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716B1 -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16B1
KR102594716B1 KR1020210049777A KR20210049777A KR102594716B1 KR 102594716 B1 KR102594716 B1 KR 102594716B1 KR 1020210049777 A KR1020210049777 A KR 1020210049777A KR 20210049777 A KR20210049777 A KR 20210049777A KR 102594716 B1 KR102594716 B1 KR 102594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delivery
self
nanoemulsification
surfactant
deliv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8940A (ko
Inventor
김종오
진성규
최한곤
백경호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2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10Anthelmin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ir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phys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은 물과 접촉하면 자발적으로 유화가 진행되어 나노 크기의 에멀젼 입자를 형성하는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니클로사마이드의 수용해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용출 및 경구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COMPRISING NICLOSAMIDE USING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는 난용성 약물로, 조충 성충에 유효하며 경구 투여하는 구충제이다. 최근, 니클로사마이드는 구충제 외에도 항암 효과에 대한 임상 및 작용기전이 밝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코로나 19 항바이러스 효과도 확인되고 있어, 항암제 및 코로나 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치료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신약을 개발하는데 있어 약물의 수용해도를 개선하는 것은 중요하다. 약물의 불충분한 수용해도는 상기 약물이 생체 내 투여되었을 경우 흡수의 저해를 가져오고, 생체 내 흡수율의 저하는 생체 이용률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인 니클로사마이드도 이에 속하는 약물이다.
이러한 낮은 수용해도를 가지는 약물의 수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용화 기술들이 사용되어 왔지만, 상기 약물의 흡수율, 생체이용률,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제제화 할 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약물, 계면 활성제 및 오일의 등방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self-nan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SNEDDS)은 소수성 약물의 경구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위장 액에서 수성 매질과 접촉한 후에 자발적으로 (나노) 유상액을 생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에멀전 입자는 큰 표면적으로 인해 약물 흡수에 유리하여 수용성이 약한 약물의 생체 이용률이 향상되고 재현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에는 취급 및 보관 중 불안정성을 포함하여 몇 가지 제한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은 수성 매질과의 접촉 시 비교적 크고 불균일한 에멀젼을 생성하여 수용해도 및 수용해도가 개선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니클로사마이드와 같은 난용성 약물의 수용해도를 개선하여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형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31601호 (1998.07.2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용해도 및 용출, 궁극적으로는 경구 생체 이용률이 향상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은 콘 오일, 크로다몰 PC(crodamol PC) 및 캡텍스 355(captex 35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 폴록사머 407, 트윈 80, 트윈 20 및 라우릴황산나트륨(SL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로서 크레모포어 RH 40(cremophor RH 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 오일, 크로다몰 PC(crodamol PC) 및 캡텍스 355(captex 35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 폴록사머 407, 트윈 80, 트윈 20 및 라우릴황산나트륨(SL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로서 크레모포어 RH 40(cremophor RH 40);을 혼합하여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에 니클로사마이드를 용해시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은 물과 접촉하면 자발적으로 유화가 진행되어 나노 크기의 에멀젼 입자를 형성하는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니클로사마이드의 수용해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용출 및 경구 생체 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조성물 제조에 필요한 첨가제를 선정하기 위한 첨가제 리스트이다.
도 2는 도 1의 첨가제 리스트 중 계면활성제의 용해도 평가 결과이다.
도 3은 도 1의 첨가제 리스트 중 오일의 용해도 평가 결과이다.
도 4는 도 1의 첨가제 리스트 중 용매의 용해도 평가 결과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의 용해도 평가 결과를 통해 선정된 계면활성제, 공계면활성제 및 오일의 3상 다이어그램 평가이다.
도 6은 콘 오일과 Tween 80 조성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콘 오일과 Cremophor RH 40 조성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및 3상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콘 오일과 비율을 달리한 계면활성제의 조성에 따른 에멀젼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막 포어 사이즈(Membrane pore size)별 작동 시간에 따른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평가 결과로, 도 10은 1.1μm, 도 11은 2.5μm, 도 12는 3.1μm의 크기에서 평가하였다.
도 13은 작동 시간 10분에서 막 포어 사이즈별 에멀젼 입자 크기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4는 온도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의 비교 결과이다.
도 15는 교반 속도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 비교 결과이다.
도 16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용해도를 평가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압력별 반복횟수에 따른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평가 결과로, 도 17은 1000 bar, 도 18은 1300 bar, 도 19는 1600 bar의 압력에서 평가한 것이다.
도 20은 3 cycle에서 압력 조건별 에멀젼 입자 크기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21은 표 1에 따라 제조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용해도 결과이다.
도 22는 표 1에 따라 제조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용출 결과이다.
도 23 및 도 24는 규산 칼슘의 양에 따른 용해도 평가 결과로, 0.5 비율 (S-SNEDDS 1)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5는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고체분산체의 체내동태실험에 사용된 HPLC 분석 조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체내 혈중약물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7은 이의 약물동태학적 변수(pharmacokinetic parameter)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자는 SPG 막유화법 및 고압균질법의 유화방법을 사용하여 수성 매질에 재분산시 더 작고 균일한 에멀젼을 형성하게 하는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의 더 향상된 수용해도 및 용출률로 경구 생체 이용률이 현저히 개선된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을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은 콘 오일(corn oil), 크로다몰 PC(crodamol PC) 및 캡텍스 355(captex 35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트윈 80(tween 80), 트윈 20(tween 20) 및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로서 크레모포어 RH 40(cremophor RH 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니클로사마이드는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 하기의 구조와 특징을 가진다.
<화학식 1>
상기 화합물은 이와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어, 인간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안전성 및 효능 프로파일을 갖는 염을 의미한다.
상기 염은 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성 염 또는 산성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염은 유기 염기염, 무기 염기염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세슘염, 아미늄염, 암모늄염, 트리에칠아미늄염 및 피리디늄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산성염은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유리산으로는 무기산과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아황산, 인산, 이중 인산, 질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산, 말산, 퓨마르산, 글루코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캠퍼설폰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릭산, 아세트산, 글리콘산, 석신산, 타타르산, 4-톨루엔설폰산, 갈락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시트르산, 아스파르탄산, 스테아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무기산 및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염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상기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 용매화물, 유도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또는 아세토니트릴 등에 녹여 과량의 유기염기를 가하거나 무기염기의 염기 수용액을 가한 후 침전시키거나 결정화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염기를 증발시킨 후 건조시켜서 부가염을 얻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은 난용성 약물인 니클로사마이드의 생체 이용률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오일,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오일은 약물의 용해제 역할을 하여, 본 발명의 난용성 약물인 니클로사마이드의 흡수율을 향상시키고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콘 오일(corn oil), 크로다몰 PC(crodamol PC) 및 캡텍스 355(captex 35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계면활성제 또는 공계면활성제는 니클로사마이드를 안정하게 분산시켜 흡수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트윈 80(tween 80), 트윈 20(tween 20) 및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공계면활성제는 크레모포어 RH 40(cremophor RH 40)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은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가 1 : (0.2 ~ 18) : (0.2 ~ 18)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6 ~ 6) : (1.4 ~ 14)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 ~ 2) : (2 ~ 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일과 상기 계면활성제, 공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1 : (4 ~ 6)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상기 계면활성제와 공계면활성제가 3 : 7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상기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이 1 : (40 ~ 6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50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고형화제로서 규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메타규산알루미나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실리카류 흡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 및 고형화제를 포함하는 약제 조성물은 수용해도, 용출률 및 경구 생체 이용률이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 오일(corn oil), 크로다몰 PC(crodamol PC) 및 캡텍스 355(captex 35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오일;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트윈 80(tween 80), 트윈 20(tween 20) 및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로서 크레모포어 RH 40(cremophor RH 40);을 혼합하여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에 니클로사마이드를 용해시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은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가 1 : (0.2 ~ 18) : (0.2 ~ 18)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6 ~ 6) : (1.4 ~ 14)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 ~ 2) : (2 ~ 3)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일과 상기 계면활성제, 공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1 : (4 ~ 6)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은 상기 계면활성제와 공계면활성제가 3 : 7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해야 한다. 상기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SPG(shirasu-porous-glass) 막 유화(투과) 또는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 HPH)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온도, 100 내지 200 rpm의 교반 속도로 3 내지 4μm의 막 포어(membrane pore) 사이즈에서 10 내지 15분간 SPG 막 유화(투과)를 수행함으로써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1000 내지 2000 bar의 압력에서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 HPH)로 3 내지 7회 반복하여 균질화를 수행함으로써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SPG 막 유화 및 고압 균질기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작고 균질한 유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은 상기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이 1 : (40 ~ 60)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50 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의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은 물과 접촉하면 자발적으로 유화가 진행되어 나노 크기의 에멀젼 입자를 형성해 지용성인 생체막을 투과하기 쉬워져 생체 내에서 흡수가 매우 빨라 높은 생체 이용률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형성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에 고형화제를 첨가하고 분무 건조시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형화제가 0.5 내지 2 중량부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고형화제는 규산칼슘, 이산화규소 및 메타규산알루미나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실리카류 흡착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외에도 상기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의 수용해도와 용출률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구 생체 이용률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분무 건조는 용매를 건조시키기 위해 수반되는 단계로 그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분무건조기, 유동층 과립기, CF 과립기, 감압 건조기 등을 이용한 분무 건조, 감압 건조, 열풍 건조 등의 공지된 여타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절한 담체와 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부형제, 희석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결합제, 붕해제, 용제 등을 더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담체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니클로사마이드의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달리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준비예 1> 첨가제 선정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조성물 제조에 필요한 첨가제를 선정하기 위한 첨가제 리스트이다. 이들 첨가제와 약물의 용해도 평가를 통해서 하기와 같이 최적의 첨가제를 선정하였다.
1. 계면활성제(surfactant) 선정
도 2는 도 1의 첨가제 리스트 중 계면활성제의 용해도 평가 결과로, 폴록사머 407(Poloxamer 407), 트윈 80(Tween 80), 트윈 20(Tween 20),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 SLS)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우수한 폴록사머 407/트윈 80을 최종 계면활성제로 선정하였다.
2. 오일(oil) 선정
도 3은 도 1의 첨가제 리스트 중 오일의 용해도 평가 결과로, 오일 대부분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콘 오일(corn oil)을 선정하였다.
3. 용매(solvent) 선정
도 4는 도 1의 첨가제 리스트 중 용매의 용해도 평가 결과로, 용매 대부분이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 glycol, PEG)류를 선정하였다. 실험에는 가격 및 사용 편의성으로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의 용해도 평가 결과를 통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SNEDDS)의 계면활성제로 선정된 Tween 80와 공계면활성제 Cremophor RH 40 및 오일의 콘 오일에 대한 3상 다이어그램 평가로, 이를 통해 안정한 에멀젼 영역을 설정하였다.
<실시예 1>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liquid-SNEDDS, L-SNEDDS)의 제조
1. 오일, 계면활성제, 공계면활성제의 조성 선정
상기 오일, 계면활성제, 공계면활성제를 증류수 10mL에 분산시킨 후 25℃ 조건에서 633nm 파장에서 에멀젼 입자 크기와 다분산도 평가 기계(Zetasi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Worcestershire, UK)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하, 에멀젼 입자 크기 및 다분산도(PDI) 평가는 이와 동일한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도 6은 콘 오일과 Tween 80 조성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 및 도 8은 콘 오일과 Cremophor RH 40 조성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 및 3상 다이어그램이다.
이를 참조하면, 콘 오일과 Tween 80이 15/85의 조성일 때, 콘 오일과 Cremophor RH 40이 20/80의 조성일 때, 가장 작은 에멀젼 입자 크기와 PDI 값을 나타내어 흡수 증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선정하여 이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9는 콘 오일과 비율을 달리한 계면활성제의 조성에 따른 에멀젼 크기를 나타낸 그래프로,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조성은 20/80이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Cremophor RH 40과 Tween 80이 3:7의 비율인 경우에 가장 작은 에멀젼 입자 크기와 PDI 값을 나타내어 흡수 증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를 선정하였다.
2. SPG 막 유화법을 이용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제조
1에서 선정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조성에서 형성되는 에멀젼 입자크기와 다분산도(PDI)를 감소시키기 위해 SPG(shirasu-porous-glass) 막 유화(막 투과)법을 사용하였고, 이 방법을 최적화하기 위해 작동시간과 막 크기를 변화시키며 에멀젼 입자 크기와 다분산도를 평가하여 가장 작은 에멀젼 입자크기와 다분산도를 가지는 조건을 선정하였다.
* SPG 막 유화법 기본 조건
1) Machine : MC Tech
2) Agitation rate : 100 rpm
3) Temperature : 37 ℃
4) Sampling point (min) : 10, 20, 30, 40, 50, 60 min
5) Membrane pore size : 1.1, 2.5, 3.1 μm
도 10 내지 도 12는 막 포어 사이즈(Membrane pore size)별 작동 시간에 따른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평가 결과로, 도 10은 1.1μm, 도 11은 2.5μm, 도 12는 3.1μm의 크기에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작동 시간 10분에서 가장 작은 에멀젼 입자 크기와 PDI 값을 나타내어 안정한 L-SNEDDS를 얻을 수 있었다.
도 13은 작동 시간 10분에서 막 포어 사이즈별 에멀젼 입자 크기를 비교한 결과로, 3.1μm에서 가장 작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도 14는 온도에 따른 에멀젼 입자 크기의 비교 결과로, 37℃에서 가장 작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 15는 교반 속도에 따른 평가 결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100rpm이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하기와 같은 L-SNEDDS 제조시의 SPG 막 유화법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
* SPG 막 유화법 최적 조건
1) Machine : MC Tech
2) Agitation rate : 100 rpm
3) Temperature : 37 ℃
4) Sampling point (min) : 10 min
5) Membrane pore size : 3.1 μm
도 16은 오일, 계면활성제 및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용해도를 평가한 것으로, 각각의 성분보다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제조한 경우의 용해도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3. 고압균질기를 이용한 이용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제조
1에서 선정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조성에서 형성되는 에멀젼 입자크기와 다분산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고압균질기를 사용하였고 이 방법을 최적화하기 위해 압력, 반복횟수의 두 가지 파라메타를 변화시키며 가장 작은 에멀젼 입자크기와 다분산도를 가지는 조건을 선정하였다.
도 17 내지 도 19는 압력별 반복횟수에 따른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평가 결과로, 도 17은 1000 bar, 도 18은 1300 bar, 도 19는 1600 bar의 압력에서 평가한 것이다.
그 결과, 모두 3 cycle에서 가장 작은 에멀젼 입자 크기와 PDI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20은 3 cycle에서 압력 조건별 에멀젼 입자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 1300 bar에서 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Solid-SNEDDS, S-SNEDDS)의 제조
하기 표 1은 캐리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Aerosil® (이산화규소) AEROPERL® (이산화규소) Neusilin® US2 (메타규산알루미나마그네슘), 규산칼슘을 흡착제로 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단위:g)을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2는 분무 건조기(Spray dryer)의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Ingredient NS1 NS2 NS3 NS4
Niclosamide (mg) 20
L-SEDDS 1
Aerosil® 1 - - -
AEROPERL® - 1 - -
Neusilin® US2 - - 1 -
Ca silicate - - - 1
DW (ml) 100
Inlet temperature 140 ℃
Outlet temperature 65~75 ℃
Aspirator 100%
Pump 15%
도 21은 표 1에 따라 제조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용해도 결과로, 규산 칼슘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2는 표 1에 따라 제조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의 용출 결과로, 규산 칼슘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23 및 도 24는 규산 칼슘의 양에 따른 용해도 평가 결과로, 0.5 비율 (S-SNEDDS 1)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니클로사마이드 원료
니클로사마이드 원료 자체를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수용액에서의 니클로사마이드 및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제형의 수용해도 및 용출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약물을 포화용해도 이상의 과량으로 각각 정제수 1mL에 넣은 후 3일 동안 항온조에서 25℃, 100rpm으로 교반한 뒤 하기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시스템으로 니클로사마이드를 정량하였다.
* HPLC 조건
컬럼 : Inertsil® ODS-2 (4.6×250mm, 5μm)
유속 : 1.0mL/min
주입량 : 20μL
검출 파장 : 254nm
이동상 : 이동상 A - pH 3.6 완충액, 이동상 B - 메탄올 (10:90 v/v)
pH 3.6 완충액 = 1L 물에 용해된 5.75g의 제1인산암모늄(monobasic ammonium phosphate), 인산(phosphoric acid)으로 pH 3.6으로 조정.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약물 25mg을 취하여 하기의 용출조건에 따라 실험하고 용출액을 가지고 각각 상기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시스템으로 니클로사마이드를 정량하였다.
* 용출 조건
용출액 : 물 900ml
용출 온도 : 37℃
용출법 : 제 2법 (패들법)
패들 회전 속도 : 50rpm
<실험예 2>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조성물의 체내 동태 실험(Pharmacokinetics, PK test)
경구 생체이용률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조성물을 SD 래트에 30mg/kg로 경구투여하고 대퇴동맥에서 헤파린 처리한 1회용 주사기로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을 혈장 분리 후 HPLC로 하기의 조건(도 25)으로 분석하였다.
* HPLC 조건
컬럼: Capcell Pak C18 (4.6×150mm, 5μm)
유속 : 0.5mL/min
주입량 : 50μL
검출 파장 : 332nm
이동상 : 이동상 A - 0.005M 인산염 완충액, 이동상 B - 아세토나이트릴 (30:70 v/v)
내부표준물질 :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도 26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체내 혈중약물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7은 이의 약물동태학적 변수(pharmacokinetic parameter)이다. 이를 참조하면, 니클로사마이드 원물에 비해 S-SNEDDS 1의 경우 경구 생체 이용률의 지표인 혈중농도-시간 곡선하 면적에서 유의적인 증가가 있었다. 또한, 최고 혈중농도에서도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우수한 경구 생체 이용률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Claims (12)

  1.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은 오일제로 콘 오일;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및
    공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실 40 수소화 캐스터 오일 (polyoxyl 40 hydrogenated castor oil)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과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는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는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고형화제로서 규산칼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조성물은,
    상기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이 1 : (40 ~ 6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조성물은,
    수용해도, 용출률 및 경구 생체 이용률이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조성물.
  6. 오일제로 콘 오일, 계면활성제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및 공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실 40 수소화 캐스터 오일 (polyoxyl 40 hydrogenated castor oil)을 혼합하여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에 니클로사마이드를 용해시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에 고형화제로 규산칼슘을 첨가하고 분무 건조시켜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과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는 1 : 4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계면활성제 및 공계면활성제는 7 : 3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상기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SPG(shirasu-porous-glass) 막 유화 또는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 HPH)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약제 조성물 제조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은,
    상기 니클로사마이드 및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용 조성물이 1 : (40 ~ 6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1.1 내지 3.1 μm의 평균 막 포어 사이즈를 가진 SPG 막 유화장치로 37℃ 온도 및 100 rpm의 교반속도에서 1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고압 균질기로 1300 bar 압력에서 3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형성된 액체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 1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형화제가 0.5 내지 2 중량부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210049777A 2020-04-17 2021-04-16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4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720 2020-04-17
KR20200046720 2020-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940A KR20210128940A (ko) 2021-10-27
KR102594716B1 true KR102594716B1 (ko) 2023-10-27

Family

ID=7828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777A KR102594716B1 (ko) 2020-04-17 2021-04-16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930B1 (ko) * 2021-10-29 2024-02-1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셀레콕시브 함유 경구 투여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47B1 (ko) 2010-02-24 2010-06-14 (주)비씨월드제약 난용성 약물인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정제
KR101623928B1 (ko) * 2015-02-24 2016-05-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가나노유화 약물 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에제티미브의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601A (ko) 1996-10-31 1998-07-25 김윤 난용성 약물의 가용화 방법
WO1998056390A1 (en) * 1997-06-11 1998-12-17 Bayer Aktiengesellschaft Anthelmintic compositions
EP3601285A4 (en) * 2017-03-21 2020-12-09 Novalead Pharma Inc. THERAPEUTIC AGENT FOR THE INHIBITION OF PHOSPHODIESTERASE AND ITS RELATED DISOR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447B1 (ko) 2010-02-24 2010-06-14 (주)비씨월드제약 난용성 약물인 두타스테라이드의 자가유화 조성물과 이로부터 제조된 정제
KR101623928B1 (ko) * 2015-02-24 2016-05-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가나노유화 약물 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에제티미브의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940A (ko) 202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8834B2 (ja) 少なくとも1種の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及び少なくとも1種のポリマー性安定化マトリックス形成性成分を含む安定な非晶質のハイブリッドナノ粒子を製造する方法
JP2010506886A (ja) 化学物質のミセルのナノ粒子
Choi et al. Naftopidil-fumaric acid interaction in a solid dispersion system: Improving the dissolution rate and oral absorption of naftopidil in rats
JP2020055838A (ja) 少なくとも1種の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及び少なくとも1種のポリマー性安定化マトリックス形成性成分を含む安定な非晶質のハイブリッドナノ粒子を製造する方法
KR102594716B1 (ko)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경구 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330343B2 (ja) 低水溶性活性成分、界面活性剤および水溶性ポリマーを含んでなる医薬組成物
KR102290670B1 (ko)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리바록사반의 경구용 고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4715B1 (ko) 경구 생체 이용률이 증가된 니클로사마이드 함유 고체분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4717B1 (ko)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타다라필의 경구용 고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1287956B2 (en)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mprising 6&#39;-fluoro-(N-methyl- or N,N-dimethyl-)-4-phenyl-4,9&#39;-dihydro-3&#39;H-spiro[cyclohexane-1,1&#39;-pyrano[3,4,b]indol]-4-amine
KR102492147B1 (ko)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 시스템을 이용한 카베디롤 함유 경구용 고형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1708B1 (ko) 알칼리화제를 포함하는 셀레콕시브 함유 고체분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5930B1 (ko) 자가나노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이용한 셀레콕시브 함유 경구 투여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7902B1 (ko) 초임계 유체공정을 이용한 난용성 약물인 펠로디핀고체분산체와 이를 포함하는 서방성 제제의 제조방법
KR20230148584A (ko) 간염 치료를 위한 난용성 약물을 함유하는 나노입자 제조방법
WO2023225533A1 (en) Use of peg-based interpolymer complexes for improved solubilization of bcs class ii dru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