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633B1 -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633B1
KR102595633B1 KR1020230043136A KR20230043136A KR102595633B1 KR 102595633 B1 KR102595633 B1 KR 102595633B1 KR 1020230043136 A KR1020230043136 A KR 1020230043136A KR 20230043136 A KR20230043136 A KR 20230043136A KR 102595633 B1 KR102595633 B1 KR 10259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jack
replacing
bridge
load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지훈
Original Assignee
문지훈
주식회사 다인건설
다인건설 주식회사
(주)엠제이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훈, 주식회사 다인건설, 다인건설 주식회사, (주)엠제이에이치 filed Critical 문지훈
Priority to KR102023004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6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46Combinations of several jacks with means for interrelating lifting or lower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은,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유압잭 및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면 외주연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은, a) 지지브라켓 고정 결합단계; b) 유압잭 설치단계; c) 유압잭 잭업단계; d) 교좌장치 보수 또는 교체단계; e) 고정브라켓 고정 결합단계; 및 f) 방청처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Hydraulic jack for bridge seat replacement and method for replacing bridge se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된 교좌장치 교체시 유압잭 설치를 위한 브라켓을 교각 또는 교대의 측면에 설치하여 유압잭의 설치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구조물의 시공은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에 강재로 이루어진 거더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상부 슬리브를 설치하여 교량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이와 같은 교량 구조물은 대게 상부 슬리브와 거더를 포함하는 상부구조물 및 하부의 교대 또는 교각의 상부면 사이에 교좌장치 등으로 불리우는 교량 받침(Bearing, Shoes)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하부구조물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충격 및 수평변위를 흡수하는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교량받침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인명사고와 직결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보수해야 한다.
한편, 기설된 교량 구조물의 교량받침을 교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유압잭을 설치하고 상부구조물을 인상한 후, 기존의 교량받침을 교하거나 보수하는 방식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량받침 교체방법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의 사이 공간이 협소하여 유압잭을 설치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38155호(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보수방법, 2005.12.21. 공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52495호(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지지인상방법, 2004.10.15. 공고)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003990호(교좌장치 보수용 교량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인상방법, 2019.07.25.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유압잭의 설치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여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기설된 교량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시공할 수 있는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좌장치의 변위 특성에 따라 유압잭의 잭업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를 증진시킴은 물론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은,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있어서, 평활면을 갖는 제1상협부(12)와, 상기 제1상협부(12)와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1하광부(14)와, 상기 제1상협부(12)의 각 양측단에서 제1하광부(14)까지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16)와, 상기 제1하광부(14)의 각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표면에 다수의 볼트공(18a)이 형성된 연장부(18)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한 삽입공으로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통실린더와, 상기 몸통실린더 내에서 출몰되는 피스톤(22)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압잭(20); 및 평활면을 갖는 제2상협부(32)와, 상기 제2상협부(32)와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2하광부(34)와, 상기 제2상협부(32)의 각 양측단에서 제2하광부(34)까지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36)와, 상기 제2경사부(36)의 내측면에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절개부(38)와, 상기 절개부(38)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38a)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고정브라켓(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30)의 하단부가 유압잭(2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상단부에 밀착 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의하면,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있어서,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한 삽입공으로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통실린더와, 상기 몸통실린더 내에서 출몰되는 피스톤(22')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압잭(20'); 및 상기 유압잭(20')을 중앙에 두고 그 양측에 상기 유압잭(20')의 최대 하중 축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각 양단에는 하기 높이조절볼트가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측부판(42)과, 상기 측부판(4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에 상응하는 하부면 각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볼트(44a)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44)로 구성되어 있는 낙교방지스토퍼(40);를 포함하고, 상기 낙교방지스토퍼(40)는 유압잭(20')의 상하왕복 동작에 따라 상기 삽입공으로 높이조절볼트(44a)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유압잭과 함께 유기적인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실시형태 또는 제2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상기 유압잭(20,20')은 하중측정유닛(24)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측정유닛(24)은 교량(70)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와, 상기 하중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중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7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키는 충격상쇄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중계는 측정한 하중 값에 기초하여 교량의 인상 높이 및 가중치 적용 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을 토대로 상기 유압잭(20,20')의 잭업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의하면,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박스브라켓(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박스브라켓(50)의 내측면 중앙에 유압잭(20)이 설치되고, 상기 박스브라켓(50)의 상부에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덮개(6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의하면, 상기 박스브라켓(5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구된 본체부(51);와, 상기 본체부(51)의 전면부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일정크기를 갖고 요입 형성된 요입부(52);와, 상기 요입부(52)의 하부에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본체 관통부(53);와, 상기 본체부(51)의 각 양측면에 한 쌍이 평행하게 형성된 본체부 장공(54);과, 상기 본체부(51)의 후면부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55)는 양쪽 하부 일측에 한 쌍의 볼트공(56)이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천공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부(51)의 하부면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55)의 하부 끝단까지 연장되는 지지판(57)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의하면, 상기 덮개(60)는, 최상부에 배치되는 몸체(62);와, 상기 몸체(62)의 하부 전면측과 후면측에 형성되되 전면측은 덮개 관통부(63)가 각각 형성되도록 양분되는 격판(64);과, 상기 몸체(62)의 하부 전면측과 후면측에 형성된 격판(64)의 양쪽 각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좌우측판(66);과, 상기 좌우측판(66)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덮개 장공(68);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은, a)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부에 지지브라켓(10)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지지브라켓(10) 상면에 유압잭(2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유압잭(20)을 잭업하여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d) 해당 위치에 설치된 교좌장치(80)를 보수 또는 교체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를 통해 일정 높이에 위치한 유압잭(20)의 외주면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유압잭(20)의 상단부에 고정브라켓(30)의 단턱(38a)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지지브라켓(10) 및 고정브라켓(30)의 표면을 방청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은, a)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부에 박스브라켓(50)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박스브라켓(50) 내측면 중앙에 유압잭(2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박스브라켓(50) 상단에 덮개(6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의 박스브라켓(50) 내에 설치된 유압잭(20)을 잭업하여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c)단계의 덮개(60)가 고정되도록 박스브라켓(50)의 측면부에 형성된 본체부 장공(54)으로 볼트(B)를 삽입시켜 너트(N)로 체결시키는 단계; f) 상기 e)단계 이후. 박스브라켓(50) 내에 설치된 유압잭(20)을 해체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 이후, 박스브라켓(50) 및 덮개(60)의 표면을 방청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의하면,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하여 고정부를 확보하고, 그 시공과정의 일체화로 인하여 공사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유압잭 잭킹 기준의 정확한 설정으로 작업 효율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의하면, 기설된 교량 구조물의 손상 내지 파손을 최소화함으로써 교량에 대한 지속적이고 경제적인 유지관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교좌장치의 변위 특성에 따라 유압잭의 잭업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정밀도를 증진시킴은 물론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의 인상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의 인상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의 인상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에 하중측정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자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얼마든지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측단면도 등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다소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들에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및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및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또는/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은,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키기 위해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유압잭(20) 및 상기 유압잭(20)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외주연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브라켓(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0)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또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평활면을 갖는 제1상협부(12)와, 상기 제1상협부(12)와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1하광부(14)와, 상기 제1상협부(12)의 각 양측단에서 제1하광부(14)까지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1경사부(16)와, 상기 제1하광부(14)의 각 양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그 표면에 다수의 볼트공(18a)이 형성된 연장부(1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앞서 설명한 지지브라켓(10)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또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평활면을 갖는 제2상협부(32)와, 상기 제2상협부(32)와 일정간격을 두고 하부에 형성되는 제2하광부(34)와, 상기 제2상협부(32)의 각 양측단에서 제2하광부(34)까지 각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경사부(36)와, 상기 제2경사부(36)의 내측면에 타원형상으로 형성된 절개부(38)와, 상기 절개부(38)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38a)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잭(20)은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한 삽입공으로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통실린더 및 상기 몸통실린더 내에서 출몰되는 피스톤(22)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잭(20,20')은 하중측정유닛(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하중측정유닛(24)은 교량(70)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 상기 하중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하중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7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키는 충격상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중계는 측정한 하중 값에 기초하여 교량의 인상 높이 및 가중치 적용 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을 토대로 상기 유압잭(20,20')의 잭업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교좌장치의 변위 특성에 따라 유압잭의 잭업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을 정밀도를 증진시키고 시공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의 인상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은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10'), 유압잭(20') 및 낙교방지스토퍼(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0')은 측면상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하부 가장자리 양측에는 볼트공이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천공된다.
상기 유압잭(20')은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한 삽입공으로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통실린더와, 상기 몸통실린더 내에서 출몰되는 피스톤(2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낙교방지스토퍼(40) 유압잭(20')을 중앙에 두고 그 양측에 상기 유압잭(20')의 최대 하중 축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각 양단에는 하기 높이조절볼트가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측부판(42)과, 상기 측부판(4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에 상응하는 하부면 각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볼트(44a)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44)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낙교방지스토퍼(40)는 유압잭(20')의 상하왕복 동작에 따라 상기 삽입공으로 높이조절볼트(44a)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유압잭과 함께 유기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유압잭 불량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지압면적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일체형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은, a)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부에 지지브라켓(10)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지지브라켓(10) 상면에 유압잭(2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유압잭(20)을 잭업하여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d) 해당 위치에 설치된 교좌장치(80)를 보수 또는 교체하는 단계; e) 상기 c)단계를 통해 일정 높이에 위치한 유압잭(20)의 외주면을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유압잭(20)의 상단부에 고정브라켓(30)의 단턱(38a)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지지브라켓(10) 및 고정브라켓(30)의 표면을 방청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볼트(B)로 부착하여, 교량(70)의 상부구조물 및 교좌장치(80)를 인상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b)단계는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에 교량(70)의 상부구조물 및 교좌장치(80)를 인상시키기 위해 잭업(jack-up)을 하는 유압잭(2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c)단계는 유압잭 설정단계로서, 교량(70)의 상부구조물 및 교좌장치(80)를 일정 높이로 인상시키기 위해 잭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d)단계에서는 유압잭(20)의 잭업이 진행된 상태에서 교좌장치(80)를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일련의 교량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e)단계에서는 교량(70)에 요구되는 유지보수 작업 후, 잭업이 설정된 유압잭(20)을 고정브라켓(30)으로 감싸 영구 설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유압잭(20)의 외주면을 고정브라켓(30)의 절개부(38)로 둘러싸면서 유압잭(20)의 상단부를 고정브라켓(30)의 단턱(38a)에 밀착 고정시킨다.
마지막 단계인 상기 f)단계에서는 지지브라켓(10) 및 고정브라켓(30)의 표면을 방청처리하여 수분으로 인한 녹 발생을 억제하며, 필요한 경우 도색작업 등을 병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브라켓(10)을 대체하여 교각(100) 또는 교대(90)의 측면에 고정 부착되는 박스브라켓(50)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의 인상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의 인상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의 인상 후, 설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박스브라켓(50)은 내측면 중앙에 유압잭(20)이 설치되고, 상기 박스브라켓(50)의 상부에는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덮개(6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박스브라켓(5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개구된 본체부(51), 상기 본체부(51)의 전면부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일정크기를 갖고 요입 형성된 요입부(52), 상기 요입부(52)의 하부에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본체 관통부(53), 상기 본체부(51)의 각 양측면에 한 쌍이 평행하게 형성된 본체부 장공(54) 및 상기 본체부(51)의 후면부에 하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부(55)는 양쪽 하부 일측에 한 쌍의 볼트공(56)이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천공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부(51)의 하부면에 일측이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55)의 하부 끝단까지 연장되는 지지판(57)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60)는 최상부에 배치되는 몸체(62), 상기 몸체(62)의 하부 전면측과 후면측에 형성되되 전면측은 덮개 관통부(63)가 각각 형성되도록 양분되는 격판(64), 상기 몸체(62)의 하부 전면측과 후면측에 형성된 격판(64)의 양쪽 각 측면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좌우측판(66) 및 상기 좌우측판(66)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덮개 장공(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분리형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을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은, a)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부에 박스브라켓(50)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박스브라켓(50) 내측면 중앙에 유압잭(20)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박스브라켓(50) 상단에 덮개(6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의 박스브라켓(50) 내에 설치된 유압잭(20)을 잭업하여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 이후, 상기 c)단계의 덮개(60)가 고정되도록 박스브라켓(50)의 측면부에 형성된 본체부 장공(54)으로 볼트(B)를 삽입시켜 너트(N)로 체결시키는 단계; f) 상기 e)단계 이후. 박스브라켓(50) 내에 설치된 유압잭(20)을 해체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 이후, 박스브라켓(50) 및 덮개(60)의 표면을 방청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단계는 교량(70)의 상부구조물을 인상시키기 위해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볼트(B)로 박스브라켓(50)을 고정 결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b)단계에서는 박스브라켓(50)의 내측면 중앙에 유압잭(20)을 설치하고, 상기 c)단계에서는 유압잭(20)의 상면과 박스브라켓(50)의 상단을 덮개(60)로 덮는다. 즉, 상기 a)단계의 박스브라켓(50) 상단에 덮개(60)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d)단계에서는 박스브라켓(50) 내에 설치된 유압잭(20)을 잭업하여 교량(70)의 상부구조물이나 교좌장치(80)의 보수를 위해 일정 높이로 유압잭(20)을 설정한다.
상기 e)단계에서는 유압잭(20)이 일정 높이로 설정되면 덮개(60)가 고정되도록 박스브라켓(50)의 측면부에 형성된 본체부 장공(54)으로 볼트(B)를 삽입시켜 너트(N)로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덮개(60)가 고정되면 박스브라켓(50) 내에 설치된 유압잭(20)을 박스브라켓(50)으로부터 해체시킨다.
마지막 단계인 g)단계에서는 박스브라켓(50) 및 덮개(60)의 표면을 방청처리하여 수분으로 인한 녹 발생을 억제하며, 필요한 경우 도색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B : 볼트 N : 너트
10,10' : 지지브라켓 12 : 제1상협부
14 : 제1하광부 16 : 제1경사부
18 : 연장부 18a : 볼트공
20,20' : 유압잭 22,22' : 피스톤
24 : 하중측정유닛 30 : 고정브라켓
32 : 제2상협부 34 : 제2하광부
36 : 제2경사부 38 : 절개부
38a : 단턱 40 : 낙교방지스토퍼
42 : 측부판 44 : 지지플레이트
44a : 높이조절볼트 50 : 박스브라켓
51 : 본체부 52 : 요입부
53 : 본체 관통부 54 : 본체부 장공
55 : 지지부 56 : 볼트공
57 : 지지판 60 : 덮개
62 : 몸체 63 : 덮개 관통부
64 : 격판 66 : 좌우측판
68 : 덮개 장공 70 : 교량
80 : 교좌장치 90 : 교대
100 : 교각

Claims (10)

  1. 삭제
  2. 교대(90) 또는 교각(1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에 있어서,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브라켓(10');
    상기 지지브라켓(10')의 상면 중앙부에 형성한 삽입공으로 하부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몸통실린더와, 상기 몸통실린더 내에서 출몰되는 피스톤(22')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압잭(20'); 및
    상기 유압잭(20')을 중앙에 두고 그 양측에 상기 유압잭(20')의 최대 하중 축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각 양단에는 하기 높이조절볼트가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측부판(42)과, 상기 측부판(4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공에 상응하는 하부면 각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높이조절볼트(44a)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44)로 구성되어 있는 낙교방지스토퍼(40);를 포함하고,
    상기 낙교방지스토퍼(40)는 유압잭(20')의 상하왕복 동작에 따라 상기 삽입공으로 높이조절볼트(44a)가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유압잭과 함께 유기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잭(20')은 하중측정유닛(24)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측정유닛(24)은 교량(70)에 대한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계와, 상기 하중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중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교량(7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키는 충격상쇄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하중계는 측정한 하중 값에 기초하여 교량의 인상 높이 및 가중치 적용 값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값을 토대로 상기 유압잭(20')의 잭업 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43136A 2023-03-31 2023-03-31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KR10259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36A KR102595633B1 (ko) 2023-03-31 2023-03-31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3136A KR102595633B1 (ko) 2023-03-31 2023-03-31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633B1 true KR102595633B1 (ko) 2023-10-30

Family

ID=8855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3136A KR102595633B1 (ko) 2023-03-31 2023-03-31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6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90A (ko) 2001-06-28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기판의 오버레이 측정방법
KR100452495B1 (ko) 2003-04-23 2004-10-15 노윤근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및 이를이용한 지지인상방법
KR20040107597A (ko) * 2003-06-05 2004-12-23 문지훈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KR100538155B1 (ko) 2005-09-22 2005-12-21 (주)부흥시스템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보수방법
KR101170463B1 (ko) * 2012-02-10 2012-08-07 주식회사 다인건설 하중 측정 기능을 갖는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구조
KR102416951B1 (ko) * 2022-05-16 2022-07-05 (주)국민산업 지지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제어 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990A (ko) 2001-06-28 2003-0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기판의 오버레이 측정방법
KR100452495B1 (ko) 2003-04-23 2004-10-15 노윤근 교량상부구조물 보수보강용 지지인상브라켓 및 이를이용한 지지인상방법
KR20040107597A (ko) * 2003-06-05 2004-12-23 문지훈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KR100538155B1 (ko) 2005-09-22 2005-12-21 (주)부흥시스템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보수방법
KR101170463B1 (ko) * 2012-02-10 2012-08-07 주식회사 다인건설 하중 측정 기능을 갖는 구조물 내하력 증진 보강구조
KR102416951B1 (ko) * 2022-05-16 2022-07-05 (주)국민산업 지지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제어 교량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6205B (zh) 一种无衬里钢制穹顶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JP6763010B2 (ja) 斜張橋、および斜張橋の架設方法
CN203947771U (zh) 一种贝雷梁悬吊模板支撑体系
KR101248838B1 (ko) 교량 상판의 인상용 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 공법
KR100707312B1 (ko) 안전강화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인상 및 보수방법
KR20000049955A (ko) 교량의 내하력이 조정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내하력 조정방법
KR101245594B1 (ko) 교량 상부 구조물 인상장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인상방법
KR102595633B1 (ko)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US8584963B2 (en) Support structure
KR100977061B1 (ko) 교량의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인상장치가 부설된 피시빔 주형 복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인상 및 인장보수보강공법
CN114855991A (zh) 一种适用于大跨度拱形钢结构建筑的合拢方法
KR20190041131A (ko) 교량 상판 인상 시스템
CN110271949B (zh) 核岛环吊的环梁和环轨安装工艺
JP6028984B2 (ja) 橋脚の交換方法
CN104452624B (zh) 圆台形可调高度护栏固定帽及其使用方法
CN104404975B (zh) 通用型五点支撑压重式塔机基础及施工方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CN209907206U (zh) 一种哑铃形拱肋安装的辅助装置
CN104033166A (zh) 一种隧道衬砌台车的门架系统
KR20070111435A (ko) 교량 교좌장치 교체보수용 피시빔 인상장치 및 방법
CA2968182A1 (en) Tank car top platform assembly closure plate
CN113417211A (zh) 一种可调节高度的双液压式自平衡顶推受压辅助装置
CN208685808U (zh) 一种液压顶升倒装结构
KR100477387B1 (ko) 교좌장치 교체용 유압잭 및 이를 이용한 교좌장치 교체방법
CN207419287U (zh) 一种用于更换桥梁支座的钢结构组合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