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477B1 -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477B1
KR102595477B1 KR1020210068774A KR20210068774A KR102595477B1 KR 102595477 B1 KR102595477 B1 KR 102595477B1 KR 1020210068774 A KR1020210068774 A KR 1020210068774A KR 20210068774 A KR20210068774 A KR 20210068774A KR 102595477 B1 KR102595477 B1 KR 102595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housing
monitoring device
control board
intracorpo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748A (ko
Inventor
강익주
안혁
한창훈
Original Assignee
(주)위드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드메디컬 filed Critical (주)위드메디컬
Priority to KR1020210068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7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18Balloon inflating or inflation-control devices
    • A61M25/10184Mean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inflation or deflation
    • A61M25/10187Indicators for the level of inflation or deflation
    • A61M25/10188Inflation or deflation data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61B5/0215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venous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by means introduced into body 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61B5/6853Catheters with a ballo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를 통과시키며 선단부에 벌룬카테터가 장착 가능한 도관, 상기 도관을 부분적으로 수용 고정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카트리지와; 상기 도관 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유니트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센서유니트와 접속되는 제어기판, 제어기판을 통해 센서유니트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 제어기판과 접속되고 온오프신호를 발생하는 버튼을 갖는 본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체내에 삽입된 벌룬 카테터의 벌룬의 팽창 압력을 디지털 방식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안전한 수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체 주입용 도관을 갖는 카트리지가 본체와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 카트리지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염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Body pressure monitor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body fluid injection}
본 발명은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에 약액이나 공기 등의 유체를 주입할 때 체내의 압력 상승을 모니터링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술이나 시술 시 환자의 바이탈 사인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바이탈 사인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바이탈 사인 중, 압력 데이터는, 체내의 수분 상태나 심장 상황 등을 보여줌으로서 쇼크를 방지하고 수액 약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가령, 중심 정맥압 데이터는, 신체의 수분 상태와 우심실 기능에 대한 정보는 물론, 증가된 혈액의 양을 견디는 심장의 능력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준다.
중심 정맥압 이외에도, 동맥압이나 척수압 또는 복강내압 등을 지속적으로 측정 및 기록하여야 하는데, 종전에는, 압력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전용 기구가 없어 항상 마노미터를 사용하여야 하였다. 마노미터는 측정에만 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며 취급이 번거롭고 불편하다.
한편, 척추관련 수술에는 벌룬 카테터가 많이 사용된다. 벌룬 카테터는, 내부에 다수의 유체 통로를 갖는 가요성 관으로서 선단부에 벌룬을 갖는다. 벌룬은 외부로부터 압입된 유체의 힘을 받아 팽창하여, 예를 들어, 좁아진 혈관을 넓히거나, 골절된 척추뼈 내에 공간을 확보 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벌룬 카테터는, 외과적 수술에 참여하여 수술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벌룬 카테터를 사용하는 데에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그 것은, 체내에 삽입되어 있는 벌룬의 팽창 정도를, 사용자의 경험이나 감각에 의존해서 조절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벌룬 카테터는, 그 사용 목적 상, 혈관이나 장기 내부의 공간을 넓히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부피가 지나치게 커질 경우, 혈관이나 조직을 찢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9641호 (경막외공간 인지 탐지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체내에 삽입된 벌룬 카테터의 벌룬의 팽창 압력을 디지털 방식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유체 주입용 도관을 갖는 카트리지가 본체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를 통과시키며 선단부에 벌룬카테터가 장착 가능한 도관, 상기 도관을 부분적으로 수용 고정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카트리지와; 상기 도관 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유니트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센서유니트와 접속되는 제어기판, 제어기판을 통해 센서유니트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 제어기판과 접속되고 온오프신호를 발생하는 버튼을 갖는 본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케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노출창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케이스, 프론트케이스와 결합하는 리어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리어케이스에는 하우징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개방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제어기판과 접속되고 도관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날 때 작동하는 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제어기판과 접속되며 도관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날 때 작동하는 음향발생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도관을 수용하되 도관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키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전방하우징에는, 리어케이스의 개방통로에 끼워지는 단자홀더가 형성되며, 단자홀더에는 케이스와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에는, 본체에 카트리지를 결합할 때, 상호 암수 결합하며 결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위치돌기 및 정위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관은, 선단부의 직경이 후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고,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메인통로와, 메인통로를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측부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센서유니트는; 도관의 측부통로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플러그, 고정플러그에 장착되며 메인통로의 내압을 센싱하는 센서모듈, 고정플러그에 결합하고 센서모듈과 접속되는 커넥팅바디, 커넥팅바디와 제어기판을 연결하는 접속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은; 커넥팅바디에 접속되는 제1단자와, 상기 단자홀더의 연통구멍에 고정되고, 본체에 카트리지를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 내부의 제어기판에 접속되는 제2단자와,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관의 외주면에는, 측부통로를 그 내부영역에 포함하고 고정플러그를 수용 지지하는, 플러그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러그홀더의 내부에는, 측부통로를 밀폐하되 도관의 내압 상승 시 플러그홀더측으로 밀려 나오는 연질막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유니트는; 제어기판에 접속되며,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결합할 때, 플러그홀더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플러그와, 고정플러그에 고정되고 연질막에 접하며 연질막의 변형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체내에 삽입된 벌룬 카테터의 벌룬의 팽창 압력을 디지털 방식으로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안전한 수술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유체 주입용 도관을 갖는 카트리지가 본체와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 카트리지를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염 등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가 적용된 유체 주입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압력 모니터링 장치의 본체와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본체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도관과 센서유니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도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도관 후단부에 연결 할 수 있는 밸브를 시린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도관 후단부에 장착할 수 있는 어뎁터와 시린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를 통과시키며 선단부에 벌룬카테터가 장착 가능한 도관, 상기 도관을 부분적으로 수용 고정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카트리지와; 상기 도관 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유니트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센서유니트와 접속되는 제어기판, 제어기판을 통해 센서유니트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 제어기판과 접속되고 온오프신호를 발생하는 버튼을 갖는 본체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30)가 적용된 유체 주입장치(10)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압력 모니터링 장치의 본체와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본체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30)는, 시린지(11) 및 벌룬카테터(12)와 함께 사용된다. 시린지(11)는 후술할 도관(65)에 유체, 즉, 공기를 압입하는 역할을 한다. 벌룬카테터(12)는 선단부가 체내의 목적 지점에 도달하여 도달 부분에 공간을 형성한다.
벌룬카테터(12)에 대한 설명은 참고로 하면 아래와 같다. 벌룬카테터(12)는, 팽창유체주입부(12a), 약액주입부(12d), 플렉시블튜브(12k), 벌룬시트(12m)를 갖는다.
팽창유체주입부(12a)는 도관(65) 선단부의 결합돌기(65b)에 나사식으로 결합하며 도관(65)을 통과한 공기를 플렉시블튜브(12k) 측으로 유도한다. 팽창유체주입부(12a)와 도관(65)은 얼마든지 분리가 가능하다. 약액주입부(12d)는 외부로부터 주입된 약액을 플렉시블튜브(12k)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팽창유체주입부(12a)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캡(12f)으로 밀폐한다.
플렉시블튜브(12k)는 체내에 삽입되는 가요성 부재로서 내부에, (상호 분리되며 평행한) 약액통로(미도시)와 공기통로(미도시)를 갖는다. 약액통로는 플렉시블튜브의 선단부 전방 외부로 개방된 통로로서, 약액주입부(12d)로 주입된 약액을 유도하여 체내의 환부에 도포되게 한다.
공기통로는 시린지(11)에서 공급된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가 벌룬시트(12m)를 팽창시키게 한다. 공기통로의 연장단부는 벌룬시트(12m)의 내측 공간으로 개방된다.
벌룬시트(12m)는 플렉시블튜브(12k)를 감싸는 탄성 시트로서, 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팽창하며 풍선의 형상를 취하고, 주변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테면 좁아진 혈관을 넓힌다거나, 본시멘트를 충전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벌룬카테터(12)의 구성과 작동 방식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압력모니터링장치(30)는, 본체(40), 센서유니트(70), 카트리지(60)를 구비한다. 본체(40)와 카트리지(60)는 분해 가능하도록 결합한 상태로 동작한다. 카트리지(60)는 일회용 제품으로서 한 번 사용한 후 폐기한다. 센서유니트(70)는 도관(65)의 내압을 센싱하여 후술할 제어기판(44)으로 전달한다.
본체(40)에 대한 카트리지(60)의 결합을 용이하게 유도하고, 또한 결합된 상태의 본체(40)와 카트리지(60)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본체(40)와 카트리지(60)에는 상호 대응하는 정위치돌기와 정위치홈이 형성된다. 정위치돌기 및 정위치홈은, 본체에 카트리지를 결합할 때, 상호 암수 결합하며 결합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본체(40)에 마련되어 있는 정위치돌기(46b)는, 본체(40)의 후면(카트리지(60)와 결합하는 면) 좌우측에 위치하고, 카트리지(60)의 정위치홈(61e)에 끼워진다. 또한 카트리지(60)의 정위치돌기(61b)는 본체(40)의 정위치홈(46d)에 끼워진다.
한편, 카트리지(60)는 하우징(68)과 도관(65)을 포함한다. 하우징(68)은 상호 결합한 상태로 도관(65)의 중앙부분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전방하우징(68a)과 후방하우징(68b)을 갖는다. 도관(65)은 하우징(68)에 지지된 상태로, 선단부와 후단부가 하우징(68) 외부로 돌출된다.
전방하우징(68a)은 본체(40)에 밀착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정위치돌기(61b), 정위치홈(61e), 단자홀더(61d), 홀딩홈(61f)을 갖는다. 단자홀더(61d)는 본체(40)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로서 연통구멍(61c)을 갖는다. 단자홀더(61d)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단자(71f)를 수용한 상태로 개방통로(도 4의 46a)에 끼워진다. 제2단자(71f)는 케이스(48)의 내부로 돌출되며 후술하는 제어기판(44)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연통구멍(61c)은 케이스(48)와 하우징(68)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구멍으로서, 제2단자(71f)를 수용 고정한다. 홀딩홈(61f)은 반원형 홈으로서 도관(65)의 외주면에 접한다.
후방하우징(68b)은 전방하우징(68a)에 결합함으로써, 도관(65)이 전방하우징(68a)과 후방하우징(68b)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후방하우징(68b)에는 도관(65)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반원형의 홀딩홈(63b)이 형성된다.
도관(65)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투명한 중공파이프형 부재로서, 선단부의 직경이 후단부의 직경보다 작게 테이퍼진 형상을 취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도관(65)의 선후단부는 하우징(68)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관(65)의 선후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산 역할을 하는 결합돌기(65b)가 형성되어 있다. 벌룬카테터(12)와 시린지(11)는 결합돌기(65b)에 나사식으로 결합한다. 도관(65) 내부의 유체 통로는 메인통로(65a)이다.
또한 도관(65)에는 측부통로(65c)가 마련되어 있다. 측부통로(65c)는 메인통로(65a)를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통로이다. 측부통로(65c)에는 후술할 센서유니트(70)가 끼워진다. 센서유니트(70)는, 도관(65) 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40)는, 카트리지(60)와 결합된 상태로, 센서유니트(70)로부터 전달받은 압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본체(40)는, 케이스(48), 배터리(47), 제어기판(44), 디스플레이부(45), 버튼(43), 전면패널(42)을 구비한다.
케이스(48)는, 상호 결합하는 프론트케이스(48a)와 리어케이스(48b)로 구성된다. 프론트케이스(48a)의 중앙부에는 노출창(41b)이 마련되어 있다. 노출창(41b)은 디스플레이부(45)를 전방으로 개방하는 사각 통로이다. 사용자는 노출창(41b)을 통해 디스플레이부(45)의 출력 내용을 육안 확인할 수 있다.
노출창(41b)의 하부에는 버튼구멍(41c)이 마련되어 있다. 버튼구멍(41c)은 버튼(43)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버튼(43)은 버튼구멍(41c)과 관통구멍(42b)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다.
아울러 노출창(41b)의 상부에는 음향발생부(41e) 및 램프(41f)가 설치된다. 음향발생부(41e)와 램프(41f)는 제어기판(44)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음향발생부(41e)는 도관(65)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날 때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테면 도관(65)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보다 높게 올라갈 경우 음향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도관(65)의 내압을 하강하게 한다. 도관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 보다 높게 올라가면, 벌룬시트(12m)의 부피가 필요이상으로 지나치게 커져 (벌룬카테터가 혈관에 적용된 경우라면) 혈관이 터질 수 있다.
램프(41f)는 음향발생부(41e)와 마찬가지로 제어기판(44)과 접속되고, 도관(65)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날 때 작동한다. 램프(41f)로서 엘이디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램프(41f)는 도관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 상태일 경우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아울러 프론트케이스(48a)의 전면에는 패널수용부(41a)가 마련되어 있다. 패널수용부(41a)는 전면패널(42)이 끼워지는 공간이다. 음향발생부(41e)와 램프(41f)는 패널수용부(41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전면패널(42)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패널수용부(41a) 내에 밀착 고정된다. 전면패널(42)에는 다수의 관통구멍(42a,42b,42c,42d)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관통구멍(42a)은 디스플레이부(45)는 전방으로 개방하는 구멍이고, 하측의 관통구멍(42b)은 버튼(43)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또한 위쪽에 위치하는 관통구멍(42c,42d)은 음향발생부(41e)와 램프(41f)를 각각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리어케이스(48b)는 프론트케이스(48a)에 결합한 상태로 제어기판(44)과 디스플레이부(45)와 배터리(47)를 지지한다. 또한, 리어케이스(48b)에는 개방통로(46a)가 마련되어 있다. 개방통로(46a)는 단자홀더(61d)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48)와 하우징(68)을 완전히 결합하면, 단자홀더(61d)가 개방통로(46a)에 삽입되며, 이 때 제2단자(71f)가 제어기판(44)의 접속소켓(도 10의 44c)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터리(47)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제어기판(4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기판(44)은 배터리(47)의 전력을 받아, 센서유니트(70), 음향발생부(41e), 램프(41f), 디스플레이부(45)를 구동한다. 도면부호 44a는 스위칭부이다. 스위칭부(44a)는 버튼(43)에 의해 물리적으로 눌리는 부분이다. 버튼(43)을 눌러 스위칭부(44a)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스위칭부(44a)를 오프(off)시키면 배터리(47)의 전기공급이 차단되고, 온(on) 시키면 전력이 공급된다.
디스플레이부(45)는 엘씨디 패널로서, 센서유니트(7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즉, 도관(65) 내부의 압력을 출력한다.
한편, 센서유니트(70)는, 고정플러그(71), 센서모듈(71a), 커넥팅바디(71b),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도 6에 센서유니트(70)를 따로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플러그(71)는, 도관의 측부통로(65c)에 끼워져 측부통로(65c)를 막는 마개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센서모듈(71a)을 지지하여, 센서모듈(71a)이 메인통로(65a) 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즉, 센서모듈(71a)이 도관의 내부 압력에 반응하게 하는 것이다.
센서모듈(71a)은 압력을 센싱하는 일반적인 압력센서이다. 센서모듈(71a)이 감지한 압력 정보는 커넥팅바디(71b)로 전달된다. 또한, 커넥팅바디(71b)는 고정플러그(71)에 결합하는 부속으로서 접속수단과 연결된다.
접속수단은, 커넥팅바디(71b)와 제어기판(44)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제1단자(71c), 제2단자(71f), 케이블(71e)을 포함한다. 제1단자(71c)는 커넥팅바디(71b)에 끼워지고, 제2단자(71f)는 제어기판의 접속소켓(44c)에 끼워진다. 또한 케이블(71e)은 제1단자(71c)와 제2단자(71f)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결국 도관(65) 내부의 압력은 센서유니트(70)를 통해 제어기판(44)으로 전달된 후, 디스플레이부(45)를 통해 출력된다.
도 7은 상기한 도관(65)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측부통로(65c)의 반대편에 예비통로(65e)가 더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비통로(65e)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가령, 벌룬카테터(12)를 체내에 삽입할 때 사용하는 가이드와이어(미도시)를 예비통로(65e)를 통해 끼울 수 있다. 예비통로(65e)는 캡(65f)에 의해 밀폐 가능하다.
도 8은 도 6의 도관 후단부에 연결 할 수 있는 밸브를 시린지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65)과 시린지(11)의 사이에 밸브(81)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81)는 2-way 밸브로서 도관(65)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도 6의 도관 후단부에 장착할 수 있는 어뎁터와 시린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관(65)의 후단부에 어뎁터(83)를 장착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시린지(1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타입의 압력 모니터링 장치(30)는, 센서유니트(70)가 본체(40)에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센서유니트(70)를 구성하는 커넥팅바디(71b)는 커넥터(71g)를 통해 접속소켓(44c)에 바로 접속된다. 위에 설명한 제1,2단자(71c,71f)나 케이블(71e)이 사용되지 않는 것이다. 센서모듈(71a)이 감지한 압력 정보는 커넥팅바디(71b)를 거쳐 제어기판(44)으로 바로 전달된다. 고정플러그(71) 및 센서모듈(71a)은 케이스(48)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도관(65)의 외주면에는 플러그홀더(65n)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홀더(65n)는, 측부통로(65k)를 그 내부영역에 포함하는 중공형 돌출부로서, 고정플러그(71) 및 센서모듈(71a)을 수용 지지한다. 플러그홀더(65n)는 하우징(68)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아울러 플러그홀더(65n)의 내측에는 연질막(67)이 고정된다. 연질막(67)은, 측부통로(65k)를 밀폐하되 도관(65)의 내압 상승 시 플러그홀더측으로 밀려 나오는 시트형 부재이다. 연질막(67)으로서 일정두께를 갖는 실리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플러그(71)와 센서모듈(71a)은, 본체(40)와 카트리지(60)를 결합할 때, 플러그홀더(65n)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삽입된다. 센서모듈(71a)은 연질막(67)에 접하며, 연질막의 변형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고, 감지 정보를 커넥팅바디(71b) 측으로 전달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유체주입장치 11:시린지 12:벌룬카테터
12a:팽창유체주입부 12d:약액주입부 12f:캡
12m:벌룬시트 30:압력모니터링장치 40:본체
41a:패널수용부 41b:노출창 41c:버튼구멍
41e:음향발생부 41f:램프 42:전면패널
42a,42b:관통구멍 42c,42d:관통구멍 43:버튼
44:제어기판 44a:스위칭부 44c:접속소켓
45:디스플레이부 46a:개방통로 46b:정위치돌기
46d:정위치홈 47:배터리 48:케이스
48a:프론트케이스 48b:리어케이스 60:카트리지
61b:정위치돌기 61c:연통구멍 61d:단자홀더
61e:정위치홈 61f:홀딩홈 63b:홀딩홈
65:도관 65a:메인통로 65b:결합돌기
65c:측부통로 65e:예비통로 65f:캡
65k:측부통로 65n:플러그홀더 67:연질막
68:하우징 68a:전방하우징 68b:후방하우징
70:센서유니트 71:고정플러그 71a:센서모듈
71b:커넥팅바디 71c:제1단자 71e:케이블
71f:제2단자 71g:커넥터 81:밸브
83:어뎁터

Claims (11)

  1.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를 통과시키며 선단부에 벌룬카테터가 장착 가능한 도관, 상기 도관을 부분적으로 수용 고정하는 하우징이 구비된 카트리지와;
    상기 도관 내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유니트와;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 상기 센서유니트와 접속되는 제어기판, 제어기판을 통해 센서유니트의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부, 제어기판과 접속되고 온오프신호를 발생하는 버튼을 갖는 본체가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과 케이스에는,
    본체에 카트리지를 결합할 때, 상호 암수 결합하며 결합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정위치돌기 및 정위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케이스는,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노출창이 형성되어 있는 프론트케이스, 프론트케이스와 결합하는 리어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리어케이스에는 하우징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개방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제어기판과 접속되고 도관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날 때 작동하는 램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에는,
    제어기판과 접속되며 도관 내부의 압력이 설정범위를 벗어날 때 작동하는 음향발생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도관을 수용하되 도관의 선단부와 후단부를 하우징 외부로 노출시키는 전방하우징 및 후방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전방하우징에는, 리어케이스의 개방통로에 끼워지는 단자홀더가 형성되며, 단자홀더에는 케이스와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는 연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선단부의 직경이 후단부의 직경보다 작은 테이퍼진 형상을 취하고,
    외부로부터 주입된 유체를 통과시키는 메인통로와, 메인통로를 측방향으로 개방하는 측부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니트는;
    도관의 측부통로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플러그, 고정플러그에 장착되며 메인통로의 내압을 센싱하는 센서모듈, 고정플러그에 결합하고 센서모듈과 접속되는 커넥팅바디, 커넥팅바디와 제어기판을 연결하는 접속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수단은;
    커넥팅바디에 접속되는 제1단자와,
    상기 단자홀더의 연통구멍에 고정되고, 본체에 카트리지를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 내부의 제어기판에 접속되는 제2단자와,
    제1단자와 제2단자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외주면에는, 측부통로를 그 내부영역에 포함하고 고정플러그를 수용 지지하는, 플러그홀더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러그홀더의 내부에는, 측부통로를 밀폐하되 도관의 내압 상승 시 플러그홀더측으로 밀려 나오는 연질막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니트는;
    제어기판에 접속되며, 본체에 대해 카트리지를 결합할 때, 플러그홀더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플러그와,
    고정플러그에 고정되고 연질막에 접하며 연질막의 변형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KR1020210068774A 2021-05-28 2021-05-28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KR102595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4A KR102595477B1 (ko) 2021-05-28 2021-05-28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74A KR102595477B1 (ko) 2021-05-28 2021-05-28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48A KR20220160748A (ko) 2022-12-06
KR102595477B1 true KR102595477B1 (ko) 2023-10-31

Family

ID=8440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74A KR102595477B1 (ko) 2021-05-28 2021-05-28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4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3540A (ja) * 2017-03-06 2018-09-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Iabp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641B1 (ko) 2016-04-25 2016-07-14 유한회사 삼성산업경제연구소 경막외공간 인지 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3540A (ja) * 2017-03-06 2018-09-2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Iabp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48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7653B1 (en) Blood vessel entry indicator
CN107548310B (zh) 硬膜外空间识别探测装置
JP5230650B2 (ja) 圧力測定部をキャリブレートする方法
US4872483A (en) Conveniently hand held self-contained electronic manometer and pressure modulating device
EP1626764B1 (en) Fluid delivery system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4539998A (en) Pressure transducer assembly
ES2903054T3 (es) Método y aparato para humedecer las superficies internas de la ruta del fluido de un puerto de fluido para aumentar la transmisión de señales ultrasónicas
CN106794301B (zh) 药液给予装置
CN107822581B (zh) 一种径直通道宫腔镜
WO2009060431A2 (en) Vacuum delivery extractor
US10722620B2 (en) Surgical irrigation and suc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95477B1 (ko) 체내 유체 주입 연동형 체내 압력 모니터링 장치
JP2016190011A (ja) 医療器具用光コネクタ
JP6511781B2 (ja) 医療用スタイレット
US11357899B2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 property of a fluid in a line
KR100748102B1 (ko) 링거액 투입 감지기
US20140206951A1 (en) Arthroscope Sheath System With Sensors
US20180161484A1 (en) Surgical irrigation and suctio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7279638B2 (ja) フラッシュデバイスおよびイリゲーションライン
US20200230378A1 (en) Balloon catheter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tumor treatment
JP7331701B2 (ja) Iabpバルーンカテーテル及びiabp駆動装置
CN215227415U (zh) 硬管电子内窥镜
EP4327733A1 (en) Lumen design within intravenous tube to transmit blood pressure wave for invasive blood pressure monitoring
KR20220042513A (ko) 압력센서를 내장하는 유체 토출장치
CN112618928A (zh) 一种基于球囊压力泵组件的人体腔道扩张及摄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