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894B1 -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894B1
KR102597894B1 KR1020210143990A KR20210143990A KR102597894B1 KR 102597894 B1 KR102597894 B1 KR 102597894B1 KR 1020210143990 A KR1020210143990 A KR 1020210143990A KR 20210143990 A KR20210143990 A KR 20210143990A KR 102597894 B1 KR102597894 B1 KR 102597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irus
plate
prevention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9623A (ko
Inventor
양준호
Original Assignee
양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호 filed Critical 양준호
Priority to KR102021014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9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2007/202Actuator connected to w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는 내측면에 회동축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테두리들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개구시키는 측벽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회동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판; 막대 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동판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된 상기 회동판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VIRUS PROTECTION DEVICE FOR HOSPITAL ROOM}
본 발명은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실로부터 바이러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의 격리 병실, 밀폐실, 중환자실 및 음압 병동은 세균,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어의 경우 도어 프레임 및 도어의 사이에 이격된 틈이 존재하고, 이격된 틈을 통해 내부 공기가 유출될 수 있다.
도어 및 도어 프레임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는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10776호, 밀폐 구조 도어 프레임(등록일 : 2014년 06월 17일)을 들 수 있다.
상기 밀폐 구조 도어 프레임은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돌출된 걸림벽을 형성한 후 걸림벽을 탄성재질의 가스켓으로 감싸도록 형성하여 완전히 밀폐할 수 있는 기술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밀폐 구조 도어 프레임은 단순히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걸림벽을 돌출 형성하기 때문에 여전히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바이러스 등이 유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벽에 의하여 통행이 불편한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10776호, 밀폐 구조 도어 프레임(등록일 : 2014년 06월 17일)
본 발명은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과 연동되어 도어와 지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고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와 지면 또는 도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개방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는 내측면에 회동축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테두리들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개구시키는 측벽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회동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판; 막대 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동판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된 상기 회동판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상기 회동판은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의 상면과 접촉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된 측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갖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및 상기 경사면이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회동축에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와 면 접촉되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한다.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상기 회동판은 상호 이격되게 상기 상판에 결합된 제1 회동판 및 제2 회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한다.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는 상기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과 이격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들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작동 로드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 중 지면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지면과 밀착되는 밀착 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는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과 연동되어 도어와 지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고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와 지면 또는 도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개방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병실의 바이러스가 병실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회동판을 발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연결 로드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가 도어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10)는 하우징(100), 회동판(200), 작동 로드(300),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 및 복귀용 탄성 부재(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상판(110) 및 측벽(130)을 포함하며, 하우징(100)은 하면에 개구(133)가 형성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판(110)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판(110) 중 지면과 마주하는 내측면(111)에는 회동축(1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판(110)의 내측면(111)과 대향하는 외측면(113)은 지면(3)과 마주하는 도어(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측벽(130)은 상판(110)의 테두리로부터 지면(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측벽(130)은 상판(110)의 4개의 테두리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이로 인해 상판(110) 및 측벽(130)을 갖는 하우징(100)은 하면에 개구(133)가 형성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회동판을 발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동판(200)은 상판(110)의 내측면(111)에 형성된 회동축(1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동축(112)에 결합된 회동판(2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회동된다.
회동판(200)은,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삼각 플레이트 형상 또는 다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회동판(200)은 상호 이격된 제1 회동판(210) 및 제2 회동판(230)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들은 연결 로드(25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연결 로드(250)는 후술될 작동 로드(30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들이 동시에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회동판(210) 및 제2 회동판(230)은 바닥면(211, 231), 측면(213, 233) 및 경사면(215, 235)을 포함한다.
바닥면(211, 231)은 하우징(100)의 상판(110)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바닥면(211, 231)은 후술될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의 상면과 접촉되며, 바닥면(211, 231)은 절곡부(212, 232)를 포함한다.
절곡부(212, 232)는 바닥면(211, 231)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며, 절곡부(212, 232)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와 면접촉되어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의 회동력을 효율적으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절곡부(212, 232)의 날카로운 단부가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의 회동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곡부(212, 232)의 선단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213, 233)은 바닥면(211)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며, 측면(213, 233)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216, 236)들이 형성된다. 측면(213, 233)은 하우징(100)의 측벽(130)들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체결홀(216, 236)은, 예를 들어, 측면(213, 233)을 따라 3개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5, 235)은 바닥면(211, 231)과 측면(213, 233)을 연결하며, 경사면(215, 235)은 하우징(100)의 상판(110) 및 측벽(13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측면(213, 233) 및 경사면(215, 235)이 만나 형성된 모서리에는 회동축(112)에 끼워지는 관통홀(214, 234)이 형성된다.
제1 회동판(210) 및 제2 회동판(23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로드(250)는, 예를 들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 로드(250)의 일측 단부는 제1 회동판(210)의 체결홀(216)에 결합되고, 연결 로드(250)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제2 회동판(230)의 체결홀(236)에 결합된다.
한편,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로드(250)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로드(250)에는 연결 로드 가이드 유닛(27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연결 로드 가이드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 로드 가이드 유닛(270)은 몸체(271) 및 커버(273)를 포함한다.
몸체(271)는 상판(110)의 내측면(111)에 결합되며, 몸체(271)에는 연결 로드(250)가 삽입되는 오목한 삽입홈(272)이 형성되고, 커버(273)는 연결 로드(250)가 삽입홈(27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몸체(271)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연결 로드(250)와 접촉되는 커버(273)의 내측면에는 연결 로드(250)를 지지하는 돌출부(274)가 배치되며, 돌출부(274) 및 연결 로드(250)가 접촉되는 면은 연결 로드(250)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작동 로드(30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동 로드(300)의 일측 단부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 회동판(210)과 연결되고, 작동 로드(300)의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하우징(100)의 측벽(130)에 형성된 관통홀(131)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작동 로드(300)의 타측 탄부에는 도어 프레임(2)과 작동 로드(300)가 접촉되면서 도어 프레임(2) 또는 작동 로드(300)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롤러(미도시) 등과 같은 파손 방지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작동 로드(300)는 탄성 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탄성 부재(31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탄성 부재(310)는 작동 로드(300)에 결합되어 작동 로드(300)에 변위가 발생된 후 작동 로드(30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작동 로드(300)는 작동 로드 가이드 유닛(330)에 결합될 수 있다.
작동 로드 가이드 유닛(330)은 작동 로드(300)가 지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 로드(300)의 경로를 가이드 한다.
도 6은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작동 로드 가이드 유닛(330)은 제1 고정판(331), 제2 고정판(333) 및 연결판(335)을 포함한다.
제1 고정판(331)은 관통홀(131)이 형성된 측벽(13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2 고정판(333)은 제1 고정판(331)과 이격되게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다.
제1 고정판(331) 및 제2 고정판(333)에는 작동 로드(30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측벽(130)에 형성된 관통홀(131)과 마주하는 관통홀(332, 334)들이 형성된다.
연결판(335)에는 제1 및 제2 고정판(331, 333)이 각각 결합된다. 연결판(335)에 의하여 제1 및 제2 고정판(331, 333)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는 직육면체 블럭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작동 로드(300)가 작동 하지 않을 때에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작동 로드(300)가 작동될 때 일부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도어(1)가 열려 작동 로드(300)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지면(3)과 이격되는 반면, 도어(1)가 닫혀 작동 로드(300)가 작동된 상태에서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의 하면이 지면(3)과 밀착되어 도어(1)의 내외부를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되며 지면(3)과 접촉될 때 소음 또는 충격이 발생될 수 있고,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와 지면(3)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지면(3)과 접촉되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의 하면에는 소음,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 및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 부재(41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밀착 부재(41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탄성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어(1)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될 때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를 하우징(100) 내부로 복귀시키기 위해 하우징(100) 및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에는 복귀용 탄성 부재(500)가 결합된다.
복귀용 탄성 부재(500)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상판(110)의 내측면(111)에 고정되고, 복귀용 탄성 부재(500)의 일단과 대향하는 타단은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와 결합되어 도어(1)가 개방될 때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를 하우징(100) 내부로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복귀용 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 앞서 설명한 연결 로드 가이드 유닛(270)이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의 상면과 접촉되어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지정된 위치에 정지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열린 상태에서는 작동 로드(300)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도어(1)는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가 닫힐 경우, 작동 로드(300)의 타측 단부가 도어 프레임(2)에 가압되고, 이로 인해 작동 로드(30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된다.
작동 로드(30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 로드(300)와 접촉된 제1 회동판(210)이 가압되면서 회동 및 연결 로드(250)가 이동되고, 연결 로드(250)의 이동에 의하여 제2 회동판(230)도 회동된다.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들의 바닥면(211, 231)은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의 상면을 가압하고,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지면(3)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강된다.
도어(1)가 완전히 닫힘으로써 작동 로드(300)가 최대한 가압됨에 따라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하우징(100)의 개구(13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의 하면에 배치된 밀착 부재(410)는 지면(3)에 가압되면서 도어(1) 내외부 공간은 폐쇄된다.
한편, 닫혀 있던 도어(1)가 사용자에 의하여 다시 열리게 되면 작동 로드(300)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다시 돌출됨으로써 제1 및 제2 회동판(210, 230)이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복귀용 탄성 부재(500)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내부로 복귀되어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400)는 지면(3)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는 도어가 폐쇄되는 동작과 연동되어 도어와 지면 또는 도어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폐쇄하고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과 연동하여 도어와 지면 또는 도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개방하여 도어가 원활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병실의 바이러스가 병실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100...하우징
200...하우징 300...작동 로드
400...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 500...복귀용 탄성 부재

Claims (5)

  1. 내측면에 회동축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테두리들로부터 연장되어 하부를 개구시키는 측벽들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회동축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판;
    막대 형상으로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회동판에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하는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 로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 로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회동된 상기 회동판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 및
    일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복귀시키는 복귀용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판은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의 상면과 접촉되는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 연결된 측면 및 상기 바닥면과 상기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갖는 삼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 및 상기 경사면이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상기 회동축에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판은 상호 이격되게 상기 상판에 결합된 제1 회동판 및 제2 회동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회동판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판의 측면에는 상기 측면을 따라 복수개의 체결홀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체결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연결 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의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상판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로드가 삽입되는 오목한 삽입홈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연결 로드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와 면 접촉되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과 이격되며 상기 작동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들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작동 로드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확산 방지 부재 중 지면과 마주하는 부분에는 상기 지면과 밀착되는 밀착 부재가 결합되는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KR1020210143990A 2021-10-26 2021-10-26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KR102597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90A KR102597894B1 (ko) 2021-10-26 2021-10-26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990A KR102597894B1 (ko) 2021-10-26 2021-10-26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623A KR20230059623A (ko) 2023-05-03
KR102597894B1 true KR102597894B1 (ko) 2023-11-03

Family

ID=86380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90A KR102597894B1 (ko) 2021-10-26 2021-10-26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891B1 (ko) * 1999-05-24 2002-05-02 김영창 도어하부용 방사선차폐장치
KR101067878B1 (ko) * 2008-04-28 2011-09-27 강판규 문틈 차단장치
KR101410776B1 (ko) 2014-03-11 2014-06-24 송성준 밀폐 구조 도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623A (ko)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49757A1 (en) Cabinet for air handling equipment
KR102597894B1 (ko) 병실 바이러스 차단 장치
JP2018076762A (ja) 家具ヒンジ
KR102258640B1 (ko) 팬 장치
KR20160095890A (ko) 폴딩도어용 하부 가이드프레임
JP2018180557A (ja) 防音パッケージ
KR102186223B1 (ko) 손끼임 방지 장치
TW201244597A (en) Insulation box
JP3015271B2 (ja) 扉のシールジャッキ機構
ES2718036T3 (es) Caja electroaislante con dos opciones de grado de hermeticidad para electricidad, tecnología de la información y/o telefonía
KR102005842B1 (ko) 도어용 손낌 방지장치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KR101705342B1 (ko) 건축물용 소방용 방화문
JP2016008382A (ja) 開閉体緩衝装置
KR102099324B1 (ko) 창문장치
KR200287653Y1 (ko) 기밀성이 강화된 철재문
JPH02247438A (ja) 排気ダクト用シャッタ装置
JP5086722B2 (ja) 開き戸の指詰め防止構造
TWI734478B (zh) 屏幕裝置及其框體邊角防護裝置
JP2020056235A (ja) アームストッパー
JPH10205213A (ja) 戸のストッパー装置及びそのストッパー具
KR101864100B1 (ko) 문턱 없는 도어의 차단구조
JP7052169B2 (ja) 防音パッケージ
JP6934792B2 (ja) ドア枠構造
JP4103802B2 (ja) ガスケットおよびガスケットを備えた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