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55B1 -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55B1
KR102594055B1 KR1020230065053A KR20230065053A KR102594055B1 KR 102594055 B1 KR102594055 B1 KR 102594055B1 KR 1020230065053 A KR1020230065053 A KR 1020230065053A KR 20230065053 A KR20230065053 A KR 20230065053A KR 102594055 B1 KR102594055 B1 KR 102594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emperature
cover
groove
bed ma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밀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밀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밀알
Priority to KR102023006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쿠션패드와, 상기 쿠션패드의 상부에 부착되며, 보온성을 갖는 보온패드와, 상기 쿠션패드와 보온패드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며, 체온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색상이 변동되도록 하는 온도감응 변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Bed Mattress with Temperature Sensing}
본 발명은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고, 보호자가 환자를 케어하는데 환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쿠션작용을 수행하는 매트본체와, 이 매트본체에 덧씌워지는 시트로 구성된 것으로 주로 취침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시트는 주로 면 소재의 직물지로 제작되는 것으로 매트본체의 표면에 직접 피부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피부 트러블의 유발을 방지하고 매트본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 불편한 노약자나, 환자가 사용되는 매트리스에 덧씌워지는 시트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커버 기능 외에 특별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관계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유발된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해진 시간마다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변경시켜 압박부위의 부담을 줄여주고 통풍시켜주는 방법이 대표적인 방안이다.
한편 특정 질병의 환자는 일정 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여야 하고, 또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의사 표시가 어려운 환자의 경우 체온이 상승할 경우 곧바로 인지하기 위해 별도의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여야 하나 구성이 복잡하고 오류가 잦아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특허출원 10-2009-0118050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가 누운 상태로 지내는 동안 체온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 또는 의료인이 즉시 체온 상승을 인지할 수 있도록 체온 감응형 변색부를 구비하여 환자 관리가 편리해줄 수 있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여 환자, 보호자의 부담을 절감해줄 수 있는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쿠션패드와, 상기 쿠션패드의 상부에 부착되며, 보온성을 갖는 보온패드와, 상기 쿠션패드와 보온패드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며, 체온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색상이 변동되도록 하는 온도감응 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응 변색부는 커버의 상부에 요입 형성된 요홈과, 상기 요홈의 내부에 안착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요홈에 삽입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면에 시온안료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변색잉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하부에 접촉되는 벨트형 패드와, 상기 벨트형 패드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에 일치되는 변색잉크층과, 변색잉크층과 이격되어 형성된 땀흡수부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벨트형 패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롤러와, 상기 벨트형 패드를 이동시켜 변색잉크층과 개방부가 일치되거나 또는 불일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일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벨트형 패드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경사판의 상면에 타단이 얹혀지도록 하는 변색잉크층 및 벨트형 패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롤러와, 상기 벨트형 패드를 이동시켜 변색잉크층과 개방부가 일치되거나 또는 불일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벨트형 패드의 이동에 의해 변색잉크층이 경사판을 타고 인출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여 커버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을 이동시켜 요홈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요홈개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홈개방수단은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측벽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기판삽입홈과, 상기 기판삽입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납되는 향 발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온패드는
상하에 각기 배치되어 중첩되는 제1 외피와, 제2 외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가장자리가 봉제시키되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일체화된 것이며,
상기 일체화된 제1 외피와 제2 외피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삽입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피 또는 제2 외피는,
흡습 기능을 가지기 위해 폴리에스테르 원사, 폴리아미드 원사, 면, 양모섬유에서 택일되거나 2 이상이 직조된 기초층부;
상기 기초층부의 내면에 배치되고 통풍 기능을 가지기 위해 그물망 구조의 스페이서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진 그물망층부;
상기 기초층부의 외면에 배치되고 수분 증발 기능을 가지기 위해 광 조사시 발열하는 광발열사로 직조된 발열층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층부의 밀도는, 상기 기초층부에 비해 조밀하게 제직되고,
상기 기초층부는, 그 내면에 기모가 형성되어 상기 기모가 상기 그물망층부의 통풍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기모를 통해 수분이 기초층부로 흡습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발열층부는, 수분 증발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그 외면에 요철 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층부는, 상기 발열층부의 수분 증발 표면적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초층부의 수분을 직접 대기로 증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층부는, 그 외면이 상기 다수의 통공을 통해 대기와 접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누운 상태로 지내는 동안 체온 변화를 감지하여 보호자 또는 의료인이 즉시 체온 상승을 인지할 수 있도록 체온 감응형 변색부를 구비하여 환자 관리가 편리해줄 수 있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여 환자, 보호자의 부담을 절감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감응 변색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감응 변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감응 변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요홈개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보온패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감응 변색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감응 변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온도감응 변색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요홈개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보온패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는,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대 매트리스(M)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쿠션패드(200)와,
쿠션패드(200)의 상부에 부착되며, 보온성을 갖는 보온패드(100)와,
쿠션패드(200)와 보온패드(100)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된 커버(300)를 포함하고,
커버(3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며, 체온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색상이 변동되도록 하는 온도감응 변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쿠션패드(200)는 침대(1)의 상판에 안착되며 사람이 누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쿠션을 갖는 발포수지를 성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을 참조하면, 온도감응 변색부(400)는 커버(300)의 상부에 요입 형성된 요홈(320)과, 요홈(320)의 내부에 안착된 탄성부재(340)와, 탄성부재(340)에 지지되어 요홈(320)에 삽입되는 기판(360)과, 기판(360)의 상면에 시온안료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변색잉크층(380)으로 이루어진다.
시온안료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성질을 가져, 변색 시점의 온도를 알게 하는, 시온(示溫) 기능을 갖는 안료이다.
시온안료에는 유기안료와 무기안료 또는 가역성안료와 비가역성안료로 구분된다.
가역성 시온안료는, 온도가 상승하여 기준온도에 도달했을 때 투명해졌다가 온도가 내려가면 원래의 칼라를 가지는 것이고, 비가역성 시온안료는 온도가 떨어져도 원래의 색으로 복귀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기존온도가 상이한 다수의 가역성 시온안료를 조합하면, 온도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칼라의 변화를 볼 수 있다.
시온안료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성질을 열변색성이라고 하는데, 열변색성이 일어나는 원리는, 마이크로캡슐 안에 존재하는 고체 용매가 온도가 올라가면 녹아 액체로 변하고, 반대로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결합하여 원래의 색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변색잉크층(380)은 사람의 정상범위 체온인 36~37 ℃의 온도에서는 변색되지 않고, 37 ℃ 이상인 경우 색상이 변하도록 형성된다.
온도감응 변색부(400)는 커버(300)의 외부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감응 변색부(400')는, 커버(300)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개방부(330)가 형성되고, 커버(300)의 하부에 접촉되는 벨트형 패드(420)와, 벨트형 패드(42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30)에 일치되는 변색잉크층(422)와, 변색잉크층(422)와 이격되어 형성된 땀흡수부(424)가 다수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벨트형 패드(42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롤러(442)와, 상기 벨트형 패드(420)를 이동시켜 변색잉크층(422)와 개방부(330)가 일치되거나 또는 불일치되도록 하는 구동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440)는 모터일 수 있다.
땀흡수부(424)는 흡습부직포이며, 흡습부직포에 항균제 및 방향제가 도포됨으로써 땀흡수는 물론 냄새 제거 및 제균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항균제는 정제수에 레불린산과 염화세틸 피리디늄, 구연산 나트륨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레불린산은 0.1-0.8 % 수용액 상에서 pH가 대략 3을 띄게 되며, 구연산 나트륨은 pH가 대략 7을 띄게 된다. 이러한 레불린산과 구연산 나트륨을 물에 같이 혼합하게 되면, pH가 대략 5를 띄게 되어 항균 활성을 갖게 된다.
방향제는 허브에서 추출한 허브오일이 바람직하다.
구동부(440)는 모터일 수 있고, 외부에 마련된 스위치(미도시)에 연동되어 온-오프 작동된다.
벨트형 패드(4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변색잉크층(422) 또는 땀흡수부(424) 중 어느 하나가 커버(300)의 개방부(330)에 일치되도록 한다.
변색잉크층(422)가 개방부(330)에 일치되어 노출됨으로써 매트리스에 누운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여 변색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또는 땀흡수부(424)가 개방부(330)에 일치되어 노출됨으로써 땀 흡수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변색잉크층(422) 또는 땀흡수부(424)는 어느 하나가 노출될 경우 다른 하나는 커버(300)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둘 중 하나의 기능만 발휘될 수 있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감응 변색부(400")는, 커버(300)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개방부(330)가 형성되고, 개방부(330)의 일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430)과, 일단이 벨트형 패드(4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경사판(430)의 상면에 타단이 얹혀지며 상면에 변색잉크층(422)이 형성된 변색 리브(423)를 포함한다.
또한 벨트형 패드(42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롤러(442)와, 상기 벨트형 패드(420)를 이동시켜 변색잉크층(422)와 개방부(330)가 일치되거나 또는 불일치되도록 하는 구동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벨트형 패드(420)의 이동에 의해 변색 리브(423)가 경사판(430)을 타고 인출되어 상기 개방부(330)를 통과하여 커버(30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도 5의 (a)참조).
변색잉크층(422)가 커버(300)의 상면에 노출됨으로써 매트리스에 누운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여 변색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벨트형 패드(420)의 반대방향 이동에 의해 변색 리브(423)가 경사판(430)을 타고 인입되어 커버(300)의 개방부(33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가려지게 되어 온도감응 기능의 사용을 정지시킬 수 있다(도 5의 (b)참조).
한편 도 6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360)을 이동시켜 요홈(320)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요홈개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요홈개방수단은 커버(3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요홈(320)의 내측벽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기판삽입홈(302); 기판삽입홈(302)의 하부에 형성되어 기판(360)을 지지하는 지지판재(304);를 포함하고, 요홈(320) 내에 수납되는 향 발산재(3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향 발산재(306)는 정제수와 용매, 습윤제, 방향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용매는 프로판다이올,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다.
프로판다이올은 프로필렌글리콜이라고도 불리는 2가 알코올의 일종으로 보습성분이 있다.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은 습윤제 및 가습제 역할을 한다.
부틸렌글라이콜은 보습제의 기능을 한다.
1,2-헥산다이올은 보습제와 보존제의 역할을 한다.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이다.
방향제는 레몬추출액, 자몽 추출액, 액상의 히알루론산, 망고 추출액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판(360)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기판삽입홈(302)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요홈(320)을 개방시킴으로써 향 발산재(306)로부터 향이 발산되도록 하여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으며 커버(300)에 잔존하는 균에 대한 항균력도 발휘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의 보온패드(100)는 상하에 각기 배치되어 중첩되는 제1 외피(110)와 제2 외피(1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외피(110)와 제2 외피(120)의 가장자리가 봉제시키되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일체화된 것이며, 상기 일체화된 제1 외피(110)와 제2 외피(120)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삽입되는 충전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외피(110) 또는 제2 외피(120)는, 제1 외피(110)는 제1 방향(L1)과 제2 방향(L2)를 따라 연장된 판상형으로 형성된다. 제1 외피(110)는 차렵이불(100)의 일측면을 이룬다. 제1 외피(110)는 사용자의 땀을 흡수하기 위한 기초층부(111), 기초층부(111)의 내면에 배치되어 통풍 기능을 가지는 그물망부(112), 기초층부(111)의 외면에 배치되어 발열 기능을 가지는 발열층부(113)를 포함한다.
기초층부(111)는 흡습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친수성 원사인 폴리에스테르 원사, 폴리아미드 원사, 면, 양모섬유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혼합하여 직조된다.
더욱이 기초층부(111)가 내측에 위치한 인체의 피부에서 발생한 땀을 더 신속하고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초층부(111)의 내면에 라이징 공법과 같이 그 표면을 긁어내는 형태로 기모(111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초층부(111)의 내면에 형성된 기모(111a)는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고, 기모(111a)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기 때문에 기모(111a)에 접촉된 땀 등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기초층부(111) 층으로 빠르게 흡수된다.
발열층부(113)는 고농도의 도전 발열 입자를 중공섬유의 중심부에 주입하여 적외선, 자외선 및 가시광산 등의 빛에너지를 열로 전환한 뒤 섬유를 자체 발열시켜 열을 발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도전 발열 입자는 예컨대 질화붕소(BN), 질화알루미늄(AIN) 또는 알루미나(Al2O3) 등일 수 있다.
기초층부(111)와 발열층부(113)는 환편기 또는 트리코드기와 같은 통상의 제직기를 통해 2중직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2중직 원단 제직시 기초층부(111)에는 폴리에스테르 원사, 폴리아미드 원사, 면 실, 양모섬유사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공급하고, 발열층부(113)에는 도전 발열 입자가 주입된 폴레에스터 원사를 공급한다.
여기서 발열층부(113)의 밀도를 기초층부(111)의 밀도보다 더 조밀하게 제직하면, 기초층부(111)에서 흡수한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시 발열층부(113)로 흡습되고, 발열층부(113)로 흡수된 수분은 발열층부(113) 자체의 발열에 의해 신속하게 증발하여 건조된다.
그물망부(112)는 통풍 기능을 가지기 위해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3차원 입체 구조인 망사 형태로 직조하여 제작된 스페이서 메쉬 원단(DNB Spacer Fabric)일 수 있다.
그물망부(112)는 비교적 밀도가 낮고 망사 형태로 이루어져 다수의 통풍 공간(11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땀을 흡수하는 동시에 통풍 공간(112a)에 의해 통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물망부(112)는 기초층부(111)의 내면에 열융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 외 환편기 또는 트리코드기와 같은 통상의 제직기를 통해 그물망부(112), 기초층부(111) 및 발열층부(113)가 3중직 원단으로 제직될 수도 있다.
기초층부(111)의 내면에 기모(111a)가 형성되면, 기모(111a)의 일부는 그물망부(112)의 통풍 공간(112a)으로 노출되므로 그물망부(112) 자체가 흡수하지 못한 땀을 기모(111a)가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보온패드 200 : 쿠션패드
300 : 커버 302 : 기판삽입홈
304 : 지지판재 320 : 요홈
340 : 탄성부재 360 : 기판
380 : 변색잉크층 400 : 온도감응 변색부
420 : 벨트형 패드 430 : 경사판
422 : 변색잉크층 424 : 땀흡수부
440 : 구동부

Claims (3)

  1.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침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쿠션패드와,
    상기 쿠션패드의 상부에 부착되며, 보온성을 갖는 보온패드와,
    상기 쿠션패드와 보온패드의 상부에 씌워져 결합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외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몸에 접촉되며, 체온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색상이 변동되도록 하는 온도감응 변색부;를 포함하는 침대 매트리스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 변색부는
    상기 커버에 부분적으로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일단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과,
    일단이 벨트형 패드에 고정되고, 상기 경사판의 상면에 타단이 얹혀지며 상면에 변색잉크층이 형성된 변색 리브 및
    상기 벨트형 패드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롤러와, 상기 벨트형 패드를 이동시켜 변색잉크층과 개방부가 일치되거나 또는 불일치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벨트형 패드의 이동에 의해 변색잉크층이 경사판을 타고 인출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과하여 커버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하고,
    기판을 이동시켜 요홈을 개방시키도록 하는 요홈개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요홈개방수단은
    커버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요홈의 내측벽에 통하도록 형성되는 기판삽입홈;
    상기 기판삽입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홈 내에 수납되는 향 발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매트리스.
  2. 삭제
  3. 삭제
KR1020230065053A 2023-05-19 2023-05-19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KR102594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053A KR102594055B1 (ko) 2023-05-19 2023-05-19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053A KR102594055B1 (ko) 2023-05-19 2023-05-19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055B1 true KR102594055B1 (ko) 2023-10-25

Family

ID=8851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053A KR102594055B1 (ko) 2023-05-19 2023-05-19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050A (ko) 2007-03-07 2009-11-17 인데나 에스.피.에이 시나라 스콜리무스 추출물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05325A (ko) * 2018-07-06 2020-01-15 박재원 욕창방지매트
JP2020099567A (ja) *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エアウィーヴ マットレスカバー、マットレス、および換気装置付ベッド
KR102433381B1 (ko) * 2022-01-26 2022-08-16 노인철 통기성침대매트리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8050A (ko) 2007-03-07 2009-11-17 인데나 에스.피.에이 시나라 스콜리무스 추출물 및 그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05325A (ko) * 2018-07-06 2020-01-15 박재원 욕창방지매트
JP2020099567A (ja) *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エアウィーヴ マットレスカバー、マットレス、および換気装置付ベッド
KR102433381B1 (ko) * 2022-01-26 2022-08-16 노인철 통기성침대매트리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496A (en) Skin protective pad
JP2011218007A (ja) 吸汗消臭機能付保冷具
KR102594055B1 (ko) 온도 감지가 가능한 침대 매트리스
CN207285773U (zh) 一种艾绒填充芯层及艾绒保健被褥
JP2020105675A (ja) マスク
CN205947204U (zh) 一种带隔离条的透气防渗液防护手术衣
CN213126516U (zh) 一种有吸湿发热功能的毯子
JP3160421U (ja) 吸汗消臭機能付保冷具
CA1107411A (en) Absorbent bed pad
JP3083078B2 (ja) 寝具用のシート状素材
JP4491710B2 (ja) 敷パッド
KR200331819Y1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 다기능을 수행하는 의료용보조 매트리스
CN214294823U (zh) 一种感应变色布料及其纺织品
JP2007236410A (ja) 蒸気温熱タオル
KR20200105818A (ko) 매트리스
JP3719905B2 (ja) 身体表層部の床ずれ防止用シート状マット体
KR200262216Y1 (ko) 원적외선 방출부재를 갖는 매트리스의 외피
KR200266809Y1 (ko) 이불용 솜
KR20050032955A (ko) 수면환경 개선 섬유시이트
CN216364591U (zh) 一种健康环保型可水洗枕
KR200382576Y1 (ko) 기능성과 통기성을 겸한 입체형 에어 매쉬
CN214432265U (zh) 一种抗菌防臭运动鞋垫
JPS6240390Y2 (ko)
JP3135460U (ja) 靴の中敷き
KR20050013747A (ko) 쿳션, 통풍 및 위생기능 등 다기능을 수행하는 의료용보조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