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83B1 -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483B1
KR102596483B1 KR1020230046149A KR20230046149A KR102596483B1 KR 102596483 B1 KR102596483 B1 KR 102596483B1 KR 1020230046149 A KR1020230046149 A KR 1020230046149A KR 20230046149 A KR20230046149 A KR 20230046149A KR 102596483 B1 KR102596483 B1 KR 10259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sugar paste
heating
past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희
한지현
Original Assignee
김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희 filed Critical 김수희
Priority to KR102023004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8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 A61Q9/04Depilat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가열 용기에 설탕, 정제수, 글리세린, 레몬즙을 포함하는 슈가 페이스트를 넣고 상기 가열 용기에 수용된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배합 단계,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제1온도로 제1시간동안 가열하는 1차 가열 단계, 상기 1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2온도로 제2시간동안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 및 상기 2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3시간동안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ixing step of putting sugar paste containing sugar, purified water, glycerin, and lemon juice in a heating container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and heating the sugar paste to a first temperature. A first heating step of heating for a first time, a second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to a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and a second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second heating step to a second temperature. A cooling step of cooling for 3 hours may be included.

Description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본 발명은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림성이 개선된 소프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soft waxing with improved spreadability.

전 세계적으로 제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개인 제모에 대한 인식 증가와 개인 위생에 대한 지출 증가, 외모 향상에 대한 필요성의 증가는 제모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이다. 제모 관련 산업은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미용 관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global hair removal market continues to grow. Increasing awareness about personal hair removal, increasing expenditure on personal hygiene, and growing need to enhance one's appearance are the major factors driving the growth of the hair removal market. The hair removal industry is becoming a new field of beauty care in modern society.

제모는 사람의 몸으로부터 털, 치모, 머리카락 등을 제거하는 행위를 뜻하는 것으로서, 제모의 방식은 피부 표면 위로 나온 털을 제거하는 데필레이션과 피부 표면 아랫부분을 포함하는 털을 제거하는 에필레이션으로 나뉠 수 있다. Hair removal refers to the act of removing fur, pubic hair, hair, etc. from the human body. The methods of hair removal include depilation, which removes hair above the skin surface, and epipilation, which removes hair including the lower part of the skin surface. It can be divided.

에필레이션과 관련하여, 왁스(wax)를 이용하여 털의 모근까지 제거하는 왁싱(waxing)은 현재 제모 산업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제모 방식에 속한다. 왁싱은 기본적으로 다른 제모 방식보다 단시간에 넓은 면적의 털을 제모하는 것이 가능하며, 면도와 다르게 다음 제모 시까지 비교적 오랜 기간 제모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털을 제거할 때 부가적으로 피부의 불필요한 각질까지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피부가 매끄러워지는 효과도 존재한다.Regarding epilation, waxing, which removes even the hair roots using wax, is currently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hair removal methods in the hair removal industry. Waxing is basically able to remove hair from a larger area in a shorter period of time than other hair removal methods, and unlike shaving, it has the advantage of not having to remove hair fo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until the next hair removal. In addition, when removing hair, it has the effect of removing unnecessary dead skin cells from the skin,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skin smoother.

왁싱 방식은 왁싱에 사용되는 왁스의 재료 별로 하드 왁싱, 소프트 왁싱, 슈가링 왁싱으로 구분될 수 있다.Waxing methods can be divided into hard waxing, soft waxing, and sugaring waxing depending on the wax material used for waxing.

하드 왁싱(hard waxing)은 약 40℃ 내지 60℃에서 고체 형태로 되어 있는 왁스를 녹여 제모할 부위에 도포한 뒤 왁스가 어느 정도 마르면 왁스를 떼어냄으로서 굵은 털을 제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소프트 왁싱(soft waxing)은 하드 왁싱보다 조금 더 높은 온도인 70℃ 내지 90℃에서 왁스를 녹인 뒤 부직포나 천 같은 스트랩을 함께 사용하여 털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잔모를 제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슈가링 왁싱(sugaring waxing)은 하드 왁싱과 소프트 왁싱만큼 고온의 열을 가하지 않아도 사용이 가능하며 왁스를 연속적으로 재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Hard waxing can be used to remove thick hair by melting wax in solid form at about 40°C to 60°C, applying it to the area to be removed, and then removing the wax when it dries to a certain extent. Soft waxing is a method of melting wax at 70°C to 90°C, which is a slightly higher temperature than hard waxing, and then using a strap such as non-woven fabric or cloth to remove hair. It can be used to remove remaining hair. Sugaring waxing can be used without applying as high a temperature as hard waxing and soft waxing, and has the advantage that the wax can be continuously reused.

그러나, 종래 왁싱에 사용되는 슈가 페이스트는 슈가 페이스트를 대량으로 생산함에 따라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이 다소 꾸덕하게 형성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두껍게 도포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sugar paste used in conventional waxing has a problem in that, as the sugar paste i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the formulation of the sugar paste is formed to be somewhat lumpy and is applied thickly to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또한, 이렇듯 두껍게 피시술자에게 도포된 슈가페이스트에 스트랩을 부착하는 경우, 스트랩 사이로 제형이 새어나와 시술자의 손에 불필요하게 묻어나게 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ttaching a strap to the sugar paste applied so thickly to the patient,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the formulation leaking between the straps and unnecessarily staining the operator's hands.

(특허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2438866(아나덴 풀페이스 왁싱방법)(Patent Document 0001) Korea Registered Patent 10-2438866 (Anaden Full Face Waxing Method)

따라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상기 설명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발명으로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보다 얇게 도포되도록 발림성이 개선된 방식의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an inventio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with improved spreadability so that it can be applied more thinly on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You can.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왁싱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of use for waxing practitioners.

개시된 발명의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가열 용기에 설탕, 정제수, 글리세린, 레몬즙을 포함하는 슈가 페이스트를 넣고 상기 가열 용기에 수용된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배합 단계,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제1온도로 제1시간동안 가열하는 1차 가열 단계, 상기 1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2온도로 제2시간동안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 및 상기 2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3시간동안 교반하며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mixing step of putting sugar paste containing sugar, purified water, glycerin, and lemon juice in a heating container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and setting the sugar paste to a first temperature. A first heating step of heating for a first time, a second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to a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and a third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second heating step to a second temperature. It may include a cooling step of cooling while stirring for a period of time.

상기 1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1온도는 210℃ 이상 240℃미만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ing step may be set to a temperature of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상기 1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1시간은 18분 이상 25분 미만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may be set to a time of 18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25 minutes.

상기 2차 가열 단계는 상기 가열 용기의 내벽에 부착된 설탕 알갱이를 긁어내면서 상기 설탕 알갱이와 상기 슈가페이스트가 섞이도록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교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ary hea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irring step of stirring the sugar paste so that the sugar grains and the sugar paste are mixed while scraping off the sugar grain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container.

상기 설탕의 중량비는 상기 슈가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75중량% 이상 85중량%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the sugar may be 75%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8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상기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상기 냉각 단계가 완료된 슈가 페이스트를 케이스에 소분하여 담는 소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ing step of portioning and storing the sugar paste on which the cooling step has been completed in a case.

상기 1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1시간은 상기 2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2시간보다 길고, 상기 2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2시간은 상기 냉각 단계의 상기 제3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time of the second heating step, and the second time of the second heating step may be longer than the third time of the cooling step. there is.

개시된 발명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설정 범위 내의 온도에서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함으로써 탁도와 제형에 있어 보다 고품질의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can produce a sugar paste of higher quality in terms of turbidity and formulation by heating the sugar paste at a temperature within a set range.

개시된 발명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제조 시 설탕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피부에 보다 얇게 도포되면서도 제모력이 확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슈가 페이스트가 왁싱 시술자의 손에 묻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왁싱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can manufacture a sugar paste that is applied more thinly 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has hair removal power by controlling the ratio of sugar during production, and the sugar paste can be used to prevent the sugar paste from sticking to the hands of the waxing person. By minimizing the phenomenon, the convenience of use for waxing practitioners can be increased.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색상 및 탁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발림성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부직포 묻어남 정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comparing the color and turbidity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comparing the spreadability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nonwoven fabric staining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viscosity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가열 용기에 설탕, 정제수, 글리세린, 레몬즙을 포함하는 슈가 페이스트를 넣고 가열 용기에 수용된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배합 단계(S110), 슈가 페이스트를 제1온도로 제1시간동안 가열하는 1차 가열 단계(S120), 1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2온도로 제2시간동안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S130), 2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3시간동안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140) 및 냉각 단계가 완료된 슈가 페이스트를 케이스에 소분하여 담는 소분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volves putting sugar paste containing sugar, purified water, glycerin, and lemon juice in a heating container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Step (S110), a first heating step (S120) of heating the sugar paste to a first temperature for a first time, a second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to a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S130), a cooling step (S140) of cool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second heating step for a third time, and a subdivision step (S150) of dividing and storing the sugar paste for which the cooling step has been completed in a ca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슈가 페이스트는 다양한 왁싱 방식 중 슈가링 왁싱 뿐만 아니라 소프트 왁싱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슈가 페이스트는 슈가 페이스트를 활용하여 왁싱을 수행하는 여러 방식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sugar paste produced by the method for producing sugar paste for waxing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sugaring waxing but also for soft waxing among various waxing methods,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ethod for produc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sugar paste produced by can be used in various ways to perform waxing using sugar paste.

보다 상세하게는, 배합 단계(S110)에서 가열 용기에 수용되는 슈가 페이스트는 그 원료로 설탕, 정제수, 글리세린, 레몬즙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in the mixing step (S110) may include sugar, purified water, glycerin, and lemon juice as its raw materials.

설탕은 슈가 페이스트의 주 원료로써, 슈가 페이스트의 제모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Sugar is the main raw material of sugar paste, and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hair removal power of sugar paste.

설탕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75중량% 이상 85중량%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설탕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82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sugar may be 75%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8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More preferably, the weight ratio of sugar may be 8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만일 설탕의 중량비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은 묽게 형성되고, 제품의 잔여물이 피부에 많이 남게 되며, 설탕이 피부로 흡수되는 양이 많아 피부의 피지선을 자극하여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If the weight ratio of sugar does not reach a certain level, the sugar paste formulation will be thin, a lot of product residue will remain on the skin, and a large amount of sugar will be absorbed into the skin, stimulating the sebaceous glands of the skin and causing skin problems. It can cause

또한, 이와 달리 설탕의 중량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가 높아져 제형이 꾸덕하게 형성되고, 슈가 페이스트의 색상이 탁해지며, 제모력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이 단단하게 형성됨에 따라 피부의 각질층까지 과하게 탈피되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ight ratio of sugar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viscosity of the sugar paste increases, the formulation becomes thick, the color of the sugar paste becomes cloudy, and the hair removal power decreases. In addition, as the sugar paste formulation becomes harder,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may be excessively shed, causing skin irritation.

따라서, 개시된 발명은 슈가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원료 중 설탕의 중량비를 적정 수준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탁도를 맑게 형성하고, 적당한 제모력을 확보하면서도 피시술자의 피부에 트러블을 유발하거나 자극을 주지 않는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the disclosed invention provides a sugar paste that creates a clear turbidity of the product by configuring the weight ratio of sugar among the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sugar paste at an appropriate level, secures appropriate hair removal power, and does not cause trouble or irritation 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It can be manufactured.

정제수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15중량% 이상 19중량%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16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정제수의 중량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슈가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다른 원료들의 중량비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purified water may be 15%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More preferably, the weight ratio of purified water may be 1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ugar paste. However, the weight ratio of purified water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hanged to match the weight ratio of other raw materials that make up the sugar paste.

글리세린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0.8중량% 이상 1.5중량% 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1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glycerin may be 0.8%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More preferably, the weight ratio of glycerin may be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만일 글리세린의 중량비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이 꾸덕해지며 왁싱 시술 시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weight ratio of glycerin does not reach a certain level, the sugar paste formulation may become sticky and may not be uniformly applied to the skin during waxing.

또한, 이와 달리 글리세린의 중량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이 묽어지며 피부에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제모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weight ratio of glycerin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sugar paste formulation becomes diluted and is not easily absorbed into the skin, which may lead to a problem of reduced hair removal power.

따라서, 개시된 발명은 슈가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원료 중 글리세린의 중량비를 적정 수준으로 구성함으로써,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를 적당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슈가 페이스트의 부드러운 발림성과 제모력을 확보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disclosed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weight ratio of glycerin among the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sugar paste to an appropriate level, the viscosity of the sugar past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the smooth spreadability and hair removal power of the sugar paste can be secured.

레몬즙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0.7중량% 이상 1.2중량% 미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즙의 중량비는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1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lemon juice may be 0.7%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1.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More preferably, the weight ratio of lemon juice may be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만일 레몬즙의 중량비가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왁싱 시술 시 왁스 잔여물이 사방으로 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f the weight ratio of lemon juice does not reach a certain level, the problem of wax residue splashing in all directions may occur during waxing.

또한, 이와 달리 레몬즙의 중량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레몬 특유의 시큼한 냄새가 많이 나며 왁스가 산성화되어 피부 각질 제거 시 피부를 자극하고 피시술자가 따가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weight ratio of lemon juice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characteristic sour odor of lemon is generated and the wax becomes acidic,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irritating the skin and causing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to feel stinging when exfoliating the skin.

따라서, 개시된 발명은 슈가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원료 중 레몬즙의 중량비를 적정 수준으로 구성함으로써,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이 비산되지 않게 형성하면서도 피시술자의 피부에 자극되지 않는 산성도를 갖는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disclosed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weight ratio of lemon juice among the raw materials constituting the sugar paste at an appropriate level,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ugar paste that has an acidity that prevents the sugar paste from scattering and does not irritate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

또한, 제1 가열 단계(S120)는 가열 용기에 수용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1 온도로 제1 시간동안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heating step (S120) may include heating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at a first temperature for a first time.

제1 가열 단계(S120)는 슈가 페이스트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저어주는 1차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온도는 슈가 페이스트의 끓는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first heating step (S120) may include a primary stirring step in which the sugar paste is stirred until it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set temperature can be defined as the boiling point of sugar paste.

1차 교반 단계에서 가열 용기에 수용된 슈가 페이스트를 지속적으로 저어줌으로써, 슈가 페이스트의 색이 과도하게 진해짐에 따라 탁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슈가 페이스트의 제형이 과도하게 꾸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y continuously stirring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vessel in the first stirring step, turbidity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s the color of the sugar paste becomes excessively dark, and the sugar paste formul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coming excessively hard. there is.

제1 가열 단계(S120)에서 제1 온도는 210℃ 이상 270℃미만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온도는 230℃ 이상 250℃미만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온도는 240℃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temperature of 210°C or more and less than 270°C. More preferably,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temperature of 230°C or more and less than 250°C. More preferably, the first temperature may be set to a temperature of 240°C.

개시된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제1 가열 단계에서 가열 용기에 수용된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하는 온도인 제1온도를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설정함으로써, 슈가 페이스트의 색상 및 탁도, 발림성, 부직포에 묻어나는 정도, 점도를 시술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sugar pas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sets the first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is hea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to a temperature within a certain range, thereby reducing the color, turbidity, spreadability, and staining of the sugar paste on the non-woven fabric. The degree and viscosity can be adjusted to the state most suitable for the procedure.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S. 2 to 5.

제1 가열 단계(S120)에서 제1 시간은 15분 이상 30분 미만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시간은 20분 이상 25분 미만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1 시간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하는 제1 온도에 따라서 제1 시간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하는 제1 온도가 높아질수록 제1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간은 제1 가열 단계(S120)에서 슈가 페이스트가 끓는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he first time may be set to a time of 15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30 minutes. More preferably, the first time may be set to be 20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25 minutes. However, the range of the first time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time may change depending on the first temperature at which the sugar paste is heated. For example, as the first temperature for heating the sugar paste increases, the first time may become shorter. Accordingly, the first time may be defined as the time until the sugar paste reaches the boiling point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또한, 제2 가열 단계(S130)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 가열되어 교반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2온도로 제2시간동안 가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may include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and stirred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o a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제2 가열 단계(S130)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 가열되어 끓는점에 도달한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하면서 저어주는 2차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eating step (S130) may include a secondary stirring step of heating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that has been hea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and reached the boiling point.

2차 교반 단계는 가열 용기의 내벽에 부착된 설탕 알갱이를 긁어내면서 설탕 알갱이와 슈가 페이스트가 섞이도록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과정이다.The second stirring step is a process of scraping off the sugar granule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container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so that the sugar granules and the sugar paste are mixed.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가열 용기의 내벽에 부착되는 슈가 페이스트는 충분한 열을 제공받지 못하여 고체 결정 상태로 상변이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2차 가열 단계(S130)는 2차 교반 단계를 통해 고체 결정 상태의 설탕 알갱이를 녹여 슈가 페이스트의 입도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슈가 페이스트의 균일한 입도는 슈가 페이스트의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sugar paste, the sugar past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container may not receive sufficient heat and may undergo a phase transition to a solid crystal state. Therefore,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melts the solid crystal sugar grains through the second stirring step so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sugar paste can be formed uniformly. Uniform particle size of sugar past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sugar paste.

제2 가열 단계(S130)에서 제2 온도는 제1 온도와 같거나 제1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가열 단계(S130)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 미처 녹지 못한 설탕 알갱이들을 교반을 통해 녹이기 위한 단계이므로, 제2 가열 단계(S130)의 제2온도는 슈가 페이스트에 포함된 설탕이 녹을 수 있는 정도의 온도이면 족하다.In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first temperature or low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Since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is a step for dissolving sugar grains that have not yet been mel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hrough stirring, the second temperature of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is set at a temperature that allows the sugar contained in the sugar paste to melt. Any temperature that is acceptable is sufficient.

제2 가열 단계(S130)에서 제2 시간은 제1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시간은 8분 이상 12분 이하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가열 단계(S130)는 슈가 페이스트에 포함된 설탕을 완전히 녹이기 위한 단계인 바, 제2시간은 설탕이 녹을 수 있는 정도의 시간이면 족하다.In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the second time may be set to be shorter than the first tim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time may be set to be between 8 minutes and 12 minutes.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is a step to completely dissolve the sugar contained in the sugar paste, so the second time is sufficient as long as the sugar can be melted.

냉각 단계(S140)는 제2 가열 단계(S130)에서 가열되고 교반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3시간동안 교반하며 냉각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step (S140) may include cooling the sugar paste heated and stirred in the second heating step (S130) while stirring for a third time.

냉각 단계(S140)는 가열 용기 내의 슈가 페이스트에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3차 교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step (S140) may include a third stirring step of stirring the sugar paste in the heating container without applying heat to the sugar paste.

냉각 단계(S140)에서 3차 교반 단계를 통해,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가 상승하여 꾸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당한 색상 및 탁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3차 교반 단계는 슈가 페이스트의 냉각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e third stirring step in the cooling step (S140), the viscosity of the sugar paste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becoming lumpy, and appropriate color and turbidity can be secured. Additionally, the third stirring step may serve to assist in cooling the sugar paste more quickly.

냉각 단계(S140)의 3차 교반 단계에서 제3 시간은 제1 시간 및 제2 시간보다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시간은 3분 이상 7분 미만의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냉각 단계(S140)의 3차 교반 단계는 가열이 완료된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 탁도, 색상을 균일하게 확보하기 위한 단계로서 제3시간은 각 단계의 시간 대비 가장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면 족하다.In the third stirring step of the cooling step (S140), the third time may be set to be shorter than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time. More specifically, the third time may be set to a time of 3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7 minutes. The third stirring step of the cooling step (S140) is a step to ensure uniform viscosity, turbidity, and color of the heated sugar paste, and it is sufficient for the third time to be set to the shortest time compared to the time of each step.

냉각 단계(S140)는 3차 교반 단계 이후 가열 용기를 덮어 슈가 페이스트를 적당히 식혀주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슈가 페이스트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 경우, 후술할 소분 단계(S150)에서 케이스에 열이 공급되어 환경 호르몬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각 단계(S140)는 소분 단계(S15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완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oling step (S140)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 of appropriately cooling the sugar paste by covering the heating container after the third stirring step. If the sugar paste is not cooled sufficiently, heat may be supplied to the case in the subdividing step (S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environmental hormones may be discharged. Therefore, the cooling step (S14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finished product that may occur in the subdividing step (S150).

소분 단계(S150)는 냉각 단계(S140)를 거쳐 적당한 온도로 냉각된 슈가 페이스트를 케이스에 소분하여 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division step (S150) may include the process of subdividing and placing the sugar paste cool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through the cooling step (S140) into a case.

도 2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색상 및 탁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발림성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부직포 묻어남 정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comparing the color and turbidity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comparing the spreadability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degree of nonwoven fabric staining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comparison of the viscosity of sugar paste at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하는 온도 구간을 달리 설정함에 따라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색상 및 탁도, 발림성, 묻어남, 점도를 각각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the color, turbidity, spreadability, staining, and viscosity of the sugar paste produced by setting different temperature sections for heating the sugar paste will be compared and described.

도 2의 (a)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120℃ 이상 180℃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10℃ 이상 240℃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c)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70℃ 이상 290℃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a)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120°C or more and less than 180°C, and Figure 2(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ugar past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heating step (s120) is set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and Figure 2 (c) shows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temperature is set to 270°C or more and less than 290°C.

도 2의 (a)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색상이 밝고, 탁도가 다소 흐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색상이 밝으면서도, 탁도가 선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c)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고온 가열로 인해 설탕이 캐러멜화 되며 색상이 어둡고 탁도가 흐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a) of Figure 2 is bright in color and somewhat cloudy in turbidity. It can be seen that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b) of Figure 2 has a bright color and clear turbidity. In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c) of Figure 3, it can be seen that the sugar is caramelized due to high temperature heating, and the color is dark and the turbidity is cloudy.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를 210℃ 이상 240℃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도 2의 (b)와 같이 밝은 색상의 선명한 탁도를 갖는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the sugar pas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sets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thereby producing a sugar paste with a bright color and clear turbidity as shown in (b) of FIG. 2.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도 3의 (a)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120℃이상 18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10℃이상 24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c)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70℃이상 29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a)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120 ℃ or more and less than 180 ℃, and Figure 3 (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ugar past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heating step (S120) is set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and Figure 3 (c) shows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temperature is set to 270°C or more and less than 290°C.

도 3의 (a)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저온 가열로 인해 슈가 페이스트에 포함된 설탕 알갱이가 일정량 녹지 않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다소 두껍게 발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b)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설탕 알갱이가 완전하게 녹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얇게 발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c)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설탕 알갱이는 녹았으나 고온 가열로 인해 점도가 높아져 제형이 꾸덕해짐에 따라 피시술자의 피부에 매우 두껍게 발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a) of Figure 3 is spread rather thickly on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because the sugar grains contained in the sugar paste do not melt to a certain extent due to low temperature he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b) of Figure 3 has the sugar grains completely dissolved and is spread thinly on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It can be seen that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c) of Figure 3 has melted sugar grains, but the viscosity increases due to high-temperature heating and the formulation becomes thick, so it is spread very thickly on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를 210℃이상 240℃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도 3의 (b)와 같이 얇은 발림성을 갖는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refore, the sugar pas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is to set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o 210 ℃ or more and less than 240 ℃, thereby manufacturing a sugar paste having a thin spreadability as shown in (b) of FIG. 3. It has a possible effect.

도 4의 (a)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120℃이상 18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부직포 묻어남 정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10℃이상 24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부직포 묻어남 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a) is a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staining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120 ℃ or more and less than 180 ℃, and Figure 4 (b) is a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staining of the nonwoven fabric of the sugar paste produce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도 4의 (a)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설탕 알갱이가 충분히 녹지 못함에 따라 피시술자의 피부에 두껍게 발리게 되고, 이에 따라 부직포 반대 면으로 통과되어 시술자의 손에 묻어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도 4의 (b)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설탕 알갱이가 충분히 녹아 제형이 적당히 묽게 형성됨에 따라 피시술자의 피부에 얇게 발릴 수 있어 부직포 반대 면으로 거의 묻어나지 않을 수 있다.The sugar paste according to (a) of Figure 4 is spread thickly on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s the sugar grains are not sufficiently dissolved, an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it passes through the opposit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and gets on the hands of the person being treated. However,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b) of Figure 4 can be spread thinly on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s the sugar granules are sufficiently melted and the formulation is formed to be appropriately diluted, so it may hardly be smeared on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를 210℃이상 240℃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도 4의 (b)와 같이 부직포에 거의 묻어나지 않는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에 따라, 왁싱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Therefore, the sugar pas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sets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thereby producing a sugar paste that hardly sticks to the nonwoven fabric as shown in (b) of FIG. 4.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manufacture. Accordingly,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for waxing practitioners.

도 5를 참조하면,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120℃이상 18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10℃이상 24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70℃이상 29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제조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120°C or more and less than 180°C,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In this case,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270°C or more and less than 290°C, the viscosity of the sugar paste produced can be confirmed.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는 0부터 10까지 상대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270℃이상 29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슈가 페이스트는 8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소프트 왁싱에 사용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점도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서, 소프트 왁싱에 사용 되기에 부적절한 점도이다.The viscosity of the sugar paste can be measured relatively from 0 to 10, and 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270°C or more and less than 290°C, the sugar paste may have a viscosity of 8. This is outside the viscosity range of sugar paste used in conventional soft waxing, and is an inappropriate viscosity to be used in soft waxing.

제1 가열 단계(S120)에서의 제1 온도가 120℃이상 180℃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슈가 페이스트는 1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소프트 왁싱에 사용될 수 있는 점도이기는 하나, 점도가 매우 낮아 제모력이 떨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저온 가열로 인해 설탕 알갱이가 충분히 녹지 못하여 피시술자의 피부에 두껍게 발리고, 이에 따라 부직포로 통과되어 시술자의 손에 묻어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When the first temperature in the first heating step (S120) is set to 120°C or more and less than 180°C, the sugar paste may have a viscosity of 1. Although this is a viscosity that can be used for normal soft waxing, the viscosity is very low, so the hair removal power is low, and as mentioned above, the sugar granules are not sufficiently melted due to low-temperature heating, so they are applied thickly 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thus pass through the non-woven fabric 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There is a problem that sticks to your hands.

또한, 종래의 일반 소프트 왁싱에 사용되는 슈가 페이스트의 경우 5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슈가 페이스트는 이보다 낮은 3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는 종래의 슈가 페이스트보다 낮은 점도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얇게 발릴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슈가 페이스트가 부직포 반대 면으로 거의 묻어나지 않게 되어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sugar paste used in conventional soft waxing may have a viscosity of 5. However, the sugar paste manufactured by the sugar pas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viscosity of 3, which is lower than this. The sugar past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viscosity than a conventional sugar paste and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 spread thinly on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Accordingly, the sugar paste is hardly smeared on the other side of the nonwoven fabric, which can have the technical effect of increasing the operator's convenience of use.

항목item 내용
detail
가열 온도heating temperature 120℃ - 180℃120℃ - 180℃ 210℃- 240℃210℃-240℃ 270℃-290℃270℃-290℃ 끓는점까지 도달되는 시간Time to reach boiling point 30분 - 35분30 minutes - 35 minutes 20분 - 25분20 - 25 minutes 15분 - 19분 15 minutes - 19 minutes 설탕 알갱이 상태state of sugar grains 녹지 않음Does not melt 녹음record 녹음record 탁도Turbidity 약간 흐림slightly cloudy 선명sharpness 매우 흐림very cloudy 제형Formulation 약간 묽음slightly watery 적당히 묽음Moderately thin 매우 꾸덕함very stiff

상기 표 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가열 온도 별 슈가 페이스트의 상태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Table 1 above summarizes the states of sugar paste according to the heating temperature shown in FIGS. 2 to 5.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슈가 페이스트의 가열 온도가 120℃이상 180℃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의 설탕 알갱이가 충분히 녹지 못하고, 탁도가 흐리며 피시술자의 피부에 다소 두껍게 발리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저온 가열로 인해 슈가 페이스트의 끓는점까지 도달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제품 생산성 측면에서도 비 효율적일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ugar paste is set to 120 ℃ or more and less than 180 ℃, the sugar grains of the sugar paste are not sufficiently dissolved, the turbidity is cloudy, and it is applied rather thickly on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It becomes. Additionally, in this case, it takes a long time to reach the boiling point of the sugar paste due to low-temperature heating, which may be inefficient in terms of product productivity.

또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슈가 페이스트의 가열 온도가 270℃이상 290℃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는 설탕 알갱이가 완전히 녹기는 하나 설탕의 캐러멜화가 진행되어 탁도가 매우 흐리고 제형이 꾸덕하게 형성 되므로, 피시술자의 피부에 매우 두껍게 발리게 된다. 이에 따라, 슈가 페이스트의 제모력 또한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ugar paste is set to 270 ℃ or more and less than 290 ℃, the sugar grains are completely dissolved, but the sugar is caramelized, so the turbidity is very cloudy and the formulation is lumpy. Because it is formed in a thin layer, it is spread very thickly on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Accordingly, the hair removal power of the sugar paste may also decrease.

마지막으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슈가 페이스트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슈가 페이스트로서, 슈가 페이스트의 가열 온도가 210℃이상 240℃ 미만으로 설정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의 설탕 알갱이가 완전히 녹을 수 있고, 탁도는 선명하고, 제형이 적당히 묽게 형성될 수 있다. Lastly,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sugar paste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ugar pas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of the sugar paste is set to 210°C or more and less than 240°C, the sugar grains of the sugar paste are It can be completely dissolved, the turbidity is clear, and the formulation can be formed appropriately thin.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슈가 페이스트는 피시술자의 피부에 얇게 발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직포 반대 면에 묻어나지 않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끓는점까지 도달되는 시간 역시 120℃이상 180℃미만으로 가열하는 경우보다 짧아져 가열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존재한다.Therefore, the sugar past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read thinly on the skin of the person receiving the treatment, and thus has the effect of not smear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onwoven fabric. In addition, the time to reach the boiling point is also shorter than when heating above 120°C but below 180°C, so the heating time can be shortened, which has the technical effect of improving product productivity.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주 원료로 설탕을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설탕 대신 포도당을 사용하여 슈가 페이스트가 제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shown and explained as using sugar as the main raw material, but sugar paste may be manufactured using glucose instead of sugar.

포도당을 사용하여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경우, 슈가 페이스트 자체의 제모력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포도당의 입자가 설탕의 입자보다 작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흡수력이 높아질 수 있어 피지선을 자극하고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포도당의 단가가 설탕보다 비싸므로 경제성 측면에서도 설탕보다 포도당이 열위에 있을 수 있다. When sugar paste is manufactured using glucose, the hair removal power of the sugar paste itself can be further improved. However, the glucose particles are smaller than the sugar particles, so absorption into the skin of the recipient may increase, which may irritate the sebaceous glands and cause skin inflammation. In addition, since the unit price of glucose is more expensive than sugar, glucose may be inferior to sugar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개시된 발명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설정 범위 내의 온도에서 슈가 페이스트를 가열함으로써 탁도와 제형에 있어 보다 고품질의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can produce a sugar paste of higher quality in terms of turbidity and formulation by heating the sugar paste at a temperature within a set range.

개시된 발명에 따른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은 제조 시 설탕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피시술자의 피부에 보다 얇게 도포되면서도 제모력이 확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슈가 페이스트가 왁싱 시술자의 손에 묻는 현상을 최소화하여 왁싱 시술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can manufacture a sugar paste that is applied more thinly to the skin of the person being treated and has hair removal power by controlling the ratio of sugar during production, and the sugar paste can be used to prevent the sugar paste from sticking to the hands of the waxing person. By minimizing the phenomenon, the convenience of use for waxing practitioners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Claims (7)

가열 용기에 설탕, 정제수, 글리세린, 레몬즙을 포함하는 슈가 페이스트를 넣고 상기 가열 용기에 수용된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배합 단계;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제1온도로 제1시간동안 가열하는 1차 가열 단계;
상기 1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2온도로 제2시간동안 가열하는 2차 가열 단계; 및
상기 2차 가열 단계에서 가열된 슈가 페이스트를 제3시간동안 교반하며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탕의 중량비는 상기 슈가 페이스트의 총 중량에 대해 75중량% 이상 85중량% 미만이고,
상기 제1온도는 210℃ 이상 240℃미만의 온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
A mixing step of putting sugar paste containing sugar, purified water, glycerin, and lemon juice in a heating container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contained in the heating container;
A first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at a first temperature for a first time;
A second heating step of heat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first heating step at a second temperature for a second time; 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sugar paste heated in the second heating step while stirring for a third time,
The weight ratio of the sugar is 75% by weight or more and less than 8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gar past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mperature is set to a temperature of 210 ℃ or more and less than 240 ℃,
How to make sugar paste for wax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1시간은 18분 이상 25분 미만의 시간으로 설정되는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is set to a time of 18 minutes or more and less than 25 minu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열 단계는
상기 가열 용기의 내벽에 부착된 설탕 알갱이를 긁어내면서 상기 설탕 알갱이와 상기 슈가페이스트가 섞이도록 상기 슈가 페이스트를 저어주는 교반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heating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further comprising a stirring step of scraping off sugar particle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heating container and stirring the sugar paste so that the sugar particles and the sugar paste are mix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가 완료된 슈가 페이스트를 케이스에 소분하여 담는 소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 method of producing sugar paste for waxing, further comprising a subdivision step of dividing and storing the sugar paste on which the cooling step has been completed in a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1시간은 상기 2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2시간보다 길고, 상기 2차 가열 단계의 상기 제2시간은 상기 냉각 단계의 상기 제3시간보다 긴 시간으로 구성되는 왁싱용 슈가 페이스트 제조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Waxing, wherein the first time of the first heating step is longer than the second time of the second heating step, and the second time of the second heating step is longer than the third time of the cooling step. How to make sugar paste.
KR1020230046149A 2023-04-07 2023-04-07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KR102596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149A KR102596483B1 (en) 2023-04-07 2023-04-07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149A KR102596483B1 (en) 2023-04-07 2023-04-07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483B1 true KR102596483B1 (en) 2023-11-01

Family

ID=8874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149A KR102596483B1 (en) 2023-04-07 2023-04-07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4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917B1 (en) 2024-02-07 2024-04-17 왕효원 A skin hypoallergenic sugar wax composition with improved usability and applica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456B1 (en) * 2018-02-13 2019-11-04 김만수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ion for depilation
KR20210026724A (en) * 2019-09-02 2021-03-10 (주)코스메디션 Semi-solid sugar wax production method using water crystalline gelation
KR102358671B1 (en) * 2021-04-13 2022-02-08 박정임 Natural hair removal wax composition containing coated sugar and the preparation thereof
KR20220101890A (en)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Method for face waxing
KR102471317B1 (en) * 2021-01-12 2022-11-28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Method for brazilian waxing
KR20230058993A (en)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코아시스컴퍼니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composition for depilation that is easy to prepare various formulation by viscosity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456B1 (en) * 2018-02-13 2019-11-04 김만수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ion for depilation
KR20210026724A (en) * 2019-09-02 2021-03-10 (주)코스메디션 Semi-solid sugar wax production method using water crystalline gelation
KR20220101890A (en)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Method for face waxing
KR102438866B1 (en) 2021-01-12 2022-09-01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Method for face waxing
KR102471317B1 (en) * 2021-01-12 2022-11-28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Method for brazilian waxing
KR102358671B1 (en) * 2021-04-13 2022-02-08 박정임 Natural hair removal wax composition containing coated sugar and the preparation thereof
KR20230058993A (en)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코아시스컴퍼니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composition for depilation that is easy to prepare various formulation by viscosit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ood Chemistry, 1994, Vol.51, pp.373-379. *
Polymers, 2019, Vol.11, 187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917B1 (en) 2024-02-07 2024-04-17 왕효원 A skin hypoallergenic sugar wax composition with improved usability and applicab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648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ugar paste for waxing
US3383280A (en) Dermatological abradant stick-type applicator
KR10163603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epilation using sugar
DE1254446C2 (en) Process for making a potato product
CN108434033A (en) A kind of lotus flower skin whitening, moisturizing anti-aging Essen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471317B1 (en) Method for brazilian waxing
KR102202588B1 (en) Brazilian waxing method with multiple pain relief methods
CN108619052A (en) A kind of whitening and softening skin content in freckle crea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485851B (en) Tea seed handmade soap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US5698187A (en) Cold wax depilatory composition
CN109381379B (en) Stick lipstic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0025509B (en) Depilatory wax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19051165A1 (en) Hair removal compositions comprising gemstone minerals
CN108210432A (en) Scrub cream containing brown sugar and chamomile Ultramicro-powd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7867289B2 (en) Cold wax depilatory composition and related process
Hartman et al. Retrospective review of the laser removal of facial cosmetic tattoos
Pothula et al. Hair transplantation
CN106389240A (en) Washing-free sleep mas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2665169B1 (en) Pain mitigated hair removal method using sugar paste
US2015179A (en) Skin cleansing and purifying cream
CN110464665A (en) A kind of blowdown fros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6074233A (en) A kind of cleawhite pac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06454028U (en) Body temperature is moulded into type skin nursing film certainly
CN1031022A (en) A kind of channel-stimulating and hair-growing hair shampoo
KR101828566B1 (en) Skin massage g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