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319B1 -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319B1
KR102596319B1 KR1020180041185A KR20180041185A KR102596319B1 KR 102596319 B1 KR102596319 B1 KR 102596319B1 KR 1020180041185 A KR1020180041185 A KR 1020180041185A KR 20180041185 A KR20180041185 A KR 20180041185A KR 102596319 B1 KR102596319 B1 KR 10259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unting bracket
evaporator
insulation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053A (ko
Inventor
한중만
김두훈
김현규
안경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31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가 증발기(20)의 매니폴드(30)에 선 용접된 후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타단에 마운팅브라켓(70)이 설치되며, 마운팅브라켓(70)의 파이프지지부(71a,72a) 내주면에는 반원 형상의 인슐레이션(91,92)이 복수 열로 이중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용접에 따른 인슐레이션(91,92)과 마운팅브라켓(7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인슐레이션(91,92)에 의한 응축수와 공기의 누출 방지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pipe of evaporator}
본 발명은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구성하는 증발기에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파이프를 장착하는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실내 공간의 냉방 및 난방을 위해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공조장치는 냉방을 위한 증발기와 난방을 위한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등과 함께 냉매 순환 경로를 구성하며, 증발기에서는 냉매가 기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공조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팽창밸브 및 압축기와 연결되어야만 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배관은 하우징(10)을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증발기(10)의 상부헤더에 장착된 매니폴드(30)에는 증발기 파이프 즉,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일단부가 용접된다. 이들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타단부는 조인트플랜지(50)의 일측면에 연결되며, 조인트플랜지(50)의 타측면에 형성된 관연결부(51)(도 2참조)에 팽창밸브 및 압축기로 연결되는 연결파이프(61,62)들이 연결된다.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는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의 경계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그 관통홀에는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하우징(10)에 지지해주는 마운팅브라켓(70)이 설치된다. 마운팅브라켓(70)은 또한 상기 조인트플랜지(50)의 증발기(20)쪽 측면에 밀착 설치된다.
마운팅브라켓(70)은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결합홈(7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에서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 부분이 마운팅브라켓(70)의 결합홈(70a)에 삽입되는 상태로 마운팅브라켓(70)이 하우징(10)에 설치되며, 이에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타단부가 마운팅브라켓(70)을 매개로 하우징(10)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는 양단부가 각각 매니폴드(30)에 용접되고 하우징(10)에 마운팅브라켓(70)을 매개로 지지되므로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한편,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표면에 발생하는 응축수 및 하우징(10) 내부의 공기가 하우징(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81,82)가 설치된다.
실링부재(81,82)는 원통 형상 부품으로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단부 외주에 삽입되며, 그러한 실링부재(81,82)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마운팅브라켓(70)이 설치되어, 실링부재(81,82)에 의해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의 틈이 차단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매니폴드(30)에 용접할 때 발생하는 용접 열이 상기 증발기 파이프들을 통해 전달되어 상기 실링부재(81,82)와 마운팅브라켓(70)이 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응축수 및 공기가 하우징(10)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링부재(81,82)의 외부를 감싸도록 마운팅브라켓(70)을 설치할 때 실링부재(81,82)가 마운팅브라켓(70)에 씹혀서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응축수 및 공기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0713호(2014.03.2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접시 증발기 파이프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의해 실링부재 및 마운팅브라켓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 사이의 틈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응축수 및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는, 증발기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유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로 이루어진 증발기 파이프와, 상기 증발기 파이프의 타단부를 감싸 고정하면서 공조장치 하우징의 관통홀에 삽입 설치된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에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전달차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마운팅브라켓과는 다른 이종의 열전달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진 인슐레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인슐레이션은 내열성 고무 소재로서 마운팅브라켓에 이중 사출된다.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 사이에 형성된 갭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연결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파트와 제2파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에 상기 유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를 감싸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지지부에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유입파이프와 및 배출파이프에 밀착되어 유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인슐레이션이 이중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인슐레이션은 파이프지지부의 파이프 관통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열 형성된다.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 각각의 중간 부분에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호 맞대어지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측 고정부에 각각 관통홀과 탭홀이 형성되어 제1파트와 제2파트를 볼트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 각각의 중간 부분에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호 맞대어지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측 고정부에 각각 후크와 후크홀이 형성되어 제1파트와 제2파트를 가조립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 각각의 중간 부분에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호 맞대어지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양측 고정부에 각각 마운팅브라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인슐레이션이 형성되어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인슐레이션이 서로 맞닿아 양측 고정부 사이의 틈을 차단한다.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었을 때 서로 밀착되는 대응면 중 일측에는 마운팅브라켓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판재 평상의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파트와 제2파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 외측쪽 면에는 제1파트와 제2파트가 결합되어 서로 밀착되었을 때 양자의 경계선을 가려주는 차단판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 장착 방법은, 유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가 증발기의 매니폴드에 먼저 용접되고, 그 이후에 마운팅브라켓이 유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파이프와 배출파이프의 용접 열에 의해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슐레이션이나 마운팅브라켓 자체가 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의 사이에 열전달차단부가 형성되어 마운팅브라켓의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증발기 파이프의 지지 상태가 안정되고, 증발기 파이프 표면의 응축수 및 공조장치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마운팅브라켓에 인슐레이션이 일체로 사출 형성됨으로써 마운팅브라켓 체결시 인슐레이션이 씹히는 현상이 해소되어 인슐레이션 변형 및 손상에 따른 응축수와 공기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션이 응축수 및 공기 누출 방향으로 복수 열 형성됨으로써 시일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브라켓은 유입파이프 및 배출파이프가 증발기의 매니폴드에 용접된 후에 장착됨으로써 용접 열에 의해 인슐레이션 및 마운팅브라켓이 타거나 녹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슐레이션이 시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가 적용된 증발기 파이프 장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로서,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의 사이에 실링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가 적용된 증발기 파이프 장착 상태도.
도 4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마운팅브라켓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마운팅브라켓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대응도로서, 본 발명 적용 상태에서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의 사이에 열전달차단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0)의 상부헤더 일측 단부에는 매니폴드(30)가 설치되고, 매니폴드(30)에 냉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증발기 파이프로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일단이 연결된다.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타단은 조인트플랜지(50)에 연결되며, 조인트플랜지(50)에 밀착되어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감싸는 마운팅브라켓(70)이 설치된다. 마운팅브라켓(70)은 외주에 형성된 결합홈(70a)(도 5,6 참조)에 하우징(10)의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이 삽입됨으로써 하우징(10)에 장착될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은 상기 마운팅브라켓(70)에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전달차단부'가 형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브라켓(70)은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로 분할 구성되며, 이 두 부분이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양쪽에서 감싸는 구조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에 설치된다.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는 변형이 자유로운 유연한 재질의 연결부(7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부(7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각각 반원통형의 파이프지지부(71a,72a)가 형성된다.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모두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파이프지지부(71a,72a)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각각에 2개씩 형성된다.
양측 파이프지지부(71a,72a)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하나의 원통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수용하여 지지하게 된다.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각각에 있어서 파이프지지부(71a,72a)의 사이 부분 즉,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길이 방향(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부(71b,72b)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71b,72b)는 각각의 파트(제1파트(71) 및 제2파트)에서 서로 이웃한 두 파이프지지부(71a 또는 72a)의 단부를 연결해주는 부분으로서 양측 고정부(71b,72b)의 대응면은 마운팅브라켓(70)이 결합되었을 때 서로 맞닿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71b,72b)에는 볼트 결합을 위한 관통홀(74a)과 탭홀(74b)이 형성된다. 관통홀(74a)은 볼트가 삽입되되 내부에 볼트 헤드의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탭홀(74b)의 내주면에는 볼트 바디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홀(74a)과 탭홀(74b)은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에 각각 나뉘어 형성되되, 그 형성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71b,72b)에는 상기 관통홀(74a)과 탭홀(74b)에 삽입되는 볼트를 이용한 본 조립 이전에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가조립할 수 있도록 후크(75a)와 후크홀(75b)이 형성된다. 후크(75a)는 일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된 일반적인 형상의 걸림돌기이고, 후크홀(75b)은 내부에 후크(75a)의 걸림턱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75a)과 후크홀(75b) 역시 서로 위치가 바뀌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대응면(결합되었을 때 접촉되는 면) 중 연결부(73)로부터 먼 쪽의 대응면에는 돌기홀(76a)과 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76b)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76b)는 마운팅브라켓(7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돌기홀(76a)은 상기 삽입돌기(76b)가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중 어느 하나에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양자의 경계선 부분을 가려주는 차단판(77)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77)은 제1파트(71) 또는 제2파트(72)에 있어서, 마운팅브라켓(70)이 하우징(10)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10)의 외측면 쪽에 형성된다. 또한 차단판(77)은 마운팅브라켓(70)에서 파이프지지부(71a,72a)에 해당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그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도4 및 도 5에서 차단판(77)은 제2파트(72)에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인슐레이션(91,92) 및 갭(95)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에서 파이프지지부(71a,72a)의 내주면에는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가 관통되는 방향으로 복수 열의 인슐레이션(91,9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각각의 파트에 형성되는 인슐레이션(91,92)들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양측 인슐레이션(91,92)들은 서로 밀착되어 링 형상을 이룬다.
상기 인슐레이션(91,92)들은 마운팅브라켓(70)과는 다른 이종의 소재로서, 열전달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져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마운팅브라켓(70)으로 용접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인슐레이션(91,92)은 예를 들어 고무재질 중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고무, 불소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고무와 불소고무는 내열한계온도가 각각 230℃, 260℃ 에 이르며, 특히 고인열실리콘고무의 경우에는 300℃ 영역까지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션(91,92)은 고무재질로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표면에 밀착(도 6 참조)되어 공조장치 하우징 내측의 증발기 파이프 표면에 발생한 응축수나 하우징 내부 공간의 공기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여 응축수와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도 4, 도 5)에는 파이프 관통 방향 즉, 응축수와 공기의 누설 방향으로 2열의 인슐레이션(91,92)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인슐레이션은 셋 이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인슐레이션의 열 수가 증가하면 응축수와 공기의 누출 방지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소에 형성된 인슐레이션(91,92)들의 사이 부분은 빈 공간으로서 이에 의해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70)의 사이에는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마운팅브라켓(70)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갭(9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고정부(71b,72b)에도 인슐레이션(93,9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인슐레이션(93,94)은 고정부(71b,72b)를 마운팅브라켓(70)의 길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서로 맞닿아 양측 고정부(71b,72b) 사이의 틈으로 응축수 및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션(93,94)은 제1파트(71)에서 관통홀(74a)과 후크(75a)의 사이, 제2파트(72)에서 탭홀(74b)과 후크홀(75b)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인슐레이션(93,94)은 파이프지지부(71a,72a)에 형성된 상기 인슐레이션(91,92)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슐레이션(91,92,93,94)들은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된다. 즉, 마운팅브라켓(70)을 1차 사출하고, 그 마운팅브라켓(70)과 2차금형 사이의 캐비티에 2차 사출을 실시하여 인슐레이션(91,92,93,94)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인슐레이션(91,92,93,94)들은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인슐레이션(91,92,93,94)들은 플라스틱 재료가 금형 내로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므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한 설계 사양대로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운팅브라켓(70)의 조립시 즉,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감싸는 형태로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회동시켜 상호 결합할 때 증발기 파이프와 제1파트(71) 및 제2파트(72)의 사이에서 인슐레이션(91,92,93,94)이 과도하게 압축됨으로 인해 인슐레이션(91,92,93,94)이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사이에 씹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가 조인트플랜지(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증발기(20)의 매니폴드(30)에 먼저 용접하고, 이후,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조인트플랜지(50)측 단부에 마운팅브라켓(7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70)의 사이에 열전달차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용접 열로부터 마운팅브라켓(70)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마운팅브라켓(70)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증발기 파이프를 하우징의 관통홀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마운팅브라켓(70)에 일체로 이중 사출되는 인슐레이션(91,92)들을 포함하는데, 인슐레이션(91,92)은 열전달율이 낮고 고내열성인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마운팅브라켓(70)으로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마운팅브라켓(70)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자신도 증발기 파이프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으며, 증발기 파이프에 밀착되어 응축수와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실링부재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에 형성되는 갭(95)을 포함한다. 상기 갭(95) 즉, 공기층은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증발기 파이프에서 마운팅브라켓(70)으로의 열전달량을 크게 감소시켜 마운팅브라켓(70)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도 4, 도 5에 도시된) 구조의 마운팅브라켓(70)은 인슐레이션(91,92)이 마운팅브라켓(70)에 이중 사출되어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실링부재(81,82)를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에 먼저 조립할 필요가 없게 되어, 조립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운팅브라켓(70)을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에 설치하기 전에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일단부를 증발기(20)의 매니폴드(30)에 먼저 용접한다. 그리고, 용접 작업이 종료된 후(용접 잔열이 충분히 제거된 상태를 의미함)에 마운팅브라켓(70)을 도 3과 같이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조인트플랜지(50)측 단부에 장착한다.
따라서 용접 열에 의한 영향이 마운팅브라켓(70) 및 그 내부의 인슐레이션(91,92)에 미치지 못하므로 용접 열에 의해 인슐레이션(91,92)과 마운팅브라켓(70)이 타거나 녹아서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마운팅브라켓(70)은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항상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인슐레이션(91,92)은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표면에 양호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여 본연의 응축수 및 공기 누출 방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마운팅브라켓(70)을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에 장착하면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는 도 6과 같이 인슐레이션(91,92)에 의해 2중 실링이 이루어진다.
마운팅브라켓(70) 설치시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면 반원 형상의 인슐레이션(91,92)이 만나 원형 링 형상을 이루면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밀착된다. 따라서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의 틈이 차단됨으로써 응축수와 공기가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누출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인슐레이션(91,92)이 응축수 및 공기 누출 방향을 따라 복수 열로 설치됨으로써 응축수와 공기 누출은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즉, 응축수와 공기가 내측 인슐레이션을 통과했다 하더라도 이후 인슐레이션들 사이의 공간을 지나 다시 외측 인슐레이션을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므로 전체적으로 보아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 틈을 통한 응축수와 공기의 누출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마운팅브라켓(70)을 조립할 때,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결합하면 후크(75a)가 후크홀(75b)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가조립된다. 즉,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는 있으나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재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자력으로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후 관통홀(74a)에 볼트를 삽입하여 탭홀(74b)에 체결 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벌어지지 않도록 잡고 있지 않아도 됨으로써 볼트 체결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품(마운팅브라켓(70))의 보관 및 운반 시에도 상기와 같은 가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부품의 크기가 감소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조립 완료 상태에서 상기 양측 고정부(71b,72b)의 인슐레이션(93,94)은 서로 맞닿아 양측 고정부(71b,72b) 사이의 틈을 차단한다. 따라서 양측 고정부(71b,72b) 사이의 틈으로 응축수 및 공기가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조립 완료 상태에서 제1파트의 돌기홀(76a)에 제2파트(72)의 삽입돌기(76b)가 삽입되어 있게 된다. 이들 돌기홀(76a)와 삽입돌기(76b)의 결합은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보다 정확한 상대 위치를 가지고 즉, 정확한 정렬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도와줌은 물론 이들이 형성된 부분의 대응면 사이 틈으로 응축수와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마운팅브라켓(70) 조립 완료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외측에서 보면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경계선 부분이 상기 차단판(77)에 의해 가려져 있게 되는데, 이 차단판(77)은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의 경계선 틈으로 외부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하우징(10) 내부에서 외부로 응축수 및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최종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 장착 방법에 따르면, 증발기 파이프 즉,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가 조인트플랜지(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가 증발기(20)의 매니폴드(30)에 먼저 용접되고, 이후 용접 열이 충분히 제거된 뒤(시간 경과 및 강제 냉각)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조인트플랜지(50)측 단부에 마운팅브라켓(70)을 설치하므로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마운팅브라켓(70)으로 전달되는 열량이 미미하여 마운팅브라켓(70)의 열변형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 하우징 11 : 상부하우징
12 : 하부하우징 20 : 증발기
30 : 매니폴드 41 : 유입파이프
42 : 배출파이프 50 : 조인트플랜지
61,62 : 연결파이프 70 : 마운팅브라켓
70a : 결합홈 71 : 제1파트
72 : 제2파트 71a,72a : 파이프지지부
71b,72b : 고정부 73 : 연결부
74a : 관통홀 74b : 탭홀
75a : 후크 75b : 후크홀
76a : 돌기홀 76b : 삽입돌기
77 : 차단판 81,82 : 인슐레이션
91,92,93,94 : 인슐레이션 95 : 갭

Claims (11)

  1. 증발기(20)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로 이루어진 증발기 파이프와,
    상기 증발기 파이프의 타단부를 감싸 고정하면서 공조장치 하우징(10)의 관통홀에 삽입 설치된 마운팅브라켓(70)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70)에 증발기 파이프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전달차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마운팅브라켓(70)과 일체로 형성되는 인슐레이션(91,92)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70)은 연결부(73)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에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감싸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71a,72a)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지지부(71a,72a)에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에 밀착되어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상기 인슐레이션(91,92)이 이중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인슐레이션(91,92)은 파이프지지부(71a,72a)의 파이프 관통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91,92)은 마운팅브라켓(70)과는 다른 이종의 열전달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91,92)은 내열성 고무 소재로서 마운팅브라켓(70)에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차단부는 증발기 파이프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에 형성된 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구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각각의 중간 부분에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상호 맞대어지는 고정부(71b,72b)가 형성되고, 양측 고정부(71b,72b)에 각각 관통홀(74a)과 탭홀(74b)이 형성되어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각각의 중간 부분에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상호 맞대어지는 고정부(71b,72b)가 형성되고, 양측 고정부(71b,72b)에 각각 후크(75a)와 후크홀(75b)이 형성되어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가조립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각각의 중간 부분에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상호 맞대어지는 고정부(71b,72b)가 형성되고, 양측 고정부(71b,72b)에 각각 마운팅브라켓(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인슐레이션(93,94)이 형성되어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인슐레이션(93,94)이 서로 맞닿아 양측 고정부(71b,72b)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서로 밀착되는 대응면 중 일측에는 마운팅브라켓(7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판재 평상의 삽입돌기(76b)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삽입돌기(76b)가 삽입되는 돌기홀(7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하우징(10) 외측쪽 면에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어 서로 밀착되었을 때 양자의 경계선을 가려주는 차단판(7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11.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가 증발기(20)의 매니폴드(30)에 먼저 용접되고, 그 이후에 마운팅브라켓(70)이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의 용접 열에 의해 상기 마운팅브라켓(7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인슐레이션(91,92,93,94)이나 마운팅브라켓(70) 자체가 타거나 변형되지 않고, 상기 인슐레이션(91,92,93,94)은 상기 마운팅브라켓(70)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70)은 연결부(73)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제1파트(71)와 제2파트(72)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에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를 감싸 지지하는 파이프지지부(71a,72a)가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지지부(71a,72a)에 상기 제1파트(71)와 제2파트(72)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유입파이프(41)와 배출파이프(42)에 밀착되어 유입파이프(41) 및 배출파이프(42)와 마운팅브라켓(70) 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상기 인슐레이션(91,92)이 이중 사출 성형되고,
    상기 인슐레이션(91,92)은 파이프지지부(71a,72a)의 파이프 관통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기 파이프 장착 방법.
KR1020180041185A 2018-04-09 2018-04-09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KR10259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85A KR102596319B1 (ko) 2018-04-09 2018-04-09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185A KR102596319B1 (ko) 2018-04-09 2018-04-09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53A KR20190118053A (ko) 2019-10-17
KR102596319B1 true KR102596319B1 (ko) 2023-11-01

Family

ID=68424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185A KR102596319B1 (ko) 2018-04-09 2018-04-09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3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851B1 (ko) * 2007-05-29 2013-07-0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냉각수 유입/배출 파이프 고정구조
KR101380713B1 (ko) 2007-08-30 2014-04-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파이프 설치구조
KR101150359B1 (ko) * 2009-06-04 2012-06-0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053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8904B2 (en) Fluid conduit assembly
US7721766B2 (en) Fluid transfer tube
JP5048695B2 (ja) Egrクーラ
US3447603A (en) Means for resiliently mounting tubular members
KR102478387B1 (ko) 연소 장치
PL210367B1 (pl) Kondensacyjny wymiennik ciepła
US20130125578A1 (en) Air conditioner
CN104105854B (zh) 用于内燃机的废气再处理的装置的密封装置
US11255619B2 (en) Heat exchanger
KR102596319B1 (ko) 증발기 파이프 장착 구조 및 방법
JP6445168B2 (ja) 熱交換器と、流路内の溝の内壁との間の隙間を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
JP4851279B2 (ja) メータユニット用保温カバー
KR102148712B1 (ko) 차량용 축열기
US20160288278A1 (en) Heat exchanger assembly process and system
US6953080B2 (en) Front end structure of vehicle preventing short-circuit of cooling air
JPH10148491A (ja) 車両用エンジン冷却用放熱器
KR20070021391A (ko) 라디에이터의 필러넥 결합구조
KR200163613Y1 (ko) 증발기 메니폴드와 냉매관 이음을 위한 연결링
KR200296892Y1 (ko) 방열기용 튜브 조립구조
KR101257876B1 (ko) 가스터빈의 플로팅 씰링 장치
KR101964185B1 (ko) 열교환기용 가스켓
CN111005827B (zh) 燃料喷射装置
WO2023136109A1 (ja) 排気マフラーの接続構造
CN114174756A (zh) 热交换器装置、用于制造热交换器装置的方法和具有热交换器装置的内燃机
KR940005664B1 (ko) 열교환기의 히터선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