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231B1 -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231B1
KR102594231B1 KR1020210100384A KR20210100384A KR102594231B1 KR 102594231 B1 KR102594231 B1 KR 102594231B1 KR 1020210100384 A KR1020210100384 A KR 1020210100384A KR 20210100384 A KR20210100384 A KR 20210100384A KR 102594231 B1 KR102594231 B1 KR 102594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iltration rate
egfr
value
electronic ch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8619A (ko
Inventor
이상민
홍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21010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2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creatine or creatinin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은,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하는 단계, 및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팝업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EMR SYSTEM}
본 발명은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eGFR)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eGFR 자동 산출과 기록을 통한 병의원측의 신속한 진단 및 치료 제공에 연관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6/0001000호(2016.01.07.) "Systems and methods using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s of the kidneys in the non-steady state"
2)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08/0046286호(2008.02.21.) "Computer implemented healthcare monitoring, notifying and/or scheduling system"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25498호(2018.03.09)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사구체여과율(GFR)은, 신장의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수치로서, 신장이 1분 동안에 깨끗하게 걸러주는 혈액의 양을 의미하고, 정상 사구체 여과율은 분당 대략 90~120ml 정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신사구체여과율(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은 신장 기능의 저하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계산되는 수치라는 의미에서 '추산 사구체여과율'이라고도 한다.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은, 환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eGFR값 산출 공식에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를 적용해 구해지는데, 일반적으로는, 환자의 전자차트를 관리하는 전자의무기록(Electro Medical Record)(이하, EMR) 시스템과는 별도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eGFR Calculator'라 불리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수동으로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를 진료하는 병의원측에서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높지 않아 현재까지는 신장 기능 진단 시 주요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EMR 시스템 내에서 자체적인 eGFR값 계산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에서 eGFR값의 확인이 가능해지도록 하고, 나아가, 환자의 eGFR값에 따른 치료 가이드라인과 같은 팝업알림을 제공하여, 담당의의 신장 질환 환자의 진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EMR 시스템에서 관리되는 환자의 전자차트 내 '연령', '성별', '혈청 크레아티닌'의 데이터를 사용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자동 산출하여 전자차트에 기록함으로써, 병의원측에서 환자의 전자차트 상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에 근거해 환자의 신장 기능을 진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 진료를 위한 전자차트의 로딩 시점에 eGFR값 별로 팝업알림을 제공하여, 병의원에서 전자차트 내 eGFR값에 근거한 환자의 신장 기능 진단이 보편화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은,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하는 단계, 및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팝업알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하는 처리부, 및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팝업알림하는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자동 산출을 통해 병의원측의 차트 관리 편의성을 높이고, 환자에 대한 신장 질환의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eGFR값을 반영한 전자차트 제공을 통해 환자를 진료하는 여러 형태의 병의원에서 신장 기능 진단을 위한 지표인 eGFR값의 활용 접근성을 높이고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장 기능 진단 시 eGFR값 활용을 보편화할 수 있어, 정확한 신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제공이 가능해지고, 특히,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만성질환 약제 처방 시, eGFR값을 통해 진단되는 신장 기능 상태를 고려해, 환자에게 보다 적절한 약품의 처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eGFR값에 따른 담당의의 진단 결과 및 치료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환자 단말에도 제공하여, 환자 스스로 본인의 신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추가로 필요한 각종 정기 검사와 댁내에서의 생활습관 관리 등을 적절히 실시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의 전자차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EMR 시스템을 통해 출력되는 팝업알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값을 기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에서,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값을 기입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신사구체여과율(eGFR;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은, 신장이 일정시간 동안 특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혈장량을 말하며, 신장 기능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이다.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은, 환자의 혈액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혈청크레아티닌' 농도와, 환자의 '연령' 및 '성별'을 바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혈액검사를 자체적으로 실시하기 어려운 병의원에서는, 환자의 검체(혈액)을 채집해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에 의뢰하여 '혈청크레아티닌' 농도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종래에는 병의원에서 '혈청크레아티닌' 농도를 수기로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입해야 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검사수탁업체의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혈청크레아티닌' 농도 값이 수신되면, 이를 환자의 전자차트에 바로 기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 내 데이터에 근거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산출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는, 본 발명의 EMR 시스템(120)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과, 병의원의 EMR 시스템(120) 및 환자와 연관된 단말(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병의원에서 사용하는 EMR 시스템(120)과 네트워크(100)로 연결된 서버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EMR 시스템(120)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병의원의 EMR 시스템(120)은, 병의원에서 발생하는 의료정보를 전산화하는 의료정보 시스템(전자의무기록 시스템)으로, 환자에 관한 치료, 검사, 처방 등 모든 의료정보를 전자차트로 기록해 관리할 수 있다.
EMR 시스템(120)은, 해당 병의원에서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자체 개발이 어려운 소규모 병의원에서는 외부 업체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병의원 마다의 EMR 시스템(120)이 어떤 종류의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각 EMR 시스템(120)에 할당된 EMR식별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 EMR식별코드를 통해 각 EMR 시스템(120)이 실행되는 병의원 단말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환자의 검체검사를 자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구분하는데 EMR식별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병의원 마다의 각 EMR 시스템(120)과 연동해서,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자동 산출해 전자차트에 기록하고,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반영된 전자차트를 해당 환자를 진료하는 병의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EMR 시스템(120)에서는 해당 환자를 진료하기 위해 전자차트를 로딩하는 시점에 팝업알림하여, 담당의에게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정상 범위 이탈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고,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저장)할 수 있다.
또,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된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120)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팝업알림하여,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담당의에게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eGFR Calculator'라 불리는 프로그램에 파라미터값을 입력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수동으로 계산해야 하는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환자 진료 시 전자차트로부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신장 기능의 저하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환자에게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에 따른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경도' 또는 '고도')에 매칭되는 치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환자와 연관된 단말(130)로 메시지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료정보에는, 신장 기능 개선을 위해 또는 신장 기능 악화를 막기 위해, 환자가 유지해야 할 생활습관이나, 정기적인 검사의 종류와 주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료정보와 함께, 전자차트에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확인한 담당의의 신장 기능 진단 결과도,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어 환자 단말(13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환자 단말(130)은, 환자 본인이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고, 환자의 보호자가 소지한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EMR 시스템(120)에서 관리되는 환자의 전자차트 내 '연령', '성별', '혈청 크레아티닌'의 데이터를 사용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자동 산출해 전자차트에 기록함으로써, 병의원측에서 환자 진료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반영된 전자차트를 EMR 시스템(120)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 진료를 위한 전자차트의 로딩 시점에 eGFR값 별로 팝업알림을 제공하여, 병의원에서 전자차트 내 eGFR값에 근거한 환자의 신장 기능 진단이 보편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정확한 신장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제공이 가능해지고, 특히,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만성질환 약제 처방 시, eGFR값을 통해 진단되는 신장 기능 상태를 고려해, 환자에게 보다 적절한 약품의 처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추출부(210), 처리부(220) 및 안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판단부(240), 기입부(250) 및 데이터베이스(26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추출부(210)는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고,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성별'에 관한 제1 파라미터값은, 남녀 별로 마련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산출 공식을 구분하는데 이용되고, '연령(Age)'에 관한 제1 파라미터값 및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은 공식에 대입되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일례로 추출부(210)는 환자가 '신장질환'을 가진 경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 자동 산출을 위해 전자차트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신장질환' 환자가 아니더라도, 신장 기능 저하를 합병증으로 가지는 '고혈압', '고지혈증', 및 '당뇨' 중 적어도 하나의 만성질환을 '보유 질환'으로 가진 경우에도, 추출부(210)는 해당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 자동 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를 환자의 전자차트에서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신장질환' 환자가 아닌 만성질환 환자를 대상으로도 담당의가 신장 기능 상태를 놓치지 않고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만성질환 약제 처방 시, eGFR값을 통해 진단되는 신장 기능 상태를 고려해, 환자에게 보다 적절한 약품의 처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한다.
상기 공식이 MDRD(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공식으로 선정되는 경우, 처리부(220)는, 남성 환자와 연관된 수식 "[{1.86×(SCr)}-{1.154×(Age)}-0.203]", 또는 여성 환자와 연관된 수식 "[{1.86×(SCr)}-{1.154×(Age)}-0.203]×0.742"에서, 상기 Age에 '연령'에 관한 제1 파라미터값을 대입하고, 상기 SCr에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대입하여,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산출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환자의 전자차트 내 '혈청 크레아티닌'의 옆에 기록할 수도 있고, 환자에게서 과거에 측정된 '혈청 크레아티닌'에 따른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전자차트에 기록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안내부(230)는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팝업알림한다.
즉 안내부(230)는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정상 범위를 이탈한 경우 팝업알림을 통해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 수치를 환자 진료 중인 담당의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고,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정상 범위 이내이면 별도의 팝업알림을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판단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판단부(240)는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로 판단한다.
일례로 판단부(240)는 환자의 eGFR수치('65' mg/dL)가 '15' 초과 '70' 이하로서 정상 범주를 벗어난 경우,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경도 저하'로 판단하고, 환자의 eGFR수치('8' mg/dL)가 '15' 이하로서 정상 범주를 벗어난 경우, '고도 저하'로 판단할 수 있다.
안내부(230)는 상기 팝업알림 시, 상기 판단된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에 적합한 약품 리스트를 출력하면서, 담당의의 약품 처방 주의를 안내하되, 상기 '고도 저하'에 대한 안내시, 신장 투석 권고를 상기 팝업알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안내부(230)는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정상 범위를 이탈한 경우 팝업알림을 통해 신사구체여과율(eGFR) 수치를 알리는 것에 더하여,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 및 그에 따른 약품 처방과 신장 투석에 관한 치료 가이드라인을 팝업알림을 통해 담당의에게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 상태에 맞는 적절한 진단/처방/치료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EMR 시스템을 통해 출력되는 팝업알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내부(230)는 환자의 eGFR수치('65' mg/dL)가 '15' 초과 '70' 이하로서 정상 범주를 벗어난 경우,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하는 병의원 단말에 EMR 시스템을 통해 팝업알림(510)을 출력하여, 환자의 eGFR수치('65' mg/dL)와 그에 따른 "경도"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담당의에게 알릴 수 있고, '경도 저하'에 적합한 약품 리스트를 출력하면서, 담당의의 약품 처방 주의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환자의 eGFR수치('8' mg/dL)가 '15' 이하로서 정상 범주를 벗어난 경우, 안내부(230)는 팝업알림(520)을 출력하여, 해당 환자의 eGFR수치('15' mg/dL)와 그에 따른 "고도"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담당의에게 알릴 수 있고, '고도 저하'에 적합한 약품 리스트를 출력하면서, 약품 처방 주의 및 신장 투석 권고를 담당의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처럼, 안내부(230)는 자동 산출되는 환자 별 eGFR수치에 따라 전자의무기록(EMR) 내에서 담당의에게 맞춤형 팝업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담당의에게 적절한 치료 가이드라인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진료를 받는 현시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의 '경도' 또는 '고도' 뿐만 아니라, 이전 진료 시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와의 비교에 의해 신장 기능의 개선 여부를 판단하여 팝업알림을 통해 환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40)는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 이전에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된 제1 신사구체여과율(eGFR)값도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과, 상기 제1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비교에 의해,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부(230)는 상기 신장 기능의 개선 여부를 상기 팝업알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일례로 환자의 이전 진료 시, 환자를 진료하는 병의원 단말에 팝업알림(510)이 EMR 시스템을 통해 출력된 후에 다시 내원한 환자의 신장 기능 상태가 '경도'에서 '고도'로 악화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안내부(230)는 "이전 eGFR값(65 [mg/dL]) 기준으로 신장 기능 악화로 판단되며, 신장 투석이 권고 가능합니다."와 같은 문구를 더 포함한 팝업알림(520)을 EMR 시스템을 통해 병의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담당의에게 노출되는 EMR 시스템을 통한 팝업알림(510 또는 520)과 함께, 안내부(230)는, 환자의 단말에도 치료정보를 메시지 전송해, 환자 본인의 상태와 그에 따른 댁내 관리 활동 및 주기 별 정기 검사에 따른 내원일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부(230)는,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에 따른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에 매칭되는 치료정보로서, 생활습관, 정기검사의 종류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베이스(260)로부터 리드하고, 상기 EMR 시스템을 통한 팝업알림 시, 신장 기능 개선에 필요한 상기 치료정보와,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확인한 담당의의 신장 기능 진단 결과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환자와 연관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 단말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내부(230)는 eGFR수치상 신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정보, 내원권유 등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eGFR수치가 70이하로 경증일 경우, 안내부(230)는 "환자분은 현재 경증 신기능 저하상태로, 신장 기능의 추가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자세히 확인"과 같은 메시지(610)를 환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eGFR수치가 15이하로 중기/말기에 해당할 경우, 안내부(230)는 "환자분은 현재 말기 신기능 저하상태로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1개월 주기-요독수치, 각종 전해질, 빈혈, 단백질 등 (혈액검사), 3개월 주기-흉부엑스레이, 체내 철분, 6개월 주기-심전도, 간염바이러스 (혈액검사), 일자에 맞추어 검사진행을 위한 내원 바랍니다. (내원안내)"와 같은 메시지(620)를 환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eGFR값에 따른 담당의의 진단 결과 및 치료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환자 단말에도 제공하여, 환자 스스로 본인의 신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해, 추가로 필요한 각종 정기 검사와 댁내에서의 생활습관 관리 등을 적절히 실시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기입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판단부(240)는 병의원 단말의 EMR 시스템에 할당된 EMR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병의원 단말이, 상기 검체검사를 자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또는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기입부(250)는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하는 병의원으로 판단되면, 상기 환자의 검체검사 결과로서,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하는 기능을 한다.
만일, 상기 제1 파라미터값의 추출 시까지,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이 상기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되지 않은 경우, 처리부(220)는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제1 파라미터값과 함께,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을 위한 상기 공식에 대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입부(250)는 외부 검사수탁업체에서 대신 실시한 혈액검사 결과 얻어진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값(제2 파라미터값)을 병의원 의료진이 환자의 전자차트에 수기로 기입할 필요 없이, 후술하는 것처럼 청구코드 및 구분값을 이용해 환자의 전자차트에 자동 기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처리부(220)에서는 전자차트 내 '혈청 크레아티닌'값에 근거해 신사구체여과율값(eGFR)을 자동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검사수탁업체 서버로부터의 제2 파라미터값 획득이 늦어져 환자 진료일까지 전자차트 상에 기록되지 못했더라도, 처리부(220)는 전자차트 상에서 담당의의 '요청' 버튼을 클릭에 의해 검사수탁업체 서버로 제2 파라미터값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사수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 파라미터값을 이용해 신사구체여과율값(eGFR)을 자동 산출해 환자의 전자차트에 바로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입부(250)는 입력된 청구코드에 따라,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로부터 '크레아티닌'에 연관된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를 제1 식별하고, 입력된 구분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 중에서,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특정 검사결과 필드를 제2 식별하고, 상기 특정 검사결과 필드에,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할 수 있다.
이때, 기입부(250)는 상기 청구코드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가 제1 식별되면, 구분값 가망 리스트를 화면 출력하고, 상기 구분값 가망 리스트 중에서, 1)상기 검체검사 시 이용된 환자의 검체 종류가 '혈액'으로 입력되거나, 2)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대한 단위가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나타내는 'mg/dL'로 입력되거나, 또는, 3)담당의에 의해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지정된 명칭이 상기 구분값으로서 입력되면, 제2 식별되는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특정 검사결과 필드를,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 가능한 활성 상태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해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하는 과정(7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값을 기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검사수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 파라미터값('1.08' mg/dL)이 수신되면, 기입부(250)는 입력된 청구코드('D2280000')에 따라, 환자의 전자차트로부터 '크레아티닌'에 연관된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도 4의 410 참조)를 제1 식별할 수 있다.
청구코드('D2280000')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구분값 가망 리스트(710)에는, 검체종류, 단위, 명칭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가능한 구분값이 포함될 수 있고, 기입부(250)는 검체종류로서 '혈청'(720)'이 선택 입력되면,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710) 중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특정 검사결과 필드를 제2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검체종류로서 '혈청'(720)'이 선택 입력되지 않고,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 'mg/dL' 혹은 담당의가 사전에 '혈청 크레아티닌'에 지정해 둔 명칭이 구분값 가망 리스트(710)에서 선택 입력될 경우에도, 기입부(250)는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검사결과 필드를 특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입부(250)는 상기 특정 검사결과 필드에 커서를 위치시키거나 다른 검사결과 필드 보다 사이즈를 늘리거나, 다른 색상으로 강조 표시하여 데이터 기입 가능한 활성 상태로 한 후, 활성 상태의 특정 검사결과 필드에,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파라미터값('1.08' mg/dL)을 기입할 수 있다.
이처럼 기입부(250)는 청구코드 및 구분값을 이용해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2 파라미터값을 환자의 전자차트에 자동 기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차트 내 '혈청 크레아티닌'값에 근거한 신사구체여과율값(eGFR) 산출을 빠르게 실시해 전자차트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환자 진료시 eGFR값을 반영한 전자차트 제공을 통해 병의원에서 신장 기능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만성질환 약제 처방 시, eGFR값을 통해 진단되는 신장 기능 상태를 고려해, 환자에게 보다 적절한 약품의 처방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신장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병의원에 내원하면(도 3의 ①), 환자로부터 채집된 검체(혈액)를 검사수탁업체로 전달하면서, 신장 기능의 진단 지표인 '혈청크레아티닌' 농도 체크를 위한 혈액 검사를 의뢰할 수 있다(도 3의 ②).
본 발명에서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등 신장 기능 저하를 합병증으로 가지는 만성질환 환자인 경우에도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 혈액 검사를 자동 의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장 질환 외에 다른 질환으로 인한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도 환자 진료시 담당의가 빠르게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일정 기간 경과 후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검체검사 결과('혈청크레아티닌' 농도)를 EMR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입할 수 있다(도 3의 ③).
다음으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입된 데이터('성별', '연령',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를 바탕으로, 선정된 공식에 따라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자동 산출하여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할 수 있고, 신사구체여과율(eGFR)의 산출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을 경우 담당의에게 팝업알림할 수 있다(도 3의 ④).
또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에 따른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와, 그에 따른 신장 기능 개선에 필요한 치료정보(생활습관, 정기검사 등)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환자와 연관된 단말로 전송해 안내할 수 있다(도 3의 ⑤).
상기 메시지는, 예를 들어, "환자분은 현재 말기 신기능 저하상태로 다음과 같은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요독수치, 각종 전해질, 빈혈, 단백질 등 체크를 위해 1개월 주기로 혈액 검사가 필요하고, 3개월 주기로 흉부엑스레이, 체내 철분 검사가 필요하고, 6개월 주기로 심전도, 간염바이러스 (혈액검사) 확인이 필요하므로, 일자에 맞추어 검사진행을 위한 내원 바랍니다."와 같이, 주기 별로 필요한 정기 검사를 구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를 확인한 환자의 병의원 방문 시 정해진 검사를 환자에게 차질없이 실시할 수 있고, 검사 결과에 따라 담당의는 환자의 신장 기능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도 3의 ⑥).
정리하면,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300)은,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에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연령, 나이, 혈청크레아티닌 수치에 연동해 신장 기능 진단 지표인 eGFR값을 자동 계산할 수 있고, 환자 별 eGFR수치에 따라 전자의무기록(EMR) 내에서 담당의에게 맞춤형 팝업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eGFR값이 정상 범주를 벗어난 신장 질환 환자의 단말로, 환자 상태에 필요한 생활습관과 주기 별 정기 검사 및 내원일을 구체적으로 포함한 치료정보를 안내하는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eGFR수치의 자동 계산 및 eGFR수치가 정상치를 벗어난 환자 진료시 EMR 내 관련 알림을 노출하여, 병의원의 eGFR 접근성을 낮춰 신장 기능 진단 시 eGFR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를 진료하는 담당의측에서는, 환자의 전자차트를 통해 eGFR수치를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확인하여 환자의 신장 기능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신장 질환 환자 뿐만 아니라, 신장 질환을 주요 합병증으로 가지는 만성질환 환자(고혈압, 고지혈, 당뇨)를 대상으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자 입장에서는, 전자의무기록(EMR)에 설정된 검사결과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공되는 메시지를 통해, 본인의 신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의료진으로부터 추가 치료, 검사 일정 등을 가이드를 받아 적절한 치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자동 산출을 통해 병의원측의 차트 관리 편의성을 높이고, 환자에 대한 신장 질환의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eGFR값을 반영한 전자차트 제공을 통해 환자를 진료하는 여러 형태의 병의원에서 신장 기능 진단을 위한 지표인 eGFR값의 활용 접근성을 높이고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환자의 전자차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자의 전자차트(400)에는, 환자 접수시 기입되는 '연령', '성별', '주민번호', '연락처' 등의 환자정보와, 환자 진료시 기입되는 '내원일', '진단결과(병명)', '기존의 보유질환', '처방약품' 등의 진료정보, 및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크레아티닌', 'X-ray' 등의 검사기록이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크레아티닌' 수치는, 검체검사시 이용된 검체 종류에 따라, '혈청 크레아티닌', '소변 크레아티닌', '24시간소변 크레아티닌' 등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410)에 구분되어 기록될 수 있다.
환자의 전자차트(400)에 기록된 데이터에 근거해, 본 발명의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에게 각종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지표를 자동 산출하여, 환자의 전자차트(400)에 기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은, 환자의 전자차트(400)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추출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과, 환자의 전자차트(400)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추출한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MDRD 공식에 대입하여, 신장 질환 진단 지표인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예, '65' [mg/dL])을 자동 산출해, 환자의 전자차트(400)에 포함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자의무기록(EMR) 내에서 환자의 전자차트 내 사용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 자동 계산을 통해 전자차트에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자동으로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환자를 진료하는 담당의가 직접 외부의 계산 사이트에 접속해, 각각의 파라미터값을 키입력해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계산한 후, 환자의 전자차트에 수기로 기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EMR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하는 시점에 담당의가 바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파악해 환자의 신장 기능 상태를 신속히 진단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은, 상술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81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신사구체여과율(eGFR)값 산출시 필요한 복수의 파라미터값을 환자의 전자차트로부터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환자의 전자차트(400)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환자의 '성별' 및 '연령'에 관한 제1 파라미터값을 각각 추출하고, 환자의 전자차트(400)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단계(82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의 파라미터값을 이용해 신장 기능 진단 지표인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한다.
일례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성별에 따른 MDRD 공식에 '연령'과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를 대입하여, 신장 질환 진단 지표인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83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산출 시 이용한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와 연관시켜 환자의 전자차트 내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담당의는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직접 계산하는 번거로움 없이 전자차트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환자의 신장 기능 상태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다.
단계(84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단계(830)에서 산출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정상 범위를 이탈하는지 판단한다. 일례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70 [mg/dL] 이하일 때, 정상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정상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단계(85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 속한 구간에 따라,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로 판단한다.
일례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70 [mg/dL] 이하이면, 환자의 신장 기능이 경도 저하 구간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15 [mg/dL] 이하이면, 환자의 신장 기능이 고도 저하 구간에 속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86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단계(830)에서 산출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과, 그에 따른 치료 가이드라인을,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하는 EMR 시스템에 팝업알림한다.
이에 따라, 담당의는, 환자의 전자차트를 통해 eGFR수치를 편리하고 빠르게 확인하여 환자의 신장 기능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신장 질환 환자 뿐만 아니라, 신장 질환을 주요 합병증으로 가지는 만성질환 환자(고혈압, 고지혈, 당뇨)를 대상으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87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신장 기능 개선 위한 치료정보와 진단 결과를 환자 단말에 메시지 전송한다.
이에 따라, 환자는, 메시지를 통해 본인의 신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고, 의료진으로부터 추가 치료, 검사 일정 등을 가이드를 받아 적절한 치료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에서, 환자의 '혈청 크레아티닌'값을 기입하는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병의원측의 의뢰를 받아 환자의 혈액검사를 대신 실시한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혈청 크레아티닌' 농도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이 수신됨에 따라, 환자 전자차트에서 해당 검사결과 필드를 찾아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도, 상술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91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환자의 전자차트에서 ‘연령’ 및 ‘성별에 관한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한다.
단계(92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환자의 전자차트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한다. 이때, 제2 파라미터값이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되어 있지 않아 추출되지 않을 경우, 단계(93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사수탁업체 서버로 제2 파라미터값을 요청하여 수신한다.
단계(940)에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검사수탁업체 서버로부터 제2 파라미터값이 수신됨에 따라 단계(950 내지 960)을 수행하여, 환자 전자차트에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하고, 이후, 도 8의 단계(820)로 이동해 각 파라미터값에 근거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자동 산출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단계(950)에서 청구코드('D2280000') 및 구분값(검체종류: '혈청')의 입력을 통해, 환자의 전자차트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검사결과 필드를 데이터 기입 가능 상태로 활성화하고, 단계(960)에서 활성 상태의 검사결과 필드에,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혈청 크레아티닌'값이 의료진의 개입없이 환자의 전자차트 내 적절한 검사결과 필드에 자동으로 반영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자동 산출 및 차트 기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담당의는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하는 시점에 바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파악해 환자의 신장 기능 상태를 신속히 진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210: 추출부
220: 처리부
230: 안내부
240: 판단부
250: 기입부
260: 데이터베이스

Claims (17)

  1.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추출부에서,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부에서,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상기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처리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처리부에서,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안내부에서,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팝업알림하는 단계;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된 이전 신사구체여과율(eGFR)값도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판단부에서,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과, 상기 이전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비교에 의해,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부에서,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이 악화된 것으로 판단 함에 따라, 상기 신장 기능의 악화와, 신장 투석 권고에 관한 문구를 상기 팝업알림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병의원 단말의 EMR 시스템에 할당된 EMR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병의원 단말이, 상기 검체검사를 자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또는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기입부에서,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하는 병의원으로 판단되면, 상기 환자의 검체검사 결과로서,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값의 추출 시까지,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이 상기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부에서,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제1 파라미터값과 함께,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을 위한 상기 공식에 대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하는 단계는,
    입력된 청구코드에 따라,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로부터 '크레아티닌'에 연관된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를 제1 식별하는 단계;
    입력된 구분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 중에서,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특정 검사결과 필드를 제2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검사결과 필드에,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부에서, 상기 청구코드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가 제1 식별되면, 구분값 가망 리스트를 화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구분값 가망 리스트 중에서, 1)상기 검체검사 시 이용된 환자의 검체 종류가 '혈액'으로 입력되거나, 2)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대한 단위가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의 농도를 나타내는 'mg/dL'로 입력되거나, 또는, 3)담당의에 의해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지정된 명칭이 상기 구분값으로서 입력되면,
    상기 기입부에서, 제2 식별되는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특정 검사결과 필드를,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 가능한 활성 상태로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식이, MDRD(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공식으로 선정되는 경우,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남성 환자와 연관된 수식 "[{1.86×(SCr)}-{1.154×(Age)}-0.203]", 또는 여성 환자와 연관된 수식 "[{1.86×(SCr)}-{1.154×(Age)}-0.203]×0.742"에서,
    상기 Age에 '연령'에 관한 제1 파라미터값을 대입하고, 상기 SCr에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대입하여,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부에서, 상기 팝업알림 시, 상기 판단된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에 적합한 약품 리스트를 출력하면서, 담당의의 약품 처방 주의를 안내하되, 상기 '고도 저하'에 대한 안내시, 신장 투석 권고를 상기 팝업알림에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에 따른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에 매칭되는 치료정보로서, 생활습관, 정기검사의 종류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리드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부에서, 상기 EMR 시스템을 통한 팝업알림 시, 신장 기능 개선에 필요한 상기 치료정보와,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확인한 담당의의 신장 기능 진단 결과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환자와 연관된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신장질환 환자이거나, 신장 기능 저하를 합병증으로 가지는 고혈압, 고지혈증, 및 당뇨 중 적어도 하나의 만성질환 환자인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11. 환자의 전자차트 내 환자정보 필드에서, '성별' 및 '연령'에 관한 복수의 제1 파라미터값을 추출하고,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서, 상기 환자의 검체검사에 의해 얻어진 '혈청 크레아티닌'에 관한 제2 파라미터값을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제1 및 제2 파라미터값을 선정된 공식에 대입하여,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하고, 산출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상기 제2 파라미터값에 연관시켜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하는 처리부;
    병의원 단말에서 실행되는 EMR 시스템을 통해,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를 로딩 시, 정상 범위를 벗어난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팝업알림하는 안내부; 및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에 기록된 이전 신사구체여과율(eGFR)값도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과, 상기 이전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의 비교에 의해,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이 개선되었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이 악화된 것으로 판단 함에 따라, 상기 신장 기능의 악화와, 신장 투석 권고에 관한 문구를 상기 팝업알림에 포함시키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병의원 단말의 EMR 시스템에 할당된 EMR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병의원 단말이, 상기 검체검사를 자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또는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해 실시하는 병의원인지 판단하고,
    상기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은,
    외부의 검사수탁업체와 연계하는 병의원으로 판단되면, 상기 환자의 검체검사 결과로서,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 내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하는 기입부
    를 더 포함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값의 추출 시까지,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이 상기 검사결과 필드에 기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처리부는,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상기 제1 파라미터값과 함께, 상기 환자의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산출을 위한 상기 공식에 대입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입부는,
    입력된 청구코드에 따라, 상기 환자의 전자차트로부터 '크레아티닌'에 연관된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를 제1 식별하고,
    입력된 구분값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검사결과 필드 중에서, 상기 '혈청 크레아티닌'에 할당된 특정 검사결과 필드를 제2 식별하고,
    상기 특정 검사결과 필드에, 상기 검사수탁업체의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파라미터값을 기입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이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를,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로 판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팝업알림 시, 상기 판단된 '경도 저하' 또는 '고도 저하'에 적합한 약품 리스트를 출력하면서, 담당의의 약품 처방 주의를 안내하되, 상기 '고도 저하'에 대한 안내시, 신장 투석 권고를 상기 팝업알림에 포함시키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에 따른 상기 환자의 신장 기능 저하 상태에 매칭되는 치료정보로서, 생활습관, 정기검사의 종류와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리드하고,
    상기 EMR 시스템을 통한 팝업알림 시, 신장 기능 개선에 필요한 상기 치료정보와, 상기 신사구체여과율(eGFR)값을 확인한 담당의의 신장 기능 진단 결과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상기 환자와 연관된 단말로 전송하는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00384A 2021-07-30 2021-07-30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94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84A KR102594231B1 (ko) 2021-07-30 2021-07-30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84A KR102594231B1 (ko) 2021-07-30 2021-07-30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19A KR20230018619A (ko) 2023-02-07
KR102594231B1 true KR102594231B1 (ko) 2023-10-30

Family

ID=8522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84A KR102594231B1 (ko) 2021-07-30 2021-07-30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2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6286A1 (en) * 2005-09-16 2008-02-21 Halsted Mark J Computer implemented healthcare monitoring, notifying and/or scheduling system
US20160001000A1 (en) * 2014-07-01 2016-01-07 Michael Sabry Awadalla Systems and methods using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s of the kidneys in the non-steady sta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498A (ko) * 2016-08-31 2018-03-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6286A1 (en) * 2005-09-16 2008-02-21 Halsted Mark J Computer implemented healthcare monitoring, notifying and/or scheduling system
US20160001000A1 (en) * 2014-07-01 2016-01-07 Michael Sabry Awadalla Systems and methods using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s of the kidneys in the non-steady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8619A (ko)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diti et al. Computer‐generated reminders delivered on paper to healthcare professionals: effects on professional practice and healthcare outcomes
US8688467B2 (en) Automated analysis of data collected by in-vivo devices
CN109524069B (zh) 医疗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4866576B2 (ja) 診療支援システム
US20230420088A1 (en) Cross discipline disease management system
RU270772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анализа результатов лаборатор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и оповещения о риске в отделении интенсивной терапии
Heintzman et al. Agreement of Medicaid claims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for assessing preventive care quality among adults
WO2015035302A2 (en) Electrical computing devices for recruiting a patient population for a clinical trial
JP2014206834A (ja) 診療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診療情報表示制御方法並びに診療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Azmi et al. The cost and quality of life of Malaysian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d anemia
JP2008047157A (ja) 医療情報管理支援装置
US20090099869A1 (en) Identification of undercoded comorbidities
JPWO2014188476A1 (ja) ヘルスケア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000495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ed health systems
KR102594231B1 (ko) Emr 시스템에서의 신사구체여과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0936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atiffication and managment of medical conditions
WO2007125625A1 (ja) 医療情報管理支援装置
EP3945527A1 (en) Test result auto verification
CN114596948A (zh) 一种医院管理统计指标源字段库的建立方法
CN111243750B (zh) 多方式识别患者妊娠状态的方法及装置
Yazdanian Oncology information system: A qualitative study to identify cancer patient care workflows
JP2012194929A (ja) 情報管理プログラム、情報管理装置および情報管理方法
Carlos Introduction to cost-effectiveness analysis in radiology: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1 critical thinking skills symposium
JP2003203118A (ja) 治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治験情報処理装置,治験情報管理方法並びに治験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2597133B1 (ko) Phr과 진료기록에 기반한 임상의사결정 지원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