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807B1 -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807B1
KR102595807B1 KR1020230047318A KR20230047318A KR102595807B1 KR 102595807 B1 KR102595807 B1 KR 102595807B1 KR 1020230047318 A KR1020230047318 A KR 1020230047318A KR 20230047318 A KR20230047318 A KR 20230047318A KR 102595807 B1 KR102595807 B1 KR 102595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al
heat exchange
exchange element
total heat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우
신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앤지
Priority to KR102023004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케이싱 부재와,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와, 파티션 부재와,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가 열리면서,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의 내부공기가 내기도입 챔버,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외기도입 챔버,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및 내외기공급 챔버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가 경유하기 위한 별도의 헤파필터를 더 설치할 필요없이 기설치되어있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공기청정 기능의 수행 시에도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공기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환원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Total heat exchanger comprising harmful substance adsorption type carbon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variable damper composed in the total heat exchanger comprising harmful substance adsorption type carbon total heat exchange element}
본 발명은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에 관한 것이다.
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는 실내에 대한 환기를 실행할 때 실내의 열을 놓치지 않고 그 열을 외부로부터의 급기로 옮겨 실내로 되돌아오게 하는 열교환기를 말하고, 전열교환소자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제로 전열 교환이 이루어지는 소자를 말한다.
이러한 상기 전열교환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열교환기에 의하면, 상기 전열교환기가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전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일 수 있는 설치대상물의 내부공기가 내부공기 덕트 소켓을 통해 도입된 다음 상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전열교환소자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상기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상기 전열교환소자와 별도로 설치된 내기측 헤파필터만을 경유한 다음 내외기공급 덕트 소켓을 통해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환원되는 구조여서, 외부공기의 도입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외기 도입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및 유해물질 흡착 제거라는 상기 전열교환기의 본래의 기능이 수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기측 헤파필터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고, 상기 전열교환기가 상기 공기청정 기능으로 장시간 사용될 시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내부의 환기가 부족해져서, 상기 전열교환소자에 심한 곰팡이 증식, 미생물 번식, 냄새 증가 등이 초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열교환기에 의하면, 상기 전열교환기에 내삽되는 상기 전열교환소자가 대부분 펄프(pulp)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미생물, 이물질, 오염물질, 곰팡이 등의 오염에 취약하고, 이물질, 오염물질, 포름알데히드, 냄새유발물질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능력이 떨어지고, 그 낮은 열전도도로 인해 열교환 효율이 낮고, 투습률이 낮아서 잠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고, 그 수명이 짧고 그 재생능력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8-0051179호, 공개일자: 2018.05.16., 발명의 명칭: 전열교환기
본 발명은 공기청정 기능의 수행 시에도 설치대상물의 내부공기가 전열교환소자를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 이물질, 오염물질, 곰팡이 등의 오염에도 강하고, 이물질, 오염물질, 포름알데히드, 냄새유발물질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능력이 향상되며,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고, 투습률이 높아 잠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그 수명이 길고 그 재생능력도 우수한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케이싱 부재;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유해물질이 흡착될 수 있도록 탄소섬유성분과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및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부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면을 연결하는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전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외기도입 챔버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내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내기도입 챔버와, 상기 외기도입 챔버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외기공급 챔버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기배출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 챔버로부터 상기 외기도입 챔버로 유동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유동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가 열리면서,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내기도입 챔버,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상기 외기도입 챔버,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및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대해 상기 내기도입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대해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내기배출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 및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외기도입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외부공기의 도입없이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및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는 열리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와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는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외부공기의 도입과 함께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 및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는 열리고,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는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의 비례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로 유입되는 상기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공기의 혼합비율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변 댐퍼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 챔버로부터 상기 외기도입 챔버로 유동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유동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및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외기도입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개도 조절 돌출체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와 이루는 간격이 가변되는 개도 조절 회전체와,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회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원형 링 형태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 몸체와, 상기 돌출 몸체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벽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 테이퍼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는 상기 돌출 몸체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벽까지 상기 돌출 테이퍼체와 대면되도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연결되되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부까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수축 테이퍼체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로부터 연장되는 개도 조절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에 점진적으로 내삽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상기 돌출 테이퍼체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상기 돌출 테이퍼체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에 의하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케이싱 부재와,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와, 파티션 부재와,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가 열리면서,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의 내부공기가 내기도입 챔버,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외기도입 챔버,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및 내외기공급 챔버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가 경유하기 위한 별도의 헤파필터를 더 설치할 필요없이 기설치되어있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공기청정 기능의 수행 시에도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공기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환원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댐퍼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댐퍼의 구체적인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는 케이싱 부재(160)와,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와, 파티션 부재(171, 172, 173, 174)와,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는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187)와,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181)와,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180)와,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는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와,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와,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와,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 부재(160)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비어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가 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는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부에 배치되고, 유해물질이 흡착될 수 있도록 탄소섬유성분과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각 측면 모서리가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각 내면의 중앙부와 대응되도록,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가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부에 비스듬하게 배치된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는 복수 개의 라이너 부재(110)와, 복수 개의 스페이서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라이너 부재(110)는 소정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면서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스페이서 부재(120)는 상기 각 라이너 부재(11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각 라이너 부재(110)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를 경유하는 공기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는 복수 번 접힌 형태로 이루어져서, 동일 층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에는 복수 개의 공기 유로가 나란히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에는 삼각형 단면, 역삼각형 단면 형태의 공기 유로가 교번으로 복수 번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스페이서 부재(120)가 서로 다른 높이로 적층되되, 서로 연접되는 상기 각 스페이서 부재(120)의 각 공기 유로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1층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의 공기 유로에 대해 2층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의 공기 유로는 90°각도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고, 2층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의 공기 유로에 대해 3층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의 공기 유로는 90°각도의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1층의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의 공기 유로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적층된 상기 각 스페이서 부재(120)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가 하나씩 배치됨으로써, 상기 각 스페이서 부재(120) 사이가 구획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이너 부재(110)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섬유성분과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라이너 부재(110)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는 탄소페이퍼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페이퍼는 탄소섬유성분과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페이퍼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 상기 탄소섬유성분과 상기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가 섬유 형태 또는 분말 형태로 형성된 다음 페이퍼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상기 탄소페이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페이퍼 자체가 소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부재(1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탄소페이퍼가 복수 번 접혀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라이너 부재(110)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의 형성 방식은 아래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부재(110)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 중 상기 탄소페이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의 말단면에는, 상기 탄소페이퍼에 의한 보플 발생 방지를 위하여 보플 방지 수단이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플 방지 수단으로는 실리콘, 에폭시, 플래스터(plaster)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보플 방지 수단이 도포되는 방식에는 함침, 스프레이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사용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상기 탄소페이퍼에 의한 보플 발생이 억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러한 보플에 의한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입출구의 일부가 막히거나 저항이 커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열교환 및 잠열교환이 상대적으로 많은 상기 라이너 부재(110)는 상기 탄소페이퍼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는 펄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라이너 부재(110)는 펄프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는 상기 탄소페이퍼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항균, 항바이러스, 냄새제거 기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라이너 부재(110)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 모두 상기 탄소페이퍼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소페이퍼는 상기 탄소섬유성분과 상기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펄프를 일정량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전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외기도입 챔버(161)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내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내기도입 챔버(162)와,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외기공급 챔버(163)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기배출 챔버(16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외부공기 외에도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내부공기도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러한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 및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의 형성을 위하여, 상기 파티션 부재(171, 172, 173, 174)가 적용된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 중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쪽 부분에는 내기도입측 프리필터(186)가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로 유입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내기도입측 프리필터(186)를 경유하여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 중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쪽 부분에는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가 설치되고,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의 전측에는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가 설치되어,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 및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로부터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인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해주는 것이고,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는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를 경유하며 필터링된 공기를 재차 필터링해주는 것이다.
상기 파티션 부재(171, 172, 173, 174)는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부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면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에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동력을 형성하는 공급팬(152)이 설치되고,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에는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유동력을 형성하는 배기팬(151)이 설치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53은 상기 공급팬(152)의 작동, 상기 배기팬(151)의 작동,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이다.
상기 파티션 부재(171, 172, 173, 174)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171)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와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내기입출 파티션 부재(172)와,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와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내외공급내배출 파티션 부재(173)와,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와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외도입내배출 파티션 부재(174)를 포함한다.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171), 상기 내기입출 파티션 부재(172), 상기 내외공급내배출 파티션 부재(173) 및 상기 외도입내배출 파티션 부재(174)는 각각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각 측면 모서리와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각 내면의 중앙부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부 사이의 공간이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 및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로 구획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외면,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171), 상기 내기입출 파티션 부재(172), 상기 내외공급내배출 파티션 부재(173), 상기 외도입내배출 파티션 부재(174)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탄소페이퍼로 덮이거나 탄소분말로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분말로 도포되는 방식에는 함침, 스프레이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171), 상기 내기입출 파티션 부재(172), 상기 내외공급내배출 파티션 부재(173), 상기 외도입내배출 파티션 부재(174)는 물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에서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 및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를 이루는 모든 벽면이 상기 탄소페이퍼로 덮이거나 상기 탄소분말로 도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정화, 냄새제거, 항바이러스 기능 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소분말로 도포되는 방식에는 함침, 스프레이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 부재(160)에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와 연통되는 외기도입 덕트 소켓(165)과,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와 연통되는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과,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와 연통되는 내외기공급 덕트 소켓(167)과,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와 연통되는 내기배출 덕트 소켓(168)이 형성된다.
상기 외기도입 덕트 소켓(165), 상기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 상기 내외기공급 덕트 소켓(167) 및 상기 내기배출 덕트 소켓(168)은 각각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배관들(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 부재(16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 진입 또는 진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기도입 덕트 소켓(165), 상기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 상기 내외기공급 덕트 소켓(167), 상기 내기배출 덕트 소켓(168)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 내면이 상기 탄소페이퍼로 덮이거나 상기 탄소분말로 도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정화, 냄새제거, 항바이러스 기능 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소분말로 도포되는 방식에는 함침, 스프레이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는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171)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로부터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로 유동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유동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가 열리면서,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 및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된다. 그러면, 상기 내부공기가 경유하기 위한 별도의 헤파필터를 더 설치할 필요없이 기설치되어있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댐퍼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를 포함한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외기도입 덕트 소켓(165)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나, 이러한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에 대한 설명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는 댐퍼 케이스(189a)와, 개도 조절 돌출체(189b)와, 개도 조절 회전체(189r)와, 회전력 공급 수단(189h)을 포함한다.
상기 댐퍼 케이스(189a)는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171)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기가 관통되어 유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189b)는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189b)는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로부터 원형 링 형태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 몸체(189c)와, 상기 돌출 몸체(189c)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벽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 테이퍼체(189d)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 몸체(189c)는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 중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쪽에 편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면에 원형 링 형태로 둘러진 것으로, 상기 돌출 몸체(189c)의 형성에 따라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유로 크기에 비해 상기 돌출 몸체(189c)가 형성된 부분의 유로 크기가 소정 크기만큼 작아지게 된다.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는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 중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쪽으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 몸체(189c)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말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말단으로 갈수록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유로 크기에 비해 상기 돌출 몸체(189c)가 형성된 부분의 유로 크기가 소정 크기만큼 작아졌다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가 형성된 부분의 유로 크기가 상기 돌출 몸체(189c)가 형성된 부분의 유로 크기에 비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189r)는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189b)와 이루는 간격이 가변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189r)는 상기 돌출 몸체(189c)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벽까지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와 대면되도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와 연결되되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외부까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수축 테이퍼체(189t)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로부터 연장되는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는 전체적으로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을 중심으로 하는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수축 테이퍼체(189t)는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의 외부를 덮는 역고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에는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 지지대(189v)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지지대(189v) 중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중앙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면서 상기 회전축 지지대(189v)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89h)은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189r)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89h)은 상기 댐퍼 케이스(189a)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댐퍼 케이스(189a)로부터 연장된 상기 회전축 지지대(189v)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형태의 공급 수단 지지대(189w)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의 말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89h)의 회전축(189i)의 말단에는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89h)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189r)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에 점진적으로 내삽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와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어,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공기 유로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189u)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89h)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189r)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로부터 점진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와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되어,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공기 유로가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는 서로 면대면으로 대면되면서 상기 돌출 테이퍼체(189d)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189s) 사이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댐퍼 케이스(189a)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이 고정밀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187)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대해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181)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대해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외기공급 덕트 소켓(16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180)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내기배출 챔버(164)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내기배출 덕트 소켓(16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외부공기의 도입없이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187),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및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181)는 열리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와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180)는 닫힌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있다가 상기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을 통해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로 유입된 상기 내부공기는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 및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필터링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내부공기는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 및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외부공기의 도입과 함께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187),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181) 및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는 열리고,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180)는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비례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유입되는 상기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공기의 혼합비율이 가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있다가 상기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을 통해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로 유입된 상기 내부공기는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및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로 유입되어 상기 외기도입 덕트 소켓(165)을 통해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로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와 혼합된 다음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 및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필터링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공기의 혼합 공기는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 및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비례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로 유입되는 상기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공기의 혼합비율이 가변된다는 것은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개도율의 합이 100%가 된다는 것이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이 높아지면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개도율은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이 높아진만큼 비례적으로 낮아지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이 낮아지면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개도율은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이 낮아진만큼 비례적으로 높아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이 50%에서 51%로 높아지면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개도율은 50%에서 49%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서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로 유입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온습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내기도입 덕트 소켓(166)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의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를 통해 도입되는 상기 외부공기에 의한 기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 의한 온도 감지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기 라이너 부재(110) 중 최상층의 것의 상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 의한 온도 감지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는 상기 라이너 부재(110) 중 최상층의 것의 상면 상에서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쪽으로 편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183)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182)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의 내부 표면 중 복수의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 각 설치된 지점에서 감지된 각 표면온도 중 가장 낮은 것을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 의해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으로 설정하여 이하의 운전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서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이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에서 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미리 설정된 보상값(안전 여유치로 미리 설정된 상수값)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은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상승되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개도율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하강된 상태로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공기청정 기능이 다시 수행된 다음,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서 재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과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에서 재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이 다시 비교되도록 하는 결로방지 운전이 수행된다.
상기 결로방지 운전은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서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이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에서 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보다 큰 경우가 될 때까지 지속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서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이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에서 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의 개도율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하강되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5)의 개도율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상승된 상태로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공기청정 기능이 다시 수행된 다음,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184)에서 재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과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188)에서 재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이 다시 비교되도록 함으로써, 미리 설정된 온도차 범위 내에서 운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됨으로써, 추운 겨울에도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결로방지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가 상기 라이너 부재(110)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 부재(110)와 상기 스페이서 부재(1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탄소페이퍼를 포함하여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가 미생물, 이물질, 오염물질, 곰팡이 등의 오염에도 강하고, 이물질, 오염물질, 포름알데히드, 냄새유발물질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능력이 향상되며,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고, 투습률이 높아 잠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그 수명이 길고 그 재생능력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열교환소자의 표면과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공기 유로의 중앙부에서도 열전달 또는 습기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케이싱 부재(160)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와, 상기 파티션 부재(171, 172, 173, 174)와,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가 열리면서,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내기도입 챔버(162),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189), 상기 외기도입 챔버(161),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 및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163)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기가 경유하기 위한 별도의 헤파필터를 더 설치할 필요없이 기설치되어있는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이용하여,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150)가 공기청정 기능의 수행 시에도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공기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100)를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환원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에 의하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공기청정 기능의 수행 시에도 설치대상물의 내부공기가 전열교환소자를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미생물, 이물질, 오염물질, 곰팡이 등의 오염에도 강하고, 이물질, 오염물질, 포름알데히드, 냄새유발물질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흡착능력이 향상되며, 열전도도가 우수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고, 투습률이 높아 잠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며, 그 수명이 길고 그 재생능력도 우수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110 : 라이너 부재
120 : 스페이서 부재
150 :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151 : 배기팬
152 : 공급팬
153 : 제어부
160 : 케이싱 부재
161 : 외기도입 챔버
162 : 내기도입 챔버
163 : 내외기공급 챔버
164 : 내기배출 챔버
165 : 외기도입 덕트 소켓
166 : 내기도입 덕트 소켓
167 : 내외기공급 덕트 소켓
168 : 내기배출 덕트 소켓
171 :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
172 : 내기입출 파티션 부재
173 : 내외공급내배출 파티션 부재
174 : 외도입내배출 파티션 부재
180 :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
181 :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
182 : 외기도입측 헤파필터
183 : 외기도입측 프리필터
184 :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
185 :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186 : 내기도입측 프리필터
187 :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188 :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
189 :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Claims (7)

  1.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로서,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케이싱 부재;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유해물질이 흡착될 수 있도록 탄소섬유성분과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및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부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면을 연결하는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전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외기도입 챔버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내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내기도입 챔버와, 상기 외기도입 챔버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외기공급 챔버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기배출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 챔버로부터 상기 외기도입 챔버로 유동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유동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가 열리면서,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의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내기도입 챔버,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상기 외기도입 챔버,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 및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로 환원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대해 상기 내기도입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 대해 상기 내외기공급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내기배출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 및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외기도입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외부공기의 도입없이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및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는 열리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와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는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가 상기 외부공기의 도입과 함께 상기 설치대상물의 실내에 대한 공기청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내기도입측 온오프 댐퍼,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상기 내외기공급측 온오프 댐퍼 및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는 열리고, 상기 내기배출측 온오프 댐퍼는 닫힌 상태가 되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와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의 비례제어에 의해,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로 유입되는 상기 내부공기와 상기 외부공기의 혼합비율이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는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서 상기 내기도입 챔버로 유입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온습도를 감지하는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
    상기 외기도입 챔버로부터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로 인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해주는 외기도입측 프리필터;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를 경유하며 필터링된 공기를 재차 필터링해주는 외기도입측 헤파필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측 프리필터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측 헤파필터의 표면, 상기 외기도입 챔버의 내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는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이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의 개도율은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상승되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의 개도율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하강된 상태로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공기청정 기능이 다시 수행된 다음,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에서 재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과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에서 재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이 다시 비교되도록 하는 결로방지 운전이 수행되고,
    상기 결로방지 운전은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이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보다 큰 경우가 될 때까지 지속 수행되고,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이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에서 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보다 큰 경우,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의 개도율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하강되고 상기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의 개도율은 상기 미리 설정된 개도 변경값만큼 상승된 상태로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공기청정 기능이 다시 수행된 다음, 상기 외기도입측 표면온도센서에서 재감지된 감지표면온도값과 상기 내기도입측 온습도센서에서 재감지된 감지온습도값에 대응되는 노점온도와 상기 미리 설정된 보상값의 합이 다시 비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5. 케이싱 부재와,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유해물질이 흡착될 수 있도록 탄소섬유성분과 활성탄소섬유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와,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부 사이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면을 연결하는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부와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부 사이의 공간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설치대상물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외기도입 챔버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에서 유입되는 내부공기가 인입되는 공간인 내기도입 챔버와, 상기 외기도입 챔버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외기공급 챔버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상기 내부공기가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로 유출되기 위해 경유되는 공간인 내기배출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파티션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 챔버와 상기 내기도입 챔버가 구획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재의 내면과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의 외면을 연결시키는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적용되는 가변 댐퍼로서,
    상기 가변 댐퍼는
    상기 내외기도입 파티션 부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기도입 챔버로부터 상기 외기도입 챔버로 유동되는 상기 내부공기의 유동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 및
    상기 설치대상물의 외부에 대해 상기 외기도입 챔버를 개폐시킬 수 있는 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내외기도입측 가변 댐퍼는
    댐퍼 케이스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개도 조절 돌출체와,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와 이루는 간격이 가변되는 개도 조절 회전체와,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를 회전시켜줄 수 있는 회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도 조절 돌출체는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로부터 원형 링 형태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 몸체와,
    상기 돌출 몸체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벽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 테이퍼체를 포함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는
    상기 돌출 몸체의 최고점으로부터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벽까지 상기 돌출 테이퍼체와 대면되도록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연결되되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부까지 소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댐퍼 케이스의 외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수축 테이퍼체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로부터 연장되는 개도 조절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에 점진적으로 내삽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상기 돌출 테이퍼체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되고,
    상기 개도 조절 회전축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 의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개도 조절 회전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가 상기 돌출 테이퍼체로부터 점진적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됨으로써,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와 상기 돌출 테이퍼체 사이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넓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댐퍼.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테이퍼체와 상기 회전 확장 테이퍼체는 서로 면대면으로 대면되면서 상기 댐퍼 케이스의 내부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댐퍼.
KR1020230047318A 2023-04-11 2023-04-11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KR102595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318A KR102595807B1 (ko) 2023-04-11 2023-04-11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318A KR102595807B1 (ko) 2023-04-11 2023-04-11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807B1 true KR102595807B1 (ko) 2023-10-31

Family

ID=885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318A KR102595807B1 (ko) 2023-04-11 2023-04-11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8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27B1 (ko) * 2006-03-29 2007-06-13 신일산 환기장치용 축열식 전열교환기
KR101521875B1 (ko) * 2014-11-28 2015-05-20 오충록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20180051179A (ko)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KR102160260B1 (ko) * 2019-05-27 2020-09-28 타이톤코리아(주) 무덕트 전열교환기
KR102195857B1 (ko) * 2020-06-03 2020-12-28 은성화학(주) 내부순환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227B1 (ko) * 2006-03-29 2007-06-13 신일산 환기장치용 축열식 전열교환기
KR101521875B1 (ko) * 2014-11-28 2015-05-20 오충록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20180051179A (ko)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열교환기
KR102160260B1 (ko) * 2019-05-27 2020-09-28 타이톤코리아(주) 무덕트 전열교환기
KR102195857B1 (ko) * 2020-06-03 2020-12-28 은성화학(주) 내부순환 공기청정모드를 갖는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148B1 (ko) 환기장치
KR102151091B1 (ko) 음압 격리 병실 내 살균시스템
KR101521875B1 (ko) 실내외 공기를 혼합하여 열교환 환기하는 열교환 환기장치
KR101513650B1 (ko) 결로방지와 화재연동이 가능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87901B1 (ko) 환기장치
CN112303787A (zh) 新风系统
WO2020045002A1 (ja) 熱交換型換気扇
KR102392786B1 (ko) 컴팩트형 열회수 환기장치의 외기온도기반 자동 제어방법
KR101652214B1 (ko) 환기장치
CN115111671A (zh) 用于除湿的装置
CN112303788A (zh) 新风系统的湿度控制方法
KR102595807B1 (ko)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및 상기 유해물질 흡착형 탄소 전열교환소자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에 포함되는 가변 댐퍼
KR102319067B1 (ko) 복수 개 실내 정풍량 급배기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CN101173806B (zh) 吸附体及具备吸附体的调湿装置以及空调机的室内机
KR20230089612A (ko) 탈취 및 향균 기능을 갖는 광 촉매 및 환경 적응적 배기량 조절이 가능한 전동 댐퍼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KR20220013515A (ko) 자연환기방식과 기계환기방식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102440767B1 (ko) 필터링 장치
KR102200728B1 (ko) 흡기 및 배기 혼합 방지 기능을 갖는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100531084B1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102011743B1 (ko) 용량 가변형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KR100745016B1 (ko) 에너지 절약과 축열재의 수명 연장을 가능하게 하는환기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178646A1 (en) Filtration device
JP2007029928A (ja) 空気清浄機
KR102186962B1 (ko) 인공지능을 갖는 스마트 청정 배기 굴뚝 시스템
KR20050110253A (ko)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