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53B1 - 무선 스트리밍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스트리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53B1
KR102597653B1 KR1020180094267A KR20180094267A KR102597653B1 KR 102597653 B1 KR102597653 B1 KR 102597653B1 KR 1020180094267 A KR1020180094267 A KR 1020180094267A KR 20180094267 A KR20180094267 A KR 20180094267A KR 102597653 B1 KR102597653 B1 KR 102597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n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treaming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890A (ko
Inventor
이원희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94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IP 백본 망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에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P 백본 망이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Access Point Name)에 연결되도록 IMS(IP Multimedia Subsystem) APN을 통해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스트리밍 방법 {WIRELESS STREAMING METHOD}
본 발명은 무선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IP 백본 망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에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스트리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트리밍(streaming)은 소리 및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 및 재생하기 위한 방식 중 하나이다. 클라이언트는 스트리밍을 통해 콘텐츠를 수신하는 동시에 상기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다양한 방법으로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리밍 되는 영상을 저지연, 고화질로 시청하고자 하는 요구에 발맞춰 스트리밍 방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기반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Dynamic adaptive streaming)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방식은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의 다운로드 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VOD(Video On Demand)의 경우, 전체 콘텐츠가 이미 생성되어 서버 등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고정된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로 구성된다. 따라서, VOD와 같이 파일은 클라이언트 단말(User Equipment) 세그먼트 별로 영상 재생을 위한 청크 파일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 즉, 현재 클라이언트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장면에 대응하는 청크 파일 뿐 아니라, 앞으로 재생될 영상 장면에 대응하는 청크 파일을 미리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은 영상을 끊김없이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과 동시에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게 되는 라이브 스트리밍의 경우, 실시간 데이터 생성과 실시간 재생이라는 특성상 클라이언트의 단말에서 앞으로 재생될 영상 장면에 대응하는 청크 파일을 미리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 스트리밍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경우, 무선 통신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환경이 수시로 변화될 수 있다. 특히, 무선 통신 환경이 여러 이유로 악화되는 경우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존의 데이터 채널로는 스트리밍 영상을 제대로 감상하기 힘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것과 같은 스트리밍 환경에서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최대한 저지연, 고화질로 영상을 감상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리밍 영상의 전송 방법을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스트리밍 영상을 원활히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에 사용되는 APN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었을 때,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다른 APN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트리밍 영상을 원활히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IP 백본 망이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Access Point Name)에 연결되도록 IMS(IP Multimedia Subsystem) APN을 통해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APN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용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APN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APN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IMS APN과 인터넷 APN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스트리밍 서버간의 인터넷 APN을 통한 연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IP 백본 망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소정 수치 이하이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소정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 APN에 연결되도록 상기 IMS APN을 통해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인터넷 APN을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응하여, 기존에 연결된 인터넷 APN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을 통해 정의되는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적어도 일부의 세그먼트들이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전달될 수 있게 상기 MPD 파일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생성된 후 같은 시간 대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스트리밍 서버가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IP 백본 망으로부터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도록 MPD 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MPD 파일을 통해 정의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APN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용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APN일 수 있다.
상기 IP 백본 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세그먼트가 인터넷 APN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도록 MPD 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생성된 후 같은 시간 대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리밍 영상의 전송 방법을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스트리밍 영상을 원활히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에 사용되는 APN의 통신 상태가 악화되었을 때,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다른 APN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트리밍 영상을 원활히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트리밍 시스템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HTTP 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는 HTTP 서버로부터 HTTP 클라이언트로의 미디어 콘텐츠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표준 HTTP 캐시들에 의한 콘텐츠의 캐싱을 가능하게 하는 포맷들을 명세한다.
미디어 컴포넌트는, 예컨대 대역폭, 언어 또는 해상도와 같은, 특정한 속성들을 갖는 오디오, 비디오 또는 자막과 같은 개별 미디어 타입들의 인코드된 버전이다. 미디어 콘텐츠는, 예컨대 비디오, 오디오 및 자막과 같은, 공통 타임라인을 갖는 미디어 컴포넌트들의 집합이다.
미디어 콘텐츠 및 콘텐츠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되어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서버는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를 접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DASH 클라이언트에게 접근 가능한 데이터의 구조화된 컬렉션이다.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양식화된(formalized) 설명일 수 있다. MPD는 "MPEG의 동적 및 적응적 HTTP 스트리밍"의 MPD일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인터벌들(interval)로 나뉘어질 수 있다. 즉, 콘텐츠는 하나 이상의 인터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벌 및 주기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기는 3GPP(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적응적 HTTP 스트리밍의 용어일 수 있다.
주기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인터벌일 수 있다. 모든 주기들의 연속적인 일련은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구성한다. 즉,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주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터벌들은 기본 유닛일 수 있다. 즉, 메타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인터벌들 각각을 설명할 수 있다.
상기의 메타데이터는 MPD일 수 있다. MPD는 모든 종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보내질 모든 가능한 미디어의 레프리젠테이션의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즉, MPD는 모든 종류의 클라이언트들이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비디오, 오디오 및 언어 등의 조합들의 설명을 포함한다. HTTP를 사용하는 적응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MPD를 단말에게 전송해야 한다. MPD 의 전송을 위해, 서버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의 MPD를 작성해야 하며, 서버 및 단말은 MPD의 전송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설정을 따를 수 있다.
MPD는 세그먼트를 위한 자원 식별자들을 알리기 위한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MPD는 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내에서의 식별된 자원들에 대한 컨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자원 식별자들은 HTTP-URL일 수 있다. URL 들은 바이트 범위(byte range) 속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각 인터벌은 프래그먼트(fragment)들로 나뉘어질 수 있다. 프래그먼트 및 세그먼트(segment)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세그먼트는 3GPP(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적응적 HTTP 스트리밍의 용어일 수 있다.
세그먼트는, 예컨대 RFC 2616에서 정의된, HTTP-URL에 대한 HTTP/1.1 GET 요청(또는, 바이트 범위(range)에 의해 가리켜진(indicated) 일부에 대한 GET 요청)에 대한 응답의 객체(entity) 바디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인터벌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세그먼트의 집합들이 있을 수 있다. 세그먼트의 집합들 각각을 대안으로 명명한다. 대안 및 레프리젠테이션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주기는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그룹은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의 하나 이상의 레프리젠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레프리젠테이션은 하나의 주기 내의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들의 구조화된(structured) 컬렉션이다. 레프리젠테이션은, 비트레이트, 해상도, 언어 및 코덱(codec) 등과 같은 인코딩 선택이 상이한, 미디어 콘텐츠 또는 미디어 콘텐츠의 부분집합의 대안적인(alternative) 선택들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레프리젠테이션은 미디어를 구성할 수 있는 비디오, 오디오 및 언어 등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MPD는 클라이언트가 하나 이상의 레프리젠테이션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설명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각 레프리젠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레프리젠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들을 포함할 수 있다.
MPD는 세그먼트들을 접근하고,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HTTP-URL들을 구성하기 위해 DASH 클라이언트에게 요구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문서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IP 백본 망이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0),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S110) 및 미디어 APN 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APN(Access Point Name)은 무선 통신 단말에 연결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APN 또는 인터넷 APN과 구분되는 APN으로서, 미디어 콘텐츠를 전용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을 의미할 수 있다. 미디어 APN은 이동통신망 표준상으로 지원되는 APN 중 하나일 수 있다. 미디어 APN은 이동통신망 사업자 또는 그 외의 사업자에 의하여 운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은 이동 통신 망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기로서, 스마트폰, PDA, 노트북 등 다양한 통신 기기들이 예시될 수 있다. 현재 이동통신망 표준상의 APN은 다수의 APN 지원을 정의하고 있으나, 구형 중계기 등의 하드웨어적인 문제와 3G, 4G, 5G 네트워크 등이 혼용되어 운용(non stand-alone 방식)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는 가입된 사용자들의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통상 IMS APN과 인터넷 APN 외의 APN을 제공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IMS APN은 무선 통신 단말을 통해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 채널로 사용되고, 인터넷 APN은 무선 통신 단말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데이터 수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APN에 연결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2개의 APN에 대하여 연결을 유지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이동 통신사가 제공하는 IMS APN과 인터넷 APN에 연결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100)는 IP 백본 망이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 단말의 게이트웨이를 상으로 전달받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무선 통신 단말과 스트리밍 서버간의 인터넷 APN을 통한 연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단말은 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인터넷 APN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IP 백본 망은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환경을 확인할 수 있다.
IP 백본 망이 수신하는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는 스트리밍 영상이 전송되는 네트워크 속도 또는 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 백본 망은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라면, 현재 네트워크 환경이 나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면에, IP 백본 망은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는 속도가 소정 속도를 초과한다면, 현재 네트워크 환경이 좋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IP 백본 망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판단 기준이 되는 소정의 네트워크 속도는 IP 백본 망의 운영자가 임의로 지정하거나, 전체적인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변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S110)는 IP 백본 망이 상기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IMS APN을 통해 유도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IP 백본 망은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소정 수치 이하이면(즉, 네트워크 환경이 나쁜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이미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에 연결된 상태라면 해당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IP 백본 망은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소정 수치를 초과하면(즉, 네트워크 환경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면),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 APN에 연결된 상태라면 해당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S110)는 IP 백본 망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나쁜 경우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으로 연결되게 하고, 네트워크 연결 상태가 좋은 경우 인터넷 APN으로 연결되게 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때, 무선 통신 단말이 연결할 수 있는 APN의 수는 통상 2개이므로, 항상 전화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토록 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한 IMS APN의 연결은 항상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미디어 APN과 무선 통신 단말이 연결될 때, 인터넷 APN과 무선 통신 단말의 연결은 해지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의 각종 APN에 대한 연결 프로세스는 통상의 국제 표준을 따를 수 있다.
미디어 APN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120)는 IP 백본 망이 미디어 콘텐를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에게 미디어 APN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가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콘텐츠는 MPD 파일을 통해 정의되는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IP 백본 망은 스트리밍 서버가 적어도 일부의 세그먼트들이 미디어 APN을 통해 전달될 수 있게 MPD 파일을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IP 백본 망이 네트워크 환경이 나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스트리밍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전송을 위해 미디어 콘텐츠를 MPD 파일로 구성할 때, 일부 세그먼트가 미디어 APN을 통해 무선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가 IP 백본 망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할 MPD를 구성하는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트리밍 시스템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서버(100)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인코딩되어 수신한 영상을 MPD파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MPD 파일명은 Assetid_1000 인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트리밍 서버(100)는 IP 백본 망(300)으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하여 무선 통신 단말(200)이 미디어 APN과 연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스트리밍 서버(100)는 IP 백본 망(300)으로부터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00)는 MPD 파일(Assetid_1000)을 통해 정의되는 세그먼트들(Segment #1, Segment #2, Segment #3, Segment #4, Segment #5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리밍 서버(100)는 세그먼트를 정의하는 내용 중 데이터 채널에 대한 정보에 있어서 해당 세그먼트 들이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특정할 수 있다. 도 2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스트리밍 서버(100)는 일부 세그먼트(Segment #1, Segment #2, Segment #3)가 인터넷 APN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100)가 Segment #3에 대한 전송을 완료하는 시점에서 IP 백본 망(300)으로부터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 받으면, 이후의 세그먼트(Segment#4, Segment #5 ...) 들에 대해선 미디어 APN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된 MPD 파일과 세그먼트들 각각 무선 통신 단말(200)에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200)은 MPD 세그먼트 파서(210)를 통해 다운로드한 세그먼트 들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로 복구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단말(200)은 스트리밍 과정을 네트워크 상에 피드백하기 위하여 IP 백본 망(300)의 게이트웨이(310)를 통해 세그먼트 다운로드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스트리밍 서버(100)로부터 무선 통신 단말(200)에게 동일한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더라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데이터 채널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채널에 대한 네트워크 상황이 나빠지더라도 다른 채널을 통해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함으로써 무선 통신 단말(200)에서 미디어 콘텐츠가 끊김없이 원래의 화질을 유지하며 재생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 또는 효과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과 달리 인터넷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S200)와 인터넷 APN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10)가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인터넷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S200)는 IP 백본 망이 인터넷 APN의 네트워크 환경이 다시 좋아진 것으로 판단하거나 임의적인 필요성에 의하여 미디어 콘텐츠가 인터넷 APN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단말이 다시 인터넷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인터넷 APN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210)는 IP 백본 망이 스트리밍 서버로 하여금 미디어 콘테츠를 인터넷 APN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게 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무선 통신 단말이 스트리밍 서비스에 접속하여 스트리밍 영상의 재생을 시작하는 단계(S300)부터 시작함을 알 수 있다.
IP 백본 망은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피드백되는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정보를 통해 무선 통신 단말과 연결된 인터넷 APN의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310).
인터넷 APN 연결 상태가 좋다면 IP 백본 망은 무선 통신 단말의 인터넷 APN에 대한 연결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330). 반대로, 인터넷 APN 연결 상태가 좋지 않다면 IP 백본 망은 무선 통신 단말의 인터넷 APN에 대한 연결을 해지하고 미디어 APN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S320).
이후, 스트리밍 서버는 IP 백본 망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과 연결된 스트리밍을 위한 APN이 미디어 APN 또는 인터넷 APN인지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한다. 즉, 무선 통신 단말과 연결된 APN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의 MPD 파일 내 세그먼트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S340).
스트리밍 서버는 분류된 세그먼트들을 각각 대응되는 APN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S350).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미디어 콘텐츠가 모두 전송되었다면, 스트리밍 영상의 재생이 종료될 수 있다. 반면, 미디어 콘텐츠가 모두 전송되지 않았다면 모든 미디어 콘텐츠가 전송될 때까지 무선 통신 단말의 인터넷 APN에 대한 연결 상태를 확인하며 미디어 콘텐츠의 전송을 계속할 수 있다(S360).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스트리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구성 또는 효과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서버가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IP 백본 망으로부터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받는 단계(S400);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도록 MPD 파일을 구성하는 단계(S410); 및 상기 MPD 파일을 통해 정의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S420);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APN은 상기한 바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를 전용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APN일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는 IP 백본 망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세그먼트가 인터넷 APN을 통해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도록 MPD 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화면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무선 스트리밍 방법은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 되는 과정에서 미디어 APN에 대한 접속이 유지되는 동안, IMS APN을 사용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무선 스트리밍 방법의 실행을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 메뉴(600)를 통해 설정하는 바에 따라 무선 스트리밍 과정에서 미디어 APN에 접속할지 여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스트리밍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 단말의 종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나 디스플레이 환경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S100: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단계
S110: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 단계
S120: 미디어 APN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 전송되도록 제어 단계

Claims (15)

  1. IP 백본 망이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Access Point Name)에 연결되도록 IMS(IP Multimedia Subsystem) APN을 통해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송하는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IP 백본 망의 게이트웨이를 통해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APN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용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AP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APN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IMS APN과 인터넷 APN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과 상기 스트리밍 서버간의 인터넷 APN을 통한 연결 상태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소정 수치 이하이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속도가 소정 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인터넷 APN에 연결되도록 상기 IMS APN을 통해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에게 상기 인터넷 APN을 통해 상기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무선 통신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이 네트워크 연결 상태에 대응하여, 기존에 연결된 인터넷 APN과의 연결을 해지하고 미디어 APN에 연결되도록 유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을 통해 정의되는 세그먼트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서버가 적어도 일부의 세그먼트들이 상기 미디어 APN을 통해 전달될 수 있게 상기 MPD 파일을 구성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생성된 후 같은 시간 대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12. 스트리밍 서버가 무선 통신 단말에 대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방법에 있어서,
    IP 백본 망으로부터 미디어 APN을 통해 스트리밍할 것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구성하는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미디어 APN(Access Point Name)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도록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MPD 파일을 통해 정의된 세그먼트들을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라이브 스트리밍 방식으로 생성된 후 같은 시간 대에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APN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용으로 스트리밍하기 위한 AP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IP 백본 망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무선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세그먼트가 인터넷 APN을 통해 상기 무선 통신 단말에 전송되도록 MPD 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스트리밍 방법.
  15. 삭제
KR1020180094267A 2018-08-13 2018-08-13 무선 스트리밍 방법 KR102597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67A KR102597653B1 (ko) 2018-08-13 2018-08-13 무선 스트리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67A KR102597653B1 (ko) 2018-08-13 2018-08-13 무선 스트리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90A KR20200018890A (ko) 2020-02-21
KR102597653B1 true KR102597653B1 (ko) 2023-11-03

Family

ID=6967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67A KR102597653B1 (ko) 2018-08-13 2018-08-13 무선 스트리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2239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構造計画研究所 情報共有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84B1 (ko) * 2008-08-18 2010-04-16 주식회사 케이티 Apn 설정이 가능한 무선통신단말 및 그 무선통신단말에서의 세션 연결 방법
KR20120114016A (ko) * 2011-04-06 2012-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2239A (ja) *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構造計画研究所 情報共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90A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6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daption
US100096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push-based streaming
US102640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al video caching
JP5889311B2 (ja) ストリーミングの適応制御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US20140129618A1 (en) Method of streaming multimedia data over a network
JP5588517B2 (ja) データセグメントのオプションのブロードキャスト配信によるストリーミング
EP23910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live content
GB2515931B (en) Combined broadcast and unicast delivery
CN102215116B (zh) 在数字广播系统中提供时间偏移服务的方法、设备及系统
US201200027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ve streaming video with dynamic rate adaptation
CN108063769B (zh) 一种内容服务的实现方法、装置及内容分发网络节点
US20130212231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ynamic media content insertion based on http streaming
US201300137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in a broadcasting system
CN102065339A (zh) 音视频媒体流的播放方法与系统
US9356985B2 (en) Streaming video to cellular phones
KR20120114016A (ko)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서 네트워크 적응적으로 스트리밍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802710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Playing Network Television Programs
US11044293B2 (en) Streaming and downloading of content
CN102474517A (zh) 转换移动装置媒体内容的方法
WO2011000227A1 (zh) 通信系统中用于多屏幕业务通知和交互的方法和装置
CN101848205A (zh) 一种基于rtsp的移动终端播放流媒体的方法及系统
KR10170589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타임시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6789976A (zh) 媒体文件的播放方法、服务端、客户端及系统
JP2015534312A (ja) レンダリング時の制御
KR101922552B1 (ko) 멀티미디어 컨텐트 전송 시스템에서 적응적 스트리밍을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