mixing space to mix the ingredients.

Description

콘크리트 믹서{CONCRETE MIXER}Concrete mixer {CONCRETE MIXER}

본 발명은 시멘트, 모래, 자갈, 돌 조각과 같은 골재 및 물을 믹싱하여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는 콘크리트 믹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mixer capable of producing concrete by mixing aggregate such as cement, sand, gravel, stone chips, and water.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건축물을 건축할 때 중요 재료로 사용된다.In general, concrete is used as an important material when constructing buildings.

콘크리트는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수화반응을 이용하여 모래, 자갈 등의 골재와 함께 만들어진다. 콘크리트는 초기에 수분이 포함된 젤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나, 완전히 굳으면 돌과 같이 단단해지는 특성이 있다.Concrete is made with aggregates such as sand and gravel using a hydration reaction in which cement reacts with water and hardens. Concrete initially has a gel-like shape containing moisture, but when it completely hardens, it becomes hard like a stone.

콘크리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모래와 자갈 및 시멘트의 조합을 적절히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슬럼프(콘크리트의 부드러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During the process of making concrete, the strength and slump (softness of concrete) of concrete can be controlled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combination of sand, gravel, and cement.

한편 콘크리트를 다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동화 장비가 요구된다.Meanwhile, automated equipment is required to produce concrete in large quantities.

현재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콘크리트 믹싱을 위한 탱크를 설치하고, 탱크의 내부에 콘크리트의 재료를 투입하여 혼합할 수 있는 믹서를 설치하며, 각 재료를 자동으로 믹서에 공급해서 콘크리트를 생산함과 동시에 작업 현장까지 이송할 수 있는 레미콘 차량에 투입이 이루어진다.One of the currently widely used methods is to install a tank for concrete mixing, install a mixer to mix concrete materials inside the tank, and automatically supply each material to the mixer to produce concrete. At the same time, the ready-mix concrete is put into a vehicle that can be transported to the work site.

이때 믹서는 모래, 자갈, 시멘트, 물 및 혼화재 등을 투입하여, 이들을 혼합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믹서는 2개 의 축을 갖는 믹서와 1개의 축을 갖는 믹서로 분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ixer is used to add sand, gravel, cement, water, and admixtures and mix them. Mixers can be classified into mixers with two axes and mixers with one axis.

1개의 축을 갖는 믹서 및 2개의 축을 갖는 믹서는 모두 큰크리트의 믹싱 효율이 뛰어나지만 콘크리트가 탱크의 내벽면으로 튀어서 코팅된 상태로 고착되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을 경우 재료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다.Mixers with one shaft and mixers with two shafts both have excellent mixing efficiency for large concrete, but the concrete bounces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and sticks in a coated state. If this is not removed, there is a problem of significant material loss.

그리고, 탱크의 내부 중앙부분 즉 믹서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재료는 믹서의 영향 범위 안에 위치하여 잘 혼합될 수 있으나, 탱크의 내부 사이드 부분이나 바닥면에 위치한 재료는 믹서의 영향 범위 밖에 위치하여 잘 혼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materials locat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tank, that is, close to the mixer, are located within the mixer's influence range and can be mixed well, but materials located on the inner side or bottom of the tank are located outside the mixer's influence range and are not mixed well.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exist.

특히, 2개의 축을 갖는 믹서보다 1개의 축을 갖는 믹서의 경우 재료의 믹싱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mixing efficiency of materials is lowered in the case of a mixer with one axis compared to a mixer with two axis.

따라서, 탱크의 내부 사이드 부분이나 바닥면에 위치한 재료를 믹서 측으로 이송시켜 축의 개수나 위치에 관계 없이 재료의 믹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product that can improve the mixing efficiency of materials by transferring materials located on the inner side or bottom of the tank to the mixer, regardless of the number or location of axes.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filing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0757953호Korean Patent No. 10-0757953

본 발명은, 시멘트, 모래, 자갈, 돌 조각과 같은 골재 및 물을 믹싱하여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료의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의 내벽면을 스크래핑하여 콘크리트가 누적 및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래핑 과정에서 콘크리트 재료를 믹상날로 이동시켜 믹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믹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concrete by mixing aggregates such as cement, sand, gravel, and stone chips and water, and prevents concrete from accumulating and sticking by scrap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that provides a mixing space for concrete material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ncrete mixer that can improve mixing efficiency by moving concrete materials to the mix blade during the scraping process.

그리고, 탱크의 바닥면에 침전된 콘크리트재료를 믹싱날 측으로 퍼올려주어 콘크리트재료의 믹싱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믹서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concrete mixer that can further improve the mixing efficiency of concrete materials by pumping the concrete material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tank to the mixing blad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는, 콘크리트 재료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부; 및 상기 재료를 믹싱하도록 상기 혼합 공간에 배치되는 믹서부를 포함한다.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portion providing a space for mixing concrete materials; and a mixer unit disposed in the mixing space to mix the ingredients.

그리고, 상기 재료가 혼합되도록 상기 믹서부를 회전작동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drive unit that rotates the mixer unit so that the ingredients are mixed.

또한, 상기 탱크부의 내벽면에 위치한 재료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탱크부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재료를 스크래핑하기 위한 톱니 형상의 스크래핑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크래퍼;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래핑날이 승강되면서 상기 탱크부의 내벽면을 스크래핑하도록 상기 스크래퍼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며, 상기 위치가변부에 의해 이송되는 제1 승강실린더; 및 상기 제1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을 통해 상기 스크래퍼에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scraper unit for scraping the material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wherein the scraper unit is a scraper having serrated scraping blad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scraping the material on one surface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 a first lifting cylinder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repeatedly raising and lowering the scraper to scrape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as the scraping blade is raised, and being transported by the position variable unit; and a vibrator that transmits vibration to the scraper through the piston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부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탱크부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상기 믹서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스크래퍼의 타면에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상기 수평부의 끝단을 연결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래퍼와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탱크부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상기 탱크부의 중앙측으로 밀어내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이송부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탱크부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상기 믹서부 측으로 통과시키 위한 복수개의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은 상기 재료를 믹싱날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이송부가 상기 탱크부의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에 수용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transfer part that operates together with the scraper unit to transfer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to the mixer unit side, wherein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vertical part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craper; a horizontal portion b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And a push part that connects the top of the vertical part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craper to push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part toward the center of the tank part, and the scraper and the transfer part include They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st passage holes and second passage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allowing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to pass toward the mixer unit, and the first passage hole and the second passage hol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2 The pass hole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o transfer the material to the mixing blade,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first pass hole and the second pass hole is discharged while the scraper and the transfer part are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part. 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unit.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통과홀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주입호스; 및 상기 에어주입호스를 통해 상기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에 에어를 주입하여 재료를 배출하는 에어주입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n air injection hose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passing holes; and an air injection unit that injects air into the first passage hole and the second passage hol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se to discharge the material.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부 및 상기 이송부를 상기 탱크부의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스크래퍼부 및 상기 이송부를 상기 탱크부의 상부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부를 양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위치가변부를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position variable part that transfers the scraper unit in both directions to position the scraper unit and the transfer unit at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or to separate the scraper unit and the transfer unit from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또한, 상기 탱크부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가 상기 믹서부에 작용하도록 떠올려주는 올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올림부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수직형 가이드홀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과 연결되는 부가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하강작동에 의해 상기 탱크부의 혼합 공간에 투입될 시 상기 탱크부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며, 상기 탱크부의 바닥면에 최초로 접촉되는 한 쌍의 꺾임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믹싱 공간으로 하강시킨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실린더; 상기 수직부의 사이 공간을 폐쇄한 상태로 상기 탱크부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려주는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 및 상기 부가 가이드홀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하측 부분이 상기 부가 가이드홀에 가이드 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는 스푼부;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부에서 상기 스푼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믹싱 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꺾임부가 꺾이면 상기 스푼부를 하강시켜 하측이 부가 가이드홀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꺾이면서 상기 수직부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고, 상기 스푼부가 상기 탱크부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리도록 상기 제2 승강실린더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푼부를 상승시킨 다음, 상기 제2 승강실린더에 후행하여 상기 스푼부를 혼합 공간으로 하강시키는 제3 승강실린더; 하단이 상기 스푼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측이 상기 탱크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는 드럼; 및 상기 제2 승강실린더 및 제3 승강실린더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 및 스푼부를 하강시킬 시 상기 드럼을 와이어 권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승강실린더 및 제3 승강실린더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 및 스푼부를 상승시킬 시 상기 드럼을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꺾임부 및 스푼부의 하측이 꺾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raised part that lifts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unit so that it acts on the mixer unit, and the raised par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long as vertical guide holes are 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vertical parts are each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s, and an additional guide hole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hole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when the tank is put into the mixing space of the tank part by a lowering operation, the tank A base portion that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unit and bent at a certain level and includes a pair of bent portions that initially contact the bottom of the tank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that connects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lifting cylinder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and lowers the base unit into the mixing space and then repeatedly lifts the base unit for a preset time; By floating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with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arts close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jointly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guide hole and the additional guide hole, and the lower part is in the additional guide hole. A spoon part that is guided and bent at a certain level;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oon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and when the bas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ixing space and the bent portion is bent, the spoon portion is lowered and the lower side is bent to a certain level by an additional guide hole, thereby creating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closed, and the spoon part rises at the same speed as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so that the spoon part scoops up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and then follows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to lower the spoon part into the mixing space. a third lifting cylinder; A wire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oon portion and whose upper side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a drum on which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And when the second lifting cylinder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respectively lower the base part and the spoon part, the drum rotates in the wire unwinding direction, and the second lifting cylinder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move the base part and the spoon part, respectively. It includes an elevating drive unit that rotates the drum in the wire winding direction when raised to maintain the bent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spoon portion in a bent state.

그리고, 상기 탱크부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충격흡수모듈을 더 포함한다.And, it further includes a shock absorption module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ottom of the tank por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시멘트, 모래, 자갈, 돌 조각과 같은 골재 및 물을 믹싱하여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재료의 혼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의 내벽면을 스크래핑하여 콘크리트가 누적 및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래핑 과정에서 콘크리트 재료를 믹상날로 이동시켜 믹싱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oncrete can be produced by mixing aggregates such as cement, sand, gravel, stone chips, and water, and the concrete is accumulated by scrap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that provides a mixing space for the concrete materials. and sticking,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mixing efficiency by moving concrete materials to the mixing blade during the scraping process.

그리고, 탱크의 바닥면에 침전된 콘크리트재료를 믹싱날 측으로 퍼올려주어 콘크리트재료의 믹싱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ncrete material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tank is pumped toward the mixing blade, which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mixing efficiency of the concrete material.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에 스크래퍼 및 위치가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에 스크래퍼 및 위치가변부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에 적용된 스크래퍼와, 이송부 및 배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에 적용된 올림부를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에 적용된 올림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에 적용된 올림부의 작동을 도시한 측단면도.
1 is a diagram showing 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craper and a position variable part are applied to 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craper and a position variable part are applied to 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raper, a transfer part, and a discharge part applied to 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vation applied to 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vation applied to a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part applied to the concrete mix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n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1)는, 탱크부(10)와, 믹서부(20)와, 회전구동부(30)와, 스크래퍼부(40)와, 이송부(50)와, 배출부(60)와, 위치가변부(70)와, 올림부(80) 및 충격흡수모듈(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crete mix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nk unit 10, a mixer unit 20, a rotation drive unit 30, a scraper unit 40, a transfer unit 50, and a discharge uni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ortion 60, a position variable portion 70, an elevation portion 80, and a shock absorption module 90.

탱크부(10)는 내부에 콘크리트 재료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공간이 형성된다.A mixing space for mixing concrete materials is formed inside the tank unit 10.

이때, 콘크리트 재료는 시멘트와 모래, 자갈, 돌 조각과 같은 골재 및 물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concrete materials can be applied as cement, aggregates such as sand, gravel, stone chips, and water.

탱크부(10)의 상면에는 전술한 재료를 투입하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탱크부(10)의 하측면에는 혼합에 의해 완성된 콘크리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1)이 설치된다.An inlet for introducing the above-mentioned materials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unit 10, and a discharge pipe 11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ank unit 10 for discharging the concrete completed by mixing.

그리고, 탱크부(10)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스크래퍼부(40)와, 이송부(50) 및 올림부(80)가 각각 출입하는 복수개의 출입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unit 10, a plurality of entrances and exits through which the scraper unit 40, the transfer unit 50, and the lift unit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nter and exit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배출관(11)에는 밸브가 설치된다. 밸브는 회전작동에 의해 배출관(11)의 내부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따라서, 재료를 혼합하는 경우 밸브로 배출관(11)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고, 콘크리트가 완성되면 밸브를 개방하여 배출시키면 된다.A valve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1. The valve opens or closes the internal passage of the discharge pipe 11 by rotating. Therefore, when mixing the materials, the internal passage of the discharge pipe 11 is closed with a valve, and when the concrete is completed, the valve is opened to discharge it.

믹서부(20)는 재료를 믹싱하는 구성이다.The mixer unit 20 is configured to mix ingredients.

믹서부(20)는 일정부분이 혼합 공간의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탱크부(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후술되는 회전구동부(30)에 결합되는 회전축(21) 및 회전축(21)의 둘레면에 설치되며 회전축(21)과 함께 회전되면서 재료를 혼합하는 믹싱날(22)을 포함할 수 있다.A certain portion of the mixer unit 2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mixing space, and the remaining portion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tank unit 10, and includes a rotation shaft 21 and a rotation axis coupled to the rotation drive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install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21) and may include a mixing blade (22) that mixes the materials while rotating with the rotating shaft (21).

이때, 탱크부(10) 중 회전축(21)이 관통하는 부분에는 재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packing to prevent material leakage may be installed in the portion of the tank portion 10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21 passes.

그리고, 믹싱날(2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위스트 형상 등 재료를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상용화 된 형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shape of the mixing blade 22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2, and that it can be applied in any one of commercialized shapes that can efficiently mix materials, such as a twist shape.

또한, 믹서부(20)는 재료의 혼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되어 탱크부(10)에 고루게 분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xer unit 20 may be installed in plural numbers to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tank unit 10 to improve mixing efficiency of materials.

그리고, 도면에는 믹서부(20)가 수평 형태 설치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직 형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mixer unit 20 is installed horizontally,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also be installed in a vertical form.

회전구동부(30)는 탱크부(10)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The rotation drive unit 3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one side of the tank unit 10.

회전구동부(30)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on drive unit 30 may be formed as a motor.

회전구동부(30)의 모터축은 회전축(21)에 커플러를 통해 결합된다.The motor shaft of the rotation drive unit 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1 through a coupler.

회전구동부(30)는 회전축(2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지속되게 회전시켜 믹싱날(22)이 재료를 혼합하도록 한다.The rotation drive unit 30 continuously rotates the rotation shaft 21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mixing blade 22 mixes the materials.

한편, 스크래퍼부(40)는 탱크부(10)의 내벽면에 위치한 재료를 스크래핑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scraper unit 40 is configured to scrape material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10.

스크래퍼부(40)는 사각박스 형상 즉, 벽면이 수직형태인 탱크부(10)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craper unit 40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tank unit 10 having a rectangular box shape, that is, the wall is vertical.

이때, 스크래퍼부(40)는 1개로 적용되거나 또는 탱크부(10)의 내벽면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raper unit 40 may be applied as one piece or may be appli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inner walls of the tank unit 10.

탱크부(10)는 4개의 내벽면을 포함하므로, 스크래퍼부(40)가 1개로 적용되는 경우, 작업자에 스크래퍼부(40)를 탱크부(10)의 각 벽면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탱크부(10)의 각 벽면을 스크래핑하면 된다.Since the tank unit 10 includes four inner walls, when the scraper unit 40 is applied as one, the operator sequentially moves the scraper unit 40 to each wall of the tank unit 10 to scrape the tank unit. Just scrape each wall in (10).

이때, 스크래퍼부(40)는 홀더를 포함하는 탑차에 탑재된 상태로 탱크부(10)의 각 벽면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raper unit 40 may be sequentially moved to each wall of the tank unit 10 while being mounted on a vehicle including a holder.

탑차는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지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가 설치된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uck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with roller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that roll along the ground.

그리고, 홀더는 하단에 탑차의 상면에 볼팅결합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수직부 및 수직부의 상단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der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with a flange bol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and a horizontal portion b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at the top of the vertical portion.

홀더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볼팅 결합을 위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홀더는 수평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홀더는 수평부에 결합된 홀더에 볼팅결합 될 수 있다.The holder consists of a pair of two holders and may include flanges for bolting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One holder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other holder may be bolted to the holder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홀더는 제1 승강실린더(42)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승강실린더(42)가 원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시, 홀더는 반원형 형상이나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홀더는 제1 승강실린더(42)의 1/2을 감싸고, 다른 하나의 홀더는 제1 승강실린더(42)의 나머지 1/2을 감싼다. 이로 인해 홀더들의 플랜지도 서로 접촉된다.The holder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For example, when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holder may be formed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or a curved shape. One holder surrounds 1/2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and the other holder wraps the remaining 1/2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Due to this, the flanges of the holders als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한 쌍의 홀더는 이와 같이 제1 승강실린더(42)를 각각 감싼 상태에서 플랜지들이 볼팅결합됨에 따라 서로 결합되면서 제1 승강실린더(42)를 고정하게 된다.In this way, the pair of holders each surround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flanges are bolted to fix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스크래퍼부(40)는 탱크부(10)의 벽면 개수와 동일하게 4개로 적용되는 경우, 스크래퍼(41)가 탱크부(10)의 각 벽면과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When four scraper units 40 are applied, equal to the number of walls of the tank unit 10, the scraper 41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each wall of the tank unit 10.

그리고, 스크래퍼부(40)를 작동시키는 제1 승강실린더(42)는 스크래퍼(41)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교번작동 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that operates the scraper unit 40 can be programmed to operate alternately at regular time intervals to prevent the scrapers 41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또한, 스크래퍼부(40)는 믹서부(20)가 재료를 혼합하는 동안 작동되거나 또는, 믹서부(20)가 재료를 혼합하기전이나 혼합을 완료한 이후에 작동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craper unit 40 may be operated while the mixer unit 20 is mixing the ingredients, or may be operated before the mixer unit 20 is mixing the ingredients or after mixing is completed.

특히, 스크래퍼부(40)는 탱크부(10)의 내벽면에 고착된 불필요한 콘크리트 코팅을 스크래핑 해주어 재료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scraper unit 40 scrapes away unnecessary concrete coating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10 so that it can be mixed with the material, thereby preventing material loss.

그리고, 고착된 콘크리트가 혼합 공간에서 불필요하게 부피를 차지하는 것을 방지해준다.Additionally, it prevents the fixed concrete from taking up unnecessary volume in the mixing space.

이를 위해, 스크래퍼부(40)는 스크래퍼(41)와, 제1 승강실린더(42) 및 바이브레이터(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craper unit 40 may include a scraper 41, at least one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and the vibrator 43.

스크래퍼(41)는 탱크부(10)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톱니 형상의 스크래핑날(4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The scraper 41 has sawtooth-shaped scraping blades 411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10.

제1 승강실린더(42)는 탱크부(10)의 상측 외부에 배치된다.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10.

제1 승강실린더(42)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있다.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that operates by hydraulic pressure.

제1 승강실린더(42)는 스크래퍼(41)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스크래퍼(41)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킨다.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repeatedly lifts the scraper 41 at preset time intervals.

스크래핑날(411)은 스크래퍼(41)와 함께 반복적으로 승강되면서 탱크부(10)의 내벽면에 고착된 콘크리트, 콘크리트 재료인 모래, 자갈, 돌 조각 등을 스크래핑하여, 내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The scraping blade 411 is repeatedly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scraper 41 to scrape off concrete and concrete materials such as sand, gravel, stone fragments, etc. adhered to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10, and separate them from the inner wall.

바이브레이터(43)는 클램프, 플랜지와 같은 결합도구를 통해 제1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vibrator 4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iston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through a coupling tool such as a clamp or flange.

바이브레이터(43)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피스톤을 따라 스크래퍼(41)에 전달된다.The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vibrator 43 is transmitted to the scraper 41 along the piston.

즉, 스크래핑날(411)은 바이브레이터(43)에 의해 진동되면서 탱크부(10)의 내벽면을 스크래핑 한다. 이로 인해 스크래핑날(411)로 내벽면에 고착된 콘크리트, 콘크리트 재료인 모래, 자갈, 돌 조각 등을 효율적으로 스크래핑하여 내벽면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craping blade 411 scrap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ank unit 10 while being vibrated by the vibrator 43. As a result, concrete and concrete materials such as sand, gravel, stone fragments, etc. adhered to the inner wall surface can be efficiently scraped with the scraping blade 411 and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surface.

바이브레이터(43)는 스크래퍼(41)가 제1 승강실린더(42)에 의해 하강될 시 탱크부(10)의 내부로 수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1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에 결합된다.The vibrator 43 is coupled to the piston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so that the scraper 41 is placed in a position that is not accommodated inside the tank unit 10 when the scraper 41 is lowered by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한편, 이송부(50)는 스크래퍼부(40)와 함께 작동되면서 탱크부(10)의 사이드 측에 위치한 재료를 혼합 공간의 중앙측에 배치된 믹싱날(22)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transfer unit 50 operates together with the scraper unit 40 to transfer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10 toward the mixing blade 22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mixing space.

이를 위해 이송부(50)는 수직부(51)와, 수평부(52) 및 푸쉬부(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이송부(50)는 대략 직삼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To this end, the transfer unit 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ertical unit 51, a horizontal unit 52, and a push unit 53. At this time, the transfer unit 50 including this configura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ight-triangular block shape.

수직부(51)는 스크래퍼(41)의 타면에 각각 결합된다.The vertical portions 51 are each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scraper 41.

수평부(52)는 수직부(51)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탱크부(10)의 바닥면과 마주한다.The horizontal portion 52 is bent at a right angle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51 and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portion 10.

푸쉬부(53)는 수직부(51)의 상단과 수평부(52)의 끝단을 연결하여 경사면을 형성한다.The push part 53 connects the top of the vertical part 51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part 52 to form an inclined surface.

푸쉬부(53)는 회전축(21)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푸쉬부(53)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 인해 제1 승강실린더(42)의 구동에 의해 스크래퍼(41)와 함께 승강되면서 탱크부(10)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탱크부(10)의 중앙측에 배치된 믹싱날(22) 방향으로 밀어낸다.The push part 53 is arranged to face the rotation axis 21. Since this push part 53 forms an inclined surface, it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scraper 41 by the driving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and moves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part 10 to the central side of the tank part 10. Push it in the direction of the mixing blade (22) placed on.

이로 인해, 탱크부(10)의 혼합 공간에 퍼져있는 재료를 믹싱날(22) 측으로 이송시켜 재료가 고루게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Because of this, the materials spread in the mixing space of the tank unit 10 can be transferred to the mixing blade 22 so that the materials are evenly mixed.

부가적으로, 스크래퍼(41) 및 이송부(50)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탱크부(10)의 내벽면 측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믹싱날(22) 측으로 통과시키 위한 복수개의 제1 통과홀(412) 및 제2 통과홀(51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scraper 41 and the transfer unit 50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assage holes ( 412) and second passing holes 5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제1 통과홀(412) 및 제2 통과홀(511)은 재료를 믹싱날(22) 측으로 흘려보내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hole 41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11 are formed at an angle to allow the material to flow toward the mixing blade 22.

배출부(60)는 스크래퍼(41) 및 이송부(50)가 탱크부(10)의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제1 통과홀(412) 및 제2 통과홀(511)에 수용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구성이다.The discharge unit 60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first through hole 41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11 while the scraper 41 and the transfer section 50 are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section 10. am.

이를 위해 배출부(60)는 에어주입호스(61) 및 에어주입부(6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charge unit 60 may include an air injection hose 61 and an air injection unit 62.

에어주입호스(61)는 제1 통과홀(412)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에어주입호스(61)의 일정영역은 제1 통과홀(412)에 수용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hose 61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passing holes 412. At this time, a certain area of the air injection hose 61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passage hole 412.

에어주입호스(61)는 하나의 메인관(6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The air injection hoses 6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main pipe 63.

에어주입부(62)는 에어콤프레셔와 같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jection unit 62 may be formed of a product that can spray compressed air, such as an air compressor.

에어주입부(62)는 메인관(63)의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메인관(63)의 내부공간에 공급된 압축공기는 에어주입호스(61)들에 분기되어 공급된다.The air injection unit 62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pipe 63. The compressed air suppli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pipe 63 is branched and supplied to the air injection hoses 61.

그리고, 에어주입호스(61)들에 각각 공급된 에어는 제1 통과홀(412) 및 제2 통과홀(5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그 과정에서 제1 통과홀(412) 및 제2 통과홀(511)에 수용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시킨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to each of the air injection hoses 61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412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1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n the process, the first through hole 412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second passage hole 5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배출부(60)를 통해 제1 통과홀(412) 및 제2 통과홀(511)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discharge portion 60, the first passage hole 412 and the second passage hole 5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한편, 위치가변부(70)는 탱크부(10)의 상측 외부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position variable part 70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part 10.

위치가변부(70)는 제1 승강실린더(42)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sition variable parts 7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and may be formed as a linear cylinder or a rodless cylinder.

위치가변부(70)는 별도의 수직지지대에 수평 설치된다.The position variable part 70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a separate vertical support.

위치가변부(70)의 피스톤은 제1 승강실린더(42)에 결합된다.The piston of the position variable part 70 is coupled to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위치가변부(70)의 피스톤 및 제1 승상실런더에는 서로 볼팅결합되는 플랜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Flanges that are bolted to each other may be formed on the piston of the position variable portion 70 and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위치가변부(70)는 제1 승강실린더(42)를 양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즉, 위치가변부(70)의 작동에 의해 스크래퍼부(40) 및 이송부(50)를 탱크부(10)의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스크래퍼부(40) 및 상기 이송부(50)를 탱크부(10)의 상부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The position variable unit 70 transports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in both directions. That is, the scraper unit 40 and the transfer unit 5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10 by the operation of the position variable unit 70, or the scraper unit 40 and the transfer unit 50 are positioned on the tank unit. It can be removed from the top of (10).

따라서, 스크래퍼부(40) 및 이송부(5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위치가변부(70)를 통해 스크래퍼부(40) 및 이송부(50)를 탱크부(10)의 상측으로 이송시킨 다음, 제1 승강실린더(42)를 통해 스크래퍼(41) 및 이송부(50)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면 된다.Therefore, when it is desired to use the scraper unit 40 and the transfer unit 50, the scraper unit 40 and the transfer unit 50 are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10 through the position variable unit 70, and then the first The scraper 41 and the transfer unit 50 can be repeatedly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lifting cylinder 42.

그리고, 재료의 혼합이 완료된 다음에는 위치가변부(70)를 통해 스크래퍼부(40) 및 이송부(50)를 탱크부(10)의 상부에서 이탈시키면 된다.Then, after the mixing of the materials is completed, the scraper unit 40 and the transfer unit 50 can be remov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10 through the position variable unit 70.

또한, 후술되는 올림부(80)를 탱크부(10)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 위치가변부(70)로 스크래퍼부(40)를 탱크부(10)에서 이탈시킨 다음, 올림부(80)를 탱크부(10)에 적용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applying the raising part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tank part 10, the scraper part 40 is separated from the tank part 10 by the position variable part 70, and then the raising part 80 is installed. It can be applied to the tank part (10).

한편, 올림부(80)는 탱크부(10)의 하측 영역에 가라앉은 재료가 믹서부(20)에 작용하도록 떠올려주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raising part 80 is configured to raise the material that has sunk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10 so that it acts on the mixer part 20.

이때, 올림부(80)는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믹싱날(22)의 주변에 고루게 분포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ising portion 80 may be applied in plural numbers,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evenly distributed around the mixing blade 22.

올림부(80)는 전술한 위치가변부(70)와 동일한 리니어 실린더 또는 로드레스 실린더를 통해 탱크부(10)의 상측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탱크부(10)에서 이탈될 수 있다.The lifting part 80 may be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part 10 or separated from the tank part 10 through the same linear cylinder or rodless cylinder as the position variable part 70 described above.

이러한 올림부(80)는 베이스부(81)와, 제2 승강실린더(82)와, 스푼부(83)와, 제3 승강실린더(84)와, 와이어(85)와, 드럼(86) 및 승강구동부(87)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is raised part 80 includes a base part 81, a second lifting cylinder 82, a spoon part 83, a third lifting cylinder 84, a wire 85, a drum 86,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elevator shaft eastern parts 87.

베이스부(81)는 수직부(811)와, 꺾임부(812) 및 연결부(8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8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ertical portion 811, a bent portion 812, and a connecting portion 813.

수직부(81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vertical portions 811 are composed of two pairs and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수직부(811)는 각각 수직형태로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수직형 가이드홀(811a)이 각각 형성된다.The vertical portions 811 are each arranged vertically, and vertical guide holes 811a are 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수직형 가이드홀(811a)은 후술되는 스푼부(83)가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가이드한다.The vertical guide hole 811a guides the spoon portion 8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rise and f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꺾임부(812)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수직부(811)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다.The bent portions 812 are composed of two pairs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811.

꺾임부(812)는 각각 곡선 또는 사선 형태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하는 면에 수직형 가이드홀(811a)과 연결되는 부가 가이드홀(812a)이 형성된다.The bent portions 812 are each arranged in a curved or diagonal shape, and an additional guide hole 812a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hole 811a is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꺾임부(812)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시 부가 가이드홀(812a)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꺾임부(812)가 사선 형상으로 형성될 시 부가 가이드홀(812a)은 사선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bent portion 812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additional guide hole 812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when the bent portion 812 is formed in a diagonal shape, the additional guide hole 812a is formed in a diagonal shape.

수직부(811) 및 꺾임부(812)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수직부(811)는 하강작동에 의해 탱크부(10)의 혼합 공간에 투입될 시 탱크부(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게 된다.The vertical portion 811 and the bent portion 812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the vertical portion 811 i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portion 10 when it is put into the mixing space of the tank portion 10 through a lowering operation. It is supported and bent to a certain level.

이때, 한 쌍의 수직부(811)들은 휨 방지바(814)에 의해 연결된다. 휨 방지바(814)는 꺾임부(812)가 꺾일 때, 한 쌍의 수직부(811)들이 휘어지지 아니하면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811 are connected by a bending prevention bar 814. The bending prevention bar 814 maintains the gap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811 without bending when the bent portion 812 is bent.

휨 방지바(814)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수직부(811)들의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anti-bending bars 814 may be applied in plural numbers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rtical portions 811.

연결부(813)는 일측과 타측이 수직부(811)의 상측에 각각 결합된다.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81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811.

이로 인해 부가 연결부(813)는 수직부(811)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한다.Because of this, the additional connection part 813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8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연결부(813)에는 제2 승강실린더(82)와 결합을 위한 결합판(8131)이 형성된다.A coupling plate 8131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is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813.

제2 승강실린더(82)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that operates by hydraulic pressure.

제2 승강실린더(82)는 탱크부(10)의 상측 외부에 배치된다.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10.

제2 승강실린더(82)의 피스톤은 결합판(8131)에 볼트나 용접 결합되어 베이스부(81)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승강시킨다.The piston of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is bolted or welded to the coupling plate 8131 to repeatedly elevate the base portion 81 for a preset time.

이때, 제2 승강실린더(82)는 회전구동부(30)와 함께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이 정지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may be programmed to oper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drive unit 30 or to stop operating.

스푼부(83)는 수직부(811)의 사이 공간을 폐쇄한 상태로 탱크부(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려주는 구성이다.The spoon portion 83 is configured to scoop up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ortion 10 while closing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811.

스푼부(83)는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푼부(83)는 일측과 타측이 수직형 가이드홀(811a) 및 부가 가이드홀(812a)에 공동으로 수용된다.The spoon portion 83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poon portion 83 are jointly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guide hole 811a and the additional guide hole 812a.

이때, 스푼부(83)의 상측 영역(832)은 수직형 가이드홀(811a)에 수용되어 꺾이지 아니하고, 스푼부(83)의 하측 영역(833)은 부가 가이드홀(812a)에 가이드 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area 832 of the spoon part 83 is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guide hole 811a and is not bent, and the lower area 833 of the spoon part 83 is guided by the additional guide hole 812a and i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It bends to

스푼부(83)는 꺾이게 되면 대략 "ㄴ"자 형상이 된다. 즉, 스푼부(83)는 탱크부(10)의 하측 영역(833)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릴 수 있는 스푼 형상을 이루게 된다.When the spoon portion 83 is bent, it has an approximately “L” shape. That is, the spoon part 83 has a spoon shape that can scoop up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833 of the tank part 10.

스푼부(83)의 상측에는 제3 승강실린더(84)와 결합을 위한 부가 결합판(831)이 형성된다.An additional coupling plate 83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poon part 83 for coupling with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스푼부(83)의 하측에는 와이어(85)가 결합되는 고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A ring (not shown) to which the wire 85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poon portion 83.

제3 승강실린더(84)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that operates by hydraulic pressure.

제3 승강실린더(84)는 탱크부(10)의 상측 외부에 배치되며, 제2 승강실린더(82)의 일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다.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10 and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ne side of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제3 승강실린더(84)는 탱크부(10)의 상측 외부에 배치되고, 제3 승강실린더(84)의 피스톤은 부가 결합판(831)에 볼트나 용접 결합되며, 베이스부(81)가 믹싱 공간에 투입되어 꺾임부(812)가 탱크부(10)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꺾이면 스푼부(83)를 하강시킨다.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is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part 10, the piston of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is bolted or welded to the additional coupling plate 831, and the base part 81 is connected to the mixing plate 831. When the bent portion 812 is inserted into the space and bent while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portion 10, the spoon portion 83 is lowered.

이로 인해 스푼부(83)는 하측부터 수직형 가이드홀(811a)을 따라 하강된다.As a result, the spoon portion 83 descends from the bottom along the vertical guide hole 811a.

그리고, 스푼부(83)는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 그 하측이 부가 가이드홀(812a)을 따라 하강되면서 자연스럽게 꺾이게 된다.Additionally, since the spoon portion 8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ts lower side is naturally bent as it descends along the additional guide hole 812a.

또한, 스푼부(83) 중 수직형 가이드홀(811a)에 수용되는 부분은 꺾이지 아니한다.Additionally, the portion of the spoon portion 83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guide hole 811a is not bent.

제3 승강실린더(84)는 스푼부(83)가 탱크부(10)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리도록 제2 승강실린더(82)와 동일한 속도로 스푼부(83)를 상승시키는 구성이다.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is configured to raise the spoon part 83 at the same speed as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so that the spoon part 83 lifts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10.

즉, 베이스부(81) 및 스푼부(83)는 각각 제2 승강실린더(82) 및 제3 승강실린더(84)에 의해 동일한 속도로 상승되며, 그 과정에서 스푼부(83)가 탱크부(10)의 하측 영역에 가라앉은 재료를 떠올리게 된다.That is, the base part 81 and the spoon part 83 are raised at the same speed by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respectively, and in the process, the spoon part 83 is raised to the tank part ( The material that has settled in the lower area of 10) comes to mind.

그리고, 회전축(21) 및 믹싱날(22)의 회전에 의해 스푼부(83)에 의해 상승되는 재료가 믹싱날(22) 측으로 빨려가게 된다. 따라서, 스푼부(83)에 의해 상승되는 재료도 믹싱날(22)에 의해 혼합된다.And, due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1 and the mixing blade 22, the material raised by the spoon portion 83 is sucked toward the mixing blade 22. Accordingly, the material raised by the spoon portion 83 is also mixed by the mixing blade 22.

부가적으로, 베이스부(81) 및 스푼부(83)는 각각 제2 승강실린더(82) 및 제3 승강실린더(84)에 의해 탱크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까지 상승되었다가 다시 하강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base portion 81 and the spoon portion 83 are raised to a height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10 by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respectively, and then raised again. It goes down.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1)는 제2 승강실린더(82)가 선행하여 베이스부(81)를 하강시키고, 제3 승강실린더(84)가 후행하여 스푼부(83)를 하강시키며, 제2 승강실린더(82) 및 제3 승강실린더(84)가 동시에 베이스부(81) 및 스푼부(83)를 상승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At this time, in the concrete mix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82 takes precedence to lower the base part 81, and the third elevating cylinder 84 follows to lower the spoon part 83. is lowered, and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are programmed to simultaneously raise the base part 81 and the spoon part 83.

따라서, 베이스부(81)가 먼저 하강되어 꺾임부(812)가 먼저 탱크부(1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게 되고, 이어서 스푼부(83)가 하강되어 하측 부분이 일정수준으로 꺾여 스푼 형상을 이루게 된다.Therefore, the base part 81 is lowered first, and the bent part 812 is first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part 10 and bent to a certain level, and then the spoon part 83 is lowered so that the lower part is bent to a certain level. It is bent to form a spoon shape.

다시 말해, 베이스부(81)는 수직부(811)와, 꺾임부(812)와, 연결부(813) 및 부가 연결부(813)의 조합에 의해 대략 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하강될 시 재료에 대한 저항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한 쌍의 꺾임부(812)가 탱크부(10)의 바닥면에 의해 쉽게 꺾이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ase portion 81 is formed in a roughly frame shape by a combination of the vertical portion 811, the bent portion 812, the connecting portion 813, and the additional connecting portion 813, so that when lowered, the base portion 81 is formed into a frame shape. Resistance to the tank can be minimized, and the pair of bent portions 812 can be easily bent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portion 10.

그리고, 스푼부(83)는 수직부(811) 및 꺾임부(812) 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강될 시 비교적 재료에 대한 저항을 덜 받게 된다. 따라서, 스푼부(83)는 재료 상에서 원활하게 하강된 다음, 꺾임부(812)에 의해 쉽게 꺾여 스푼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spoon portion 83 is formed to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vertical portion 811 and the bent portion 812, so that it receives relatively less resistance to the material when lowered. Accordingly, the spoon portion 83 can be smoothly lowered on the material and then easily bent by the bending portion 812 to form a spoon shape.

한편, 와이어(85)와, 드럼(86) 및 승강구동부(87)는 스푼부(83)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재료의 저항력에 의해 원상태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Meanwhile, the wire 85, the drum 86, and the lifting drive unit 87 are configured to prevent the spoon unit 83 from unfolding to its original state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material in the process of being raised.

와이어(85)는 하단이 스푼부(83)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측이 탱크부(10)의 상측 외부로 돌출된다.The lower end of the wire 85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oon portion 83, and the upper side protrudes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10.

드럼(86)은 탱크부(10)의 상측 외부로 돌출된다. 드럼(86)은 와이어(85)를 권취 또는 권출한다.The drum 86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10. The drum 86 winds or unwinds the wire 85.

승강구동부(87)는 탱크부(10)의 상측 외부로 돌출된다.The lifting drive unit 87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10.

승강구동부(87)는 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87)의 모터축은 드럼(86)에 결합된다.The lifting drive unit 87 may be formed of a motor. The motor shaft of the lifting drive unit 87 is coupled to the drum 86.

승강구동부(87)는 드럼(86)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85)가 드럼(86)에 권취되도록 하거나 또는, 드럼(86)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85)가 드럼(86)에서 권출되도록 한다.The lifting drive unit 87 rotates the drum 86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wire 85 is wound around the drum 86, or rotates the drum 86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wire 85 is unwound from the drum 86. Make it possible.

승강구동부(87)는 제2 승강실린더(82) 및 제3 승강실린더(84)가 각각 베이스부(81) 및 스푼부(83)를 상승시킬 시 드럼(86)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85)를 일정길이 권취시킴에 따라, 꺾임부(812) 및 스푼부(83)의 하측이 꺾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lifting drive unit 87 rotates the drum 86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raise the base part 81 and the spoon part 83, respectively, to lift the wire 85 ) is wound to a certain length, the lower sides of the bent portion 812 and the spoon portion 83 are maintained in a bent state.

이때, 승강구동부(87)는 제2 승강실린더(82) 및 제3 승강실린더(84)에 의한 베이스부(81) 및 스푼부(83)의 상승속도에 대응되게 드럼(86)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꺾임부(812) 및 스푼부(83)의 하측이 꺾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lifting drive unit 87 rotates the drum 86 in the for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ising speed of the base part 81 and the spoon part 83 by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This ensures that the lower sides of the bent portion 812 and the spoon portion 83 remain bent.

그리고, 승강구동부(87)는 베이스부(81) 및 스푼부(83)가 탱크부(10)의 상측으로 돌출되면 드럼(86)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드럼(86)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와이어(85)가 권출됨에 따라 꺾임부(812) 및 스푼부(83)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And, the lifting drive unit 87 is programmed to rotate the drum 86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base unit 81 and the spoon unit 83 protrude upward from the tank unit 10. When the drum 86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wire 85 is unwound and the bent portion 812 and the spoon portion 83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elastic force.

따라서, 꺾임부(812) 및 스푼부(83)의 꺾인 정도가 완화되어 스푼부(83)에 담긴 재료가 자유낙하 된다. 아울러, 제2 승강실린더(82)가 베이스부(81)를 제3 승강실린더(84)에 선행하여 하강시킴에 따라 베이스부(81)가 스푼부(83)에서 이탈되며, 이로 인해 스푼부(83)가 탄성력에 의해 다시 펼쳐져 스푼부(83)에 남아 있던 재료가 자유낙하 된다.According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ent portion 812 and the spoon portion 83 is alleviated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spoon portion 83 freely falls. In addition, as the second lifting cylinder 82 lowers the base part 81 in advance of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the base part 81 is separated from the spoon part 83, which causes the spoon part ( 83) unfolds again due to elastic force, and the material remaining in the spoon portion 83 falls freely.

그리고, 자유낙하 된 재료는 다시 혼합 공간에서 가라 앉다가 믹싱날(22)의 영향권에 진입하면 믹싱날(22)에 의해 혼합된다.Then, the free-falling material sinks again in the mixing space and is mixed by the mixing blade 22 when it enters the influence area of the mixing blade 22.

이때, 전술한 제2 승강실린더(82)와, 제3 승강실린더(84) 및 승강구동부(87)도 전술한 위치가변부(70)와 동일한 로드레스 실린더 또는 리니어 실린더에 의해 각각 탱크부(10)의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탱크부(10)의 상부에서 이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econd lifting cylinder 82, the third lifting cylinder 84, and the lifting drive unit 87 are each operated by the tank unit 10 by the same rodless cylinder or linear cylinder as the position variable part 70 described above. )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10.

아울러, 스크래퍼부(40)와 올림부(80)는 작용력이 서로에게 간접하지 아니하도록 서로 교번되게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되거나 또는, 스크래퍼부(40)의 제1 승강실린더(42)가 먼저 탱크부(10) 내의 재료에 적용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한 다음, 올림부(80)가 후행하여 탱크부(10) 내의 재료에 적용되어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aper unit 40 and the lifting unit 80 are programmed to operate alternately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cting forces are not indirect to each other, or the first lifting cylinder 42 of the scraper unit 40 first lifts the tank unit 10. ) can be programmed to operate for a preset time and then be applied to the material within the tank unit 10 to be followed by the lifting unit 80 and operate for a preset time.

한편, 충격흡수모듈(90)은 4개로 적용되며,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탱크부(10)의 저면 모서리부분을 각각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Meanwhile, four shock absorption modules 90 are used, each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ttom edge of the tank unit 10 when seated on the ground.

충격흡수모듈(90)은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hock absorption module 90 may be made of rubber to absorb shock.

충격흡수모듈(90)은 믹서부(20) 및 회전구동부(30)가 작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탱크부(10)와 믹서부(20)가 안정된 구조에서 콘크리트 재료의 혼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shock absorption module 90 absorbs vibration and shock generated when the mixer unit 20 and the rotation drive unit 30 operate, allowing the tank unit 10 and the mixer unit 20 to perform mixing of concrete materials in a stable structure. Allows you to perform.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1)는, 충격흡수모듈(90)이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지면에 안착되는 박스(미도시)와, 박스의 내부공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충격흡수모듈(90)을 탄성적으로 탄성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concrete mix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x (not shown) in which the shock absorption module 9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and is seated on the ground, and an inner space of the box. The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support portion (not shown) to elastically support the shock absorption module 90.

이때, 탄성지지부는 판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astic support portion may be formed of a leaf spring or coil spring.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믹서(1)는, 충격흡수모듈(90) 및 탄성지지부가 함께 믹서부(20) 및 회전구동부(3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효율적으로 흡수 및 완충하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concrete mix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ption module 90 and the elastic support unit more efficiently absorb the shock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ixer unit 20 and the rotation drive unit 30. It can be absorbed and buffered.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sought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

1 : 콘크리트 믹서 10 : 탱크부
11 : 배출관 20 : 믹서부
21 : 회전축 22 : 믹싱날
30 : 회전구동부 40 : 스크래퍼부
41 : 스크래퍼 411 : 스크래핑날
412 : 제1 통과홀 42 : 제1 승강실린더
43 : 바이브레이터 50 : 이송부
51, 811 : 수직부 511 : 제2 통과홀
52 : 수평부 53 : 푸쉬부
60 : 배출부 61 : 에어주입호스
62 : 에어주입부 63 : 메인관
70 : 위치가변부 80 : 올림부
81 : 베이스부 811a : 수직형 가이드홀
812 : 꺾임부 812a : 부가 가이드홀
813 : 연결부 8131 : 결합판
814 : 휨방지바 82 : 제2 승강실린더
83 : 스푼부 831 : 부가 결합판
84 : 제3 승강실린더 85 : 와이어
86 : 드럼 87 : 승강구동부
90 : 충격흡수모듈
1: Concrete mixer 10: Tank part
11: discharge pipe 20: mixer unit
21: rotation axis 22: mixing blade
30: rotation driving part 40: scraper part
41: scraper 411: scraping blade
412: first passage hole 42: first elevating cylinder
43: Vibrator 50: Transfer unit
51, 811: Vertical portion 511: Second passing hole
52: horizontal part 53: push part
60: discharge part 61: air injection hose
62: air injection unit 63: main pipe
70: position variable part 80: raised part
81: Base portion 811a: Vertical guide hole
812: Bent portion 812a: Additional guide hole
813: Connection 8131: Coupling plate
814: Bending prevention bar 82: Second lifting cylinder
83: spoon part 831: additional coupling plate
84: Third lifting cylinder 85: Wire
86: Drum 87: Elevating port eastern part
90: Shock absorption module

Claims (3)

콘크리트 재료의 혼합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부; 및
상기 재료를 믹싱하도록 상기 혼합 공간에 배치되는 믹서부
상기 탱크부의 내벽면에 위치한 재료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퍼부;
상기 스크래퍼부와 함께 작동되면서 상기 탱크부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상기 믹서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스크래퍼부 및 상기 이송부를 상기 탱크부의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상기 스크래퍼부 및 상기 이송부를 상기 탱크부의 상부에서 이탈시키기 위해 상기 스크래퍼부를 양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위치가변부;
상기 탱크부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가 상기 믹서부에 작용하도록 떠올려주는 올림부; 및
상기 탱크부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충격흡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부는,
상기 탱크부의 내벽면과 마주하는 일면에 상기 재료를 스크래핑하기 위한 톱니 형상의 스크래핑날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스크래퍼;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래핑날이 승강되면서 상기 탱크부의 내벽면을 스크래핑하도록 상기 스크래퍼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며, 상기 위치가변부에 의해 이송되는 제1 승강실린더; 및
상기 제1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을 통해 상기 스크래퍼에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스크래퍼의 타면에 결합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단과 상기 수평부의 끝단을 연결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스크래퍼와 함께 승강되면서 상기 탱크부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상기 탱크부의 중앙측으로 밀어내는 푸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이송부에는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탱크부의 사이드에 위치한 재료를 상기 믹서부 측으로 통과시키 위한 복수개의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은 상기 재료를 믹싱날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래퍼 및 상기 이송부가 상기 탱크부의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에 수용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통과홀에 각각 설치되는 에어주입호스; 및
상기 에어주입호스를 통해 상기 제1 통과홀 및 제2 통과홀에 에어를 주입하여 재료를 배출하는 에어주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올림부는,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수직형 가이드홀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과 연결되는 부가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하강작동에 의해 상기 탱크부의 혼합 공간에 투입될 시 상기 탱크부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며, 상기 탱크부의 바닥면에 최초로 접촉되는 한 쌍의 꺾임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부에서 상기 연결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믹싱 공간으로 하강시킨 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제2 승강실린더;
상기 수직부의 사이 공간을 폐쇄한 상태로 상기 탱크부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려주는 것으로, 일측과 타측이 상기 수직형 가이드홀 및 상기 부가 가이드홀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하측 부분이 상기 부가 가이드홀에 가이드 되어 일정수준으로 꺾이는 스푼부;
상기 탱크부의 상측 외부에서 상기 스푼부의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믹싱 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꺾임부가 꺾이면 상기 스푼부를 하강시켜 하측이 부가 가이드홀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꺾이면서 상기 수직부의 사이 공간을 폐쇄하도록 하고, 상기 스푼부가 상기 탱크부의 하측 영역에 위치한 재료를 떠올리도록 상기 제2 승강실린더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스푼부를 상승시킨 다음, 상기 제2 승강실린더에 후행하여 상기 스푼부를 혼합 공간으로 하강시키는 제3 승강실린더;
하단이 상기 스푼부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측이 상기 탱크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출되는 드럼; 및
상기 제2 승강실린더 및 제3 승강실린더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 및 스푼부를 하강시킬 시 상기 드럼을 와이어 권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승강실린더 및 제3 승강실린더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 및 스푼부를 상승시킬 시 상기 드럼을 와이어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꺾임부 및 스푼부의 하측이 꺾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믹서.
A tank section providing a space for mixing concrete materials; and
A mixer unit disposed in the mixing space to mix the ingredients
A scraper unit that scrapes material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a transfer unit that operates together with the scraper unit to transfer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to the mixer unit;
A position variable unit that transfers the scraper unit in both directions to position the scraper unit and the transfer unit at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or to separate the scraper unit and the transfer unit from the upper part of the tank unit;
a lifting part that lifts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so that it acts on the mixer part; and
It includes a shock absorption module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ottom of the tank portion,
The scraper unit,
a scraper having serrated scraping blad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scraping the material on one surface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tank;
a first lifting cylinder disposed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repeatedly raising and lowering the scraper to scrape the inner wall of the tank unit as the scraping blade is raised, and being transported by the position variable unit; and
It includes a vibrator that transmits vibration to the scraper through the piston of the first lifting cylinder,
The transfer unit,
A vertical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craper;
a horizontal portion bent in a right angle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ortion; and
Connecting the top of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form an inclined surface, and including a push portion that moves up and down with the scraper to push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toward the center of the tank,
The scraper and the transfer unit are arrang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pass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llow the material located on the side of the tank unit to pass through the mixer unit,
The first passage hole and the second passage hole are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o transfer the material to the mixing blade,
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unit that discharges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pass holes while the scraper and the transfer unit are rais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The discharge part,
Air injection hoses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passing holes; and
An air injection unit that injects air into the first passage hole and the second passage hole through the air injection hose to discharge the material,
The raised part is,
A pair of vertical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vertical guide holes formed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each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parts,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holes on surfaces facing each other. A guide hole is formed, and when the tank is put into the mixing space by a lowering operation, it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tank and bent at a certain level, and a pair of bent parts that first contact the bottom of the tank and the vertical A base portion including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econd lifting cylinder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outside the upper side of the tank unit and lowers the base unit into the mixing space and then repeatedly lifts the base unit for a preset time;
By floating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with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parts close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jointly accommodated in the vertical guide hole and the additional guide hole, and the lower part is in the additional guide hole. A spoon part that is guided and bent at a certain level;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oon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and when the bas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ixing space and the bent portion is bent, the spoon portion is lowered and the lower side is bent to a certain level by an additional guide hole, thereby creating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closed, and the spoon part rises at the same speed as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so that the spoon part scoops up the material located in the lower area of the tank part, and then follows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to lower the spoon part into the mixing space. a third lifting cylinder;
a wire whos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poon portion and whose upper side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tank portion;
a drum on which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and
When the second lifting cylinder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respectively lower the base part and the spoon part, the drum rotates in the wire unwinding direction, and the second lifting cylinder and the third lifting cylinder raise the base part and the spoon part, respectively. A concrete mixer including a lifting mechanism that rotates the drum in the wire winding direction to maintain the bent portion and the lower side of the spoon portion in a bent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혼합되도록 상기 믹서부를 회전작동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믹서.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ncrete mixer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drive unit that rotates the mixer unit to mix the materials.
삭제delete
KR1020230076128A 2023-06-14 2023-06-14 Concrete mixer KR102597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128A KR102597898B1 (en) 2023-06-14 2023-06-14 Concrete mix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128A KR102597898B1 (en) 2023-06-14 2023-06-14 Concrete mix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898B1 true KR102597898B1 (en) 2023-11-02

Family

ID=8874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128A KR102597898B1 (en) 2023-06-14 2023-06-14 Concrete mix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9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343A (en) * 1994-10-08 1996-05-22 유충식 Purification Method of Active Phosphorus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KR100744193B1 (en) * 2006-03-22 2007-08-01 최제필 Portable concret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757953B1 (en) 2006-09-05 2007-09-14 조주엽 Concrete mixer
KR100863338B1 (en) * 2007-05-21 2008-10-15 호산엔지니어링(주)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ady mixed concrete using the speed changeable mixer
KR101845772B1 (en) * 2017-11-24 2018-04-05 주식회사 반석테크 Plant system for cement concrete with Assembly type silo, mixer, blender and two-way hose pump
KR20220060106A (en) * 2020-11-04 2022-05-11 신동원 Cement mixer and mortar supply device for an architectural 3d-print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343A (en) * 1994-10-08 1996-05-22 유충식 Purification Method of Active Phosphorus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KR100744193B1 (en) * 2006-03-22 2007-08-01 최제필 Portable concret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0757953B1 (en) 2006-09-05 2007-09-14 조주엽 Concrete mixer
KR100863338B1 (en) * 2007-05-21 2008-10-15 호산엔지니어링(주)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ady mixed concrete using the speed changeable mixer
KR101845772B1 (en) * 2017-11-24 2018-04-05 주식회사 반석테크 Plant system for cement concrete with Assembly type silo, mixer, blender and two-way hose pump
KR20220060106A (en) * 2020-11-04 2022-05-11 신동원 Cement mixer and mortar supply device for an architectural 3d-prin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37292U (en) Concrete mixer
WO2010133304A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well servicing operations
CN110219464A (en) A kind of water conservancy construction pours device with cement floor
EP1669180A3 (en) Machine for mixing and pumping mortar, plaster and cement mixes in general
KR102597898B1 (en) Concrete mixer
KR20110034186A (en) Mixing apparatus
KR100992552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intenance work of abutment jointing slab
CN108756245A (en) The method that big graded aggregate concrete substep pours hopper and casting concrete
CN209794174U (en) Caching type injection equipment for grouting material
CN114986706B (en) 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for civil engineering laboratory samples
JP2008302646A (en) Concrete manufacturing and supply plant
CN112025992B (en) Cement mixed mortar preparation raw materials automated feeding system
CN212554435U (en) Agitating unit for construction
WO2003062639A1 (en) Pumping device for viscous slurry material
EP3497398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boreholes in blasting operations
JP2021110187A (en) Method of placing concrete in pneumatic caisson method
CN108265721A (en) New Type Aerated Concrete pours into a mould blanking buffer device
CN209408863U (en) A kind of aerated blocks casting cleaning plant
CN214772982U (en) Novel cement stabilized macadam equipment
CN105413564B (en) A kind of mixing device
CN112112249B (en) Rapid construction method for non-stop water touch connection of newly-built sewage pipeline and main pipeline
CN215619062U (en) Concrete mixer
JP4137744B2 (en) Pile material supply device for ground improvement
CN217871866U (en) Secondary structure is built by laying bricks or stones with pouring device
CN213081854U (en) Raw material mixing device for civil engineering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