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375B1 - 롤러 버니싱 공구 - Google Patents

롤러 버니싱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375B1
KR102597375B1 KR1020207004569A KR20207004569A KR102597375B1 KR 102597375 B1 KR102597375 B1 KR 102597375B1 KR 1020207004569 A KR1020207004569 A KR 1020207004569A KR 20207004569 A KR20207004569 A KR 20207004569A KR 102597375 B1 KR102597375 B1 KR 102597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older
burnishing
burnishing too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877A (ko
Inventor
거트 헥켈
한스-페터 홀펠더
유르겐 타너
Original Assignee
귀링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귀링 카게 filed Critical 귀링 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3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9/00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 B24B39/02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 B24B39/023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the working tool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working roll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9/00Treating or finishing surfaces mechanically, with or without calibrating, primarily to resist wear or impact, e.g. smoothing or roughening turbine blades or bearings; Features of such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ir treatment being unspecified
    • B23P9/02Treating or finishing by applying pressure, e.g. knur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7/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 C21D7/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 C21D7/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 C21D7/08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iron or steel by deformation by cold working of the surface by burnishing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세로 중심축(11)을 따라 확장하는 한 개의 본체(12)와 버니싱 롤러(1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주고 본체(12)에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된 최소 한 개의 롤러 홀더(14) 및 롤러 홀더(14)의 반지름 방향 조정을 위해 본체(12)에 배치된 한 개의 조정 장치(16)를 갖는 롤러 버니싱 공구(10)를 대상으로 한다. 발명에 따르면 롤러 홀더(14)는 버니싱 롤러(15)를 유지하는 홀더 암(18b)을 가지며, 이는 조정 장치(16)를 통해 본체(12)를 향해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Description

롤러 버니싱 공구
본 발명은 세로 중심축을 따라 확장하는 본체와 버니싱 롤러가 장착된 본체에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된 최소 한 개의 롤러 홀더 및 롤러 홀더의 반지름 방향 조정을 위해 본체에 배치된 한 개의 조정 장치를 갖는 롤러 버니싱 공구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종류의 롤러 버니싱 공구는 정의된 표면 구조, 표면 품질 또는 표면 기하학을 유지하기 위한 워크피스 표면의 롤러 버니싱 가공에 사용된다. 이를 위해 롤러 버니싱 공구는 가공 대상 워크피스 표면에 지정된 접지압으로 작동되어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에 소성 변형이 이뤄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공구는 실린더 보어의 내부 표면 또는 가솔린 엔진의 나사와 유사하게 진행하는 마이크로 그루브 구조가 이미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 라이너 내부 표면에 마이크로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바를 통한 언더컷 생성 및 코팅 재료 도포에 적합한 표면 구조 생성을 위한 추가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의 롤러 버니싱 공구의 예는 DE 20 2009 014 180 U1, DE 10 2012 207 455 A1 또는 WO 2012/084612 A1에 제시되어 있다.
DE 20 2009 014 180 U1 또는 DE 10 2012 207 455 A 1는 세로 중심축을 따라 확장하는 한 개의 본체와 버니싱 롤러가 장착된 본체의 리세스에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된 한 개의 롤러 홀더 그리고 한 개의 중앙 조정 장치를 갖는 롤러 버니싱 공구를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중앙 조정 장치는 본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세로 중심축으로 비스듬하게 진행하는 제어 경사가 있는 조정 로드를 가지며, 이 경사에 롤러 홀더가 평평하게 위치한다. 조정 장치의 제어 경사는 롤러 홀더에 인접한 경사면과 스플라인 기어를 형성하며, 이는 조정 로드의 축 방향 이동을 롤러 홀더의 반지름 방향 이동으로 변환한다.
기능면에서 유사하게 설계된 롤러 버니싱 공구가 WO 2012/084612 A 1에 제시되고 있다. 여기 제시된 롤러 버니싱 공구의 경우 마찬가지로 롤러 홀더는 두 개의 경사면을 통해 본체에서 중앙 조정 로드의 두 개 제어면에 접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문서에 제시된 공구의 경우 롤러 홀더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롤러 홀더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롤러 홀더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며, 본체의 외주 반지름 방향에서 중앙 조정 로드로 확장하는 공통점이 있다. 롤러 버니싱 공구의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에서 볼 때 롤러 홀더는 실질적으로 리세스에 방해 없이 수용되어 롤러 홀더가 실제로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본체를 통과하는 리세스는 본체의 약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롤러 홀더는 마찰을 통해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의 리세스가 경계를 형성하는 측면 및 조정 로드의 제어면에 반지름 방향 이동에 대한 상당한 저항을 경험하며, 그 결과 정밀 조정이 어려워진다.
위에서 논의된 종래 기술로부터 시작해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 홀더의 정밀 조정이 가능한 안정적인 롤러 버니싱 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1의 특징을 갖는 롤러 버니싱 공구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또는 바람직한 실행 유형은 종속항의 대상이다.
발명에 따른 롤러 버니싱 공구는 직립식 또는 회전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회전축 또는 세로 중심축을 따라 확장하는 본체와 회전식 버니싱 롤러가 장착된 본체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된 최소한 한 개의 롤러 홀더를 가지며, 롤러 홀더와 함께 롤러 홀더를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본체에 배치된 조정 장치를 갖는다. 발명에 따른 롤러 버니싱 공구는 예를 들어 나사와 유사하게 진행하는 마이크로 그루브 구조를 이미 장작하고 있어서 마이크로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바의 소성 변형 생성 및 이를 통해 코팅 재료를 적합한 표면 구조에 생성하기 위한 실린더 보어의 내부 표면 또는 가솔린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 내부 표면의 추가 가공을 위해 사용된다.
도입부에서 논의된 종래 기술과 다르게 롤러 홀더는 조정 장치를 통해 반지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조정할 수 있는 홀더 암을 갖는다. 따라서 버니싱 롤러의 반지름 방향으로의 조정은 더 이상 롤러 홀더의 반지름 방향 직선 이동이 아닌 롤러 홀더의 홀더 암의 선회 운동을 통해 가능하며, 이는 롤러 홀더에 고정된 버니싱 롤러의 반지름 방향 및 축 방향으로의 위치 변화를 의미한다.
도입부에서 논의된 종래 기술과 다르게 전체 롤러 홀더의 이동을 통해 버니싱 롤러의 축 방향 이동이 이뤄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버니싱 공구는 롤러 홀더의 홀더 암을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를 위해 본체에서 롤러 홀더는 예를 들어 본체 안에 제공된 외주 면으로 개방된 수용 포켓에 배치되어 홀더 암, 즉 롤러 홀더의 일부만이 반지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배치한다. 중앙 조정 장치에서 홀더 암의 지지는 예를 들어 본체의 반지름 방향 리세스에서 이동 가능한 압력 요소를 통해서, 예를 들어 압력 핀 또는 압력 볼트를 통해서 가능하다. 조정 장치와 버니싱 롤러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 요소는 단면 크기에서 비교적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에서 압력 요소를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세스는 압력 요소의 이동 방향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확장할 경우 전체 롤러 홀더를 수용하는 리세스 보다 본체에 실질적으로 작게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조정 장치까지 진행하는 해당 리세스를 통해 본체의 약화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적게 됩니다. 보다 작아진 리세스로 인해 롤러 버니싱 공구의 원주 방향에 다수의 롤러 홀더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선회하는 홀더 암의 본체 장착 및 고정은 실질적으로 예를 들어 핀 또는 볼트를 통해 실현되는 홀더 암이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선회 축을 통해 감소된다. 이를 통해 홀더 암과 본체 사이의 접촉면, 예를 들어 수용 포켓이 경계를 이루고 마찰이 발생할 수 있는 측면은 위에서 논의된 종래 기술보다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버니싱 롤러를 유지하는 홀더 암의 선회 가능한 배치는 예를 들어 롤러 홀더가 탄성 굽힘을 통해 선회 가능한 버니싱 롤러를 유지하는 홀더 암이 있는 본체에 고정된 벤딩 바이트 홀더 또는 버니싱 롤러를 유지하는 홀더 암이 있는 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된 스위블 홀더로 구성될 수 있게 한다. 롤러 버니싱 공구(비교: DE 20 2009 014 180 U1 또는 DE 10 2012 207 455 A 1의 예)에서 이러한 종류의 벤딩 바이트 홀더 또는 스위블 홀더는 절삭 공구를 운반하는 블레이드 캐리어의 정밀 조정이 가능한 배치를 유지하기 위해 이미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벤딩 바이트 홀더 또는 스위블 홀더는 지금까지 본체에 버니싱 롤러를 배치하는 데 사용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이유는 홀더 암이 선회할 때 버니싱 롤러의 롤러 축 각도가 롤러 버니싱 공구의 세로 중심축으로 변할 수 있어서 선회 가능한 홀더 암 맞은 편의 버니싱 롤러의 롤러 축 위치가 바뀌지 않는 한 선회 가능한 홀더 암에 고정된 버니싱 롤러의 가공 대상 워크피스 표면에 가압 될 버니싱 롤러의 표면 정렬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입부에서 논의된 롤러 버니싱 공구의 경우 롤러 홀더가 반지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에 대한 버니싱 롤러의 방향은 항상 유지된다. 이는 또 다른 롤러 버니싱 가공을 위해 특히, 롤러 버니싱 가공을 통해 가공될 실린더형 워크피스 표면, 예를 들어 가솔린 모터의 피스톤 진행 면에 한 개의 정의된 기하학 구조, 예를 들어 나사형 구조를 각인하거나 변형해야 할 경우 그리고 이러한 이유로 버니싱 롤러를 접지압 변경 시 워크피스 표면에 대한 동일한 각도 위치에서 또는 방향에서 가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할 경우에도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면 버니싱 롤러는 볼록하게 바깥으로 구부러지거나 공 모양의 롤러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버니싱 롤러의 회전 축이 롤러 홀더의 홀더 암의 선회 운동을 통해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 맞은편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과 관련해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에서 버니싱 롤러의 가압점이 미미하게 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버니싱 롤러 표면의 공 모양으로 인해 실제로 일정한 접지압이 유지된다.
위에서 언급한 상황과는 상관없이 홀더 암이 선회 운동할 경우 가공 대상 워크피스 표면의 접지압 하에 버니싱 롤러의 롤러 축이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의 버니싱 롤러가 넓은 접촉 면을 갖도록 정렬하는 방식으로 버니싱 롤러는 선회하는 홀더 암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니싱 롤러는 예를 들면 롤러 홀더에 고정된 롤러 케이지에 교체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버니싱 롤러의 롤러 축을 롤러 케이지에 확실하게 고정하는 방식으로 롤러 케이지에 장착할 수 있다. 롤러 케이지가 롤러 홀더의 선회하는 홀더 암에서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을 가로질러 정렬되고,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에 수직으로 놓인 케이지 축 주변을 회전하도록 장착하는 경우 롤러 케이지는 가공 대상 워크피스 표면의 접지압 하에서 케이지 축을 회전함으로써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에 버니싱 롤러가 충분히 접촉하게 된다.
어떠한 경우라도 본 발명을 통해 버니싱 롤러의 직경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버니싱 롤러를 고정하는 선회 가능한 홀더 암의 정밀 조정이 가능한 안정적인 롤러 버니싱 공구가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행 유형에서 조정 장치는 스플라인 기어를 통해 롤러 홀더와 함께 작용한다. 이를 위해 조정 장치는 본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정 수단, 예를 들어 조정 로드 또는 그와 유사한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에 경사지게 위치한 롤러 홀더의 홀더 암에 대해 가압하는 압력 요소, 예를 들어 압력 핀 또는 압력 볼트가 지지하는 제어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압력 요소는 본체에 정렬된 리세스에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조정 장치 및 본체에 대한 롤러 홀더의 반지름 위치 조정을 위해 롤러 홀더와 조정 장치 사이에 한 개의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조절 장치는 예를 들어 롤러 홀더의 선회 가능한 홀더 암에 통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에서 언급된 압력 요소는 조정 장치 측면의 제어 경사면과 조절 장치 사이에 정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행 유형에서 롤러 버니싱 공구는 사전 정의된, 예를 들어 동일한 각도로 회전 축 주위에 분포된 여러 개의 롤러 홀더를 가지며, 이 롤러 홀더는 바람직하게 조정 장치를 통해 동기식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축 방향에서 볼 때 롤러 홀더는 동일한 높이에 정렬되어 롤러 버니싱 가공 시 롤러 버니싱 공구에 작용하는 힘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조정 장치는 본체에서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나사 슬리브 및 나사 슬리브를 구동하는 나사 기어를 가질 수 있다. 나사 기어 덕분에 조정 장치는 롤러 버니싱 공구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에 대한 롤러 홀더의 정밀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나사 기어는 나사 슬리브로 나사 고정한 나사 스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회전을 통해 나사 슬리브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한 실행 유형에서 나사 스핀들은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은 수동 또는 공작 기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지만 축 방향으로 고정된 작동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나사 스핀들을 통해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나사 슬리브를 이동시키는 나사 기어는 축 방향 이동을 통해 롤러 홀더는 롤러 홀더에 유지된 버니싱 롤러가 최소 직경에 놓이도록 활성화된 위치 및 롤러 홀더에 유지된 버니싱 롤러가 최대 직경에 놓이도록 비활성화된 위치 사이로 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나사 기어는 활성화 및 비활성화 된 위치 사이에서 조정하는 것과 상관없이 롤러 홀더의 정확한 정밀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롤러 홀더에 유지된 버니싱 롤러가 최소 직경에 놓이도록 활성화된 위치 및 롤러 홀더에 유지된 버니싱 롤러가 최대 직경에 놓이도록 비활성화된 위치 사이에서 롤러 홀더의 이러한 조정은 예를 들어 나사 기어가 본체의 압력 챔버에 정렬된 피스톤과 연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피스톤은 본체에 대해 탄성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나사 기어는 나사 슬리브로 고정된 나사 슬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이 나사 스핀들은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피스톤과 연결할 수 있지만 필수 사항은 아니다.
특히 정밀한 위치 설정을 위해 나사 스핀들은 차동 나사 스핀들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 기어는 또한 나사 슬리브와 피스톤에 사이에 정렬된,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피스톤과 인장 강도가 높은/내압식으로 연결된 베어링 부시를 가질 수 있으며, 차동 나사 스핀들을 나사 슬리브를 이용해 첫 번째 나사 단면과 고정하고 베어링 부시를 이용해 두 번째 나사 단면과 고정할 수 있다.
나사 기어와 나사 슬리브 사이의 불가피한 나사 유격을 줄이기 위해 나사 슬리브와 나사 기어 사이에 한 개의 압축 스프링을 정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직경 치수 정확도가 달성될 수 있다.
여러 개의 롤러 홀더를 갖는 롤러 버니싱 공구의 바람직한 실행 유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기술하고 있다. 도면에 제시:
도 1 본 발명에 따른 롤러 버니싱 공구의 측면 투시도;
도 2 롤러 버니싱 공구의 세로 단면도; 및
도 3 도 2의 세로 단면도의 확대된 단면.
도 1은 예를 들어 실린더 보어의 내부 표면 또는 가솔린 엔진의 나사와 유사하게 진행하는 마이크로 그루브 구조가 이미 장착되어 있는 실린더 라이너 내부 표면에 마이크로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바를 통한 언더컷 생성 및 코팅 재료 도포에 적합한 표면 구조 생성을 위한 추가 가공을 위해 사용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측면 투시도를 제시하고 있다.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을 따라 확장하는 한 개의 본체(12)를 가지며,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각 한 개의 전면부(12a)와 후면부(12b)로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제시되는 것과 같이 전면부(12a)와 후면부(12b)는 서로 나사 결합된다.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후면 끝부분(도 1의 우측)에 예를 들어 공작 기계 스핀들에 연결되는 커플링 샤프트(13)을 가지며,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는 HSK(중공 테이퍼 섕크)-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예를 들어 소위 SK(스티프 테이퍼)-샤프트 등도 제공될 수 있다.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직립식 또는 회전식 구동으로 사용될 수 있다.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전면 끝부분(도 1의 좌측)에는 8개의 롤러 홀더(14)가 본체(12)에 등거리 각도 분할로 배치된다. 특히, 롤러 홀더는 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각 롤러 홀더(14)는 한 개의 버니싱 롤러(15)를 운반하고 도 2에 제시된 중앙 조정 장치(16)를 통해 각 다른 롤러 홀더(14)와 반지름 방향으로 내부 또는 외부로의 동기식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상관없이 각 롤러 홀더(14)는 지정된 조절 장치(17)를 통해 중앙 조정 장치(16) 또는 본체(12)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롤러 홀더 14
롤러 홀더(14)는 모두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기능을 통해 구별되며, 롤러 홀더(14)의 구조 및 기능은 도 2에 제시된 하단의 롤러 홀더(14)의 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에 확대되어 제시된 롤러 홀더(14)는 한 개의 홀더 본체(18), 반지름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홀더 본체(18a)와 연결된 한 개의 홀더 암(18b), 홀더 암(18)에 고정된 한 개의 버니싱 롤러(15), 본체에 홀더 몸체 고정을 위한 두 개의 고정 나사 그리고 한 개의 조절 장치(17)를 가진다.
본체(12)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 방향으로 확장하는 프리즘 또는 직육면체 형태의 전면 및 외주면 개방형 수용 포켓(25)에 수용되는 프리즘 또는 직육면체 형태의 블록으로 만들어진 홀더 본체(18)를 도면에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수용 포켓은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의 반지름 간격에 형성된다.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을 포함하는 종단면도(비교: 도 3)와 관련해 수용 포켓(25)의 단면은 실제 대칭 형태이다(비교: 도 1).
벤딩 바이트 홀더 방식으로 설계된 롤러 홀더(14)는 두 개의 고정 나사로 본체(12)에 고정된 홀더 본체(18a)와 반지름 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조정이 가능하며, 리세스(18c)에 의해 형성된 재료 연결 부분(18d)을 통해 홀더 본체(18a)에 연결된 홀더 암(18b)을 가진다. 재료 연결부(18d)는 도 3에 제시된 가상의 스위블 축(18e)을 중심으로 반지름 방향으로 홀더 암(18b)의 탄성 굽힘 또는 휨을 허용한다.
버니싱 롤러(15)는 롤러 축(15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 암(18b)에 고정된 롤러 케이지(15a)에 장착된다. 도면에 제시된 것과 같이 롤러 케이지(15a)는 선회하는 홀더 암(18b)에 있는 외주 면으로 개방된 리세스(18f)에 정확하게 수용되고 고정 나사(15c)를 통해 홀더 암(18b)에 고정된다. 도 2에 제시된 상태에서 롤러 축(15b)은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과 평행하다. 롤러 축(15b)의 각도 위치 및 방향은 홀더 암(18b)의 반지름 방향 선회에 의해 전체적으로 변한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면 버니싱 롤러(15)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거나 공 모양의 롤러 표면(15d)을 가진다.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과 관련해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에서 버니싱 롤러(15)의 가압점이 미미하게 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버니싱 롤러 표면(15d)의 공 모양으로 인해 버니싱 롤러(15)의 각 선회 위치에 실제로 일정한 접지압이 유지된다.
도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홀더 암(18b)은 본체(12)에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된 압력 핀(26)을 통해 조정 장치 측면의 제어 경사(31)에 지지된다. 특히, 압력 핀(26)은 롤러 홀더 측면에서 조절 장치(17)의 일부로 홀더 암(18b)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조절바(17a)에서 경사면(17b)에 압력을 가한다.
도 2는 홀더 본체(18)가 홀더 암(18b)에 통합된 조절 장치(17)의 조절바(17a) 및 본체(12)에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압력 핀(26)을 통해 중앙 조정 장치(16)의 제어면(31)에 지지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조정 장치 16
도 2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이 중앙 조정 장치(16)는 본체(12)에 배치된 한 개의 나사 슬리브(28) 및 나사 슬리브(28)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한 개의 나사 기어(29)를 갖는다.
나사 슬리브(28)는 롤러 홀더(14)의 반지름 방향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조정 수단을 형성한다. 이는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본체(12)의 중앙 보어(29a)에 배치되고 스플라인 기어를 통해 롤러 홀더(14)와 함께 작용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나사 슬리브(28)는 외주에 롤러 홀더(14)의 수와 일치하는 지지 스트립(30)을 갖는다. 이때 각 지지 스트립(30)은 롤러 홀더(14)에 정렬되고 바깥쪽에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에 경사지게 설정된 제어면(31)을 가지며, 이 제어면에 롤러 홀더(14)와 함께 작용하는 압력 핀(26)이 장착된다. 각 압력 핀(26)은 본체(12)에 반지름 방향으로 진행하는 보어(27)에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어면(31)은 압력 핀(26)의 전면부와 함께 나사 슬리브(28)의 축 방향 이동을 압력 핀(26)의 반지름 방향 이동으로 변환하는 앞서 언급한 스플라인 기어를 형성한다. 나사 슬리브(28)의 외주에서 축 방향 세로 슬롯(33)에 맞물리는 잠금 핀(34)을 통해 나사 슬리브(28)는 본체(12)의 중앙 보어(29a)에 회전 방지형으로 배치 가능하며, 이때 잠금 핀은 본체(12)의 반지름 방향 계단식 보어(35)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2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나사 슬리브(28)의 세로 슬롯(33)으로의 잠금 핀(34) 결합은 잠금 나사(36)에 의해 보장된다. 잠금 핀(34)은 계단식 보어(35)의 한 계단(38)쪽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으로 접하는 직경이 확대된 헤드(37)을 갖는다. 따라서 이렇게 반지름 방향으로 잠금 핀(34)을 고정하면 잠금 핀(34)이 세로 슬롯(33)의 베이스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나사 슬리브(28)의 축 방향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사 슬리브(28)의 축 방향 구동은 나사 기어(29)를 통해서 이뤄진다. 나사 기어(29)는 도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한 개의 나사 스핀들(39)과 본체(12)의 중앙 보어(29a)에 있는 나사 슬리브(28)로부터 축 방향 간격에 배치된 한 개의 베어링 부시(40)를 갖는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나사 스핀들(39)은 첫 번째 나사 단면(39a)을 통해 나사 슬리브(28)와 나서 고정되고 두 번째 나사 단면(39b)를 통해 베어링 부시(40)의 내부 나사 보어와 고정된 차동 나사 스핀들로 이뤄진다.
베어링 부시(40)는 본체(12)의 중앙 보어(29a)에 나사 슬리브(28)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베어링 부시(40)의 회전 방지형 배치는 추후에 기술될 피스톤(42)의 피스톤 연장부(41)와 회전 방지형 연결을 통해 가능하며, 이 피스톤은 본체(12)의 피스톤 보어(43)에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으로는 나사 스핀들(39)의 첫 번째 나사 단면(39a)의 외부 나사와 나사 스핀들(28)의 내부 나사 사이의 나사 유격을 줄이고, 다른 한편으로 나사 스핀들(39)의 두 번째 나사 단면(39b)의 외부 나사와 베어링 부시(40)의 내부 나사 사이의 나사 유격을 줄이기 위해 나사 슬리브(28)와 베어링 부시(40) 사이에 한 개의 압축 스프링(44)을 배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나사 기어(29)는 나사 슬리브(28)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해 서로 독립적인 두 가지 가능성을 제공한다:
1) 롤러 홀더(14)의 동기식 활성화/비활성화
한편으로 베어링 부시(40)의 이동을 통해 나사 스핀들(39)의 회전 없이 즉, 나사 슬리브(28)와 베어링 부시(40) 사이의 상대 이동 없이 전체 나사 기어(29)가 나사 슬리브(28)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방법은 롤러 홀더(14)에 유지된 버니싱 롤러(15)가 최소 직경에 놓이도록 활성화된 위치 및 롤러 홀더(14)에 유지된 버니싱 롤러(15)가 최대 직경에 놓이도록 비활성화된 위치 사이로 롤러 홀더(14)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나사 기어(29), 특히 베어링 부시(40)는 이미 언급된 피스톤과 인장 강도가 높은/내압식으로 연결된다. 피스톤(42)은 본체(12)의 피스톤 보어(43)에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피스톤 보어(43)가 연결 보어(46)를 통해 중앙 보어(29a)와 연결된 것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계단 형식으로 구성된 피스톤(42)은 연결 보어(46)를 통과하는 피스톤 연장부(41)를 가지며, 중앙 보어(29a) 영역에서 베어링 부시(40)와 회전 방지되지만 인장 강도가 높은/내압식으로 연결된다. 피스톤 보어(43)에 피스톤(42)을 회전 방지형으로 배치하는 것은 피스톤(42)의 외주에서 축 방향 세로 슬롯(43)에 맞물리고 본체(12)의 반지름 방향 계단식 보어(49)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잠금 핀(47)에 의해 달성된다. 도 2에서 제시된 것과 같이 피스톤(40)의 세로 슬롯(48)으로의 잠금 핀(47) 결합은 잠금 나사(50)에 의해 보장된다. 잠금 핀(47)은 계단식 보어(49)의 한 계단(52)쪽 반지름 방향으로 안쪽으로 접하는 직경이 확대된 헤드(51)을 갖는다. 따라서 이렇게 반지름 방향으로 잠금 핀(47)을 고정하면 잠금 핀(47)이 세로 슬롯(48)의 베이스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 결과 피스톤(40)의 축 방향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피스톤(42)과 본체(12) 사이에 한 개의 압축 스프링(53)이 클램핑 되며, 도 2에서 압축 스프링이 피스톤(52)을 우측으로 밀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체 측으로 압축 스프링(53)이 연결 보어(46)과 중앙 보어(29a) 사이에 형성된 계단(54)에 지지되고, 피스톤 측으로 압축 스프링(53)은 피스톤(42)의 피스톤 연장부(41)를 둘러싸고 있는 고리형 표면(55)에 지지된다.
연결 보어(46)와 피스톤 보어(43) 사이에 형성된 계단(53)은 피스톤(42)을 위한 축 방향 정지면을 형성한다. 피스톤(42)은 제시된 실형 유형에서 도 2의 압축 스프링(53)의 스프링 장력에 대해 좌측으로 유체 구동된다. 이를 위해 피스톤(42)은 피스톤 보어(43) 내부에 밀봉된 상태로 수용된다. 유체 압력은 본체(12)에 구성된 압력 채널(61)을 통해 피스톤(42)에 의해 경계가 된 피스톤 보어(43)의 압력 챔버(62)로 공급되며, 이때 피스톤(42)은 도 2의 압축 스프링(53)의 스프링 장력에 대해 좌측으로 밀어낸다. 피스톤(42)의 위치 변경은 베어링 부시(40), 나사 기어(29) 그리고 나사 슬리브(28)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따라서 나사 슬리브(28)의 제어 경사면(31)에 지지된 롤러 홀더(14)는 공작 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피스톤(42)의 가압을 동기식으로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즉, 반지름 방향 안쪽 및 바깥쪽으로 조정할 수 있다.
2) 버니싱 롤러(15)의 동기식 대략 설정 또는 사전 설정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도 2에 제시된 피스톤(42)이 정지면(56)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 스핀들(39)의 회전을 통해 나사 슬리브(28)를 베이링 부시(40)와 관련해 조정할 수 있다. 나사 스핀들(39)의 회전 시 베어링 부시(40)의 축 방향 위치나 회전 위치는 피스톤(42)과의 회전이 방지되지만 인장 강도 높은/내압식 연결로 인해 변하지 않는다. 나사 스핀들(39)의 첫 번째 나사 단면(39a)과 두 번째 나사 단면(39b) 사이의 피치 차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나사 스핀들(28)의 정확한 이동 및 롤러 홀더(14)의 정확한 조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조정 가능성은 롤러 홀더(14)에 고정된 버니싱 롤러(15)를 사전 정의된 공칭 직경 방향으로 동기식 대략 설정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정 장치(16)는 본체(12)의 전면부에 회전 가능하지만, 축 방향으로 고정된 작동요소(57)을 가지며, 이는 나사 스핀들(39)와 함께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맞물릴 수 있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작동 요소(57)는 단면이 정사각형인 연장부(58)를 가지며, 이는 나사 스핀들(39)의 단면이 정사각형인 결합 개구부(59)에 형태 맞춤형으로 결합한다. 또한, 작동 요소(57)로 나사 스핀들(39)을 회전시킬 수 있다. 나사 스핀들(39)의 회전 시 나사 슬리브(28)와 나사 결합을 통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작동 요소(57)의 수동 작동과 관련해 도 1에 제시되는 것과 같이 작동 요소(57) 및 나사 스핀들(39)의 검증 가능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스케일 링(6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나사 슬리브(28)의 제어 경사면에 지지된 롤러 홀더(14)는 작동 요소(57)의 수동 또는 공작 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회전 작동을 통해 사전 정의된 공칭 직경으로 동기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전 설정은 버니싱 롤러(15)가 최대 직경에 위치하는 도 2에 제시된 롤러 홀더(14)의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사전 설정은 롤러 홀더(14)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가능하다. 이러한 조정을 통해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에 버니싱 롤러(15)의 접지압을 변경할 수 있다.
조절 장치(17)
실린더 보어 또는 가솔린 엔진의 실린더 라이너의 내부 표면 가공을 위해 모든 버니싱 롤러(15)를 정확하게 사전 정의된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공칭 직경에 놓이게 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그렇게 했을 경우에만 가공될 표면의 균일한 압력 가공에 필요한 모든 버니싱 롤러를 위한 동일한 접지압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 충족을 위해 버니싱 롤러(15)는 μm-정확하게 사전 정의된 공칭 직경으로 다시 조정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롤러 버니싱 공구(10)가 새로 조립되거나 마모로 인해 각 버니싱 롤러(15)의 재조정이 요구되는 경우에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각 버니싱 롤러(14)의 홀더 암(18b)은 본체(12), 특히 본체(12)에 배치된 중앙 조정 장치(16)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각 홀더 암(14)에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한 조절 장치(17)가 지정되고 이를 통해 홀더 암(14)과 홀더 암에 장착된 버니싱 롤러(15)를 본체(12)에 대해, 특히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버니싱 롤러(14)의 선회하는 홀더 암(18b)에 통합된 조절 장치(17)는 이미 언급된 조절바(17a)와 두 개의 테이퍼 나서(17e, 17f)를 가진다. 단면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조절바(17a)는 홀더 암(18b)에 구성된 가이드 리세스(18g)에 좁은 틈새에 형태 맞춤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홀더 암(18b)의 세로 방향에서 조절바(17a)의 위치는 두 개의 테이퍼 나사(17e, 17f)를 통해 결정되며, 각 테이퍼 나사는 조절바(17a)의 이동 방향에서 이격된 두 개의 카운터 싱크(17g, 17h)의 지정된 테이퍼 면에 가압한다. 테이퍼 나사(17e, 17f)를 수용하는 나사 보어(18k, 18l)는 조절바(17a)의 이동 방향(비교: 도 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홀더 암(18b)을 관통한다. 따라서 두 개의 테이퍼 나사(17e, 17f)는 적합한 공구 키를 이용해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외부에서 작동 가능하다. 조절바(17a)에서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이동 방향과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에 기울어진 경사면(17b)이 삽입된다. 두 개의 테이퍼 나사(17e, 17f)를 이용해 홀더 암(18b)에 대한 조절바(17a)의 위치 및 압력 요소(26)에 대한 조절바(17b)에서의 경사면(17b)의 위치가 조절 가능하며, 이를 통해 조절바(17a)에서의 경사면(17b)과 조정 장치 측면에서 지지된 압력 요소(26) 사이의 접점을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반지름 방향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압력 요소(26)가 조정 장치 측의 제어면(31)에서 조정 장치 측의 끝부분 및 조절바(17a)의 경사면(17b)에서 롤러 홀더 측의 끝부분에 지지되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에 대한 버니싱 롤러(15)의 정밀 조절은 롤러 홀더(14)에 통합된 조절 장치(17)를 통해서 이뤄진다.
조절 장치(17)를 홀더 본체(18)에 통합함으로써 통합된 조절 장치(17) 및 버니싱 롤러(15)와 함께 교환 가능한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고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본체(12)에 장착된, 콤팩트 하게 구성된 롤러 홀더(14)를 얻게 된다.
또 다른 실행 유형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앞서 기술된 실행 유형의 변형도 물론 가능하다.
제시된 실형 유형에서 각 버니싱 롤러(15)는 롤러 홀더(14)에 위치 고정으로 배치된 롤러 케이지(15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러나 롤러 축(15b)의 각도 위치 및 버니싱 롤러(15)의 방향은 홀더 암(18b)의 반지름 방향 선회를 통해 전체적으로 변한다. 그 결과 대안적인 실행 유형에서 롤러 케이지(15a)는 버니싱 롤러(15)의 롤러 축(15b)이 가공될 워크피스 표면에 따라 변화하는 접지압과 일치하도록 정렬하는 방식으로 홀더 암(18b)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롤러 케이지가 롤러 홀더(18)의 선회하는 홀더 암(18b)에서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을 가로질러 정렬되고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을 포함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종단면(비교: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 수직으로 놓인 케이지 축(비교: 도 2 및 도 3에 제시된 축 지점) 주변을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경우 버니싱 롤러(15)를 롤러 케이지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홀더 암(18b)의 선회 시 가공 대상 워크피스 표면의 접지압 하에서 롤러 케이지는 버니싱 롤러(15)와 일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조절 장치(17)는 롤러 홀더(18)에 통합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방식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 대신 조절 장치(17)를 본체(12)에 통합할 수도 있다. 조절 장치가 롤러 홀더(18)와 본체(12) 사이에 기능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각 롤러 홀더(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굽힘 빔 방식으로 구성되고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본체에 지정된 수용 포켓에 나사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각 롤러 홀더는 두 개의 암을 가진 스위블 홀더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본체의 수용 포켓에 로커처럼 배치된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각 압력 핀(26)은 본체(12)의 반지름 방향으로 진행하는 보어(27)에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각 압력 핀(26)을 본체(12)에 배치된 도면에는 제시되지 않은 가이드 부시에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실린더 보어 가공에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다수의 롤러 홀더(14)는 본체(12)의 회전 축 또는 세로 중심축(11)을 중심으로 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 및 사전 정의된 각도 간격으로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본체(12)에 배치된다. 그러나 롤러 홀더(14)를 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롤러 홀더(14)는 축 방향으로 위치 변경하거나, 예를 들어 나선형으로 위치를 변경해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기술된 실행 유형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또는 단 한 개의 롤러 홀더(14)를 가질 수 있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피스톤(42)의 가압은 유체식, 특히 공압식 또는 유압식으로 이뤄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피스톤(42)의 가압은 전기 모터식 또는 전자기식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피스톤(42)을 구동하는 유압식, 공압식, 전기 모터식 또는 전자기식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다.
나사 슬리브(28)에 제공된 제어면(31)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예를 들어 나사 슬리브(28)에 배치된 스트립(3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나사 슬리브(28)는 각 제어면(31) 대신에 롤러 홀더(14)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지되는 한 개의 회전 대칭 원추면을 가질 수 있다.
제시된 실행 유형에서 롤러 버니싱 공구(10)는 공작 기계 스핀들 측에 HSK(중공 테이퍼 섕크)-샤프트를 갖는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예를 들어 소위 SK(스티프 테이퍼)-샤프트 등도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9)

  1. 세로 중심축(11)을 따라 연장되는 본체(12), 버니싱 롤러(1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주고 본체(12)에 반지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롤러 홀더(14), 및 롤러 홀더(14)의 반지름 방향 조정을 위해 본체(12)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 장치(16)를 갖는 롤러 버니싱 공구(10)에 있어서,
    상기 롤러 홀더(14)가 버니싱 롤러(15)를 유지하는 홀더 암(18b)을 가지며, 조정 장치(16)를 통해 본체(1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고, 상기 롤러 홀더(14)는 본체(12)에 형성된 외측으로 개방된 수용 포켓(25) 내에서 본체(1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2. 제1항에 있어서, 롤러 홀더(14)가 탄성 굽힘을 통해 반지름 반향으로 선회하도록 조정이 가능한 홀더 암(18b)이 있는 본체(12)에 고정된 벤딩 바이트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3. 제1항에 있어서, 롤러 홀더(14)가 반지름 반향으로 선회하도록 조정이 가능한 홀더 암이 있는 본체(12)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된 스위블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니싱 롤러(15)가 롤러 홀더(14)를 넘어 돌출된 공 모양의 롤러 버니싱 면(15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니싱 롤러(15)가 롤러 홀더(14)에 고정된 롤러 케이지(15a)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6. 제5항에 있어서, 롤러 케이지(15a)가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세로 중심축을 가로질러 정렬되고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세로 중심축(11)을 롤러 버니싱 공구(10)의 세로 종단면에 수직으로 위치한 케이지 축 주변을 회전하도록 홀더 암(18b)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 암(18b)은 스플라인 기어를 통해 조정 장치(16)에서 세로 중심축(11)에 대해 경사진 제어면(31)과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8. 제7항에 있어서, 홀더 암(18b)이 본체(12)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압력 요소(26)를 통해 제어면(31)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 암(18b)을 조정 장치(16)에 대해 반지름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기 위해 홀더 암(18b)과 조정 장치(16) 사이에 배치된 조절 장치(1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 중심축(11)을 중심으로 사전 정의된 각도 분할로 분배된 다수의 롤러 홀더(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롤러 버니싱 공구(10).
  11. 제10항에 있어서, 롤러 홀더(14)가 반지름 방향으로의 동기식 조정을 위해 조정 장치(16)와 함께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2. 제10항에 있어서, 롤러 홀더(14)가 축 방향에서 볼 때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장치(16)가 본체(12)에서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된 한 개의 나사 슬리브(28) 및 나사 슬리브(28)를 구동하는 한 개의 나사 기어(29)를 갖는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4. 제13항에 있어서, 나사 기어(29)가 본체(12)에 압력 챔버(62)를 경계 짓는 피스톤(42)을 통해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5. 제13항에 있어서, 나사 기어(29)가 나사 슬리브(28)로 고정된 나사 스핀들(2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6. 제15항에 있어서,
    나사 스핀들(39)은 차동 나사 스핀들로 구성되고,
    나사 기어(29)가 본체(12)에 회전 방지형으로 고정된 한 개의 베어링 부시(40)를 더 가지며,
    차동 나사 스핀들(39)가 나사 슬리브(28)를 통해 제1 나사 단면(39a)과 고정되고 베어링 부시(40)를 통해 제2 나사 단면(39b)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7. 제16항에 있어서, 베어링 부시(40)가 본체(12)에서 압력 챔버(62)를 경계 짓는 피스톤(42)과 축 방향으로 인장 방지(tension-proof) 및 내압(pressure-resistent)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8. 제15항에 있어서, 나사 스핀들(39)이 본체(12)의 전면에서 작동 가능한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19. 제18항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지만 축 방향으로 고정되고, 나사 스핀들을 통해 회전 방지되지만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작동 요소(57)를 본체(12)의 전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버니싱 공구(10).
KR1020207004569A 2017-07-28 2018-05-23 롤러 버니싱 공구 KR102597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3045.8 2017-07-28
DE102017213045.8A DE102017213045B4 (de) 2017-07-28 2017-07-28 Rollierwerkzeug
PCT/EP2018/063553 WO2019020238A1 (de) 2017-07-28 2018-05-23 Rollier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877A KR20200036877A (ko) 2020-04-07
KR102597375B1 true KR102597375B1 (ko) 2023-11-01

Family

ID=6277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569A KR102597375B1 (ko) 2017-07-28 2018-05-23 롤러 버니싱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426836B2 (ko)
EP (1) EP3658327A1 (ko)
JP (1) JP7174035B2 (ko)
KR (1) KR102597375B1 (ko)
CN (1) CN111050988B (ko)
DE (1) DE102017213045B4 (ko)
MX (1) MX2020001085A (ko)
WO (1) WO2019020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1784A1 (de) * 2019-05-07 2020-11-12 Gühring KG Rollierwerkzeug zur Bearbeitung einer Werkstückoberfläche
DE102019130063B4 (de) * 2019-11-07 2021-07-22 Audi Ag Rotations-Werkzeug zur Erzeugung einer Oberflächen-Rauigkeit
CN114833525B (zh) * 2022-04-08 2023-08-15 铜陵山海智能制造有限公司 阀杆倒密封面滚光装置及其使用方法
DE202022105367U1 (de) 2022-09-23 2022-10-17 Baltec Ag Vorrichtung zur Umformung eines Werkstück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6091A (en) 1964-01-31 1967-01-25 Claude Spencer Harri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lling heads for finishing bores
SU525534A2 (ru) * 1975-06-23 1976-08-25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раскатник
JPS5322288U (ko) * 1976-08-03 1978-02-24
AT364592B (de) * 1980-01-25 1981-10-27 Ver Edelstahl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annungsrisskorrosionsbestaendigen, nichtmagnetisierbaren schwerstangen aus austenitischen staehlen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S57102751A (en) * 1980-12-13 1982-06-25 Kubota Ltd Tube inside face processing device
SU1418027A1 (ru) * 1987-01-21 1988-08-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930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глаживани криволиней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JPH0565849A (ja) * 1991-09-05 1993-03-19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シリンダボア
EP1727636A1 (en) 2004-03-03 2006-12-06 Stan C. Weidmer Method and apparatus for patterning of bore surfaces
DE102004052211B4 (de) 2004-10-18 2008-07-17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Bohrstange zur Bearbeitung hintereinander liegender Stege
US7806635B2 (en) 2007-03-07 2010-10-05 Makin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aped bore
CN201244722Y (zh) * 2008-08-30 2009-05-27 刘雅丽 高精度滚轧头
US20100101526A1 (en) 2008-10-23 2010-04-29 Gehring Gmbh & Co. Kg Method Of Preparing A Surface For Applying A Spray Coating
DE102010014322B4 (de) * 2010-04-09 2015-04-23 Kennametal Inc. Werkzeugkopf für ein rotierendes Werkzeug
JP5291695B2 (ja) * 2010-12-14 2013-09-18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複合加工工具
WO2012084612A1 (de) 2010-12-21 2012-06-28 Elgan-Diamantwerkzeuge Gmbh & Co. Kg Bearbeitungsverfahren und bearbeitungswerkzeug zum bearbeiten einer gekrümmten werkstückoberfläche sowie werkstück
DE102012207455C5 (de) 2011-05-31 2020-06-25 Gehring Technologies Gmbh Werkzeug und Verfahren zum mechanischen Aufrauen
JP5775778B2 (ja) 2011-09-28 2015-09-0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熱伝導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成形体
CN203418280U (zh) * 2013-07-25 2014-02-05 宁波江宸自动化装备有限公司 一种自定心式滚花机构
DE102014202104A1 (de) * 2014-02-05 2015-08-06 Ecoroll Ag Werkzeugtechnik Schälwerkzeug
DE102014223038B4 (de) * 2014-11-12 2017-11-09 Gehring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rauen einer Substratoberfläche
CN204603696U (zh) * 2015-02-06 2015-09-02 娄底光华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深孔镗床用的滚压头
DE202015008681U1 (de) * 2015-12-16 2017-03-17 Hegenscheidt-Mfd Gmbh Glattwalzgerät zum Glattwalzen von Passlagern an Kurbelwellen
DE102015226062A1 (de) * 2015-12-18 2017-06-22 Mag Ias Gmbh Verfahren und Werkzeug zum Aufrauen einer zu beschichtenden Zylinderbohrungswandung sowie Bauteil zum Führen eines Zylinderkolbens
CN106425279B (zh) * 2016-12-05 2018-12-04 陕西科技大学 一种滚压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13045A1 (de) 2019-01-31
US11426836B2 (en) 2022-08-30
CN111050988B (zh) 2022-08-16
MX2020001085A (es) 2020-08-17
EP3658327A1 (de) 2020-06-03
WO2019020238A1 (de) 2019-01-31
JP7174035B2 (ja) 2022-11-17
JP2020528012A (ja) 2020-09-17
KR20200036877A (ko) 2020-04-07
DE102017213045B4 (de) 2023-02-23
CN111050988A (zh) 2020-04-21
US20200262026A1 (en)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7375B1 (ko) 롤러 버니싱 공구
US7266873B2 (en) Throw-away burnishing tool for outside diameter and for inside diameter
KR101797113B1 (ko) 롤러 버니싱 공구
JP2014124695A (ja) 中ぐり工具および工作機械
US8556551B2 (en) Cutting tool having a shank-mounted adjustment ring
US4726111A (en) Change head for a tool change apparatus
US7052217B2 (en) Multiple cutting edge rotary tool
JP2019530583A (ja) マルチブレード機械加工ツール及び軸受トラックを機械加工する方法
KR102578108B1 (ko) 절삭 공구 및 조절 장치가 장착된 절삭 공구를 위한 조절 장치
HUT65355A (en) Device for machining spherical internal surfaces of work-pieces
JP7209689B2 (ja) 切削工具
EP3311942B1 (en) Device and system for supporting micro-tools
US10406603B2 (en) Center-rotation type tailstock
US11491552B2 (en)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chining a bearing tunnel
US11541465B2 (en) Cutting tool comprising an adjusting device
JP7194674B2 (ja) ブレードキャリア及びブレードキャリアを有する機械加工ツール
US6487945B1 (en) Tool head
JP2019529131A5 (ko)
US20220072625A1 (en) Machining tool with adjustably fixed cutting insert
RU1798047C (ru) Расточна головка
JP2023503853A (ja) ツールホルダのためのクランピングデバイス
CZ20002061A3 (cs) Zařízení k plynule nastavitelnému upevnění nástroje na poháněné nástrojové vřeteno obráběcího stroj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