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248B1 -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 Google Patents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248B1
KR102595248B1 KR1020230063757A KR20230063757A KR102595248B1 KR 102595248 B1 KR102595248 B1 KR 102595248B1 KR 1020230063757 A KR1020230063757 A KR 1020230063757A KR 20230063757 A KR20230063757 A KR 20230063757A KR 102595248 B1 KR102595248 B1 KR 102595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heat storage
pipe
hea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갑덕
Original Assignee
아일수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일수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일수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6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6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plastics material
    • F28F21/067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65Details, e.g. particular heat storage tanks, auxiliary members within tanks
    • F28D2020/0078Heat exchange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는, 각 매체를 저장한 중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단열층을 포함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를 파이프로 분배하는 것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연장된 상태에서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헤더; 상기 헤더에서 분배된 열전달 매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상태로 일정 높이차를 가지고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헤더 사이를 잇도록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되 열융착 처리를 통해 상기 헤더의 결합공에 일체로 결합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에 의하면, 헤더와 파이프에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상태에서 이 연결 부위를 열 융착하여 냉각 매체의 지속적인 부피 변화에 따른 압력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연결 부위의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Ice heat storage-based heat storage tank with reinforced stable coupling between header and pipe}
본 발명은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격자 또는 기타 복합 구조로 이루어진 열전달 매체의 통로인 코일관과 같은 역할을 하는 헤더와 파이프 등을 상호 연결할 때 물의 부피 변화에 따른 압력에 충분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연결 부위의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빙열 저장 탱크, 축냉식 시스템 또는 빙축열조)는 얼음을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일종의 열에너지 저장 탱크로서, 전기 수요와 가격이 낮은 한가한 시간에 잉여 전기를 사용하여 물을 얼려 큰 얼음덩어리를 만들고 전기 수요와 가격이 높은 피크 시간대에는 얼음덩어리를 녹이면서 저장된 열에너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즉, 물을 냉각하면 온도가 내려가 0℃가 되며 이를 더 냉각하면 얼음이 되는데 이같이 물이라는 액체에서 얼음이라는 고체로 상변화될 때 응고열은 얼음 1kg당 335kJ을 저장(축열)하고 이와 반대로 얼음이 물로 변할 때는 융해열 335kJ이 방출되는바, 빙축열조, 즉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는 이러한 잠열을 열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는 여러 구조가 있는데, 냉각 매체(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를 저장한 본체 내부에 차가운 열전달 매체가 흐르는 코일을 배치하여 코일 주변의 냉각 매체를 얼리는 구조, 즉 관외 착빙형(Ice-on-coil type) 구조가 모듈화가 수월하다는 특성으로 소형 건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는 냉각 수요가 높고 에너지 비용이 상당한 비용이 드는 대형 사무실 건물, 병원 및 데이터 센터와 같은 상업 및 산업 응용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바, 피크 시간에서 오프 피크 시간으로 냉각 부하를 전환하여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냉각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관외 착빙형 빙축열조에서 단일체의 코일을 격자형으로 설치할 수 없으므로 복수 개의 코일을 수직/수평 배열한 다음 패킹이나 브라켓 등의 결합수단을 매개로 상호 연결하는데 이 연결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 즉 물이 얼고 녹는 과정에서 부피 변화에 따른 압력이 작용하여 이 연결 부위가 쉽사리 끊어지거나 틈이 발생하는 문제가 따랐다.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2-0014625호인 빙축열 축열조 열교환 시스템은, 빙축조 내부의 열량을 골고루 여러면에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나의 분배관을 통하여 여러 갈래의 코일관이 설정 길이 및 간격을 일정하게 두고 반복 교반되게 지그재그 식으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의 흡수 코일이 형성되고 코일의 진행방향과 정반대 방향의 직각으로 설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열 흡수핀이 수평 배열로 적층 형성되며 상기 흡수코일 및 흡수핀이 설정 위치에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어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호 결합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 역시 코일관이 격자 구조를 가지도록 연결되어 있는데 하나의 코일관으로 이러한 복합 구조를 만드는 것이 아닌 이상 여러 코일관을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이나 패킹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는 것이 예상되는바, 이 연결 부위의 견고한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해결 수단을 마땅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격자 또는 기타 복합 구조로 이루어진 열전달 매체의 통로인 코일관과 같은 역할을 하는 헤더와 파이프 등을 상호 연결할 때 물의 부피 변화에 따른 압력에 충분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연결 부위의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빙축열조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02-0014625호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과 같은 냉각 매체를 얼리거나 녹이는 열전달 매체의 통로 역할을 하는 헤더와 파이프의 재질에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여 열 융착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이들의 연결 부위을 열 융착 처리하여 공지의 브라켓이나 패킹과 같은 결합 수단에 비하여 견고한 결합 관계를 보장할 뿐 아니라 열 안정성을 강화하는 빙열 기반의 축열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내주 면에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 Polydi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보강층을 포함하여 내구성, 유연성 등을 향상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는, 각 매체를 저장한 중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단열층을 포함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를 파이프로 분배하는 것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연장된 상태에서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헤더; 상기 헤더에서 분배된 열전달 매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상태로 일정 높이차를 가지고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헤더 사이를 잇도록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되 열융착 처리를 통해 상기 헤더의 결합공에 일체로 결합한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이프의 내주 면에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 Polydimethylsilo xane)을 포함하는 보강층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파이프는 고밀도폴리에텔렌과 에톡실화아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에 의하면,
1) 헤더와 파이프에 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상태에서 이 연결 부위를 열 융착하여 냉각 매체의 지속적인 부피 변화에 따른 압력이 작용하여도 안정적으로 연결 부위의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고,
2) 파이프의 내주 면에 코팅된 보강층에 의하여 파이프의 내구성 및 유연성 등의 다양한 기능 강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3) 고밀도폴리에틸렌 베이스의 파이프에 추가로 포함된 첨가제를 통하여 우수한 열전달 효율과 견고한 열 융착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열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부분투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축열조의 평면도.
도 3은 헤더와 파이프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헤더와 파이프의 결합 부위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
도 5는 헤더와 파이프의 결합 부위를 촬영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열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부분투시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축열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축열조는 공지의 빙축열조와 마찬가지로 물로 이루어진 냉각 매체를 수용한 중공(내부 공간)을 가진 본체(10)를 제공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중공에 헤더(30)와 파이프(40)를 복수 개로 연결한 구조를 설치한 다음 해당 헤더(30)와 파이프(40)를 통해 브라인, 즉 열전달 매체를 흐르도록 하여 중공 내의 물을 얼리거나 녹이는 과정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활용하는 구조와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축열조의 개략적 구조는 공지의 ice-on-coil(관외 착빙형) 타입의 빙축열조와 같거나 유사한 구조를 취하나,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측면과 바닥면(저면)은 밀폐되어 내부에 중공을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에서 냉각 매체, 즉 열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물을 중공에 저장하는 탱크로서, 지지대 역할을 하는 베이스(11) 상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구조를 취한다.
더불어, 이러한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캡(20)이 장착되어 본체(1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고,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중공에 냉각 매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은 물론 본체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의 벽체는 중공에 저장된 물이 얼거나 녹으면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쉽사리 유출되지 않도록 단열 재질로 이루어진 단열층(12)이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단열층(12)은 단일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단열 성능을 향상하도록 여러 층이 적층된 구조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열층(12)의 단열 재질은 시중에 잘 알려진 여러 단열재,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발포체, 유리 섬유, 알루미늄 패널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ed Polystyrene)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포폴리스티렌은 폴리스티렌을 원료로 한 상태에서 발포제와 함께 열 압축하여 만든 경량 발포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저렴하여 경제적이면서 가볍고 부드럽게 휘어지는 성질로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공기 중의 수증기를 포착하여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특성을 발휘한다.
더불어, 발포폴리스티렌은 고밀도로 압축된 경우에도 복구력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좋을 뿐 아니라 화재 발생 시 연소가 어렵고 연기나 유독가스를 발생하지 않는 내화성을 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더(header)(30)와 파이프(pipe)(40)는 본체(10)의 중공 내에 설치된 격자 형태(수직-수평 연결 형태)의 복합 구조체로서, 공지의 ice-on-coil(관외 착빙형) 타입의 빙축열조에서 코일과 같은 역할을 제공한다.
우선, 헤더(30)는 본체(10)의 중공에 설치(물론 도면에도 도시되어 있지만 중공 바깥에서 엘보우관으로 연결된 부위도 있음)되어 열전달 매체를 파이프(40)로 분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열전달 매체는 물을 냉각할 수 있는 차가온 온도를 가진 유체로서, 일반적으로 물이나 브라인(염화물이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여 물보다 낮은 어는점을 가져 예를 들어 영하 7℃에서도 얼지 않는 부동액)과 같은 유체를 의미한다.
헤더(30)는 열전달 매체의 유출이 발생하거나 아니면 탱크의 구동에서 다른 오작동이 발생하면 본체(10)의 특정 구획을 분리하는 기능, 즉 중요한 안전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헤더(30)는 탱크의 특정 구획으로의 열전달 매체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오작동 시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열전달 매체와 냉각 매체 간의 효율적인 열전달을 보장하는 동시에 축열조의 운영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헤더(30)는 과거에는 스테인리스강이나 구리와 같은 내구성과 내부식성 금속재로 제작이 되었는데, 본 발명의 헤더(30)는 특히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이에 대한 이유는 파이프(40)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파이프(40)는 헤더(30)에서 분배된 열전달 매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정 간격(높이차)을 가지고 헤더(30)의 연장 방향의 수직 방향인 수평 방향을 따라 헤더(30) 사이를 잇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파이프(40)는 본체(10)를 특정 영역으로 구획한 구획 영역(즉, 셀) 단위로 서로 같거나 다른 직경을 가져 열전달 매체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헤더(30)와 파이프(40)는 격자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 격자 구조가 촘촘할수록 중공에 저장된 냉각 매체에 냉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냉각 매체의 냉각을 촉진할 수 있다.
이 파이프(40)는 과거에는 헤더(30)와 같거나 비슷한 금속 재질로 제작되었는데, 본 발명의 파이프 역시 헤더(30)와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헤더(30)와 파이프(40)는 모두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바, 다시 말해 헤더(30)와 파이프(40)가 폴리에틸렌 자체로 제작되거나 아니면 후술하겠지만 폴리에틸렌을 베이스로 처리한 상태에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우수한 내식성은 물론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특히 냉각 매체가 얼면서 부피가 팽창했을 때의 탁월한 저항성을 보유한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즉, 파이프(40)는 하나의 헤더(30)를 기준으로 해당 헤더(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헤더(30)에 파이프(40)를 연결하기 위하여 관통된 결합공(31)에 끼워진 다음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실링 처리되면서 연결되는데, 파이프(40)와 헤더(30)가 열융착 소재로도 널리 활용되는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었으므로 헤더(30)와 파이프(40)의 결합 부위를 열융착 처리하여 일체적으로 결합/연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종래에는 헤더(30)의 결합공(31)에 파이프(40)를 삽입한 다음 나사를 조이거나 패킹을 삽입하는 구조를 제공하거나 아니면 스테인리스강 소재의 슬리브를 매개로 결합을 하였는데, 냉각 매체가 얼거나 녹으면서 수시로 냉각 매체의 부피 변화가 일어나면서 헤더(30)와 파이프(40) 각각에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제공되는 환경에서 이러한 나사, 패킹, 슬리브 모두 오래 버티지 못하고 손상되어 결과적으로 헤더(30)와 파이프(40) 사이에 크랙이나 틈새가 발생하여 열전달 매체가 본체 내로 유출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기반의 헤더(30)와 파이프(40)의 열융착 처리에 의한 결합 구조는 바로 이러한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융착 방식으로 폴리에틸렌이 연화되면서 헤더(30)의 결합공(31)에 파이프(40)가 일체적이자 기밀성을 유지하며 결합할 수 있고 이들이 결합된 이후에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쉽사리 결합 부위가 끊기거나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제공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빙열 기반의 축열조는 헤더(30)와 파이프(40)를 열융착 소재이자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에틸렌 소재로 제작한 다음 이들을 열융착 처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헤더(30)와 파이프(40)의 결합 부위가 쉽사리 이탈되거나 틈이 발생하는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헤더(30)와 파이프(40)의 주요 재질인 폴리에틸렌은 고밀도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 High-density Polyethylene)은 에틸렌 단위를 중합하여 만든 고밀도의 열가소성 고분자로서, 폴리에틸렌 중에서도 가장 밀도가 높으며, 일반적으로 0.94 g/cm³ 이상의 밀도를 가진다.
이러한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헤더(30)와 파이프(40)를 제작하면 내구성과 내열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내화학성이 높아 열전달 매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저항력이 강하므로 화학적 부식이나 손상으로부터 헤더(30)와 파이프(40)를 보호할 수 있다.
더불어, 더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어 헤더(30)와 파이프(40) 내부의 마찰이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열전달 매체의 유동성이 더 좋아질 수 있다는 이점도 제공한다.
더 나아가, 파이프(40)의 내주 면에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 Polydi methylsiloxane)을 포함하는 보강층이 코팅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유연하고 무기성인 고분자 실리콘 탄성체로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한 파이프(40)의 내주 면에 코팅 시 내구성, 유연성, 내약품성, 내마모성, 내충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열 안정성이 뛰어나고 넓은 온도 범위를 견딜 수 있어 차가운 열전달 매체가 지나는 열악한 환경에서 적합성을 가지는 것은 물론, 마찰 계수가 낮아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열전달 매체 사이의 마찰을 줄여 유량을 개선하고 에너지 소비를 감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표면 에너지가 낮아 미생물, 먼지 및 기타 오염 물질이 파이프(40)의 내주 면에 부착되는 것을 줄여, 결과적으로 파이프(40)의 수명과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보강층은 폴리락트산(PLA : Polylactic acid)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보강층은 바람직하게 폴리디메틸실록산 50 내지 80 중량부와 폴리락트산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PLA는 옥수수 전분, 사탕수수 또는 카사바와 같은 재생 가능한 자원으로 만든 생분해성 소재로 PDMS-PLA 기반의 보강층을 통해 기존 석유 기반 소재에 비해 더 환경친화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폴리락트산을 추가한 보강층은 파이프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는데, 폴리락트산이 생분해성 소재이나 우수한 강도를 보유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폴리락트산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의 내화학성을 보강할 수 있는바 폴리락트산 역시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열전달 매체에 내성이 있어 파이프의 내주 면을 보호할 수 있다.
즉,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유연성, 낮은 표면 에너지 및 열 안정성을 제공하고, 폴리락트산은 강성, 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들을 최적의 조성비, 구체적으로 폴리디메틸실록산 70 중량부와 폴리락트산 30 중량부로 혼합한 보강층을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한 파이프(40)의 내주 면에 코팅하면 향상된 기계적 강도와 열 안정성을 보장하고 우수한 내화학성을 가질 뿐 아니라 환경친화적이며 마찰 감소로 인하여 열전달 매체의 유량을 개선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또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한 헤더(30)와 파이프(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특히 파이프(40)는 에톡실화아민(ethoxylated amine)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톡실화 아민은 습윤성, 접착성 및 표면 장력을 비롯한 표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고분자 재료에 첨가할 수 있는 일종의 계면활성제이다.
또한 에톡실화아민은 블로킹 방지제로 작용하여 응집체 형성을 방지하여 열전달 매체의 흐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에톡실화된 아민은 고밀도폴리에틸렌 표면에서 열전달 매체나 냉각 매체의 습윤 및 확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파이프(40) 내부에서는 열전달 매체의 표면 장력을 줄임으로써 열전달 매체와 파이프 간의 접촉을 개선하여 더욱 파이프가 우수한 열전달 효율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본체 11: 베이스
12: 단열층 20: 캡
30: 헤더 31: 결합공
40: 파이프

Claims (8)

  1.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로서,
    냉각 매체를 저장한 중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단열층을 포함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캡;
    상기 중공에 설치되어 열전달 매체를 파이프로 분배하는 것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연장된 상태에서 연장 방향을 따라 결합공을 구비한 상태에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한 헤더;
    상기 헤더에서 분배된 열전달 매체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고밀도폴리에틸렌을 포함한 상태로 일정 높이차를 가지고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헤더 사이를 잇도록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되 열융착 처리를 통해 상기 헤더의 결합공에 일체로 결합한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파이프의 내주 면에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 Polydimethylsiloxane) 50 내지 80 중량부와 폴리락트산 2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한 보강층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발포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에톡실화아민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30063757A 2023-05-17 2023-05-17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KR102595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57A KR102595248B1 (ko) 2023-05-17 2023-05-17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757A KR102595248B1 (ko) 2023-05-17 2023-05-17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248B1 true KR102595248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757A KR102595248B1 (ko) 2023-05-17 2023-05-17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24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940A (ja) * 1989-08-07 1991-03-22 Nippon Spindle Mfg Co Ltd 氷蓄熱装置
KR20010054671A (ko) * 1999-12-07 2001-07-02 노갑덕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방법
JP2001289364A (ja) * 2000-04-10 2001-10-19 Sanyo Electric Co Ltd 飲料用熱交換積層管
KR20020014625A (ko) 2000-08-18 2002-02-25 여태호 빙축열 축열조 열교환 시스템
JP2010144907A (ja) * 2008-12-22 2010-07-01 Mitsubishi Plastics Inc 給水給湯用樹脂管
JP2016102615A (ja) * 2014-11-28 2016-06-02 パナホーム株式会社 蓄熱構造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940A (ja) * 1989-08-07 1991-03-22 Nippon Spindle Mfg Co Ltd 氷蓄熱装置
KR20010054671A (ko) * 1999-12-07 2001-07-02 노갑덕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방법
JP2001289364A (ja) * 2000-04-10 2001-10-19 Sanyo Electric Co Ltd 飲料用熱交換積層管
KR20020014625A (ko) 2000-08-18 2002-02-25 여태호 빙축열 축열조 열교환 시스템
JP2010144907A (ja) * 2008-12-22 2010-07-01 Mitsubishi Plastics Inc 給水給湯用樹脂管
JP2016102615A (ja) * 2014-11-28 2016-06-02 パナホーム株式会社 蓄熱構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123B1 (ko) 탄성 저온 단열재
CA2804806C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thermal energy
CN105556224B (zh) 制冷装置及方法
CN104913153A (zh) 一种相变储能保温管道
KR20140072764A (ko) 축냉모듈, 다수 축냉모듈을 장착한 냉동 컨테이너, 그리고 냉동 컨테이너 차량
KR102595248B1 (ko) 헤더와 파이프의 안정적인 결합성을 강화한 빙열 저장 기반의 축열조
US20180313613A1 (en) Assembly and articulated panel, for thermal insulation
EP3117170B1 (en) Heat exchanger for low temperatures
US10852070B2 (en) Latent heat storage module and latent heat storage apparatus
CN206876030U (zh) 新能源储热钢管及新能源储热器
CN104142079B (zh) 一种储热-换热设备
CN212870848U (zh) 一种利用lng冷能的蓄冷车厢
WO1989000670A1 (en) Heat and cold storage containers, systems and processes
CN102003856A (zh) 射流式防冰晶传播器
CN207300002U (zh) 一种沉箱式海水源热泵换热器
CN105674045A (zh) 液化气低温储罐的绝热保冷方法
CN214620767U (zh) 一种蓄热球及蓄热罐
CN117663319B (zh) 一种多肋冰蓄冷管及冰蓄冷罐
CN201715785U (zh) 空调换热器
CN215721374U (zh) 一种复合式聚氨酯保温管
KR20150024625A (ko) 중력 내성을 고려한 축냉모듈, 다수 축냉모듈을 장착한 냉동 컨테이너, 그리고 냉동 컨테이너 차량
CN221099068U (zh) 一种lng冷能利用蓄冰装置
CN216620387U (zh) 基于微热管的蓄冰装置
CN214789810U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钢套钢保温管
CN213018351U (zh) 一种塑料保温管的外部保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