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5193B1 -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5193B1
KR102595193B1 KR1020230060600A KR20230060600A KR102595193B1 KR 102595193 B1 KR102595193 B1 KR 102595193B1 KR 1020230060600 A KR1020230060600 A KR 1020230060600A KR 20230060600 A KR20230060600 A KR 20230060600A KR 102595193 B1 KR102595193 B1 KR 102595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unit
main
mixing tank
red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덕상
Original Assignee
고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덕상 filed Critical 고덕상
Priority to KR102023006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격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장치와 환기장치를 구비하는 제1공간형성부; 상기 제1공간형성부와 인접하여 제1공간형성부와 분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공간형성부; 상기 제1공간형성부 내부에 설치되고, 복도식 복층구조이며, 다수의 추출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겨 다수 배치한 구조의 추출탱크마운팅부; 상기 추출탱크마운팅부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다수의 홍삼 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추출원액 생산부; 상기 제1공간형성부의 정중앙에 배치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추출원액 생산부로부터 추출액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성분, 혼합 비율 및 희석비율에 따라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생산하는 혼합액 생산부; 및 상기 제2공간형성부 내부에 배치되고, 제1공간형성부 내부에 설치된 추출원액 생산부, 혼합액 생산부, 조명장치 및 환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통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시간 및 수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성분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양질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Red Ginseng Extract Plant System}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질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재는 한약을 지을 때 사용되는 모든 약재를 뜻하는 것으로, 이러한 한약재에는 인삼, 황기, 오가피, 칡, 구기자, 당귀, 감초, 도라지, 더덕, 계피, 오미자, 석창포, 산조인, 용안육(원육), 백자인, 황금, 나복자, 천문동, 맥문동, 백출, 백작약, 산약, 연자육, 건율, 의이인, 마황, 산수유, 목단피, 독활, 차전자, 녹용, 포도근, 숙지황, 생지황, 건지황, 길경, 진피, 대황, 백지, 강활, 고본, 산사, 세신, 시호, 향부자, 감국, 승마, 치자, 대복피 등이 포함된다.
한약재 중에서 특히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을 말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백삼(白蔘:생 것), 홍삼(紅蔘:찐 것), 미삼(尾蔘:가는 뿌리)으로 구분하여 기록했으나 민간에서는 야생삼도 장뇌와 산삼으로 구별한다. 중국에서는 인삼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하며 원삼(재배삼), 홍삼, 산삼(야생삼)으로 구별한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인삼의 약리작용으로는 대뇌피질 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인삼은 동양에서 오랫동안 보혈강장제로 이용해온 약초로서 다량의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4 내지 6년 후 재배 후 캐내는데 그 가공방법에 따라 밭에서 캐낸 후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수삼과, 수삼의 1차 가공품인 백삼 및 홍삼으로 분류할 수 있다.
즉, 백삼은 4년근 이상의 수삼을 원료로 하여 표피를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건조하여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가공한 것이고, 홍삼(Red Ginseng)은 6년근 수삼을 정선하여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증기로 쪄서 건조시킨 담황갈색 또는 담적갈색의 인삼을 말한다.
이러한 홍삼은 단순히 인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제조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공정 중에 우리 몸에 유익한 여러 가지 새로운 생리활성성분들이 생성된다.
즉, 홍삼제조과정에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의 열분해에 의한 부분적인 분자구조의 변화로 화학적인 성분이 변화되어 유익한 특수 성분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홍삼에는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는 들어있지 않은 홍삼만의 특수성분으로 노화억제기능을 가지는 말톨(Maltol)과 암세포증식억제 및 항종양의 기능을 가지는 진세노사이드를 비롯한 8종의 특수성분이 들어 있다.
또한 홍삼은 그 품질에 따라 고급 홍삼인 천삼과 지삼 그리고 보통 홍삼인 양삼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수삼을 증기를 이용하여 찔 때 동체균열이나 백피, 내공, 내백 불량 등의 발생 여부에 따라 분류되므로 증삼 기술에 의해 홍삼의 품질과 가격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원액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홍삼이 수용된 추출기를 내부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끓이는 열수추출방법 또는 홍삼이 수용된 추출기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여 홍삼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증기를 액화하는 증기추출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2002-0025129호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411978호 '홍삼액 추출기의 응축실' 등을 통해 이미 제시된 바 있으며, 상기와 같은 홍삼원액추출장치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시킨 것도 있지만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큰 규모로 제작된 것도 있다.
즉,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홍삼원액 추출기인 경우에는 홍삼원액이 저장되는 탱크의 내부에 홍삼이 수용되는 추출기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를 통해 추출기에 홍삼을 수용시키고 덮개를 닫은 후 고온의 스팀을 상기 탱크에 유입시키면 추출기로부터 홍삼원액이 추출되고 그 추출된 홍삼원액은 탱크에 그대로 저장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탱크로부터 홍삼원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홍삼원액 추출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94171호(2012.10.24. 공고)에, 내부에 홍삼원액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하부에는 홍삼원액을 배출할 수 있는 홍삼원액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원료공급관이 구비된 홍삼원액 저장탱크와, 상기 홍삼원액 저장탱크의 외측 둘레에 설치되어 홍삼원액 저장탱크의 내부를 저온상태로 만들어주는 냉각수이동파이프와, 고온의 스팀과 냉각수가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열교환을 통해 일정한 온도의 스팀을 배출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홍삼원액 저장탱크와 스팀발생장치를 연결하여 홍삼원액 저장탱크의 압력조절을 해주는 압력조절펌프와, 상기 스팀발생장치로부터 만들어지는 스팀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쪽에 스팀유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 홍삼성분이 포함된 스팀이 배출되도록 원료배출구가 형성된 외장형추출기와, 상기 외장형추출기의 원료배출구와 상기 홍삼원액 저장탱크의 원료공급관을 연결시켜주는 연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순간 가열식 홍삼원액 연속 추출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추출기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시된다.
종래의 추출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폐가능한 뚜껑(111)이 구비되는 추출탱크(110)와, 이 추출탱크(110) 내에 안착되고 예를 들어 한약재과 같은 추출대상물이 수용되는 타공바스켓(120)과, 추출탱크(110) 내에서 추출된 추출액을 하부로부터 상부로 퍼올려 순환시키며 순환펌프(131)가 설치되는 순환관로(130)과, 추출탱크(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추출액배출관로(1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추출기(100)는 추출액을 하부에서 상부로 퍼 올리기만 하는 단순순환방식이 적용됨에 따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추출대상물의 심이 하부로 가라 않아 케익 형태로 엉기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추출대상물의 심의 중앙부위까지 추출액이 침투되는 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추출시간이 길어지고 추출액의 수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3802호 (등록일자: 2004년03월0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추출시간 및 수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성분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양질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격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장치와 환기장치를 구비하는 제1공간형성부; 상기 제1공간형성부와 인접하여 제1공간형성부와 분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공간형성부; 상기 제1공간형성부 내부에 설치되고, 복도식 복층구조이며, 다수의 추출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겨 다수 배치한 구조의 추출탱크마운팅부; 상기 추출탱크마운팅부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다수의 홍삼 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추출원액 생산부; 상기 제1공간형성부의 정중앙에 배치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추출원액 생산부로부터 추출액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성분, 혼합 비율 및 희석비율에 따라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생산하는 혼합액 생산부; 및 상기 제2공간형성부 내부에 배치되고, 제1공간형성부 내부에 설치된 추출원액 생산부, 혼합액 생산부, 조명장치 및 환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통제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원액 생산부는, 상기 제1공간형성부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1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1원액생산그룹; 상기 제1공간형성부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2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2원액생산그룹; 상기 제1공간형성부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3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3원액생산그룹; 및 상기 제1공간형성부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4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4원액생산그룹;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원액생산그룹은, 기설정된 주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주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의 메인혼합탱크 및 주재료 농축부에 제공하는 주재료 추출부; 및 상기 주재료 추출부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고, 생산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에 제공하는 주재료 농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원액생산그룹은, 기설정된 제1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1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의 메인혼합탱크, 제1혼합탱크 및 제1첨가재료 농축부에 제공하는 제1첨가재료 추출부; 및 상기 제1첨가재료 추출부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1혼합탱크에 제공하는 제1첨가재료 농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원액생산그룹은, 기설정된 제2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2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의 메인혼합탱크, 제2혼합탱크 및 제2첨가재료 농축부에 제공하는 제2첨가재료 추출부; 및 상기 제2첨가재료 추출부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2혼합탱크에 제공하는 제2첨가재료 농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원액생산그룹은, 기설정된 제3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3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의 메인혼합탱크, 제3혼합탱크 및 제3첨가재료 농축부에 제공하는 제3첨가재료 추출부; 및 상기 제3첨가재료 추출부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3혼합탱크에 제공하는 제3첨가재료 농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 생산부는, 상기 주재료 추출부와 주재료 농축부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는 구조의 메인혼합탱크; 상기 제1첨가재료 추출부와 제1첨가재료 농축부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에 제공하는 구조의 제1혼합탱크; 상기 제2첨가재료 추출부와 제2첨가재료 농축부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에 제공하는 구조의 제2혼합탱크; 및 상기 제3첨가재료 추출부와 제3첨가재료 농축부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에 제공하는 구조의 제3혼합탱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탱크, 제2혼합탱크 및 제3혼합탱크는, 내부에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형 탱크 구조이고, 상부면에 추출액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부면 하부에 추출액배출구가 형성된 저장본체부; 상기 저장본체부의 내부에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면을 따라 관통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재료 농축부로부터 제공받은 추출액을 저장하는 메인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메인 수납부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타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첨가재료 추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추출액을 수납하는 추출액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교반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 수납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교반된 추출액을 샘플링할 수 있는 샘플링 추출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혼합탱크는, 내부에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형 탱크 구조이고, 상부면에 추출액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부면 하부에 추출액배출구가 형성된 저장본체부; 상기 저장본체부의 내부에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면을 따라 관통구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주재료 농축부로부터 제공받은 추출액을 저장하는 메인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상기 메인 수납부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1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제1첨가추출액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2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제2첨가추출액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3혼합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제3첨가추출액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타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주재료 추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양액을 수납하는 주재료추출액 수납부; 상기 메인 수납부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교반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 수납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교반된 추출액을 샘플링할 수 있는 샘플링 추출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공간형성부, 제2공간형성부, 추출탱크마운팅부, 추출원액 생산부, 혼합액 생산부 및 제어통제부를 구비함으로써, 추출시간 및 수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성분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양질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원액생산그룹, 제2원액생산그룹, 제3원액생산그룹, 제4원액생산그룹, 메인혼합탱크, 제1혼합탱크, 제2혼합탱크 및 제3혼합탱크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서로 다른 홍삼 주재료와 첨가재료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성분 조합과 농도에 맞춰 제조된 다양한 사양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홍삼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추출원액 생산부와 혼합액 생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혼합액 생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첨가재료 추출부, 첨가재료 농축부 및 혼합탱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혼합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혼합탱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주재료 추출부, 주재료 농축부 및 메인혼합탱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메인혼합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메인혼합탱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100)은 특정 구조의 제1공간형성부(110), 제2공간형성부(120), 추출탱크마운팅부(130), 추출원액 생산부(140), 혼합액 생산부(150) 및 제어통제부(160)를 구비함으로써, 추출시간 및 수율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성분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하여 양질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추출원액 생산부와 혼합액 생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혼합액 생산부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100)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가지는 제1공간형성부(110) 및 제2공간형서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공간형성부(110)는 외부로부터 격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장치와 환기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제2공간형성부(120)는 제1공간형성부(110)와 인접하여 제1공간형성부(110)와 분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탱크마운팅부(130)는 제1공간형성부(110) 내부에 설치되고, 복도식 복층구조이며, 다수의 추출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겨 다수 배치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원액 생산부(140)는 추출탱크마운팅부(130)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다수의 홍삼 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생산부(150)는 제1공간형성부(110)의 정중앙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추출원액 생산부(140)로부터 추출액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성분, 혼합 비율 및 희석비율에 따라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통제부(160)는 제2공간형성부(120)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제1공간형성부(110) 내부에 설치된 추출원액 생산부(140), 혼합액 생산부(150), 조명장치 및 환기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원액 생산부(140)는 특정 구조의 제1원액생산그룹(141), 제2원액생산그룹(142), 제3원액생산그룹(143) 및 제4원액생산그룹(1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원액생산그룹(141)은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1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할 수 있다. 제2원액생산그룹(142)은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2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할 수 있다. 제3원액생산그룹(143)은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3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할 수 있다. 제4원액생산그룹(144)은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4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첨가재료 추출부, 첨가재료 농축부 및 혼합탱크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혼합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에 도시된 혼합탱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의 주재료 추출부, 주재료 농축부 및 메인혼합탱크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메인혼합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메인혼합탱크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액생산그룹(141, 142, 143, 144)은 특정 구조의 주재료 추출부(140a), 주재료 농축부(140b),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 및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재료 추출부(140a)는 기설정된 주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주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및 주재료 농축부(140b)에 제공할 수 있다. 주재료 농축부(140b)는 주재료 추출부(140a)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고, 생산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는 기설정된 제1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1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제1혼합탱크(151) 및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에 제공할 수 있다.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는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1혼합탱크(151)에 제공할 수 있다.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는 기설정된 제2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2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제2혼합탱크(152) 및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에 제공할 수 있다.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는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2혼합탱크(152)에 제공할 수 있다.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는 기설정된 제3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3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제3혼합탱크(153) 및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에 제공할 수 있다.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는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3혼합탱크(153)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혼합액 생산부(150)는 특정 구조의 메인혼합탱크(154), 제1혼합탱크(151), 제2혼합탱크(152) 및 제3혼합탱크(15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혼합탱크(154)는 주재료 추출부(140a)와 주재료 농축부(140b)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는 구조이다. 제1혼합탱크(151)는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와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구조이다. 제2혼합탱크(152)는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와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구조이다. 제3혼합탱크(153)는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와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구조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혼합탱크(151), 제2혼합탱크(152) 및 제3혼합탱크(153)는, 특정 구조의 저장본체부(150a), 메인 수납부(150b), 개폐판(150c), 물 수납부(150d), 추출액 수납부(150e), 회전축(150f), 교반블레이드(150g) 및 샘플링 추출구(150h)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본체부(150a)는 내부에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형 탱크 구조이고, 상부면에 추출액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부면 하부에 추출액배출구가 형성된 구조이다. 메인 수납부(150b)는 저장본체부(150a)의 내부에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면을 따라 관통구(H)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재료 농축부로부터 제공받은 추출액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개폐판(150c)은 메인 수납부(150b)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관통구를 개폐하는 구조이다. 물 수납부(150d)는 메인 수납부(150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0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추출액 수납부(150e)는 메인 수납부(150b)의 타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0a)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첨가재료 추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추출액을 수납하는 구조이다. 회전축(150f)은 메인 수납부(150b)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교반블레이드(150g)는 회전축(150f)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구조이다. 샘플링 추출구(150h)는 메인 수납부(150b)의 상부에 형성되고, 교반된 추출액을 샘플링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혼합탱크(154)는 특정 구조의 저장본체부(154a), 메인 수납부(154b), 개폐판(154c), 제1첨가추출액 수납부(154d), 제2첨가추출액 수납부(154e), 제3첨가추출액 수납부(154f), 주재료추출액 수납부(154g), 회전축(154h), 교반블레이드(154i) 및 샘플링 추출구(154j)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혼합탱크(154)의 저장본체부(154a)는 내부에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형 탱크 구조이고, 상부면에 추출액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부면 하부에 추출액배출구가 형성된 구조이다. 메인 수납부(154b)는 저장본체부(154a)의 내부에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면을 따라 관통구(H)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주재료 농축부(140b)로부터 제공받은 추출액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개폐판(154c)은 메인 수납부(154b)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관통구를 개폐하는 구조이다. 제1첨가추출액 수납부(154d)는 메인 수납부(154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1혼합탱크(151)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제2첨가추출액 수납부(154e)는 메인 수납부(154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2혼합탱크(152)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제3첨가추출액 수납부(154f)는 메인 수납부(154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3혼합탱크(153)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구조이다. 주재료추출액 수납부(154g)는 메인 수납부(154b)의 타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주재료 추출부(140a)로부터 제공되는 양액을 수납하는 구조이다. 회전축(154h)은 메인 수납부(154b)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교반블레이드(154i)는 회전축(154h)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구조이다. 샘플링 추출구(154j)는 메인 수납부(154b)의 상부에 형성되고, 교반된 추출액을 샘플링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원액생산그룹(141), 제2원액생산그룹(142), 제3원액생산그룹(143), 제4원액생산그룹, 메인혼합탱크(154), 제1혼합탱크(151), 제2혼합탱크(152) 및 제3혼합탱크(153)를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서로 다른 홍삼 주재료와 첨가재료를 이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성분 조합과 농도에 맞춰 제조된 다양한 사양의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110: 제1공간형성부
120: 제2공간형성부
130: 추출탱크마운팅부
140: 추출원액 생산부
140a: 주재료 추출부
140b: 주재료 농축부
140c: 제1첨가재료 추출부
140d: 제1첨가재료 농축부
140e: 제2첨가재료 추출부
140f: 제2첨가재료 농축부
140g: 제3첨가재료 추출부
140h: 제3첨가재료 농축부
141: 제1원액생산그룹
142: 제2원액생산그룹
143: 제3원액생산그룹
144: 제4원액생산그룹
150: 혼합액 생산부
150a: 저장본체부
150b: 메인 수납부
150c: 개폐판
150d: 물 수납부
150e: 추출액 수납부
150f: 회전축
150g: 교반블레이드
150h: 샘플링 추출구
151: 제1혼합탱크
152: 제2혼합탱크
153: 제3혼합탱크
154: 메인혼합탱크
154a: 저장본체부
154b: 메인 수납부
154c: 개폐판
154d: 제1첨가추출액 수납부
154e: 제2첨가추출액 수납부
154f: 제3첨가추출액 수납부
154g: 주재료추출액 수납부
154h: 회전축
154i: 교반블레이드
154j: 샘플링 추출구
160: 제어통제부

Claims (6)

  1. 외부로부터 격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는 조명장치와 환기장치를 구비하는 제1공간형성부(110);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와 인접하여 제1공간형성부(110)와 분리된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제2공간형성부(120);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 내부에 설치되고, 복도식 복층구조이며, 다수의 추출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겨 다수 배치한 구조의 추출탱크마운팅부(130);
    상기 추출탱크마운팅부(130)에 장착되고, 서로 다른 다수의 홍삼 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추출원액 생산부(140);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의 정중앙에 배치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추출원액 생산부(140)로부터 추출액을 전달받아 기설정된 성분, 혼합 비율 및 희석비율에 따라 홍삼 추출물 혼합액을 생산하는 혼합액 생산부(150); 및
    상기 제2공간형성부(120) 내부에 배치되고, 제1공간형성부(110) 내부에 설치된 추출원액 생산부(140), 혼합액 생산부(150), 조명장치 및 환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통제부(160);
    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원액 생산부(140)는,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1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1원액생산그룹(141);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2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2원액생산그룹(142);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3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3원액생산그룹(143); 및
    상기 제1공간형성부(110)의 내부 공간의 일부 공간에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배치되고, 제4홍삼원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생산하는 제4원액생산그룹;
    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원액생산그룹(141, 142, 143, 144)은,
    기설정된 주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주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및 주재료 농축부(140b)에 제공하는 주재료 추출부(140a);
    상기 주재료 추출부(140a)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고, 생산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주재료 농축부(140b);
    기설정된 제1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1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제1혼합탱크(151) 및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에 제공하는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
    상기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1혼합탱크(151)에 제공하는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
    기설정된 제2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2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제2혼합탱크(152) 및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에 제공하는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
    상기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2혼합탱크(152)에 제공하는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
    기설정된 제3첨가재료를 내부에 수납하여 수납된 제3첨가재료로부터 추출액을 연속적으로 추출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지정된 양의 추출액을 혼합액 생산부(150)의 메인혼합탱크(154), 제3혼합탱크(153) 및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에 제공하는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 및
    상기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를 통해 제공받은 추출액을 재차 농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고농도 및 고순도 추출액을 생산하며, 생산된 추출액을 제3혼합탱크(153)에 제공하는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
    를 포함하고,
    상기 혼합액 생산부(150)는,
    상기 주재료 추출부(140a)와 주재료 농축부(140b)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는 구조의 메인혼합탱크(154);
    상기 제1첨가재료 추출부(140c)와 제1첨가재료 농축부(140d)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구조의 제1혼합탱크(151);
    상기 제2첨가재료 추출부(140e)와 제2첨가재료 농축부(140f)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구조의 제2혼합탱크(152); 및
    상기 제3첨가재료 추출부(140g)와 제3첨가재료 농축부(140h)로부터 전달된 추출액을 수납하고, 제어통제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추출액을 메인혼합탱크(154)에 제공하는 구조의 제3혼합탱크(153);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혼합탱크(151), 제2혼합탱크(152) 및 제3혼합탱크(153)는,
    내부에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형 탱크 구조이고, 상부면에 추출액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부면 하부에 추출액배출구가 형성된 저장본체부(150a);
    상기 저장본체부(150a)의 내부에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면을 따라 관통구(H)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첨가재료 농축부로부터 제공받은 추출액을 저장하는 메인 수납부(150b);
    상기 메인 수납부(150b)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50c);
    상기 메인 수납부(150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0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수납부(150d);
    상기 메인 수납부(150b)의 타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0a)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첨가재료 추출부로부터 제공되는 추출액을 수납하는 추출액 수납부(150e);
    상기 메인 수납부(150b)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50f);
    상기 회전축(150f)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교반블레이드(150g); 및
    상기 메인 수납부(150b)의 상부에 형성되고, 교반된 추출액을 샘플링할 수 있는 샘플링 추출구(150h);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혼합탱크(154)는,
    내부에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형 탱크 구조이고, 상부면에 추출액주입구가 형성되고, 측부면 하부에 추출액배출구가 형성된 저장본체부(154a);
    상기 저장본체부(154a)의 내부에 중공형 원기둥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면을 따라 관통구(H)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주재료 농축부(140b)로부터 제공받은 추출액을 저장하는 메인 수납부(154b);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위치변경되어 관통구를 개폐하는 개폐판(154c);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1혼합탱크(151)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제1첨가추출액 수납부(154d);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2혼합탱크(152)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제2첨가추출액 수납부(154e);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일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제3혼합탱크(153)로부터 공급되는 추출액을 저장하는 제3첨가추출액 수납부(154f);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타측 외주면과 저장본체부(154a)의 내부면에 의해 형성되고, 내부에 주재료 추출부(140a)로부터 제공되는 양액을 수납하는 주재료추출액 수납부(154g);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154h);
    상기 회전축(154h)의 외주면에 소정 길이의 폭으로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교반블레이드(154i); 및
    상기 메인 수납부(154b)의 상부에 형성되고, 교반된 추출액을 샘플링할 수 있는 샘플링 추출구(154j);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KR1020230060600A 2023-05-10 2023-05-10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KR102595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600A KR102595193B1 (ko) 2023-05-10 2023-05-10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600A KR102595193B1 (ko) 2023-05-10 2023-05-10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193B1 true KR102595193B1 (ko) 2023-10-26

Family

ID=8850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600A KR102595193B1 (ko) 2023-05-10 2023-05-10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1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27A (ko) * 1990-08-18 1992-03-27 박찬우 한약탕재의 추출물 추출장치
KR100423802B1 (ko) 2002-02-20 2004-03-22 (주)윤창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US20090223375A1 (en) * 2006-02-17 2009-09-10 Roland Waldemar Verbeek Package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Such as a Beverage
KR20120007275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면역과학연구소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194171B1 (ko) * 2012-06-19 2012-10-24 박성태 스팀 순간 가열식 홍삼원액 연속 추출장치
KR20160057964A (ko) * 2015-08-11 2016-05-24 박희춘 기능성 숙성 홍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홍삼 및 숙성 홍삼 제조 시스템
WO2020097623A1 (en) * 2018-11-09 2020-05-14 Newco Enterprises, Inc. Autonomous rapid batch beverage maker,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927A (ko) * 1990-08-18 1992-03-27 박찬우 한약탕재의 추출물 추출장치
KR100423802B1 (ko) 2002-02-20 2004-03-22 (주)윤창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US20090223375A1 (en) * 2006-02-17 2009-09-10 Roland Waldemar Verbeek Package and Device for Preparation of a Food Product Such as a Beverage
KR20120007275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면역과학연구소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194171B1 (ko) * 2012-06-19 2012-10-24 박성태 스팀 순간 가열식 홍삼원액 연속 추출장치
KR20160057964A (ko) * 2015-08-11 2016-05-24 박희춘 기능성 숙성 홍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숙성 홍삼 및 숙성 홍삼 제조 시스템
WO2020097623A1 (en) * 2018-11-09 2020-05-14 Newco Enterprises, Inc. Autonomous rapid batch beverage maker,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2975A (zh) 红景天、蜂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273625A (zh) 西洋参无糖阿胶片及其生产工艺
CN102488798B (zh) 一种治疗非酒精性脂肪肝的药物
KR102595193B1 (ko) 홍삼 추출물 플랜트 시스템
CN103881881A (zh) 酵素酶益寿酒
CN105724642A (zh) 一种抗氧化抗衰老的黑茶组合物及制备方法
CN102406009A (zh) 一种地黄叶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0400079C (zh) 抗病毒增免疫治疗性功能障碍物的萃取及制剂
CN104138442A (zh) 一种防治鳗鱼细菌性肠炎的复方中草药提取液及其制备方法
CN108079252A (zh) 一种无糖型药酒及其制备方法
RU2623245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ного корня красного женьшеня
KR102595191B1 (ko) 추출액 추출탱크 시스템
US6458361B1 (en) Method of producing a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g, cordyceps, and ganoderma lucidum
CN1711870A (zh) 复方红景天袋泡茶及其制备方法
CN102697818B (zh) 一种蜜酿中药制剂及其生产工艺
KR101465390B1 (ko) 회오리 추출기
CN106213368B (zh) 一种高品质苹果酱的制备工艺
KR102564768B1 (ko) 추출액 저장탱크 시스템
CN105288173B (zh) 一种调经祛斑的中药微丸制剂及制备方法
CN107260977A (zh) 一种健脑益智口服液及其制备工艺
CN110403990A (zh) 一种养血荣筋丸及其制备方法
CN114366800B (zh) 一种治疗结直肠癌的中药及其制备方法
Singh Maceration, Percolation and Infusion Techniques of Extraction of Medicinal and Aromatic Plants (MAPs)
CN108159164A (zh) 一种降血脂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968031A (zh) 抗癌抗肿瘤排肝毒野生灵芝制品及制备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