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532B1 -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 Google Patents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532B1
KR102594532B1 KR1020180099398A KR20180099398A KR102594532B1 KR 102594532 B1 KR102594532 B1 KR 102594532B1 KR 1020180099398 A KR1020180099398 A KR 1020180099398A KR 20180099398 A KR20180099398 A KR 20180099398A KR 102594532 B1 KR102594532 B1 KR 102594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heat
shrinkable tube
bundle
fiber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043A (ko
Inventor
박운규
박도현
양훈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5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H01B13/2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 H01B13/2606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by winding, braiding or longitudinal lapping by brai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6Single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섬유사로 구성되되 열수축이 가능하여 각종 접속 마감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열수축 튜브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를 금속코팅하여 열수축 튜브에 차폐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Carbon Fiber Braid Member And Carbon Fiber Heat Shrinkable Tube}
본 발명은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탄소 섬유사로 구성되되 열수축이 가능하여 각종 접속 마감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열수축 튜브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를 금속코팅하여 열수축 튜브에 차폐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에 관한 것이다.
탄소 섬유는 철에 비해 질량은 1/4에 불과하나 강도 및 탄성이 각각 10배 및 7배에 이르는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열수축 튜브는 접속 마감재로서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마감재로 전선 접속부위 등에서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유연한 수지재질의 열수축 튜브는 충분항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신케이블의 EMI 차폐 등을 위하여 금속 편조 재질의 차폐층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통신케이블을 상호 접속하는 경우 금속 편조 재질의 차폐층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마찬가지로 금속 재질 편조 차폐부재로 양 통신케이블의 접속부위를 감싼 후 금속 재질 편조 차폐부재와 양 통신케이블의 차폐층을 각각 용접하는 방법으로 양 통신케이블의 차폐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양 통신케이블의 접속부위를 통한 전자파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재질 편조 차폐부재와 양 통신케이블의 차폐층을 각각 용접하는 방법은 작업성이 좋지 않고 케이블 경량화에 장애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 섬유사로 구성되되 열수축이 가능하여 각종 접속 마감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열수축 튜브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를 금속코팅하여 열수축 튜브에 차폐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 및,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축 섬유 번들;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을 편조하여 구성되는 편조부재를 원통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은 폴리올레핀 섬유사로 구성되는 열수축 튜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 섬유사는 400 데니어(Denier) 내지 800 데니어(Deni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은 3k 가닥, 6k 가닥 또는 12k 가닥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수축 튜브의 두께는 0.4 밀리미터 내지 2.4 밀리미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사는 폴리 아미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사는 신율이 1% 이상인 PAN 계열 탄소 섬유사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은 금속 도금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 중 일부의 탄소 섬유사는 금속 도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소 섬유의 금속 도금 재질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또는 니켈이나 그 합금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의 금속 도금의 도금 밀도는 2.7 g/cm3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축 섬유 번들;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을 편조하여 구성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은 금속 도금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 중 일부의 탄소 섬유사는 금속 도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 섬유의 금속 도금 재질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또는 니켈이나 그 합금 재질이며, 도금 밀도는 2.7 g/cm3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은 400 데니어(Denier) 내지 800 데니어(Denier)인 폴리올레핀 섬유사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은 신율이 1% 이상인 PAN 계열 3k 가닥, 6k 가닥 또는 12k 가닥으로 구성되며, 폴리 아미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에 의하면, 탄소 섬유사로 구성되되 열수축이 가능하여 각종 접속 마감재로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시 열수축 튜브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를 금속코팅하여 열수축 튜브에 차폐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에 의하면, 케이블 접속 마감재로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용접 등의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키며, 경량화 및 비용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를 구성하기 위한 편조부재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조부재를 튜브 형태로 제조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의 일부 영역을 열수축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한 쌍의 케이블의 접속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를 장착하여 마감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의 주파수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구성하기 위한 편조부재(100')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조부재(100')를 튜브 형태로 제조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10)과 복수 개의 수축 섬유 번들(20)로 구성되는 편조부재(100')를 도시하며, 도 2는 상기 편조부재(100')로 구성된 열수축 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는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10) 및 상기 일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축 섬유 번들(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편조부재(1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번들'이란 다수의 미세 섬유사로 구성되는 섬유 묶음 또는 다발을 의미하는 것으로 탄소 섬유의 경우 몇천 개의 미세 탄소 섬유사가 하나의 번들을 구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탄소 섬유 번들(10)은 탄소 섬유사(11)를 3k 가닥, 6k 가닥 또는 12k 가닥 등 1k 가닥 이상으로 구성된 번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소 섬유사는 신율이 1% 이상인 PAN 계열 탄소 섬유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각의 탄소 섬유사는 제조 과정에서 폴리아미드(Polyamide) 코팅이 수행되어, 탄소 섬유사 간의 들러 붙음 또는 엉킴 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폴리아미드 코팅층은 탄소 섬유 표면에 접착성이 좋으며 또 휨성이 양호한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열수축 튜브는 열이 가해지면 반지름 방향으로 수축하는 성질로 마감 대상을 감싸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열수축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수축이 심한 경우, 마감 대상을 충분히 감싸지 못하므로 열수축 튜브의 길이방향 수축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는 편조 구조로 제조되며, 기본적으로 탄소 섬유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탄소 섬유 자체는 무게가 가볍고 강성과 탄성을 가지는 소재이지만 열수축 특성이 크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는 탄소 섬유로만 구성되지 않고 수축이 필요한 방향으로는 수축 섬유를 적용하여 탄소 섬유의 장점을 살리면서 열수축 특징을 활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는 일방향(제1 방향)으로 탄소 섬유 번들(10)이 배치되고 그 수직방향(제2 방향)으로 수축 섬유 번들(20)을 편조방식으로 조직하여 편조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축 섬유사(21)의 예로서 폴리올레핀(Polyolefine) 계열의 섬유사가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레핀이란 합성수지의 종류로써, 에틸렌과 프로필렌 같은 올레핀(분자 1개당 1개의 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탄화 수소)을 첨가중합반응시켜 만드는 유기물질을 의미한다.
폴리올레핀의 섬유사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EVA (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UHMWP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E)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각종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러버/엘라스토머(EPR (ethylene-propylene rubber), EPDM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POE (polyolefin elastomer, ethylene/octene-1)) 등이 적용 가능성이 있다.
폴리올레핀 섬유사는 일반적으로 탄성이 있고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 녹지 않으며 산과 염기에 내성이 있으며 전기 절연성이 있으며, 일반적인 열수축튜브의 재료료 활용된다.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 재질로 구성된 폴리올레핀 재질의 수축 섬유사(21)를 수축 섬유 번들(20)로 구성하여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의 제2 방향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10)은 1k 이상의 가닥으로 형성되며, 편조부재(100')의 두께는 0.3 밀리미터(mm) 내지 5 밀리미터(mm)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섬유 번들(10)은 3k 가닥, 6k 가닥 또는 12k 탄소 섬유사(11)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축 섬유사(21)는 400 데니어(Denier) 내지 800 데니어(Denier) 굵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편조부재(100')의 두께는 0.3 밀리미터(mm) 내지 2.5 밀리미터(mm) 범위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편조부재(100')를 열수축 튜브의 길이와 직경에 맞게 봉제 또는 접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봉제 또는 접합 방향은 열수축 튜브의 길이방향으로는 탄소 섬유 번들(10)이 적용되고 원주방향으로는 폴리올레핀 계열의 섬유사로 구성된 수축 섬유 번들(20)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일부 영역을 열수축한 상태를 도시한다.
열수축 튜브의 길이방향으로는 탄소 섬유사(11)로 구성된 탄소 섬유 번들(10)이 적용되고 원주방향으로는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축 섬유사(21)로 구성된 수축 섬유 번들(20)이 배치되므로,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는 경우 열수축튜브의 길이방향으로는 수축량이 최소화되되 반지름 방향으로는 수축 섬유의 수축에 의하여 반경이 축소되어 일반적인 열수축 튜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영역(A1)은 열수축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우측 영역(A2)은 열수축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즉, 여기서, 본 발명의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치된 탄소 섬유 번들(10)은 수축되지 않고,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원주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수축 섬유 번들(20)은 수축되어 마감 대상영역에 밀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탄소 섬유 번들 및 수축 섬유 번들을 기반으로 열수축 투브를 구성하는 경우, 종래 사용되던 금속 재질의 편조부재 또는 편조층에 비해 무게가 크게 줄고 강성과 탄성을 확보하며 수축이 가능한 열수축 튜브를 구성할 수 있다.
탄소 섬유는 도체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전도성을 가지므로, 도 1에 도시된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전자파 차폐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는 통신 케이블의 금속 차폐층 또는 통신 케이블의 접속부위를 마감하기 위한 차폐부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또는 도 2에 도시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는 저주파 영역에서는 통신 케이블 등의 차폐층으로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고주파 영역에서는 차폐 성능의 확보가 충분치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는 탄소 섬유 번들(10)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를 금속 도금하는 방법으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차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치된 탄소 섬유 번들(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탄소 섬유사(11')들이 금속 도금되어 탄소 섬유사(11')에 금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케이블 차폐층 등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탄소 섬유를 금속 도금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10)을 구성하는 일부의 탄소 섬유사만 금속코팅하고 나머지 탄소 섬유사는 일반 탄소 섬유사를 적용하여 탄소 섬유 번들(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탄소 섬유 번들(10)이 6k 탄소 섬유사가 적용되는 경우라면 3k 탄소 섬유만 금속코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구성하는 나란히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10) 중 금속 도금된 탄소 섬유 번들(10)과 코팅되징 않은 탄소 섬유 번들(10)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도금된 탄소 섬유 번들(10)과 코팅되징 않은 탄소 섬유 번들(10)을 번갈아 배치하거나 1 : 2 또는 1 : 3 비율로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하나의 금속 도금된 탄소 섬유 번들(10) 역시 모든 탄소 섬유사가 금속 도금되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10)을 구성하는 일부의 탄소 섬유사만 금속코팅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탄소 섬유사의 금속 도금 재질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또는 니켈이나 그 합금 재질일 수 있으며, 도금 밀도는 2.7 g/cm3 이하 정도가 적당하다.
도 5는 한 쌍의 케이블의 접속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편조부재(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장착하여 마감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되는 양 통신 케이블 등은 각각 전자파 차폐를 위한 차폐층(200a, 200b)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케이블을 상호 접속하는 경우 도체를 접속하고, 도체 접속부위에서의 전자파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편조부재 등으로 감싼 후 금속 편조부재를 각각의 케이블의 차폐층에 용접하는 방법으로 도체 접속부위의 전자파를 차단하고 양 케이블의 차폐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작업은 번거롭고 케이블 접속부위의 무게를 증가시키므로 케이블 경량화를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케이블 접속부위에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장착한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 튜브(100)를 수축시켜 케이블 접속부위를 차폐하면서 열수축 튜브와 양 케이블의 차폐층(200a, 200b)을 연결할 수 있다.
탄소 섬유는 어느 정도의 통전성이 존재하므로, 전자파 차폐 성능을 구비하며,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금속 도금된 탄소 섬유사가 적용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경우 차폐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로 케이블 접속부위를 마감하고 열수축 시킨 상태에서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검토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주파수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의 시험 결과를 도시한다.
시험대상은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사가 일반 탄소 섬유인 도 2에 도시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사가 금속 도금된 탄소 섬유인 도 4에 도시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시험예로 하였다.
그리고, 각 시험예의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로 양 케이블 접속부위를 마감 및 열수축시켜, 양케이블의 차폐층을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로 연결하고, 케이블을 통해 10 Khz 내지 1,000 Mhz 시험 전류를 통전하는 경우 케이블 접속부위에서의 차폐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험되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를 구성하는 탄소 섬유 번들(10)의 종류와 무관하게 0.01 Mhz 정도의 저주파 시험 전류에서는 탄소 섬유의 금속 도금 여부와 무관하게 우수한 차폐율로 분류되는 40dB 이상의 차폐율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탄소 섬유사가 어느 정도의 통전성과 차폐성이 존재하므로 0.01 Mhz(10 Khz) 범위의 저주파 영역에서는 금속 도금이 적용되지 않은 탄소 섬유사로 구성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가 차폐부재로 충분히 역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험 전류의 주파수가 Mhz 고주파 영역에서 증가됨에 따라 일반 탄소 섬유사가 적용된 시험예는 40dB 이하로 차폐율이 측정되지만, 금속 도금된 탄소 섬유사가 적용된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100)의 경우 고주파 영역인 100 Mhz 까지 주파수가 증가되어도 40dB 이상의 우수한 차폐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Mhz 고주파 영역에서 증가됨에 따라 일반 탄소 섬유사가 적용된 시험예는 40dB 이하로 차폐율이 감소되기는 하여도 양호한 차폐율로 분류되는 20 dB 이상의 차폐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시험결과를 통해, 케이블의 용도에 따라 초고주파 이상의 주파수 영역을 제외한 저주파 영역 및 고주파 영역에서는 금속 편조부재 형태의 차폐수단을 탄소 섬유사가 적용된 열수축 튜브를 적용하여, 금속 편조부재)를 대체하여 용접 작업을 생략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가 충분한 강성과 탄성을 가지므로 케이블 접속부위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10 : 탄소 섬유 번들
11 : 탄소 섬유
20 : 수축 섬유 번들
21 : 수축 섬유

Claims (16)

  1.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 다수의 탄소 섬유사 다발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 다수의 수축 섬유사 다발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수축 섬유 번들;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을 편조하여 구성되며, 열수축시 원주 방향으로 수축하는 편조부재를 원통형으로 감아 형성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은 폴리올레핀 섬유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섬유사는 400 데니어(Denier) 내지 800 데니어(Deni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은 3k 가닥, 6k 가닥 또는 12k 가닥으로 구성되며, 상기 열수축 튜브의 두께는 0.4 밀리미터 내지 2.4 밀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사는 폴리 아미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사는 신율이 1% 이상인 PAN 계열 탄소 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은 금속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 중 일부의 탄소 섬유사는 금속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의 금속 도금 재질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또는 니켈이나 그 합금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의 금속 도금의 도금 밀도는 2.7 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11.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 다수의 탄소 섬유사 다발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각 다수의 수축 섬유사 다발로 구성되는 복수 개의 수축 섬유 번들;을 포함하며,
    상기 탄소 섬유 번들 및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을 편조하여 구성되며, 열수축시 제2 방향으로 수축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은 금속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탄소 섬유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탄소 섬유 번들을 구성하는 탄소 섬유 중 일부의 탄소 섬유사는 금속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의 금속 도금 재질은 구리, 금, 은, 알루미늄 또는 니켈이나 그 합금 재질이며, 도금 밀도는 2.7 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 섬유 번들은 400 데니어(Denier) 내지 800 데니어(Denier)인 폴리올레핀 섬유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 번들은 신율이 1% 이상인 PAN 계열 3k 가닥, 6k 가닥 또는 12k 가닥으로 구성되며, 폴리 아미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편조부재.


KR1020180099398A 2018-08-24 2018-08-24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KR102594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98A KR102594532B1 (ko) 2018-08-24 2018-08-24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398A KR102594532B1 (ko) 2018-08-24 2018-08-24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43A KR20200023043A (ko) 2020-03-04
KR102594532B1 true KR102594532B1 (ko) 2023-10-25

Family

ID=6978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398A KR102594532B1 (ko) 2018-08-24 2018-08-24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15A1 (ko) * 2020-03-25 2021-09-3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Emi 차폐를 위한 차폐 구조물, 이더넷 케이블 및 코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441A (ja) * 2010-08-30 2012-03-08 Tokai Rubber Ind Ltd 電磁波シールド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098A (ko) * 2016-12-12 2018-06-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소섬유를 이용한 차폐 케이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441A (ja) * 2010-08-30 2012-03-08 Tokai Rubber Ind Ltd 電磁波シールド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43A (ko)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530B1 (ko) 편조부재 및 열수축 튜브
US4822950A (en) Nickel/carbon fiber braided shield
CA2381151C (en) High performance data cable
KR101705261B1 (ko) 하이브리드 얀으로 제조된 보호성 슬리브, 하이브리드 얀 및 그 구성 방법
KR102015481B1 (ko) 기능성 복합 하네스
JP7110299B2 (ja) 自己巻き付け遮蔽チューブ
US11424048B2 (en) Coaxial cable utilizing plated carbon nanotube elem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594532B1 (ko) 탄소 섬유 편조부재 및 탄소 섬유 열수축 튜브
US9363935B1 (en) Subdivided separation fillers for use in cables
CN113168944B (zh) 碳纤维编织构件和碳纤维热缩管
CN103050172B (zh) 一种三槽骨架及使用该骨架的电缆
JP7439255B2 (ja) 自己カール性遮蔽チューブ
US10276280B1 (en) Power over ethernet twisted pair communications cables with a shield used as a return conductor
KR20190062105A (ko) 편조실드 부착 케이블
JP7213979B2 (ja) 炭素繊維編組部材及び炭素繊維熱収縮チューブ
JPH01298605A (ja) シールド付フラットケーブル
CN210627969U (zh) 一种具有石墨烯纤维屏蔽层的超柔型信号电缆
JP2024517063A (ja) 複合素材セルフラップ遮蔽チューブ
KR20220150826A (ko) 복합소재 셀프랩 차폐 튜브
CN218069397U (zh) 一种高强度的直流铝合金光伏电缆
KR20210054450A (ko) 자기말림 차폐튜브
CN208422472U (zh) 一种机器人电缆
CN210606691U (zh) 高速运动超柔软电缆
CN210110386U (zh) 防水防火电缆
CN117542570A (zh) 拖曳电缆的制备方法及拖曳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