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158B1 -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158B1
KR102594158B1 KR1020210164467A KR20210164467A KR102594158B1 KR 102594158 B1 KR102594158 B1 KR 102594158B1 KR 1020210164467 A KR1020210164467 A KR 1020210164467A KR 20210164467 A KR20210164467 A KR 20210164467A KR 102594158 B1 KR102594158 B1 KR 102594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ire
fire extinguishing
batter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317A (ko
Inventor
황용구
Original Assignee
황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구 filed Critical 황용구
Priority to KR102021016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1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5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blowing or injecting heating, cooling or other conditioning fluid inside the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는 상부가 개폐가능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열을 냉각하는 펠티어소자;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회전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화재 소화를 위한 소화약제가 저장되고,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소화약제를 제공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BATTERY STORAGE APPARATUS TO PREVENT FIRE AND SPREAD OF FIRE}
본 발명은 배터리를 수용하여 수용된 배터리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수용된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수용된 배터리에 소화약제를 제공함으로써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 이차 전지로서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수소이온 전지가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전 및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이온배터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리튬이온배터리는 모바일 기기뿐만이 아니라 최근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이동수단에도 적용되고 있고, 심지어는 드론, 전동휠, 전동킥보드 및 전동자전거 등 비교적 소형 이동수단에도 적용되고 있다.
다만, 리튬이온배터리는 2차 전지의 특성상 충방전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배터리의 성능 저하 및 수명 감소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리튬이온배터리에서 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경우 리튬이온배터리가 폭발하여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리튬이온배터리를 충전할 때는 통상적으로 공기를 이용한 냉각방식인 공랭식으로 리튬이온배터리를 냉각하나, 공랭식은 단순히 공기를 이용해 리튬이온배터리를 냉각함에 따라 냉각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튬이온배터리가 충전될 때 사용자가 직접 관찰하지 않으면 리튬이온배터리가 가열되는 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었고, 리튬이온배터리가 가열되는 정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없음에 따라 리튬이온배터리가 과열되더라도 방치되어 심할 경우 폭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08533 B1 KR 10-1628120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튬이온배터리의 충방전시 리튬이온배터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고, 리튬이온배터리의 폭발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펠티어소자 및 냉각팬을 구비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화모듈을 구비하여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는 상부가 개폐가능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모듈;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열을 냉각하는 펠티어소자;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회전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화재 소화를 위한 소화약제가 저장되고,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소화약제를 제공하는 소화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케이스 일면에 펠티어소자가 구비되어 케이스 내부를 냉각함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냉각팬이 펠티어소자를 냉각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의 냉각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가 과열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가 수용되는 케이스가 밀폐됨에 따라 배터리의 충방전시 수용된 배터리가 외부 영향에 의해 고장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에 포함되는 본체, 기판부재, 밀폐부재 및 개폐부재가 서로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필요시 케이스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소화약제를 저장하고,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케이스 내부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제공하는 소화모듈을 구비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여도 소화약제를 제공함으로써 화재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의 소화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10)는 케이스(100), 센서모듈(200), 펠티어소자(300), 냉각팬(400), 소화모듈(500), 방열판(600) 및 알림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폐가능하고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된다.
즉,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방하여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한 다음 케이스(100)의 상부를 폐쇄함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밀폐하여 보관할 수 있다.
케이스(100)에는 센서모듈(200), 펠티어소자(300), 냉각팬(400), 소화모듈(500) 및 알림모듈(7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전원공급수단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센서모듈(200), 펠티어소자(300), 냉각팬(400), 소화모듈(500) 및 알림모듈(7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본체(110), 기판부재(120), 밀폐부재(130) 및 개폐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와 일면이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본체(110)는 배터리가 안치되기 위한 안치판(111)과, 안치판(1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격벽(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격벽(112)의 일측 단부에는 기판부재(12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1나사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벽(112)의 일측 단부에는 기판부재(120)가 격벽(112)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격벽(112)으로부터 본체(110)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부재(114)가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114)에는 기판부재(120)가 결합되기 위한 제2나사공(115)이 구비될 수 있다.
기판부재(120)는 본체(110)의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110)의 일면을 폐쇄하고, 일면에 센서모듈(200), 펠티어소자(300), 냉각팬(400) 및 방열판(600)이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기판부재(120)는 본체(1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기판부재(120)는 양측 단부에 기판부재(120)로부터 본체(110)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121)는 기판부재(120)를 본체(110)에 결합하였을 때 격벽(112)에 형성된 제1나사공(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기판부재(120)의 양측 단부로부터 본체(110)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는 것일 수 있다.
결합돌기(121)에는 제1나사공(113)과 연통하는 제1결합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부재(120)는 제1결합공(122)과 제1나사공(113)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제1결합공(122)과 제1나사공(11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에 의해 본체(110)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기판부재(120)는 본체(1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해 양측 단부에 결합부재(114)의 제2나사공(115)과 연통하는 결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부재(120)는 결합홈(123)과 제2나사공(115)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결합홈(123)과 제2나사공(11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에 의해 본체(1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판부재(120)와 본체(110) 사이에는 기판부재(120)가 본체(110)에 결합되었을 때 기판부재(120)와 본체(1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씰링부재(125)가 구비될 수 있다.
씰링부재(125)는 기판부재(120)와 본체(110)가 접촉하는 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씰링부재(125)는 중공이 형성되고, 기판부재(120)의 단부 테두리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씰링부재(125)는 결합홈(123)과 제2나사공(115)이 연통되도록 기판부재(120)의 결합홈(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나사공(126)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결합홈(123)과 제2나사공(115) 및 제3나사공(126)을 연통시킨 상태에서 연통된 결합홈(123)과 제2나사공(115) 및 제3나사공(126)에 나사부재를 결합하면 본체와 기판부재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기판부재(120)의 일면을 감싸도록 본체(1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면이 기판부재(120)의 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밀폐부재(130)의 타면이 기판부재(120)의 일면과 소정간격 이격됨에 따라 밀폐부재(130)와 기판부재(120)의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공간에 센서모듈(200), 펠티어소자(300), 냉각팬(400) 및 방열판(600)이 수용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냉각팬(400)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냉각팬(400)이 구비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공기배출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본체(110)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제1삽입공(132)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재는 본체(110)에 수용된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110)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 5핀 충전잭, USB C-type 충전잭, 8 핀 충전잭 및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충전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에 수용되는 배터리는 상기 충전부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기판부재(120)에는 밀폐부재(130)에 제1삽입공(132)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삽입공(132)과 연통하여 상기 충전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제2삽입공(127)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삽입공(132)과 제2삽입공(127)을 통해 상기 충전부재를 통과시키고, 통과된 충전부재를 배터리에 연결함에 따라 케이스(10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충전시 화재를 방지하면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기판부재(120)에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을 때 케이스(10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제2삽입공(127)을 밀폐하는 폐쇄부재(1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폐쇄부재(124)는 기판부재(12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기판부재(120)에 형성된 제2삽입공(127)을 밀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할 때 외력에 의해 기판부재(120)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개폐부재(140)는 밀폐부재(13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1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일 수 있다.
개폐부재(140)가 밀폐부재(130)에 연결되는 방식은 밀폐부재(13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케이스(100)를 개폐할 수 있는 방식이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개폐부재(140)와 밀폐부재(130)는 경첩부재(144)를 통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개폐부재(140)가 밀폐부재(130)에 경첩부재(144)를 통해 연결됨에 따라, 개폐부재(140)의 개폐동작이 가능하여 필요시 케이스(100)를 개방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다.
개폐부재(140)는 케이스(10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외곽틀(141)과, 외곽틀(141)의 중심에 구비되는 투명판(142)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외곽틀(141)의 타측에 구비되는 손잡이(143)와, 외곽틀(141)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곽틀(141)과 밀폐부재(130)를 연결하는 경첩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곽틀(141)의 중심에 구비되는 투명판(142)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를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유리,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투명판(142)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판(142)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유리에 비해 강인함(toughness)이 높음에 따라,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한 투명판(142)의 파손을 어느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판(142)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면 투명판(142)이 파손되더라도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날카롭지 않은 파편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파편으로 인해 신체에 손상을 입는 것을 상대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손잡이(143)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의 화재로 인해 과열되지 않도록 열전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틸렌과 같은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모듈(200)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센서모듈(200)은 기판부재(120)에 구비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펠티어소자(300)는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열을 냉각한다.
펠티어소자(300)는 전류가 인가되면 제백효과에 의해 하부는 열을 흡수하고, 상부는 하부에서 흡수된 열을 방출함에 따라 가열되는 소자일 수 있다.
펠티어소자(300)는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되, 케이스(100) 내부가 냉각될 수 있도록 전류가 인가되면 흡열이 이루어지는 하부가 케이스(100)의 내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펠티어소자(300)는 흡열이 이루어지는 하부가 타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케이스(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펠티어소자(300)는 기판부재(120)의 일면상에 구비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열을 냉각하는 것일 수 있다.
냉각팬(400)은 펠티어소자(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센서모듈(20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펠티어소자(300)를 냉각시킨다.
냉각팬(400)은 펠티어소자(300)를 냉각할 수 있도록 전류가 인가되면 열을 방출하는 펠티어소자(300)의 상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냉각팬(400)은 펠티어소자(30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펠티어소자(300)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냉각시킴에 따라 펠티어소자(30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화모듈(500)은 케이스(100)에 구비되어 화재 소화를 위한 소화약제(A)가 저장되고,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저장된 소화약제(A)를 케이스(100) 내부에 제공한다.
이때, 외부에 발생되는 화재는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를 의미할 수 있다.
소화모듈(500)은 소화약제용기(510), 폭발부(520) 및 화재감지선(53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약제용기(510)는 내부에 소화약제(A)가 저장되고, 중심부에 폭발부(520)가 수용되는 것일 수 있다.
소화약제용기(510)는 중심부에 폭발부(52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상기 공간은 폭발부(520)가 수용되면 내부에 저장된 소화약제(A)와 수용된 폭발부(520)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소화약제용기(510) 내부에 저장되는 소화약제(A)는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B급화재와 C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와 탄산수소칼륨(KHCO3) 및 탄산수소칼륨+요소(KHCO3+(NH2)2CO), A급화재와 B급화재 및 C급화재 모두에 적응성이 있는 제1인산암모늄(NH4H2PO4)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소화약제용기(510) 내부에 저장되는 소화약제(A)는 제1인산암모늄(NH4H2PO4)일 수 있다.
소화약제용기(510)는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약제(A)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로 제공될 수 있도록 격벽(112)에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화약제(A)가 본체(110)의 안치판(111)에 안치된 배터리로 제공될 수 있도록 격벽(112)의 상단측에 구비될 수 있다.
폭발부(520)는 소화약제용기(510)의 중심부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팽창하여 폭발함으로써 소화약제용기(510)를 파열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폭발부(520)에 인가되는 신호는 전기적 신호와 열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적 신호일 수 았다.
폭발부(520)는 외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면 팽창하여 폭발할 수 있도록 폭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때, 폭발수단은 전기적 신호와 열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가되면 폭발하는 폭발성 물질과 압축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선(530)은 폭발부(520)와 연결되고, 소화약제용기(510)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어 폭발부(520)에 전기적 신호와 열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화재감지선(530)은 외부로부터 화재를 감지하면 폭발부(52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전선과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에 노출되면 불에 의해 연소되기 시작하여 폭발부(520)를 향해 타들어가 폭발부(520)에 열적 신호를 인가하는 화재감지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재감지선(530)은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고 화재에 노출되면 불에 의해 연소되기 시작하여 폭발부(520)를 향해 타들어가 폭발부(520)에 열적 신호를 인가하는 도화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화재감지선(53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도화선은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불에 의해 연소될 수 있도록 적린을 포함하는 도화선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선(53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도화선은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린 외에 질산염, 염소산염, 과염소산염 및 무기과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인 산화성고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재감지선(530)은 도화선 성분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는 것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층이 외부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600)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펠티어소자(300)를 냉각하는 것일 수 있다.
방열판(600)은 펠티어소자(300)를 냉각할 수 있도록 전류가 인가되면 열을 방출하는 펠티어소자(30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방열판(600)은 펠티어소자(300)의 일면에 구비되되, 냉각팬(40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알림모듈(700)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센서모듈(200)로부터 감지되는 케이스(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외부로 알림을 제공한다.
알림모듈(700)이 외부로 알림을 제공하는 방식은 기설정된 소리재생, 기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알림모듈(700)은 기판부재(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되, 빛을 발광하여 외부로 알림을 제공할 때 사용자가 발광되는 빛을 인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알림모듈(700)은 기판부재(120)와 밀폐부재(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어 기판부재(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
밀폐부재(130)는 알림모듈(700)이 케이스(10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부에 알림모듈(700)이 통과하는 통과공(133)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
110: 본체,
111: 안치판, 112: 격벽, 113: 제1나사공, 114: 결합부재, 115: 제2나사공,
120: 기판부재,
121: 결합돌기, 122: 제1결합공, 123: 결합홈,
124: 폐쇄부재, 125: 씰링부재, 126: 제3나사공, 127: 제2삽입공,
130: 밀폐부재,
131: 공기배출공, 132: 제1삽입공, 133: 통과공,
140: 개폐부재,
141: 외곽틀, 142: 투명판, 143: 손잡이, 144: 경첩부재,
200: 센서모듈,
300: 펠티어소자,
400: 냉각팬,
500: 소화모듈,
510: 소화약제용기, 520: 폭발부, 530: 화재감지선,
600: 방열판,
700: 알림모듈.

Claims (5)

  1. 배터리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와 일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을 폐쇄하고 일면에 센서모듈과 펠티어소자 및 냉각팬이 장착되는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의 일면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되 타면이 상기 기판부재의 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밀폐부재와, 상기 밀폐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상부가 개폐가능하고, 내부에 상기 배터리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센서모듈;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열을 냉각하는 상기 펠티어소자;
    상기 펠티어소자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회전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상기 냉각팬;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화재 소화를 위한 소화약제가 저장되고,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소화약제를 제공하는 소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제1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제1삽입공이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삽입공과 연통하고 상기 충전부재가 통과하기 위한 제2삽입공이 형성되는 것
    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가 안치되기 위한 안치판;과, 상기 안치판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일측 단부에 상기 기판부재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제1나사공과, 상기 본체의 일면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기판부재는
    상기 격벽에 형성된 상기 제1나사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나사공과 연통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된 결합돌기;와, 상기 제2나사공과 연통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
    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모듈은
    내부에 소화약제가 저장되어 상기 격벽에 구비되는 소화약제용기;
    상기 소화약제용기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와 열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인가되면 상기 소화약제용기를 파열하는 폭발부; 및
    상기 폭발부와 연결되고 상기 소화약제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면 전기적 신호와 열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폭발부에 인가하는 화재감지선;을 포함하는 것
    인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KR1020210164467A 2021-11-25 2021-11-25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KR102594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67A KR102594158B1 (ko) 2021-11-25 2021-11-25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467A KR102594158B1 (ko) 2021-11-25 2021-11-25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17A KR20230077317A (ko) 2023-06-01
KR102594158B1 true KR102594158B1 (ko) 2023-10-24

Family

ID=8677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467A KR102594158B1 (ko) 2021-11-25 2021-11-25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1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56A (ja) * 1998-06-18 2000-01-11 Daido Steel Co Ltd クーラー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533B1 (ko) 2013-11-25 2019-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및 방법
KR101628120B1 (ko) 2014-10-20 2016-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KR102027263B1 (ko) * 2017-08-11 2019-10-01 최병규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10000110U (ko) * 2019-07-04 2021-01-14 김형준 자동소화 항온유지 및 자동 충방전 기능을 탑재한 드론용 배터리 보관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056A (ja) * 1998-06-18 2000-01-11 Daido Steel Co Ltd クーラー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317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62134B1 (ko) 열 폭주 완화 배터리 하우징
US7887941B2 (en) Battery pack
JP4907362B2 (ja) 安全装置を備えた中型又は大型バッテリーパック
EP4019094A1 (en) Battery module, battery rack, and power storage device
US11145928B2 (en) Battery pack for a distress beacon
JP5173346B2 (ja) 電源装置
KR102382661B1 (ko) 화재방지 수단이 구비된 배터리팩 커버
CN110034256B (zh) 具有消防结构的电池箱及储能电池机柜
JP2020515002A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KR102594158B1 (ko) 화재예방과 확산방지가 가능한 배터리 보관장치
JP7348316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KR20220004380A (ko) 소화용 급수구를 구비한 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7301162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のバッテリーラックを含む電力貯蔵装置
CN216773344U (zh) 锂离子电池充电保护装置及具有其的充电装置
KR20190013034A (ko) 배터리 케이스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2328738B1 (ko) 과충전 시험 장치
WO2021152895A1 (ja) 電池装置
JP7453257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そのバッテリーラックを含む電力貯蔵装置
CN218241960U (zh) 一种具有阻燃功能的车载锂离子电池
CN219545392U (zh) 一种锂电池充电储存箱
CN220873705U (zh) 一种电池单体、盖板套件、电池及用电装置
CN210612731U (zh) 灭火装置和供电设备
JP2022165055A (ja) 電池装置
Okeke Flame propagation between battery cells: Effect of distance
JP2024512913A (ja) 安全性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