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732B1 -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 Google Patents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732B1
KR102596732B1 KR1020230033904A KR20230033904A KR102596732B1 KR 102596732 B1 KR102596732 B1 KR 102596732B1 KR 1020230033904 A KR1020230033904 A KR 1020230033904A KR 20230033904 A KR20230033904 A KR 20230033904A KR 102596732 B1 KR102596732 B1 KR 102596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information
job seeker
terminal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지영
Original Assignee
소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지영 filed Critical 소지영
Priority to KR102023003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직정와 구인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따라 정합도를 산출하고 정합도가 높은 순서로 이력서를 제출하여 취업 성공률을 높이고, 취업 후에도 이직률을 줄일 수 있는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Laboratory Manpower Matching Device}
본 발명은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직자의 전공, 거주지역 등을 분석하여 구직자에 적합한 연구소를 보유한 회사를 매칭시켜 주는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온라인을 통한 구인구직활동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온라인 상에서의 구직 또는 구직 활동은 장소나 시간에 구애 받지 않을 뿐 아니라 기존의 번거로운 종이서류를 대체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해 구직/구인 시장에서의 입지를 상당히 높일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구인구직 중개 사이트나 업체는 구직자 또는 구인업체가 자신이 원하는 구인업체 또는 구직자가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구인 구직 정보를 직접 검색 하여야 하고, 검색 이후에 새로이 등록된 구인업체 또는 구직자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에 수시로 접속하여 이전의 최종 확인 이후에 새로이 등록된 구인업체 또는 구직자들에 대해 또다시 검색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등록된 구인구직 정보를 이용하여 구직자와 구인회사를 자동으로 매칭시켜주는 기술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은 연구소 인력 등 특정 분야의 인력을 전문적으로 매칭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많은 중소기업은 인력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01) 대한민국등록특허 10-2478559호, 구직자와 구인자를 매칭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등록일 : 2022.06.15 (02) 대한민국등록특허 10-23681880호, 인공지능 기반 직업 매칭 시스템, 등록일 : 2022.02.23
본 발명은 이공계를 졸업한 구직자와 연구소를 보유한 기업을 매칭시킬 수 있는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로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구직자 단말로부터 회득된 구직정보에 기초하여 구직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구인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구인정보에 기초하여 구인회사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고, 구인정보와 구직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분석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에 따라 정합도를 산정하고 매칭시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에서 형태소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된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모델에 따라 구직자와 구인회사의 정합도를 산출하는 정합도 산출부; 및 정합도가 높은 순서로 구직자 단말로 지원 의사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지원의사가 수신되면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구인회사 단말로 전송하고, 구인회사 단말로부터 서류 합격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구직자와 구인회사를 최종 매칭시키고 면접일정을 관리하는 면접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구직자의 전공이 이학이나 공학계가 아닌 경우 정합도 산출에서 제외하고, 구인회사가 연구소를 보유하지 않거나 연구소 설립 준비 중이 아닌 경우에 정합도 산출에서 제외하고,
상기기 구직정보는 구직자의 학력, 전공, 거주지역, 희망연봉, 희망직급, 자격증, 포상실적, 자기소개서 및 경력기술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인정보는 업종, 연매출, 직원수, 지급연봉, 필요직급, 채용형태, 근무지역, 인증현황, 연구소 보유 여부, 연구소 설립 준비 여부, 및 스타트업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직정보는 통근수단 및 통근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구인정보는 주차장 제공 여부와 주변 공영 주차장 및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상기 구직자가 선택한 통근 수단에 따른 구인회사까지의 통근 시간이 구직자가 입력한 통근 가능 시간 이내인 경우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직자의 통근 수단이 자가용인 경우 구인회사가 주차장을 제공하는 경우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인회사가 주차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소정 범위 내에 공영 주차장 및 주차 가능 공간이 있는 경우에 제3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합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원관리부는 구인회사의 연구소 재직자의 학력, 전공, 거주지역, 입사시 희망연봉, 통근 수단, 통근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구직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재직정보를 가진 구인회사에 존재하는 경우 제4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합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구직자가 구직 정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에 따라 중요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상기 중요도 순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정합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공계를 졸업한 구직자에게 적합한 연구소를 보유한 기업에 매칭시켜 구직자는 손쉽게 회사를 찾을 수 있고, 구인 회사는 인재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칭시 구직자의 전공 뿐만 아니라 희망 연봉, 출퇴근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매칭시킴으로써, 취직 후 이직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를 이용한 연구소 인력 매칭 시스템은 구직자 단말(10), 구인회사 단말(20) 및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로 구성된다.
구직자 단말(10)과 구인회사 단말(20)은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구직자 단말과 구인회사 단말을 연구소 인력 매치를 상호간에 정보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10)을 통해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로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구직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10)은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나 앱을 통해 개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상기 구직정보는 구직자의 학력, 전공, 거주지역, 희망연봉, 희망직급, 자격증, 포상실적, 자기소개서 및 경력기술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직정보는 구직자가 이용할 통근수단 및 통근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직자 단말(10)을 통해 구직정보가 입력되면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로 전송되고,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회원관리부에서 각 회원의 ID 및 구직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구직자 단말(10)은 노트북, 테블릿,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인회사 담당자는 구인회사 단말(20)을 통해 연구소 연력 매칭 장치(100)로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구인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구인회사 단말(20)은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나 앱을 통해 회사정보 및 구인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상기 구인회사 단말(20)은 노트북, 테블릿,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사정보는 회사명, 사업자번호, 법인번호, 회사주소 등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인정보는 구인회사의 업종, 연매출, 직원수, 지급연봉, 필요직급, 채용형태, 근무지역, 인증현황, 연구소 보유 여부, 연구소 설립 준비 여부, 및 스타트업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는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미도시)와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관리하는 앱관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100)는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로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110); 구직자 단말로부터 회득된 구직정보에 기초하여 구직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구인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구인정보에 기초하여 구인회사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관리부(120); 및 상기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고, 구인정보와 구직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분석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에 따라 정합도를 산정하고 매칭시는 매칭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는 구직자 및 구인회사가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직접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에서 선택하는 형태로 입력하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120)는 구직자의 회원가입 정보와 구직정보, 구인회사의 회원가입 정보와 구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그리고 회원관리부(120)는 구인회사의 연구소 재직자의 학력, 전공, 거주지역, 입사시 희망연봉, 통근 수단, 통근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직정보를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관리부(120)는 구직자가 회원가입 후 취업에 성공하여 재직중인 경우에는 해당 회사에 대한 만족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회원이 가입시부터 재직중인 경우에도 재직 중인 회사에 대한 만족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매칭부(130)는 상기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에서 형태소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전처리하는 전처리부(131), 전처리된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모델에 따라 구직자와 구인회사의 정합도를 산출하는 정합도 산출부(132), 및 정합도가 높은 순서로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로 면접 의사 여부를 전송하고, 면접 의사가 확인되는 경우 구직자와 구인회사를 최종 매칭시키고 면접일정을 관리하는 면접관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합도 산출부(132)는 구직자의 전공이 이학이나 공학계가 아닌 경우 정합도 산출에서 제외할 수 있다. 또한, 구인회사가 연구소를 보유하지 않거나 연구소 설립 준비 중이 아닌 경우에도 정합도 산출에서 제외할 수 있다.
상기 정합도 산출부(132)는 상기 구직자가 선택한 통근 수단에 따른 구인회사까지의 통근 시간이 구직자가 입력한 통근 가능 시간 이내인 경우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직자의 통근 수단이 자가용인 경우 구인회사가 주차장을 제공하는 경우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인회사가 주차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소정 범위 내에 공영 주차장 및 주차 가능 공간이 있는 경우에 제3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통근 시간은 네이버, 카카오, 티맵 등과 같은 길찾기 앱을 이용하거나 자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의 경우 도시 외곽이나 대중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 연봉 수준이나 복지 등 근무환경뿐만 아니라 출퇴근 시간에 소요되는 시간도 회사를 지속적으로 다닐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구직자가 전공이나 희망 연봉 등에 대한 수준뿐만 아니라 허용 가능한 통근 가능 시간을 입력하도록 하고, 이를 정합도 산출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110)는 구직자가 생각하는 중요도에 따라 순위를 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인터테이스 제공부(110)는 구직자가 생각하는 제1 순위, 제2 순위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직자가 구직 정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에 따라 중요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정합도 산출부(132)는 구직자가 제공한 중요도 순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정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및 제3 가중치는 구직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정합도 산출부(132)는 구직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재직정보를 가진 구인회사에 존재하는 경우 제4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유사한 정보는 범위는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학교, 동일전공인 경우 유사하다고 하거나, 희망 연봉이 유사한 경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직정보 중 설정한 개수 이상이 동일한 경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합도 산출부(132)는 재직 근로자의 만족도 정보를 참고하고 만족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면접관리부(133)는 정합도가 높은 순서대로 구직자 단말로 지원의사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구직자 단말로부터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회사에 이력서를 포함하는 구직정보를 전송한다. 지원의사를 확인하는 메시지는 "OOOO 회사에 지원하시겠습니다"라는 문구와 "승인"버튼을 함께 전송하여 구직자가 "승인" 버튼을 클릭하면 구직자 단말이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면접관리부(133)은 정합도가 산출되면 정합도가 높은 순으로 구직자 단말로 매칭된 회사에 지원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고 지원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승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면접관리부(133)는 지원의사를 승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구인회사 단말로 해당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전송하여 구직자가 지원하였음을 알린다. 면접관리부(133)는 구인회사 단말로부터 서류합격 신호가 수신되면 구직자 단말로 면접 일정을 통보한다. 구인회사 단말은 서류합격 통보시 면접 가능한 일정을 복수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구직자가 지원한 다수의 구인회사에 지원하여 면접일정이 겹치는 경우, 겹치는 일정을 표시하여 구직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구직자는 복수의 회사에 지원하더라도 면접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면접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은 서류합격 및 면접일정을 수신하면 가능한 날짜를 선택하여 연구소 인력 매치 장치로 전송하고, 면접관리부(133)는 이를 수신하여 최종 면접일정을 구인회사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구직자는 자신의 구직정보와 정합도가 높은 회사에 우선적으로 이력서를 제출할 수 있고, 다수의 회사에 이력서를 제출하더라도 면접일정이 중복되지 않게 관리할 수 있다.
매칭이 성사된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학습데이터로 사용되며 학습모델을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직자가 구직정보를 입력하고, 구인회사가 구인정보를 입력하면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에서는 등록된 구직정보와 구인정보를 바탕으로 정합도를 산출하고 정합도가 높은 순으로 리스팅 함으로써 구직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회사에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구인회사에 재직중인 직원의 만족도까지 고려하여 지원함으로써 취업 후 이직률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를 이용한 연구소 인력 매칭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구소 인력 매칭 방법은, 먼저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로부터 구직정보와 구인정보를 수신한다(S100). 수신된 구직정보와 구인정보와 회원관리부에 회원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구직정보와 구인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리스팅하고, 구직정보와 구인정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여 인공지능 알리고즘을 이용하여 정합도를 산출하고 정합도가 높은 순으로 리스팅할 수 있다(S200).
정합도가 산출되면 정합도가 높은 순으로 구직자 단말로 매칭된 회사에 지원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300).
구직자는 구직자 단말을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고 지원의사가 있는 경우에는 승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지원의사를 승인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S400), 승인이 확인되면 구인회사 단말로 해당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전송하여 구직자가 지원하였음을 알린다(S500).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구인회사 단말로부터 서류합격 신호가 수신되면 구직자 단말로 면접 일정을 통보한다(S600). 구인회사 단말은 서류합격 통보시 면접 가능한 일정을 복수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구직자가 지원한 다수의 구인회사에 지원하여 면접일정이 겹치는 경우, 겹치는 일정을 표시하여 구직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구직자는 복수의 회사에 지원하더라도 면접일정이 겹치지 않도록 면접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구직자 단말은 서류합격 및 면접일정을 수신하면 가능한 날짜를 선택하여 연구소 인력 매치 장치로 전송하고,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최종 면접일정을 구인회사 단말로 전송한다(700).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구직자는 자신의 구직정보와 정합도가 높은 회사에 우선적으로 이력서를 제출할 수 있고, 다수의 회사에 이력서를 제출하더라도 면접일정이 중복되지 않게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110 : 인터페이스 제공부
120 : 회원관리부
130 : 매칭부

Claims (4)

  1. 구직자 단말 및 구인회사 단말로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구직자 단말로부터 회득된 구직정보에 기초하여 구직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구인자 단말로부터 획득된 구인정보에 기초하여 구인회사를 회원으로 등록하고, 구인회사의 연구소 재직자의 학력, 전공, 거주지역, 입사시 희망연봉, 통근 수단, 통근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재직정보를 등록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구인정보 및 구직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대한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고, 구인정보와 구직정보에 포함된 키워드를 분석하여 인공지능 학습 모델에 따라 정합도를 산정하고 매칭시키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칭부는,
    상기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에서 형태소를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고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된 구직정보 및 구인정보를 입력받아 학습 모델에 따라 구직자와 구인회사의 정합도를 산출하는 정합도 산출부;
    정합도가 높은 순서로 구직자 단말로 지원 의사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지원의사가 수신되면 구직자의 구직정보를 구인회사 단말로 전송하고, 구인회사 단말로부터 서류 합격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구직자와 구인회사를 최종 매칭시키고 면접일정을 관리하는 면접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구직자의 전공이 이학이나 공학계가 아닌 경우 정합도 산출에서 제외하고, 구인회사가 연구소를 보유하지 않거나 연구소 설립 준비 중이 아닌 경우에 정합도 산출에서 제외하고,
    상기 구직정보는 구직자의 학력, 전공, 거주지역, 희망연봉, 희망직급, 자격증, 포상실적, 자기소개서 및 경력기술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인정보는 업종, 연매출, 직원수, 지급연봉, 필요직급, 채용형태, 근무지역, 인증현황, 연구소 보유 여부, 연구소 설립 준비 여부, 및 스타트업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구직정보는 통근수단 및 통근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구인정보는 주차장 제공 여부와 주변 공영 주차장 및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상기 구직자가 선택한 통근 수단에 따른 구인회사까지의 통근 시간이 구직자가 입력한 통근 가능 시간 이내인 경우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직자의 통근 수단이 자가용인 경우 구인회사가 주차장을 제공하는 경우 제2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인회사가 주차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소정 범위 내에 공영 주차장 및 주차 가능 공간이 있는 경우에 제3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직정보와 유사한 정보를 재직정보를 가진 구인회사에 존재하는 경우 제4 가중치를 부여하여 정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내지 3 가중치는 구직자가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면접관리부는,
    구인회사 단말로부터 서류합격 신호가 수신되면 구직자 단말로 면접 일정을 복수개 전송하고, 구직자가 지원한 다수의 구인회사에 지원하여 면접일정이 겹치는 경우, 겹치는 일정을 표시하여 구직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구직자가 구직 정보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에 따라 중요도 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정합도 산출부는 상기 중요도 순위에 따라 가중치를 달리하여 정합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KR1020230033904A 2023-03-15 2023-03-15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KR102596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904A KR102596732B1 (ko) 2023-03-15 2023-03-15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904A KR102596732B1 (ko) 2023-03-15 2023-03-15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732B1 true KR102596732B1 (ko) 2023-11-02

Family

ID=8874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904A KR102596732B1 (ko) 2023-03-15 2023-03-15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497B1 (ko) * 2023-11-22 2024-03-26 (주)아이엑세스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인력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563A1 (fr) * 2006-07-03 2008-01-10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système d'adéquation d'offre d'emploi-demande d'emploi de chercheurs et systèmes d'adéquation de recherche en participation/entreprise en participation
JP2008004563A (ja) * 2007-08-24 2008-01-10 Seiko Epson Corp 有機elヘッドとその作製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090614A (ja) * 2006-10-02 2008-04-17 Sangensha Co Ltd 求人情報検索システム
KR102097282B1 (ko) * 2019-06-11 2020-04-06 주식회사 에이아이앤잡 구직자-구인자 매칭의 합격 여부 판단을 위한 기계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장치
KR20210051498A (ko) * 2019-10-30 2021-05-10 신유참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5371B1 (ko) * 2020-12-29 2021-06-16 주식회사 링크스타터랩 통신 시스템에서 스타트업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30357B1 (ko) * 2020-01-16 2021-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동작에 연동하는 취업 정보 표시 방법, 취업 정보 표시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368180B1 (ko) 2020-02-14 2022-03-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파수별 매그니튜드의 변동량을 이용한 아크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478559B1 (ko) 2022-06-15 2022-12-19 (주)위시켓 구직자와 구인자를 매칭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563A1 (fr) * 2006-07-03 2008-01-10 Intellectual Property Bank Corp. système d'adéquation d'offre d'emploi-demande d'emploi de chercheurs et systèmes d'adéquation de recherche en participation/entreprise en participation
JP2008090614A (ja) * 2006-10-02 2008-04-17 Sangensha Co Ltd 求人情報検索システム
JP2008004563A (ja) * 2007-08-24 2008-01-10 Seiko Epson Corp 有機elヘッドとその作製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2097282B1 (ko) * 2019-06-11 2020-04-06 주식회사 에이아이앤잡 구직자-구인자 매칭의 합격 여부 판단을 위한 기계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추천 장치
KR20210051498A (ko) * 2019-10-30 2021-05-10 신유참 구인구직 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30357B1 (ko) * 2020-01-16 2021-11-2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동작에 연동하는 취업 정보 표시 방법, 취업 정보 표시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368180B1 (ko) 2020-02-14 2022-03-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주파수별 매그니튜드의 변동량을 이용한 아크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265371B1 (ko) * 2020-12-29 2021-06-16 주식회사 링크스타터랩 통신 시스템에서 스타트업 구인구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78559B1 (ko) 2022-06-15 2022-12-19 (주)위시켓 구직자와 구인자를 매칭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WO2008004563 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497B1 (ko) * 2023-11-22 2024-03-26 (주)아이엑세스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인력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46453A (ja) 求人・求職活動支援システム及び求人・求職活動支援プログラム
KR102596732B1 (ko) 연구소 인력 매칭 장치
US10104182B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in an interface system
US201503565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ing labor requirements
US201503565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fulfilling labor requirements
Calder et al. Engaging communities in municipal sustainability planning: The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social networks in Alberta
Beno Managing telework from an Austrian manager’s perspective
Neis et al. Mental health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 interview with Australia’s MATES in construction CEO, Jorgen Gullestrup
Ghosh AI is the future of hiring, but it’s far from immune to bias
Whyte et al. International experiences with the sustainable assisted return of rejected asylum seekers
US201603429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Shaffer et al. Advocating to protect our nurses: Addressing unethical recruitment of foreign-educated nurses
Lorenzo-Espejo et al. Aerospace sector innovation in Portugal and Andalusia: a search for cross-border collaboration opportunities
KR102003558B1 (ko) 공사지원 인력매칭 방법
Selvanathana et al. Perceptions towards intentions to use E-recruitment service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a private university, Klang valley
Nery-Kjerfve et al. Transfer from expatriate to local contracts: a multiple case study of an unexpected career transition
KR20210041900A (ko) 건설인력 매칭 방법 및 시스템
Flores-Rivera Implementation of a Shared Services Model within Research Administration: A Hybrid Research Delivery Model of Pre-and Post-Award Administration
KR102672402B1 (ko) 스마트 이사 관리 시스템
Gebauer “Be humble” in Rwanda
Jacobson Telework in government
Ramji et al.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work-integrated learning
Adewumi et al. Automating the process of faculty evaluation in a private higher institution
Afolabi et al. Developing an Adaptable Web-Based Profile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Firms
Maslak et al. Country-Level Initiatives: Singapore’s Reflections on and Plan for Women’s Entrepreneur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