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02B1 - 유니트 쿨러 - Google Patents

유니트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02B1
KR102594002B1 KR1020230085708A KR20230085708A KR102594002B1 KR 102594002 B1 KR102594002 B1 KR 102594002B1 KR 1020230085708 A KR1020230085708 A KR 1020230085708A KR 20230085708 A KR20230085708 A KR 20230085708A KR 102594002 B1 KR102594002 B1 KR 10259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er
light
fan
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천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상일 filed Critical 천상일
Priority to KR102023008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2Detecting the presence of frost or condens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 쿨러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연장되고 배출시간이 지연되도록 가이드하여 제상 효율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일례로, 냉장 또는 냉동 기능 및 제상 기능을 제공하는 쿨러 장치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서 연장되도록 가이드하여 열기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쿨러 가이드부; 광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서 발생되는 적상을 감지하는 적상 감지부; 및 상기 적상 감지부를 통해 적상 감지 시 상기 쿨러 장치부의 냉장 또는 냉동 운전을 정지하고,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제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니트 쿨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니트 쿨러{UNIT COOL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니트 쿨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쿨러의 적상 감지 및 적상 감지 시 효율적인 제상 구조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 냉장기, 냉난방기와 같이 배관라인을 유동하는 열 매체의 순환에 의해 작동되는 열기기는 주위 온도가 낮을 시 대기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에서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 동결되어 형성되는 성애, 서리 등이 기기의 표면에 부착되는 적상(積霜)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기기의 운전이 정지되어 각종 기능상의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냉동기나 냉장기의 경우 기기 내부의 온도 상승이 야기되어 보관물품의 품질이 변화되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열기기를 이루는 열 교환기에 적상(積霜)이 심하게 일어날 경우 열 매체의 증발온도 및 압력이 저하되고, 압축비가 증대되어 열기기의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제상작업이 수행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제상작업은 물을 증발기 상에 뿌려 제상하는 방법,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가스를 직접 증발기 측으로 보내어 증발기를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제상하는 방법, 히터를 사용하여 증발기를 가열하여 제상하는 방법, 적상된 부위에 부동액을 지속적으로 분무하여 제상하는 방법, 압축기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송풍기를 가동으로 실온의 공기로 제상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는데, 특히 전기히터를 이용한 제상 장치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쿨러에서 제상 동작 시 발생된 열기의 배출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쿨러가 히터를 이용해 제상하는 경우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쿨러의 입구(증발기 측)와 출구(팬 측)를 통해 배출되는데, 특히 쿨러 입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기는 그 부력에 의해 위로 상승하면서 빠져 나가게 됨으로써 배출되는 열기가 저장고(냉장고, 냉동고) 전체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으며, 쿨러(증발기) 내부에 잔류하는 시간이 적어 제상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02705호(등록일자: 2014년05월27일) 등록특허공보 제10-1917293호(등록일자: 2018년11월05일)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206호(등록일자: 2000년04월25일)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73241호(공개일자: 1998년11월05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연장되고 배출시간이 지연되도록 가이드하여 제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니트 쿨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는, 냉장 또는 냉동 기능 및 제상 기능을 제공하는 쿨러 장치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서 연장되도록 가이드하여 열기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쿨러 가이드부; 광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서 발생되는 적상을 감지하는 적상 감지부; 및 상기 적상 감지부를 통해 적상 감지 시 상기 쿨러 장치부의 냉장 또는 냉동 운전을 정지하고,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제상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팬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로 회전시키는 팬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팬 회전 구동부는,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 측에 설치된 출구 프레임; 팬 모터를 고정하는 고정 링, 및 상기 고정 링의 외측 상하부와 상기 출구 프레임 내측 상하부 간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힌지를 포함하는 팬 모터 고정부재; 상기 팬 모터 고정부재의 후방과 연결되고, 수평 왕복 운동을 통해 상기 팬 모터 고정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구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링크부재를 수평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를 통해 냉기가 배출되되, 열기의 배출이 지연되도록 천 재질의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 팬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러 가이드부는,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와 대향 이격되고, 개방된 하부를 향하여 절곡된 형태, 라운드진 형태 및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의 양측부를 각각 커버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쿨러 가이드부는,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 커버 및 상기 측면 커버로 이루어진 단위 커버를 다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커버가 다수 개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전면 커버는, 절곡된 형태, 라운드진 형태 및 경사진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상 감지부는, 투광기 및 수광기를 포함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부; 및 상기 투광기에서 발사한 광을 상기 수광기에서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제상 제어부로 적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기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투광기는 상기 수광기를 향해 광을 각각 발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상 감지부는, 상기 투광기를 상기 수광기를 각각 향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센서 회동부; 및 상기 센서 회동부가 상기 수광기 각각을 향해 상기 투광기를 회전시킬 때마다 상기 투광기의 투광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수광기 중 상기 투광기가 향하고 있는 수광기에서의 광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연장되고 배출시간이 지연되도록 가이드하여 제상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니트 쿨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쿨러에서 제상 동작 시 발생된 열기의 배출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러 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러 가이드부의 다양한 변형예와 열기의 배출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상 감지부의 구성과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 회전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러 가이드부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러 가이드부의 다양한 변형예와 열기의 배출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상 감지부의 구성과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 회전 구동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니트 쿨러(100)는 쿨러 장치부(110), 쿨러 가이드부(120), 적상 감지부(130), 제상 제어부(140), 팬 회전 구동부(150) 및 팬 커버부(1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쿨러 장치부(110)는, 코일 증발기(A)에 팬을 달아서 실내 장소(냉장고, 냉동고 등의 저장고)의 내부 공기를 강제 대류시켜 냉장 또는 냉동 기능 및 제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요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쿨러 장치부(110)에는 팽창밸브가 설치되어 코일 증발기(A)와 팽창밸브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응축기, 압축기, 수액기, 기액 분리기 등과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쿨러 장치부(110)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해당 케이스의 전면(출구)에는 팬이 설치되고, 후면(입구)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쿨러 장치부(110)의 케이스의 전면에는 그 중앙부가 개방된 형태의 개폐 도어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 증발기(A)가 설치되고, 개폐 도어의 개방된 중앙부에 팬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유니트 쿨러의 구성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도어의 개방된 중앙부에 팬 회전 구동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쿨러 장치부(110)가 작동되면, 팬에 의해 상온의 실내 공기가 케이스의 후면(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다음 코일 증발기(A)를 거치면서 냉각된 상태로, 다시 케이스의 전면(출구)에 설치된 팬을 통해 실내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쿨러 가이드부(120)는, 쿨러 장치부(110)의 제상 시 히터(B)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후면) 측에서 연장되도록 가이드하여 열기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쿨러 가이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121) 및 측면 커버(1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21)는,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후면)와 대향 이격되고, 개방된 하부를 향하여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형태 또는 경사진 형태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전면 커버(121)는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후면) 상부와 전방을 커버하면서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된 구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운드진 구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진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다만, 전면 커버(121)는 쿨러 장치(110)의 입구(후면)에서 방출되면서 그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열기(뜨거운 공기)가 아래로 전환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열기의 배출경로를 연장시켜 배출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상술한 구조를 복합적으로 변형한 것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절곡, 라운드, 경사 구조를 적절히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배출되는 열기가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 즉 적상이 형성된 위치로 재 순환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조로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열기의 배출경로를 연장하고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이유는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적상 부분)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가 적상된 부분 또는 그 근처에서 최대한 정체 또는 잔류되도록 함으로써 제상 효과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측면 커버(122)는, 전면 커버(121)의 양측부를 각각 커버하여 전면 커버(121)에 의해 와류되는 열기가 측부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쿨러 가이드부(120)는,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후면)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 커버(121) 및 측면 커버(122)로 이루어진 단위 커버를 다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쿨러 가이드부(120)가 다수 개의 단위 커버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 개로 이루어진 전면 커버(121)는, 절곡된 형태, 라운드진 형태 및 경사진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쿨러 가이드부(120)가 3개의 전면 커버(121)로 구성된 경우 최상부에 위치하는 단위 커버의 전면 커버(121)는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단위 커버의 전면 커버(121)는 라운드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최하부에 위치하든 단위 커버의 전면 커버(121)는 경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3개의 단위 커버의 구조가 모두 상이한 일례를 설명한 것뿐이며, 다양한 조합으로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상기 적상 감지부(130)는, 광전 센서를 이용하여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후면) 측에서 발생되는 적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적상 감지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전 센서부(131), 신호 출력부(132), 센서 회동부(133) 및 센서 제어부(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 센서부(131)는 투광기(131a) 및 수광기(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기(131a)는 광을 발사하는 투광소자를 포함하며, 수광기(131b)는 투광기(131a)에서 발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투광기(131a)에서 발사된 광이 수광기(131b)를 통해 수신되면 투광기(131a) 및 수광기(131b) 사이에 검출물체에 해당하는 적상이 없는 것(또는 제상할 정도로 적상이 생기지 않음)으로 판단(즉, 적상 미 검출)하며, 투광기(131a)에서 발사된 광이 수광기(131b)를 통해 수신되면, 투광기(131a) 및 수광기(131b) 사이에 적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즉, 적상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투광기(131a) 및 수광기(131b)는 1:1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여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의 투광기(131a)와 n개의 수광기(131b)로 이루어져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신호 출력부(132)는, 투광기(131a)에서 발사한 광을 수광기(131b)에서 수신하지 못하면 제상 제어부(140)로 적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투광기(131a)에서 발사한 광을 수광기(131b)에서 수신하면 제상 제어부(140)에 어떠한 신호도 출력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광기(131b)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쿨러 장치부(110)의 입구(적상이 발생되는 위치) 부분에서 4개의 모퉁이 중 3개의 모퉁이 부분(A, B, C)에 각각 수광기(131b)가 각각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1개의 모퉁이 부분(K)에 투광기(131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투광기(131a)는 센서 회동부(133)에 의해 대략 45도 간격으로 좌, 우 방향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즉, 투광기(131a)가 최초 위치 A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하고 있다면, 위치 A에 있는 수광기(131b)로 광을 발사한 후 해당 수광기(131b)에서 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신호 출력부(132)를 통해 확인한 후, 좌측으로 45도 회전하여 위치 B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할 수 있으며, 위치 B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해 광을 발사한 후 해당 수광기(131b)에서 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신호 출력부(132)를 통해 확인한 후, 좌측으로 45도 회전하여 위치 C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할 수 있으며, 위치 C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해 광을 발사한 후 해당 수광기(131b)에서 광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신호 출력부(13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1사이클 동작 후 다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일한 검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위치 A, B, C에 각각 설치된 수광기(131b)는 출력하는 적상 검출 신호에 ID정보를 포함시켜, 신호 출력부(132)가 어느 위치에 설치된 수광기(131b)로부터 적상 검출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위치에서 적상이 생겼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적상의 위치를 구분하여 검출함으로써 쿨러 장치부(110)의 제상 시 가동되는 히터(B)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쿨러 장치부(110)가 제상할 때 하나의 히터(B)만 가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적상이 생성된 위치나 크기에 관계 없이 여러 개의 히터(B)를 모두 가동시키기 때문에 히터(B)의 비효율적으로 운전시킬 밖에 없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적상이 생성되는 정확한 위치와 그에 따른 적상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어, 그와 대응되는 히터(B)를 개별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게 되어 히터(B)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1개의 투광기(131a)와 다수의 수광기(131b)로 서로 다른 위치에 생성될 수 있는 적상을 개별 검출함으로써 좀 더 세밀한 적상 검출이 가능하며, 투광기(131a) 및 수광기(131b)를 1:1 비율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그에 따른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 회동부(133)는, 투광기(131a)와 연결되어 투광기(131a)가 미리 설정된 각도 단위로 회전시켜 다수의 수광기(131b)를 각각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회동부(133)는 센서 제어부(134)를 통해 회전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회전 제어 신호에 따른 회전 방향과 각도만큼 투광기(131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투광기(131a)의 회전 방향과 각도는 다수의 수광기(131b)의 설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수광기(131b)의 설치 위치에 따라 투광기(131a)의 회전 방향과 각도의 변경 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 제어부(134)는, 센서 회동부(133)와 연동하여, 센서 회동부(133)가 각각의 수광기(131b)를 향해 투광기(131a)를 회전시킬 때마다 투광기(131a)의 투광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K에 설치된 투광기(131a)가 위치 A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해 회전한 후, 위치 A에 있는 수광기(131b)로 광을 발사하도록 투광기(131a)를 제어하고, 투광기(131a)가 위치 B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해 회전한 후, 위치 B에 있는 수광기(131b)로 광을 발사하도록 투광기(131a)를 제어하고, 투광기(131a)가 위치 C에 설치된 수광기(131b)를 향해 회전한 후, 위치 C에 있는 수광기(131b)로 광을 발사하도록 투광기(131a)를 제어함으로써, 투광기(131a)가 회전한 후 광을 발사하는 타이밍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어 회동하는 투광기(131a)를 통하여 발생될 수 있는 적상 검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상 제어부(140)는, 적상 감지부(130)를 통해 적상 감지 시 쿨러 장치부(110)의 냉장 또는 냉동 운전을 정지하고, 제상 운전을 개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적상 감지부(130)를 통해 적상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상 제어부(140)가 쿨러 장치부(110)의 냉장 또는 냉동 운전에 관여하지 않으며, 적상 검출 시에만 쿨러 장치부(11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러에 정지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냉장 또는 냉동 운전이 일시 중단되도록 한 후, 제상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쿨러 장치부(110)의 제상 운전이 개시되도록 하며, 이후 적상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에서는 다시 쿨러 장치부(110)의 컨트롤러에 냉장 또는 냉동 운전을 가동시키기 위한 가동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정상적인 유니트 쿨러(10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팬 회전 구동부(150)는, 쿨러 장치부(110)의 출구(전면) 측에 설치되어 팬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팬 회전 구동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 프레임(151), 팬 모터 고정부재(152), 링크부재(153) 및 구동모터(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 프레임(151)은, 쿨러 장치부(110)의 팬이 설치되는 출구(전면)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출구 프레임(151)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출구 프레임(15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쿨러 장치부(110)의 케이스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팬 모터 고정부재(152)는, 팬(미도시)이 결합된 팬 모터(10)를 고정하는 고정 링(152a), 및 고정 링(152a)의 외측 상하부와 출구 프레임(151) 내측 상하부 간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힌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힌지(152b)는 링크부재(153)가 수평 왕복 운동(좌우 왕복 운동)할 때 팬 모터 고정부재(153)를 좌우로 틸팅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부재(153)는, 팬 모터 고정부재(152)의 후방과 구동모터(154) 사이에 연결되고, 수평 왕복 운동(좌우 왕복 운동)을 통해 팬 모터 고정부재(153)를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53)와 구동모터(154) 사이에는 구동모터(154)의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다양한 기어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54)는, 링크부재(153)가 수평 왕복 운동(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링크부재(153)에 구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팬 커버부(16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된 일측 즉 개구부가 쿨러 장치부(110)의 출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쿨러 장치부(110)의 출구 측이란 팬 후드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략 원반 모양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팬 커버부(160)의 개구부가 팬 후드 부분에 결속되어 결합될 수 있다. 팬 커버부(160)의 결속은 개구부 둘레에 탄성밴드, 후크, 자석 등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팬 후드 부분에 결속되는 팬 커버부(160)의 개구부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팬 커버부(160)는 천 재질로 이루어져 쿨러 장치부(110)의 출구(전면 팬 부분)를 통해 냉기가 배출되면서도 제상 시 쿨러 장치부(1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이 지연 내지 일부 차단될 수 있도록 하여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일부가 쿨러 장치부(110)의 후면(적상 생성 위치)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유니트 쿨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유니트 쿨러
110: 쿨러 장치부
120: 쿨러 가이드부
121: 전면 커버
122: 측면 커버
130: 적상 감지부
131: 광전 센서부
131a: 투광기
131b: 수광기
132: 신호 출력부
133: 센서 회동부
134: 센서 제어부
140: 제상 제어부
150: 팬 회전 구동부
151: 출구 프레임
152: 팬 모터 고정부재
152a: 고정 링
152b: 회전 힌지
153: 링크부재
154: 구동모터
160: 팬 커버부

Claims (9)

  1. 냉장 또는 냉동 기능 및 제상 기능을 제공하는 쿨러 장치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제상 시 발생되는 열기의 배출경로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서 연장되도록 가이드하여 열기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쿨러 가이드부;
    광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서 발생되는 적상을 감지하는 적상 감지부;
    상기 적상 감지부를 통해 적상 감지 시 상기 쿨러 장치부의 냉장 또는 냉동 운전을 정지하고, 제상 운전을 개시하는 제상 제어부; 및
    쿨러 장치부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팬을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로 회전시키는 팬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 회전 구동부는,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 측에 설치된 출구 프레임;
    팬 모터를 고정하는 고정 링, 및 상기 고정 링의 외측 상하부와 상기 출구 프레임 내측 상하부 간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 힌지를 포함하는 팬 모터 고정부재;
    상기 팬 모터 고정부재의 후방과 연결되고, 수평 왕복 운동을 통해 상기 팬 모터 고정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에 구동력을 공급하여 상기 링크부재를 수평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개구부가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쿨러 장치부의 출구를 통해 냉기가 배출되되, 열기의 배출이 지연되도록 천 재질의 주머니 형상으로 이루어진 팬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가이드부는,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와 대향 이격되고, 개방된 하부를 향하여 절곡된 형태, 라운드진 형태 및 경사진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이루어진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의 양측부를 각각 커버하는 측면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쿨러 가이드부는, 상기 쿨러 장치부의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 커버 및 상기 측면 커버로 이루어진 단위 커버를 다수 개 포함하고,
    상기 단위 커버가 다수 개로 이루어진 경우, 다수 개로 이루어진 상기 전면 커버는, 절곡된 형태, 라운드진 형태 및 경사진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상 감지부는,
    투광기 및 수광기를 포함하는 투과형 광전 센서부; 및
    상기 투광기에서 발사한 광을 상기 수광기에서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제상 제어부로 적상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기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투광기는 상기 수광기를 향해 광을 각각 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상 감지부는,
    상기 투광기를 상기 수광기를 각각 향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각도 단위로 회전시키는 센서 회동부; 및
    상기 센서 회동부가 상기 수광기 각각을 향해 상기 투광기를 회전시킬 때마다 상기 투광기의 투광 동작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출력부는,
    상기 수광기 중 상기 투광기가 향하고 있는 수광기에서의 광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 쿨러.
KR1020230085708A 2023-07-03 2023-07-03 유니트 쿨러 KR10259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708A KR102594002B1 (ko) 2023-07-03 2023-07-03 유니트 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708A KR102594002B1 (ko) 2023-07-03 2023-07-03 유니트 쿨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002B1 true KR102594002B1 (ko) 2023-10-26

Family

ID=8850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708A KR102594002B1 (ko) 2023-07-03 2023-07-03 유니트 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02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41A (ko) 1997-03-13 1998-11-05 김광호 제상용 히터 커버
JP2000046454A (ja) * 1998-07-31 2000-02-18 Taisei Corp 冷蔵倉庫、冷凍倉庫等用クーラーのデフロスト時における熱気漏洩防止機構
KR20000038043A (ko) * 1998-12-03 2000-07-05 전주범 냉장고의 광센서를 이용한 제상제어장치
KR200188206Y1 (ko) 2000-01-25 2000-07-15 주식회사경동냉열산업 냉동기의 증발기제빙커버장치
KR200440229Y1 (ko) * 2007-02-26 2008-05-30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유니트 쿨러
KR20100132178A (ko) * 2009-06-09 2010-12-17 이상돌 지능형 제상기능을 갖는 유닛쿨러
KR20120072774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고효율 제상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KR101402705B1 (ko) 2014-02-17 2014-06-27 주식회사 신진에너텍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한 냉동시스템 증발기의 제상장치
KR20160067367A (ko) * 2014-12-04 2016-06-14 김대철 유니트쿨러의 송풍장치
KR101917293B1 (ko)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92829A (ko) * 2018-01-31 2019-08-08 김형조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장치
KR102286887B1 (ko) * 2020-12-03 2021-08-06 주식회사 에코윈드 제습기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241A (ko) 1997-03-13 1998-11-05 김광호 제상용 히터 커버
JP2000046454A (ja) * 1998-07-31 2000-02-18 Taisei Corp 冷蔵倉庫、冷凍倉庫等用クーラーのデフロスト時における熱気漏洩防止機構
KR20000038043A (ko) * 1998-12-03 2000-07-05 전주범 냉장고의 광센서를 이용한 제상제어장치
KR200188206Y1 (ko) 2000-01-25 2000-07-15 주식회사경동냉열산업 냉동기의 증발기제빙커버장치
KR200440229Y1 (ko) * 2007-02-26 2008-05-30 경인냉열산업 주식회사 유니트 쿨러
KR20100132178A (ko) * 2009-06-09 2010-12-17 이상돌 지능형 제상기능을 갖는 유닛쿨러
KR20120072774A (ko)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고효율 제상구조를 가지는 냉장고
KR101402705B1 (ko) 2014-02-17 2014-06-27 주식회사 신진에너텍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한 냉동시스템 증발기의 제상장치
KR20160067367A (ko) * 2014-12-04 2016-06-14 김대철 유니트쿨러의 송풍장치
KR20190092829A (ko) * 2018-01-31 2019-08-08 김형조 냉동 사이클의 적상 감지 및 제상 장치
KR101917293B1 (ko) 2018-03-30 2019-01-24 조계철 냉동, 냉장 창고의 스마트 냉동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6887B1 (ko) * 2020-12-03 2021-08-06 주식회사 에코윈드 제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761B2 (en) Stand-type air conditioner
US20200224962A1 (en) Refrigerator
CN1987235B (zh) 制冷暖兼用空调器的除霜运行控制方法
CN1287126C (zh) 冰箱的控制方法
JP2001289532A (ja) 冷凍空調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US20200224951A1 (en) Refrigerator
CN103471319B (zh) 冰箱的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冰箱
US20070277539A1 (en) Continuously Operating Type Showcase
KR102594002B1 (ko) 유니트 쿨러
JP5898568B2 (ja) 輻射式空気調和機
CN110486996A (zh) 利用压缩机壳体热量的除霜结构及除霜方法
CN110455030A (zh) 一种制冷设备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US20200224954A1 (en) Refrigerator
KR102012775B1 (ko) 공기조화기
JP4348162B2 (ja) 冷却貯蔵庫
JPH06249565A (ja) 冷蔵庫
KR101570376B1 (ko) 냉장고
KR100206801B1 (ko) 냉장고의 제상방법 및 그 장치
KR102372910B1 (ko) 에너지 절감형 온습도 조절 공기조화기
JP2001183018A (ja) 空水冷式凝縮器
CN107631379A (zh) 空调器的控制方法
KR20160139713A (ko) 냉동시스템의 증발기 제상구조
CN204063315U (zh) 窗式空调器
JP2000234788A (ja) 空気調和機
CN113623763A (zh) 空调室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